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류 가공에 관한 연구 5. EDTA 및 BHA 처리가 개량조개 보일드 통조림의 변색 방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이응호,허종화,한봉호,김용근,박영호,Lee Eung-Ho,HUR Jong-Wha,HAN Bong-Ho,KiM Yong-Gun,PARK Yeung-Ho 한국수산과학회 197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 No.1

        개량조개의 보일드 통조림을 제조할 때 EDTA 또는 BHA의 전처리 조작이 개량개조 통조림의 제조 및 저장중의 변색방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EDTA 처리한 것은 통조림 제조 과정 및 3개월간의 단기 저장중 BHA 처리한 것 또는 무처리 시료 보다 변색 방지 효과가 훨씬 좋았다. 12개월간의 장기 저장에 있어서는 EDTA 또는 BHA 처리한 시료가 거의 같은 정도의 변색 방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양자 모두 무처리 시료에 비하여 높은 색소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EDTA 처리한 것은 장기 저장함에 따라 색소 소실이 심하였다, BHA 처리를 한 것은 저장중 색소 소실이 비교적 적어 변색 방지 효과의 지속성이 높았다. The effect of EDTA or BHA pretreatment upon the color preservation of canned surf clam meat during canning and storage was studied. The steamed surf clam meat was soaked in BHA solution, $0.1\%$ BHA in $5\%$ salt solution, or EDTA solution, $0.5\%\;Na_2$ EDTA in $5\%$ salt solution, for 30 minutes. The pretreated surf clam meat was packed in a round enameled can that is 223.2 ml by volume and sterilized for 75 minutes at $110^{\circ}C$. The canned products were stored for one year at room temperature. The EDTA treatment of surf clam meat appeared effective on color preservation during processing. After three month storage, the samples showed little color change comparing with those right after processing. After one year storage, EDTA or BHA treated samples showed better color preservation as compared with control.

      • SCOPUSKCI등재

        우렁쉥이 및 미더덕의 지방질성분

        이응호,오광수,이태헌,안창범,정영훈,김경삼,Lee, Eung-Ho,Oh, Kwang-Soo,Lee, Tae-Hun,Ahn, Chang-Bum,Chung, Young-Hun,Kim, Kyung-Sam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4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식품성분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서 우렁쉥이 및 미더덕의 지방질을 실리스산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로 분획하고 TLC 및 GLC로써 이들 지방질획분의 지방질조성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다. 우렁쉥이 및 미더덕의 지방질함량은 각각 2.0%, 2.1%로 서로 비슷하였으며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함량은 중량비로서 우렁쉥이가 36.6%, 17.2% 46.2%였고, 미더덕이 36.3%, 19.2%, 44.5%로 어류에 비해 중성지방질의 함량은 낮은 반면, 인지방질의 함량은 상당히 높았다 우렁쉥이와 미더덕의 중성지방질 중에는 다같이 트리-글리세리드가 49.0%, 59.6%, 유리스테롤이 25.8%, 22.0%로 주성분이었고 그 외에 디-글리세리드, 모노-글리세리드, 스테롤에스테르, 탄화수소 및 유리지방산이 존재하고 있었다. 인지방질 중에서는 우렁쉥이, 미더덕 다같이 포스파티딜콜린이 각각 48.6%, 46.7%, 포스파티딜에타올아민이 32.4% 및 35.0%로서 주체를 이루고 있었고,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세린 및 미확인물질이 소량 존재하고 있었다. 우렁쉥이 총지방질의 주요 구성 지방산은 20:5, 22:6, 16:0 및 18:1산이고 특히 20:5(21.3%) 및 22:6산 (16.3%)을 주체로 하는 polyene산이 전체지방산의 49.2%를 차지하였다 우렁쉥이 각 지방질획분의 주요구성 지방산을 보면 중성지방질은 16:0, 20:5. 22:6및 18:1산이었으며. 당지방질은 20:1, 16:0, 18:0 및 18:1산이었고, 인지방질은 20:5, 22:6 및 16:0산의 조성비가 높았다. 미더덕의 경우 총지방질에서 20:5. 16:0 및 22:6산 등이 주요구성지방산이었으며, 우렁쉥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0:5(18.3%) 및 22:6산(14.2%) 등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높아 전체 지방산의 42.6%를 차지하였다. 미더덕 중성지방질의 주요구성지방산은 16 : 0, 16 : 1 및 20 : 5산이었고, 당지방질에서는 16 : 0, 20 : 1, 18 : 0 및 18 : 1 산, 그리고 인지방질에서는 20 : 5, 16 : 0 및 22 : 6산의 조성비가 높았다. Total lipid (TL) content of sea squirt (Ureungsweng-ee), Halocynthia roretzi, and Mideuduck, Styela clava, were 2.0%, 2.1%, respectively. Reviewing the composition of each lipid fraction in total lipids of sea squirt and Mideuduck, it was found that contents of neutral lipids (NL) (36.6%, 36.3%) and phospholipids (PL) (46.2%, 44.5%) were high, while that of glycolipids (GL) (17.2%, 19.2%) was low. The NL of sea squirt and Mideuduck were mainly consisted of triglyceride (49.0%, 59.6%) and free sterol (25.8%, 22.0%), and followed by diglyceride (9.4%, 7.7%), monoglyceride (6.0%, 4.2%), free fatty acid (4.6%, 1.9%) and esterified sterol and hydrocarbon (5.2%, 4.4%). And main lipids in PL were phosphatidylcholine (48.6%, 46.7%)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32.4%, 35.0%), and followed by phosphatidylinositol (9.8%, 7.0%), phosphatidylserine (5.7%, 5.8%) and an unknown substance (3.5%, 5.5%).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L, NL, PL and GL contained in sea squirt and Mideuduck. The major fatty acids of TL in sea squirt and Mideuduck were eicosapentaenoic (21.3%, 18.3%), docosahexaenoic (16.3%, 14.2%), palmitic (13.8, 16.3%) and oleic acid (8.5%, 7.0%), respectively. Fatty acid composition of PL and NL were similar to those of TL. In case of GL fraction the major fatty acids were gadoleic (15.7%, 14.7%), palmitic (13.5%, 14.7%), stearic (11.6%. 9.8%) and oleic acid (8.0%, 8.1%).

      • KCI등재

        패류 가공에 관한 연구 1. 개량조개 Mactra Sulcataria REEVE의 토사 배출에 대하여

        이응호,변재형,허종화,LEE Eung-Ho,PYEUN Jae-Hyeung,HUR Jong-Wha 한국수산과학회 197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 No.1

        살아 있는 개량조개 속에 들어 있는 토사의 배출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사는 주로 입수관 및 출수관 주변, 아가미 주변, mantle주변 그리고 중장선을 위시한 소화 기관 속에 존재하였다. 그리고 소화기관 속에 들어 있는 모래의 크기는 $180\times10\mu\~550\times200\mu$정도의 극히 작은 것들이었다. 2) 시료를 밑바닥에 깔아 놓은 것과 중간층에 수하시킨 것 그리고 단층으로 깔든지 또는 수하시킨 것과 두껍게 깔든지 또는 수하시킨 것 사이에 토사의 배출에 있어 뚜렷한 차이는 찾아 볼 수 없었다. 3) 개량조개는 처음 1시간 정화시키면 약 $50\%$의 토사를 배출하며, $22\~26$ 시간만에 배출물의 양이 거의 일정한 값에 도달하지만, 배출물 속에 토사가 배출되지 않을 때까지는 약 42시간 소요되었다. 4) 토사의 배출에 미치는 PH의 영향을 보면 개량조개가 살고 있는 환경 해수보다 약 1정도 높은 쪽(pH 8.75)이 빨랐다. 5) 토사의 배출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은 개량조개가 살고 있는 환경 해수의 온도 때가 온도를 더 높였을 때보다 토사의 배출이 빨랐다. 6) 토사의 배출에 미치는 염분 농도의 영향은 개량조개가 살고 있는 환경 해수의 염분 농도($30.61\%_{\circ}$)보다 약 배로 묽은 쪽($15.14\%_{\circ}$)이 배출이 빨랐다. A study on the purification of the surf clam Mactra Sulcataria REEVE for the remove of sand and fecal piles was conducted in the laboratory. The sand was mostly distributed around the inhalent and exhalent siphon, mantle and gill, and were also distributed in the digestive tract including the mid-gut gland. The sand particles in the digestive tract were extremely small and their sizes were about $180\times10\mu\;to\;550\times200\mu$. It could be seen that there was little, if any, difference in the rate of sand removal when either the hanging Purification method was used or the method of laying the surf clams in thick or thin layers on the bottom of the experimental vessel was used. The surf clam removed about $50\%$ of its sand during the first hour of purification. The weight of the removed sand and fecal piles on a dry basis reached a constant value after 22 to 26 hours of purification. After 42 hours of Purification, no sand could be seen in the fecal piles. The surf clam removed the sand in its body more rapidly when it was in sea water with the pH of 8.75 than when it was in natural sea water. Also high temperature had a much greater depressing effect upon the removal of sand In the surf clam than did natural sea water. Also low salinity had greater accelerating effect upon the removal of sand in the body than did natural sea water. However the surf clam died when the salinity was $8.19\%_{\circ}$.

      • SCOPUSKCI등재

        축육과 유사한 텍스쳐를 가진 어육단백질 농축물의 가공조건 및 저장중의 품질변화 -제 1 보 : 가공조건-

        이응호,조덕제,김세권,한봉호,Lee, Eung-Ho,Cho, Duck-Jae,Kim, Se-Kwon,Han, Bong-Ho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8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4 No.1

        말쥐치(Novodon modestus) 및 도루묵(Arcotoscopus japonicus)을 원료로써 축육과 유사한 어육단백질농축물을 가공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말쥐치를 원료로 하였을 때, 고기풀의 pH 8.0, 식염첨가량 1%, 고기풀에 대하여 3배량의 $25^{\circ}C$ 에탄올에 15분간 침지처리한 다음 다시 2배량의 비등 에탄올에 15분간 2회 침지처리하는 것이 좋았다. 도루묵의 경우는 pH 및 식염첨가량은 말취지와 같고 4배량의 $25^{\circ}C$ 에탄올에 15분간 침지처리하고, 다시 4배량의 비등 에탄올에 25분간 4회 침지처리하는 것이 좋았다. 이와같은 최적조건하에서 만든 말취지 및 도루묵의 축육과 비슷한 조직단백질 농축물 제품의 수분은 각각 9.7%, 9.5%, 단백질은 각각 84.5%, 84.2%, 지질은 각각 0.2%, 1.1%였으며, 수율은 각각 13.7%, 12.5%였다. 그리고 제품 중의 필수아미노산함량은 쇠고기 및 대두단백질과 비교하였을 때 큰 손색이 없었다. An investigation on optimum processing conditions for meaty textured fish protein concentrate (MT-FPC) was carried out with the fish meat of filefish, Navodon modestus, and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The processing conditions were determined by the lipid content and the rehydration capacity of MT-FPC. The optimum pH and sodium chloride content of fish meat were 8.0 and 1.0%, respectively. The most effective soaking conditions were: soaking time in chilled ethanol was 15 min for both filefish and sandfish; amount of chilled ethanol, 3 volumes and 4 volumes for filefish and sandfish, respectively; temperature of chilled ethanol, $25 ^{\circ}C$ for both filefish and sandfish; soaking time in boiling ethanol, 15 and 25 min for filefish and sandfish, respectively; amount of boiling ethanol, 2 and 4 volumes for filefish and sandfish, respectively; and number of snaking in boiling ethanol, 2 and 4 times for filefish and sandfish, respectively. Yields of the product to the minced meat weight, the contents of protein and lipid in MT-FPC prepared from filefish were 13.7%, 84.5% and 0.2%, and those from sandfish were 12.5%, 84.2% and 1.1%, respectively.

      • SCOPUSKCI등재

        밴댕이 및 주둥치젓의 휘발성성분

        이응호,구재근,차용준,안창범,오광수,Lee, Eung-Ho,Koo, Jae-Keun,Cha, Yong-Jun,Ahn, Chang-Bum,Oh, Kwang-Soo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6

        우리나라 전통적인 수산발효식품의 풍미성분을 밝힐 목적으로 밴댕이젓 및 주둥치젓이 냄새성분을 분석하고 각 성분들이 냄새에 미치는 기여도를 검토하였다. 휘발성 지방산과 휘발성 아민은 수증기증류법으로 포집하여 분석하고, 휘발성 카르보닐은 $90^{\circ}C$에서 4시간 처리하여 포집하여 GLC로 분석동정하였다. 휘발성 지방산은 밴댕이젓 및 주둥치젓 모두 n-부티르산이 $90.4{\sim}90.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휘발성아민은 트리메틸아민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휘발성카르보닐은 밴댕이젓은 2-메틸프로판알 36.2%, 메탄알 28.5%, 프로판알 16.2%로 이 세 성분이 80.9%를 차지하였고, 주둥치젓은 에탄올 44.7%, 2-메틸프로판알 24.1%, 프로판알 14.4%로 82.2%를 차지하였다. 관능검사결과 밴댕이젓. 주둥치젓 모두 휘발성지방산, 휘발성카르보닐, 휘발성아민 순으로 중요한 구실을 하는 성분이라는 것을 알았다. In order to elucidate the flavor compounds of fermented big eyed herring, Harengula zunasi (BLEEKER), and slimy, Leiognathus nuchalis (TEMMINCK et SCHEGEL), the volatile constituents of products were analysed by GLC. In the volatile compounds of fermented big eyed herring, eight kinds of volatile fatty acids, nine kinds of volatile carbonyls, and five kinds of volatile amines were identified. While in the fermented slimy, seven kinds of volatile fatty acids, six kinds volatile carbonyls, and five kinds of volatile amines were also identified. In the volatile fatty acids and volatile amines, n-butyric acid and trimethylamine were the most dominant component in both fermented products. In the fermented big eyed herring 2-methylpropanal, ethanal, and propanal were abundant holding 36.2%, 28.5%, and 16.2%, while in the fermented slimy ethanal, 2-methylpropanal, and propanal were abundant holding 44.7%, 24.1%, and 14.4% of total volatile carbonyls, respectively.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n-butyric acid, trimethylamine and volatile carbonyls such as 2-methylpropanal, ethanal and propana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lavor of the fermented big eyed herring and slimy.

      • SCOPUSKCI등재

        축육과 유사한 텍스쳐를 가진 어육단백질 농축물의 가공조건 및 저장중의 품질변화 -제 2 보 : 저장중의 품질변화-

        이응호,조덕제,전중균,차용준,김세권,Lee, Eung-Ho,Cho, Duck-Jae,Jeon, Joong-Kyun,Cha, Yong-Jun,Kim, Se-Kwon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8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4 No.1

        말쥐치 및 도루묵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축육과 유사한 텍스쳐를 가진 어육단백질농축물 저장 중의 품질 안정성 및 이용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품은 함기포장하여 상온에 저장하여도 복수성, TBA값 및 갈변도 등에 큰 변화없이 90일간 품질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햄버어그 및 튀김어단을 만들때 쇠고기 대신에 축육과 유사한 텍스쳐를 가진 어육단백질농축물을 50%까지 섞어도 맛, 냄새 및 텍스쳐 등에 별다른 손색이 없었다. Quality of meaty textured fish protein concentrate (MT-FPC) prepared from filefish. Navodon modestus, and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was investigated.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during storage under various conditions was evaluated with rehydration capacity,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and browning colour density. MT-FPC packed in glass bottle with air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BA value, rehydration capacity and browning colour density during the storage period of 90 days. The jelly strength of product prepared from filefish was weaker than that of sandfish: and beef meat could be substituted with MT-FPC up to 50% in making hamburger and fried meat balls without a significant loss in taste, odor and texture.

      • KCI등재

        패류 가공에 관한 연구 2. 건조 방법 및 EDTA, BHA처리가 개량조개 Mactra Sulcataria REEVE의 색소 잔존율 및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응호,허종화,LEE Eung-Ho,HUR Jong-Wha 한국수산과학회 197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 No.1

        토사질을 제거한 개량조개를 EDTA 및 항산화제 처리를 하여 열풍 건조 및 천일 건조했을 때 건조 방법이나 EDTA 및 항산화제 처리가 변색 및 흡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천일 건조한 것이 열풍 건조한 것보다 월등하게 색소 소실이 심하였다. 2) BHA 처리하여 열풍 건조한 것은 생시료와 비교할 때 거의 색소 소실이 없었다. 색소 소실이 많은 것부터 열거하면, 대조구 및 EDTA 자숙 처리구>EDTA 침지 처리구>BHA 처리구의 순이었다. 3) 흡수성은 열풍 건조한 것이 천일 건조 한 것보다 빨랐다. 그리고 BHA 처리구 및 EDTA 처리구 사이에 흡수율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4) 개량조개는 BHA 처리를 하여 열풍 건조하면 색소 소실도 적고 복원성도 좋아진다. The effect of the dehydration method and EDTA or BHA treatment upon the pigment degradation and water re-absorption of the dehydrated meat of the surf clam Mactra Sulcataria REEVE was studied. Sun drying Produced a realer decrease in pigment content as compared to that produced by hot-air dehydration. The hot-air dehydrated product which was treated with BHA showed little pigment loss in comparison with the pigment of the fresh surf clam meat. The BHA treatment upon the dehydrated surf clam products had an outstanding effect on the pigment retention and the EDTA treated one had a weak effect on it. The hot-air dehydrated products more rapidly re-absorbed water than the sun dried one. It could be seen that there was tittle difference among the rate of rehydration of the BHA or EDTA treated product and untreated one.

      • KCI등재

        패류의 가공적성 3. 굴의 가공적성

        이응호,정승용,김수현,류병호,하진환,오후규,성낙주,양승택,LEE Eung-Ho,CHUNG Seung-Yong,KIM Soo-Hyeun,RYU Byeong-Ho,HA Jin-Hwan,OH Hoo-Gyu,SUNG Nak-Ju,YANG Syng-Tack 한국수산과학회 197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8 No.2

        로우푸수하식 양식굴의 가공적성에 관한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굴의 각내부피에 대한 연체부의 무게 또는 각내 부피에 대한 연체부의 부피의 측정값으로서 비만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2. 육류분의 월별변화를 보면 수분과 지방은 대체로 역상관관계가 됐고, 단백질은 4월부터 약간감소하기 시작하여 7월에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8월에 다시 급격하게 증가하나 9월부터 다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글리코겐은 4월부터 급격하게 감소하기 시작하여, $6\~8$월에 최저값을 나타내고, 9월부터 다시 증가하였다. pH는 $6.0\~6.2$로서 시간적으로 큰 변화는 찾아 볼 수 없이 거의 일정하였다. 회분은 $6\~8$월에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3. 비만도 및 육성분 분석결과로써 가공적성을 판정한다면 가공원료 채취적기는 12월말에서 다음에 5월까지라고 보아진다. 4. 중금속함량의 시기적변화범위를 보면 수은은 $0\~0.019ppm$, 카드뮴은 $0.026\~0.053ppm $, 구리는 $0.111\~0.594ppm$ 남은 $0.061\~0.581ppm로 $로서 가공원료로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5. 생굴을 냉동하기 전에 플리인산나트륨을 $10\%$ 함유한 $5\%$ 식염수에 침지처리한 것은 해동시에 drip 유출방지핵과가 있었다. 6. $ Na_2EDTA$또는 BHA용액에서 침지처리하는 전처리 조작만으로서는 굴 보일드통조림의 황변을 방지할 수 없었다. 7. $2\%$염화마구네슘 용액은 살아 있는 굴의 개각활동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었다. The estimation of the pre-processing condition of oyster is of great importance for distributors and processor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processing suitability of oyster, which is the most important shellfish for domestic use and export. The data were analysed by measuring the condition index, chemical composition and heavy metal content of oysters. In order to eliminate the manual work that has to be done on a tightly closed oyster shell and avoid shrinkage in the oyster meat which is attendant on the steaming process, chemical means to open oyster were examined. finding the method of pretreatment of polyphosphate for frozen oysters were attempted to improve the product quality. The prevention of undesirable color change of the canned oyster meat is another problem to solve. Th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ratio of meat volume and meat weight to the holding capacity by shells may be useful as an index to measure the condition index of oysters. 2. As a whole, monthly changes of moisture and fat content in oysters were reversely correlated. Protein content slightly decreased from April and rapidly decreased in July, and again rapidly increased in August but from September to November decreased slightly. In April, the content of glycogen was 4 percent. From this period to September, glycogen was rapidly decreased. From July to September, it was only 0. 7 to 1 percent but increased from October. There were little seasonal changes in pH value. The pH value of oyster meat was 6.0 to 6.2. The crude ash content was slightly decreased from June to August. 3. The range of monthly change of heavy metal content are as follows: Total mercury was 0 to 0.019 ppm, cadmium was 0.026 to 0.053 ppm, copper was 0.111 to 0.594 ppm, and lead_was 0.061 to 0.581 ppm. 4. By the results of condition index, chemical composition and heavy metal content of oysters, the suitable harvest season as raw materials for processing was the end of December to the end of May of next year. 5. The pretreatment of 10 percent polyphosphate in 5 percent salt solution of oyster meat appeared effective to reduce thawing drip during cold storage. 6. The pretreatment of $Na_2EDTA$ and BHA did not show the color prevention effect to the canned oyster meat during storage. 7. Magnesium chloride affected to open the valves of oysters.

      • KCI등재

        3배체잉어 근육의 식품성분에 관한 연구 2. 3배체잉어 근육의 지방질 성분

        이응호,정부길,김진수,안창범,주동식,오광수,LEE Eung-Ho,CHUNG Bu-Gil,KIM Jin-Soo,AHN Chang-Bum,JOO Dong-Sik,OH Kwang-Soo 한국수산과학회 198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2 No.3

        3배체잉어의 식품학적 품질평가라는 관점에서 3 배체잉어, 비산란기 및 산란기 2배체잉어의 지방질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비산란기 2배체잉어 및 3배체잉어의 지방질함량은 $2.4\~3.1\%$로 유사하였으나 산란기 2배체잉어는 이보다 약간 낮은 $1.9\~1.4\%$이었고, 중성지방질함량은 비산란기 2배체잉어 및 3배체잉어가 많았고 반면,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함량은 산란기 2배체잉어가 많았다. 중성지방질은 트리글리세리드($66.9\~86.1\%$)가 주성분이었고, 인지방질은 포스파티딜콜린이 주성분이었다. 시료어간에는 트리글리세리드,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근육의 종류간에는 트리글리세리드의 경우 등쪽육이, 포스파티딜콜린의 경우 배쪽육이 함량이 많았다. 총지방질의 지방산조성은 세 시료어 모두 모노엔산의 조성비($39.8\~44.5\%$)가 가장 높았으나, 비산란기 및 산란기 2배체잉어의 경우 다음으로 폴리엔산, 포화산의 순이었고 반면 3배체잉어의 경우 모노엔산, 다음으로 포화산, 폴리엔산의 순이었다. 이들 세 시료어의 주요구성 지방산으로는 18:1, 16:0, 18:2, 18:3 및 16:1등이었고, 3배체잉어는 16:0 및 18:1의 비율이 높았고, 산란기 2배체잉어는 16:0 및 16:1의 조성비가 낮은 반면 20:0, 18:2 및 22:6 등의 조성비가 높았다. 또한 등쪽육과 배쪽육간의 지방산조성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중성지방질의 지방산조성은 총지방질의 지방산조성과 유사하였고, 당지방질의 지방산조성은 중성지방질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시료어 및 근육의 종류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지만, 3배체잉어의 18:0의 조성이 다른 시료어에 비하여 상당히 높다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인지방질도 역시 중성지방질 및 당지방질의 조성과 차이가 있었으나 시료어 및 근육의 종류간에는 조성이 거의 비슷하였다.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pids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in diploid and triploid carps(Cyprinus carpio), we analyzed the compositions of neutral lipid, phospholipid and glycolipid, and fatty acid contents of each lipids in these carp muscles. Total lipid contents of diploid carps, nonspawning season and spawning season, and triploid carp were $2.5\~3.0\%,\;1.4\~1.9\%\;and\;2.4\~3.1\%$, respectively. Regardless of belly and dorsal muscles, diploid carp of nonspawning season and triploid one were higher in neutral lipid, but lower in glycolipid and phospholipid than those of diploid one of spawning season. The neutral lipid and phospholipid were mainly consisted of triglyceride($66.9\~86.1\%$), and phosphatidyl-choline($55.6\~62.9\%$), respectively. In fatty acid compositions of total lipid, triploid carp showed higher content in monoenes such as 16: 1, 18: 1, but lower in polyenes such as 22:6 than those of diploid carp. The major fatty acids in total lipid were 18:1, 16:9, 18:2, 18:3 and 16:1 in order.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neutral lipids showed similar trend to those of total lipid, and the major fatty acids in phospholipid were 16:0, 18:1, 18:2 and 22:6, These fatty acid compositions of neutral lipid, glycolipid and phospholipid were slightly difference between dorsal and belly muscles in all the car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