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 속에 나타난 "불안"의 의미 연구 -이청준의 소문의 벽 을 중심으로-

        이은애 ( Eun Ae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2

        본고는 이청준의 소설「소문의 벽」을 중심으로 문학 속에 드러난 불안의 의미를 고찰해 봄을 목표로 한다.「소문의 벽」은 외형적 주인공인 잡지사 편집장인 ‘나’가 소설 내적 주인공인 소설가 박준의 병적‘증상’을 그의 미발표 소설을 통해 추적해 나가는 추리소설적 성향을 지닌 액자소설이다. 그러나 이 소설 밖에는 분석가로서의 작가 이청준이 있으며, 또 그 밖에는 ‘독자’라는 분석가의 시선이 존재한다. 본고는 분석가의 시선으로 이 텍스트의 무의식을 독해해 낼 것이다. 주인공 소설가 박준은 어렸을 적, 6.25 전쟁 중에 밤이면 찾아와, ‘전짓불’을 들이대며 국군의 편이냐 북한군의 편이냐에 대한 대답을 강요 당했던 기억으로 말미암아 전짓불에 대한 공포와 그것을 둘러 싼 불안으로 진술공포증과 진술거부증을 앓게 된다. 자신을 미친 사람이라고 규정하는 박준은 스스로 정신병원을 찾아가 치료를 받지만, 끝내 그 정신병원을 탈출하여 종적을 감추고 만다. ‘나’는 그가 남긴 미발표 소설을 통해서 그가 겪었던 ‘심리적 현실’을 추적해 볼 뿐이다. 필자는 여기서 세 가지 문제에 주목한다. 첫째, ‘전짓불’이라는 큰타자의 시선이란 무엇인가. 둘째, ‘진술한다’는 것, 즉 말한다는 것은 인간주체에게 무슨 의미를 갖는 것인가. 셋째, 이를 둘러싸고 인간에게 일어나는 ‘불안의식’은 어떤 심리적 메커니즘 아래서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나타나는가가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고찰해 보기 위하여 본고는, 사회과학적 방법론으로 사회적 권력과 정치적 억압의 측면에서 주로 이 소설을 다룬 기존의 연구 방법을 지양하거나 그것과 거리를 두고 프로이트, 라캉의 정신분석의 측면에서, 인간 주체의 심리적 현실 내에서 발원한 불안의 구조적문제를 논의해 볼 것이다. 정신분석, 특히 라캉의 정신분석에 의하여 본고가 제시한 위의 세 가지 문제를 분석해 보면, 첫째, ‘전짓불’로 상징되는 전짓불의 은유는 다름아닌 큰타자의 시선인 것이다. 큰타자란 단지 ‘말의 장소’일 뿐이지만, 주체가 말을 할 때 주체의 뒤에서 출현하여 수신자인 그 큰타자의 욕망의 진실을 발신자인 주체에게 되돌려 주는 그러한 존재인 것이다. 둘째, 그러므로 주체와 큰타자의 관계에서는 언어(말)의 문제, 즉 진술하기와 글쓰기의 문제가 중요한 분석의 대상으로 등장한다. 이것이 바로 라캉이 무의식을 연구하면서 그토록 언어의 문제에 천착한 이유이다. 셋째,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인하여 주체에게 불안이 발생하는 것이다. 주체는 큰타자에게 말을 거는 순간, 그의 욕망을 알 수 없어 불안하며 두려움을 가지는 것이지만, 결국은 언어로 지시될 수 없는 주체의 무의식 속의 욕망의 진실을 알지 못하여 불안해하는 것이다. 이것이 인간 주체의 심리적 현실 속에서 전개되는 불안의 구조이자 의미이다. 소문의 벽 이 단지 전짓불로 상징되는, 시대적 폭력이나 사회적 억압의 문제를 다룬 소설이라는 차원을 넘어, 언어와 욕망의 문제를 둘러싸고 인간 존재의 심리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심리적 현실 내지 심리적 진실로서의 불안의 구조적 문제를 다룬 소설이라는 점을 본고는 강조할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s Lee Chung Jun`s novel “The wall of Gossip” and how an individual`s social anxiety can be affected by their past experience(s). Park Jun`s novel is a mysterious story about character “I”, who whilst writing his own unpublished novel discovers upon self-reflection of his own problems within certain social situations. Park Jun developed a phobia of being questioned by people from the time of the Korean War. Being held against his will and forced to answer questions by military personal under strenuous, stressful conditions, threatened under ‘flash light’, about whether he was on the North or South Korean side. In this analysis of Park Jun`s novel we attempt to relate the same conditions in which Park Jun writes about in his novel with that of everyday life, and how everyone may suffer from the same psychological effects of past traumas. By using Freud and Lacan`s psychoanalysis theories in which, Freud attempts to state that truth of Unconscious is from reality and Lacan the truth of Unconscious is from the verbal words. Park Jun`s character ``I`` is a consistent liar to ``The Others``. As a means of avoiding conflict and anxiety rather than upset ‘The Others’ he always gives the answer that they expect, the only problem being that he does not know what people want so he cannot answer anything. At first his novel starts out as a fear obsessions when he started his novel but it turns to mental illness in ``The Real`` whilst he was writing his novel because of he was resisting to answer. The wall of Gossip is a tragic drama and also a report of ``anxiety`` between the Symbolic and the Real.

      • KCI등재

        언어로 존재하는 섬,「이어도」의 정신분석적 독해 - 환상, 욕망, 반복 개념을 중심으로 -

        이은애 ( Lee Eun-a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2

        본 연구는 이청준 작가의「이어도」를 정신분석적인 관점으로 독해 하여 분석한 논문이다. 본고는 작품의 분석 과정에서 기존의 분석방법인 이론의 일방적인 대입, 즉 정신분석적인 이론을 가지고 작품을 환원론적으로 분석하는 태도를 지양하고 “문학은 정신분석의 무의식이다”는 입장을 견지하여 이미 하나의 문학작품은 곧 인간 주체의 심리적 현실 내지 심리 내의 세계인 무의식과 상동 관계에 있다는 시각을 유지한다. 라캉의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화되어 있다”는 명제를 수용한다면, 언어의 집합체인 문학작품 또한 무의식처럼 구조화 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문학작품은 인간 주체의 무의식을 그대로 드러내 보여주는 반영 물인 동시에 무의식의 세계와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소위 추리소설적, 탐색소설적 구조 또는 중층구조라고 명명되는 이청준 소설의 미로와도 같은 독특한 구조를 발생시키는데, 이 분석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가기 위하여 연구자는 사건을 추적하는 탐정 같이, 때로 환자의 `증상`을 탐색하는 분석가처럼 소설작품이 노출시켜 흘러나온 작은 단서를 놓치지 않고 그 아리아드네의 실을 부여잡고 작품 속 증상의 시원이 있는 `좁은 문`으로 들어가는 치밀함을 보여야 한다. 이러한 집필 의도를 가지고 소설「이어도」가 드러내 보인 인간의 욕망과 환상을 통해 그것이 구조적으로 작동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추적했다. 그 결과「이어도」는 인간 주체의 상실된 최초의 사랑의 대상인 큰사물을 향한 구애의 서사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아울러 `소설`은 잃어버린 `그것(큰사물, 또는 실재)`을 되찾고자 하는 욕망의 진실을 이어도라는 환상으로 치환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환상의 대상인 `이어도`라는 섬은 인간 심리의 상상계적 영역에 속하는 것이지만 기호가치를 가지는 언어화 작업을 통해 이어도 전설의 형태, 이어도 노랫말의 형태로 인간 심역에 꾸준히 반복, 재생산 되며 위치하게 된다. 상징적 가치를 획득하기 위함이다. 이것이 환상을 보존 하기 위한 상징계적 작업에 해당한다. 그러나 상징계의 질서는 최후의 가치를 규정해 줄 마지막 기호형식의 부재로 말미암아 그 의미작업에 실패하게 된다. 이것이 `상징계의 실패`로서의 결핍, 즉 존재결핍에 해당 하는 것이다. 인간 주체는 기억흔적으로만 간직되어 있는, 충족되고 완전한 그리움의 대상인 `큰사물`에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은 `언어바깥`의 세계로서 `실재(계)`의 영역에서만 존재하는 `불가능성`의 세계인 것이다. 결국 욕망의 진실 찾기는 실패와 불가능성으로 끝난다. 천기자의 실종으로 영원히 보존될 것 같았던 이어도의 환상은 천기자가 주검으로 되돌아옴으로써 여지없이 깨지며 최초의 욕망의 대상을 만나려는 시도는 실현가능성의 범주가 아니라 그리움과 동경의 영역이라는 사실을 주지시켜 주고 있다. 소설「이어도」는, 억압된 무의식 속의 완전한 사랑의 대상, 즉 큰사물이나 실재와의 의식적 타협 형성물로써 또는 욕망의 원인 대상(대상a)으로써의 (이어도) 환상은 그 의미작용이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다는 것과 욕망의 충족 체험 대상이었던 큰사물의 세계, 즉 실재는 불가능성으로만 남는다는 사실을 증명해 준다. This paper is a psychoanalytic study of Lee Chung-joon`s novel E-Uh Island. The methodology adopted is not another conventional approach whereby a literary work is analyzed by a reductionist method based on some psychoanalytic principle(s). Rather, our analysis is rooted in the premise that "literature is psychoanalysis` [psychoanalytic] unconsciousness," being grounded on the proposition that a piece of literary work is equivalent to human unconsciousness. If we accept Jacques Lacan`s proposition that unconsciousness is structured like a language, then a literary work that is a culmination of language would also be structured like unconsciousness. Thus, it can be posited that a literary work is a reflection of human unconsciousness and is of equal value/significance as human unconsciousness. Being such, we are reminded of the uniquely detective-story-like and multi-layer-structured maze of Lee Chung-joon`s novel(s). Thus, a successful execution of this investigation would require an extraordinary care not to overlook even a minute lead and a resolute persistence not to let go of the Ariadne`s thread, as would be found in a resolute detective in pursuit of crime-solving or a dedicated physician in search for diagnose of a rare disease. Pursuing such methodology, this study tracks the human yearnings and fantasy as found in the E-Uh Island, and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mechanism whereby such yearnings and fantasy structurally operate. Our finding is that the E-Uh Island is a courtship toward the lost (Big) Thing, that was the human`s original love. And the novel substitutes the yearning to regain the lost (Big) Thing by the fantasy of the E-Uh Island. Although the imaginary E-Uh Island belongs in the psychological sphere, the island`s legend and musical lyrics attain a symbolic value by being repetitive and reproduced by literary works. This corresponds to the symbolic, linguistic effort to preserve the fantasy. However, the symbolic order fails because it lacks the final symbolic that can define the ultimate value. Such is the deficiency of symbolism`s failure, i.e., deficiency of existence. Humans cannot reach the satisfying and longed-for the (Big) Thing based only on faint memories. Such attainment belongs in the sphere of impossibility which resides outside the realm of language. In the final analysis, the search for the truth of desire ends in failure and unfeasibility/impossibility. The fantasy of the E-Uh Island that appeared to be preserved by disappearance of Chun Gi-Ja is utterly destroyed by his death; and one comes to the realization that the attempt to face the primary wish belongs outside the realm of possibility. It only belongs in the realm of longing and yearning. What the E-Uh Island proves is that the fantasized, suppressed and unconscious object of love (be it the [Big] Thing, simulated symbolic artifact or object of craving) is destined to fail in its attempted effort; and that the world of the Thing, which is reality, remains unattainable/impossible.

      • KCI등재

        문학 속에 나타난 ‘죄의식’ 연구 -「병신과 머저리」에 대한 정신분석적 독해: 트라우마 치료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이은애 ( Lee¸ Eun-a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8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여러 가지 외부에서 일어나는 대규모 참사 및 개인적인 사고 등 크고 작은 충격적인 사건으로 말미암아 신체뿐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다. 이것을 우리는 흔히 트라우마(정신적 외상)라고 부른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트라우마의 문제를 이청준의 소설 「병신과 머저리」를 통하여 살펴보고 문학에서는 트라우마의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가를 분석해 낸 후, 문학이 트라우마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문학치료’의 가능성도 아울러 점검해 보려고 하였다. 본고는 이청준의 작품 「병신과 머저리」의 독해를 통하여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고자 했는데 그 이유는, 이청준의 소설에는 정신분석적 해석을 요하는 문제가 특히 자주 등장할 뿐 아니라, 그는 소설에서 이러한 정신분석적인 문제에 깊이 천착하여 남다른 통찰력을 보여준 작가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논문은 「병신과 머저리」의 분석에 있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중에서도 특히 ‘죄의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독해하였고 소설 「병신과 머저리」에서 드러난 죄책감의 형성과정과 죄책감의 심역이 자리잡게 되는 메커니즘을 진실과 무의식, 애도, 멜랑콜리의 차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병신과 머저리」의 등장인물을 분석하여 인물들의 삶 속의 트라우마가 어떻게 ‘죄의식’과 관련을 맺고 있는지, 트라우마와 ‘죄의식’의 관련양상을 통해 죄의식의 형성과정과 그 심역을 밝혀냄과 동시에 죄의식과 애도 및 멜랑콜리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글쓰기’ 내지 ‘그림그리기’ 등의 창조적 상징화 작업, 즉 예술행위가 어떻게 트라우마의 심리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는 ‘문학은 정신분석의 무의식’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문학 작품은 ‘정신분석의 무의식’이라고 말 할 수 있을 정도로 인간의 심리적 현실을 잘 반영하여 정신분석의 주요 기제인 히스테리나 강박, 불안, 죄의식, 멜랑콜리, 애도와 같은 인간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In modern society, humans experience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trauma because of small and large shocking events such as major incident, massive disaster, or personal accident variously happening outside. This is commonly called trauma.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issue of this trauma in Lee, Cheong-Jun’s novel 「A Fool and an Idiot」, to analyze how the issue of trauma has been approached in the literature, and then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literary therapy’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treatment of trauma. This thesis aimed to perform this work by reading Lee, Cheong-Jun’s work 「A Fool and an Idiot」 because Lee, Cheong-Jun’s novels frequently show the psychoanalytic issue, and he is an author showing an extraordinary insight into this psychoanalytic issue in his novels. Also, in the analysis of 「A Fool and an Idiot」, this thesis read it especially focusing on the issue of ‘guil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lso aimed to approach the process of forming a guilt and change of mind shown in the novel 「A Fool and an Idiot」 in the dimension of truth, unconsciousness, condolences, and melancholy. Thus, this thesis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rauma and ‘guilt’ of characters by analyzing the characters of 「A Fool and an Idiot」, revealed the process of forming a guilt and change of mind through the aspect of relation between trauma and ‘guilt’, examined the relations of guilt, condolences, and melancholy, and also examined how the artistic acts as creative symbolic acts like ‘writing’ or ‘drawing’ could contribute to the psychotherapy of trauma. This discussion is originated from a perspective in which ‘literature is the unconsciousness of psychoanalysis’. The literary works are good enough to be called the ‘unconsciousness of psychoanalysis’ because they fully show humans’ psychological mechanism such as hysteria, compulsion, anxiety, guilt, melancholy, or condolences which are the main mechanisms of psychoanalysis, by fully reflecting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humans.

      • KCI등재

        소설 속에 나타난 ‘반복강박’의 의미에 대한 고찰 - 이청준의『조율사』를 중심으로 -

        이은애 ( Lee Eun-a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9

        본 연구는 이청준의 소설『조율사』를 중심으로 문학 속에 나타난 ‘반복’의 문제를 정신분석적으로 독해해 보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은 정신분석의 무의식’이라는 명제처럼, 이청준 소설은 ‘언어’, ‘불안’, ‘반복’ 등 정신분석적 접근이 요청되는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흔히 이청준 소설을 심리소설이라고 칭하는 것도 이러한 측면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환자는 증상을 통해 무의식에 근원을 둔 고통스러운 어떤 경험의 기억을 반복하는데 소설『조율사』에서는 세 가지 현상이 반복된다. 첫 번째는 글쓰기에 대한 ‘조율’의 반복이다. 소설 속 주인공인 ‘나’는 이미 오래전 부터 글쓰기를 포기하게 된 소설가이다. ‘나’뿐만 아니라 ‘나’와 친교를 맺고 있는 ‘나’의 주변 문인 친구들 모두는 창작 활동은 하지 않고 창작에 대한 구상 및 준비활동만을 계속 이어나가고 있다. 그들은 이 행위를 ‘조율’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수시로 만나서로의 창작에 대한 열망 및 창작 포기에 대한 불안이 엄습해 올 때마다 스스로들 ‘조율’이라고 부르는 행위를 반복한다. 이러한 반복은 불안에 대한 회피이자 방어로써 ‘조율’은 라캉식으로 말하자면 ‘써지는 것을 멈추지 않는’ 행위이다. 다시 말하면 쓰지는 못하면서도 영원히 ‘쓰여지기가 멈추지 않게’ 하기 위한 최소한의 방어 장치 내지 제어장치인 셈이다. 두 번째는 배앓이나 복통의 반복과 단식에 대한 생각의 반복이다. 창작 행위의 위축 및 좌절로 인해 마신 술로 건강을 상실한 ‘나’는 위기와 불안의 순간마다 복통을 경험하며 육체적 극단의 치유 방식인 단식에 대한 생각을 반복적으로 한다. 이러한 것도 ‘나’의 정신적, 육체적 불안을 제어하지 못할 경우에 ‘나’는 이미 오래전에 실종되어 생사를 알 수 없는 외종 규혁 형의 기억을 깨워내며 반복적으로 찾아보곤 한다. 이것이 이 소설에 나타나는 세 번째의 반복 현상이다. ‘나’의 세 가지 반복 행위는 어떤 기억의 고통이나 불안이 엄습해 올 때마다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강박적 증세이다. 이러한 강박적 행동은 자동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정신분석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반복강박’이라고 명명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강박 행동은 주체의 외상적 사건으로 인한 고통스러운 기억이나 불안 등의 강박관념의 출현에 대한 회피이자 방어이고 죽음이라는 실재계가 출몰하거나 덮쳐오려는 것을 은폐하고자 하는 동종요법이다. 또한 이 증상은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 실재가 정상화되고 상징화되는 과정이다. 본 소설에 나타난 세 가지 반복적 행위의 근간은 주체의 욕망의 진실을 말해야 하는 글 쓰는 이, 즉 작가의 ‘진실 말하기의 불가능성’이라는 원외상에서 비롯되고 촉발된 (무의식적) 불안에 대한 방어의 강박적 행위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소설『조율사』에 나타난 이와 같은 작중인물의 반복적 행위를 통하여, 우리는 내밀한 인간 심리의 근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반복강박’의 작동 방식을 파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반복’이란 기억 속에 끊임없이 출몰하여 주체를 괴롭히는 그 ‘고통’을 제어하려는 심리적 작업이며, 또한 그것은 반드시 상징계의 영역에서 ‘고통의 상징화’ 과정을 통해야만 한다는 (프로이트, 라캉) 정신분석의 명제처럼, 작품『조율사』의 인물들은 ‘조율’, ‘단식’, ‘잊혀진/불확실한 인물찾기’라는 일종의 ‘상징화 놀이’를 반복함으로써 주체의 고통을 ‘견딜만함’으로 전환시키고 있는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sychoanalytically read the issue of 'repetition' shown in literature, focusing on a novel『Tuners』by Lee, Chung-Joon. Out of the psychological problems continuously suggested by the author,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repetition through the novel『Tuners』. According to Freud, patients repeat the memory of certain painful experiences originated from unconsciousness through symptoms. In the novel『Tuner』, three phenomenons are repeated. First, it is the repetition of 'tuning' of writing. 'I' who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is a novelist who has given up on writing for a long time. Including myself, all the surrounding literary friends of mine just keep planning and preparing for the creation without performing any creative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y just repetitively continue their criticism through discussions and volubility based on their passion for creation even without producing any actual works. They call this act 'tuning'. They frequently meet with each other and repeat the act called 'tuning' whenever feeling anxious about giving up on writing and their passion for creation. Second, it is the repetition of thinking about bellyache, stomachache, and fasting. Whenever facing the fear after losing my health by alcohol, I repetitively feel bellyache and stomachache, and also repetitively think about fasting as a physically-extreme healing method. In case when this cannot control 'my' psychological and physical anxiety, I refresh my memory about my maternal cousin Gyu-Hyeok who has been missing for a long time and then repetitively search for him. This is the third repetition shown in this novel. Those three repetitive acts of 'mine' are such compulsive behaviors continuously showing whenever feeling pain or anxiety about certain memories. As these compulsive behaviors are shown automatically and repetitively, the psychoanalysis call this phenomenon 'repetition compulsion'. According to the psychoanalysis by Freud and Lacan, the repetitive compulsive behavior conceal a painful memory or anxiety by a 'traumatic incident', so that the repetition compulsion is not only the avoidance and defense of this obsession, but also the 'homeopathy of death' for the appearance of the real called 'death'. These repetitive behaviors are the process of normalizing and symbolizing the real. In conclusion, the basis of those three repetitive behaviors shown in this novel could be the compulsive behavior for defending the anxiety originated from the original trauma which is the 'impossibility to speak up the truth' of 'mine' as an author who should talk about the truth of desires of a subject. Therefore, the repetition of tuning, stomachache and fasting, and finding the elder brother Gyu-Hyeok could be a symbolic play to get out of the anxiety about facing the real that is the world of death of 'talking about the truth'. In other words, according to Lacan, it could be the 'homeopathy of death'. The subject's repetitive compulsive behaviors are the pathway in which the real is normalized through the symbolization. Through the character's repetitive behaviors shown in the novel 『Tuners』,we could understand the operating method of 'repetition compulsion' occurring in the basis of humans' inner psychology.

      • 한-중 FTA의 양념채소시장에 대한 효과분석

        이은애(Lee EunAe),이용기(Lee YongKee)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13 한국농식품정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2

        As of Oct, 2012, Korea-China FTA has agreed on its 4th negotiation and the sensitive products for both parties are agricultural products and manufacturing, respectively. In Korea, cultivated area for pepper and garlic is constantly reducing but it is increasing for onion.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 of pepper, garlic and onion market when the Korea-China FTA is completed at some point of time. The economic effect has analysed based on dried pepper, fresh and frozen garlic and fresh onion for each item of pepper, garlic and onion, respectively. The consumption substitution model (Lee, Yong-Kee, 2006) is used to analyze the present study and small state assumption is applied. For base t ariff , f rozen t ype is 2 7% for p epper, f resh t ype is 5 0% and frozen type is 27% for garlic, fresh type is 135% for onion and we assume the instant elimination of these tariff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ice of domestic pepper is decreased as much as 5.4% and for domestic garlic, in case of elimination of the tariff, the price is decreased as much as 12.8%. For domestic onion, the price is decreased as much as 6.4%. For produce, pepper produce shows 0.9~2.6% of decrease and gross income shows 2.8 ~8.0% of decrease. When the tariff is eliminated for 50%, garlic produce is decreased for 0.5% and gross income is decreased for 13.3%. Lastly, for onion, production is decreased for 2.2% and gross income is decreased for 8.6%.

      •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업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이정민(Jeongmin Lee),한재준(Jaejun Han),이은애(Eunae Lee),이홍준(Hongjun Lee),김동식(Dong Sik Kim),정범진(Beom Jin Chung),손성용(Sung-Yong Son),구이란(Iran Koo),이형재(Hyung Jae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5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to monito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griculture environment. In order to construct a low-cost and low-complexity system, a narrow-bandwidth communication based on 424MHz frequency band is considered while achieving reliable wireless links. The developed system is implemented in a farm for maesil, which is sort of plum. For a slope farm environment, the system can successfully gather the measured data.

      • SCOPUSKCI등재

        결정화/응집 기법에 의한 구형 에너지 복합체 제조 및 그 열분해 특성

        이은애 ( Eun Ae Lee ),심홍민 ( Hong Min Shim ),김재경 ( Jae Kyeong Kim ),김현수 ( Hyoun Soo Kim ),구기갑 ( Kee Kahb Koo ) 한국공업화학회 2016 공업화학 Vol.27 No.2

        Spherical DADNE/AP (1,1-diamino-2,2-dinitroethylen/ammonium perchlorate) energetic composites were produced by drowning-out/agglomeration (D/A). The agglomeration of DADNE with AP particles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he amount of the bridging liquid, stirring velocity and residence time. The composites appeared to grow dramatically with the amount of bridging liquid which triggers agglomeration. As the stirring velocity and the residence time increased, the size of composites increased and then tended to decrease.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DADNE activates the low temperature decomposition (LTD) of AP. For the neat AP, the only about 30 wt% of AP was found to decompose at the LT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70 wt% of AP decomposed when DADNE was added by physical mixing and 90 wt% of AP decomposed when the DADNE/AP composites were prepared by the D/A method.

      • KCI등재

        방사선 디텍터의 Noise Power Spectrum

        이은애(Eunae Lee),김동식(Dong Sik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7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4 No.3

        NNPS(normalized noise power spectrum)는 획득한 x선 영상에서 평판형 방사선 디텍터의 잡음 특성을 spectrum을 관찰하기 위해 측정한다. 그러나 NNPS 측정은 획득한 영상에 따라 일관적이지 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안정된 측정이 필요하다. 디텍터의 NNPS 측정은 표본 periodogram을 구하여 평균을 내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표본의 개수를 충분히 늘리면 정확하면서 안정된 값을 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eriodogram과 같은 표본 spectrum의 평균으로 유한한 개수의 영상이 주어졌을 때 일관적이고 효율적인 NNPS 값을 제공 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비교하고 분석했다. 실제 두 종류의 방사선 디텍터로부터 획득한 x선 영상을 사용하여 제안한 방법을 실험하였으며, 주어진 영상을 사용하여 표본 spectrum의 최대 가지 수를 갖는 조합으로 NNPS를 구하고 평균을 내는 방법이 기존 방법에 비하여 안정된 NNPS 측정이 가능함을 보였다. In order to observe the noise property of the flat-panel digital radiography detector, measuring the normalized noise power spectrum (NNPS) from acquired x-ray images is conducted. However, the conventional NNPS measurement has an unstable property depending on the acquired image. Averaging the sample periodograms of the input image is usually performed to estimate the NNPS value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samples can provide a reliable NNPS measurement. In this paper, for a finite number of images, two measurement methods, which are based on averaging spectra, such as the image periodogram, are proposed and their performances are analyzed. Using x-ray images acquired from two types of radiography detectors, the two spectrum averaging methods are compared and it is shown that averaging spectra based on the maximal number of combinations of the image pairs provides the best performance in measuring NNPS.

      • KCI등재

        히브리 성서에 나타난 매장의 권리 - 실정법에 대항하는 자연법적 요구 -

        이은애(Eun-Ae Lee) 한국구약학회 2019 구약논단 Vol.25 No.2

        Personal death and funerals/burying as a ritual of death are closely associated not only with respect of and care for the human beings, but also with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ustoms, traditions, and laws. The death of an individual in the text of the Hebrew Bible and in a Greek tragedy, which are discussed in this paper, is related to the politic situation and the actual laws of the state. The mourning of a mother in the text of Hebrew Bible can be understood as an ethical act that demands human dignity for the body of her son, who is left unattended after his death, and thus as a gesture defying the country"s laws of practice. The ritual of Rizpa in front of the bodies of her dead son and relatives was understood to be not only a mourning rite of death. But it also is an active political act to bury them in the ground through a proper funeral ceremony, which was the demand of the natural laws for the restoration of the dignity of the human beings and to oppose the national law, which is represented by the supreme national power, David. In the Greek tragedy Antigone, Antigone buried the dead against Creon"s law, which prohibited the burial of Polyneices, and then she confronted her own death. Her actions should be understood to be an independent and protesting political act that asks and requires the community"s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for the death of the human beings. They were not just based on the sadness and loss, which gives priority to the home rather than to the state and results from emotional responses based on private relationships, but not on the universal principles of the community. Natural laws are responsible for critically reviewing actual laws. That is, the orders of the existing state cannot be absolute laws, and the fundamental order of the political and social community cannot be arbitrary. In this sense, natural laws mean ‘political justice,’ and the basis of justice is the human dignity. In other words, natural laws function to criticize actual laws by showing the limits of actual laws on the moral and ethical level, and furthermore, it functions to change actual laws in the community. The above two texts show that the burial of human bodies is a legitimate duty in harmony with nature and can be interpreted as a demand for universal natural laws. If it is a request of national laws to prohibit the funeral of a person who died by the national power or as a traitor to the state, the activity to bury a dead person in the grave according to proper funeral procedures is based on the human dignity. Natural laws criticize national laws, requires to renovate them, and eventually changes them, and thus it is a example which shows a practical function of natural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