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폐쇄성 황달을 주소로 한 자가면역성 만성 췌장염

        이윤선 ( Yoon Seon Lee ),김명환 ( Myung Hwan Kim ),최귀숙 ( Kwi Sook Choi ),김진영 ( Jin Young Kim ),김대겸 ( Dae Kyoum Kim ),김형수 ( Hyeoung Su Kim ),장혜숙 ( Hye Sook Chang ),이상수 ( Sang Soo Lee ),서동완 ( Dong Wan Seo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1 No.3

        We report a case of autoimmune chronic pancreatitis presenting as obstructive jaundice. A 70-year-old man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with jaundice. The serum IgG and anti-histone antibody of the patient were elevated. Abdominal CT revealed the diffuse enlargement of the pancreas, especially more prominent in the hea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icography demonstrated an irregular narrowing of the main pancreatic duct and tight stricture of the distal common bile duct. Percutaneous needle biopsy at the pancreatic head showed parenchymal fibrotic changes with infiltration of lymphocytes and plasma cells. After two months of oral steroid treatment, the abnormalities in clinical, laboratory, and radiological findings were improved markedly. (Korean J Gastroenterol 2003;41:234-238)

      • KCI등재

        무대공연을 통해서 본 진도씻김굿의 문화원형과 문화콘텐츠

        이윤선(Lee Yoon-Seon) 한국무속학회 2005 한국무속학 Vol.0 No.10

        본고는 무대공연화된 진도씻김굿을 통해 씻김굿이라는 문화자원이 지니고 있는 문화원형과 문화콘텐츠를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소재는 진도씻김굿이 가장 왕성하게 무대공연으로 올려지는 〈진도토요민속여행〉으로 삼았다. 따라서 본래의 진도 씻김굿이 가지고 있는 제 절차와 그 서사 구성에 대해 살펴보고 무대공연에 나타난 양상을 분석한 공연 문화콘텐츠로서의 씻김굿을 고찰하였다. 현장의 씻김굿 연행은 망자(亡者)와 의뢰자(가족)의 단절 혹은 갈등을 풀어냈다는 사실을 사회구성원들(마을 사람들)에게 공지하는 절차인 셈이며 이것을 고도의 음악성이 곁들여진 예술적 양식으로 풀어내는 기능을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진도토요 민속여행〉 중의 진도씻김굿 무대공연 작품은 현장의 연행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연행 환경에 있어서는, 사회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소통하는 마당으로서의 공간이, 삼면이 차단된 박스 무대로 바뀌었기 때문에, 노랫말과 음악이 일방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음악에 있어서는, 악사와 당골이 상호 교감하면서 이루어지던 즉흥성의 약화로 관객과 자유롭게 호흡하던 변수가 사라져 시나위성(즉흥성) 또한 약화되었다. 망자(亡者)와 사제자의 역할과 권위를 상징하는 굿물(굿에 쓰이는 물품)은 상징이 약화된 이미지물로 기능하였다. 공수(죽은자의 이야기를 전해주는 일)를 통해 죽은자와 산자의 소통 공간에 직접 참여하던 쌍방의 스토리텔링은, 무대공연의 일방적 전달방식에 의해 본래적 의미가 상실되었다. 곧, 진도씻김굿이 가지고 있던 사회적 기능이 결여되었고, 음악으로서의 정서적 기능이 분화되었으며, 의례로서의 종교적 기능이 약화되었다. 따라서 무대 환경에 있어서는 의례적 상징의 전달 보다 정서적 이미지의 전달 방식을 중요하게 여기게되었다. 무대음악은 신과의 소통, 나아가 참여자들과의 소통에 의미를 두기 보다는 예술적 포장 혹은 승화를 목적으로 삼게 되었다. 상징물로서의 굿물은 이미지물로서의 소품으로 여기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진도토요민속여행〉에 활용된 진도씻김굿의 각편들을 통해 위와 같은 진단을 도출하였다. 이것은 진도씻김굿이 가지고 있던 현장의 맥락을 잃어버린 측면이 강하다. 그러나 본고에서 문제삼는 것은 전승 환경이 아니라 공연 환경인 까닭에, 진도씻김굿은 문화원형과 문화콘텐츠로서의 무대 자원화라는 측면에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곧,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강화 혹은 재창조해나가는것, 음악적 개입요소를 강화해 나가는 것, 즉, 즉흥성과 변조성를 강화해나가는 것, 이미지들의 상징을 새롭게 창조해 가는 것이 진도씻김굿의 문화원형을 공연의 자원으로서 문화콘텐츠화하는 논리로 삼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따라서 무대공연에서 추구해야 될 교감과 소통의 맥락을 재창조하면서 공연 문화콘텐츠로서의 진도씻김굿을 조망해가야 한다고 보았다. This study attempts to figure out the culture archetype and culture-contents of the culture resource called Sit-kim-gut by the stage performed Jindo Sit-kim-gut. The material of the study is “Jindo Saturday Folk-trip” which is the most prosperous performance on Jindo Sit-kim-gut. Therefore this study exams the procedure and epic structure of Jindo Sit-kim-gut, and then figures out a Sit-kim-gut as the performed culture-contents analyzed the aspect shown in a stage performance. The real performing of Sit-kim-gut is one of the procedure that informs the public the fact that removes the severance or conflict between a dead person and his family.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performance shows this fact with an artistic style containing high leveled musicality. But the Jindo Sit-kim-gut of the Jindo Saturday Folk-trip shows a different aspect to the real performance. For the Atmosphere of performance, the stage performance delivers its lyric and music one-sidedly because the space which the public communicate each other freely changes a field into a stage which is isolated in three sides. For a music, an extemporization which a musician makes with Dang-gol by mutual response is weaken so that the variablity with an audience is gone. The exorcism items symbolizes the role and dignity of the dead person and his priest. These items functions as a weaken symbol. The mutual story-telling directly participates in the space between the dead person and the live person by Gong-soo, but its original meaning is gone by the one-side delivery way of a stage performance. That is, the social function of Jindo Sit-kim-gut lacks, the emotional function as a music is differentiated, and the regional function as a ceremony is weaken. Therefore, for a stage atmosphere, it considers the delivery way of the emotional image more important than the delivery of a ceremonial symbol. The stage music has its purpose in an artificial wrapping rather than in the communication with God or participants. The exorcism items as a symbol become imagery items. This study makes the upper-mentioned result by each Jindo Sit-kim-gut utilized in “Jindo Saturday Folk-trip.” This performance has its weak point in losing its reality.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forming atmosphere not on the inheriting atmosphere. So Jindo Sit-kim-gut needs to be re-lighten in the aspect of stage resource as culture archetype and culture-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Jindo Sit-kim-gut as a performing culture-contents recreating its mutual response and communication which the stage performance will have to pursuit.

      • KCI등재
      • KCI등재

        강강술래의 역사와 놀이 구성에 관한 고찰

        이윤선(Lee Yoon-Seon)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40 No.1

        강강술래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려진 바는 없다. 대체로 고대인들에게 향유되었던 놀이문화의 最古 형태라고 알려져 있다. 특히 豊饒 祈願이라는 祭儀的인 성향이 강한 민속놀이였다고 보인다. 그러나 시대적 변천을 거듭해오면서 祭儀的인 성향이 약화되고 오락적인 성향이 강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성향의 변화는 당연히 놀이구성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었을 것으로 보이나 그 구체적인 놀이형태들이 보고된 사례는 없다. 강강술래의 역사 중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임진왜란 기원설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의 위난에 민속놀이가 전술과 전략으로 활용된 중요한 사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활용은 강강술래에 대한 자긍심을 바탕으로 전승의 질과 양을 확대 재생산하게 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렇게 임진왜란을 거친 강강술래는 전래 민속놀이들과 연결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놀이로 재구성된다. 〈은파유필〉에는 1900년 이후에 연행되었던 혐의의 강강술래 외에 세 가지의 놀이가 같이 구성되어있다. 〈무라야마 지준〉이 조사한 〈조선의 향토오락〉에도 강강술래와 전래 민속놀이들이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연행되고 있음이 드러나는 바, 〈최덕원〉은 이 놀이들 중의 일부를 강강술래놀이로 분류한 바 있다. 1966년에 강강술래가 국가지정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부터 〈지춘상〉에 의해 현행 버전과 유사한 즉 광의의 강강술래놀이가 재구성되게 된다. 나아가 최근의 담양이나 신안 강강술래 구성에서 드러나듯이, 앞으로는 보다 다양한 구성의 강강술래가 출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서 볼 때 강강술래는 시대적 변천을 거듭해 오면서 놀이 구성이 변화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고대의 강강술래는 원무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임진왜란시의 강강술래는 대립형 구조를 수용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이후 소수의 민속놀이가 가미되어 전승되다가 종합적인 놀이구조로 재생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놀이구성의 전제는 원무형식이지만, 차차 나선형이나 용트림형 등 원무파생 형태에서 대립형의 구조까지 확대되어 나왔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No one knows when Kangkangsulae started. Generally it was known to people that the Kangkangsulae might be one of the oldest form of entertainment culture. It was shown as a folk custom to pray rich harvest like festival. Passed by time, it was assumed festive aspects were weakened and build entertainment aspects up. Those change of entertainment had affected the other entertainment culture but there has been not found the specific corroborative facts. In the history of Kangkangsulae, the most important origin is during Imginoeilan. It's because Kangkangsulae was used as tactics and strategy during the crisis of country. This shown that Kangkangsulae were popular in quality and quantity on the base of ordinary people's pride. Thus Kangkangsulae was recomposed connecting other old amusement plays. According to Eunpayupil, after 1900, there were other three entertainments including Kangkangsulae. In 'Folk entertainment in Chosun’ written by Murayama Jijun, Kangkangsulae and other folk entertainments were called various names in different places. In 1966, Kangkangsulae wa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Kangkangsulae, in a wide sense, similar to current version, has recomposed by Ji Chun-sang. The various composition of Kangkangsulae will appear in the future.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Kangkangsulae has varied with the change of times. The ancient form of Kangkangsulae was circle dance, but during Imginwaeran it was facing each other form and handed down adding some other folk play as a synthetic entertainment structure. The basic form of Kangkangsulae was circle dance, gradually it was varied to the form of spiral or wriggling their way.

      • KCI등재

        消滅時效에 관한 약간의 考察

        이윤선(Lee, Yoon-seo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6 人文社會科學硏究 Vol.15 No.-

        消滅時效라는 것은 권리불행사의 상태가 일정 기간 계속되는 경우에 權利消滅의 효과를 발생시키는 제도이다. 그것은 權利消滅의 추정이나 단순한 證據方法이 아니다. 또한 단순히 給付를 거절하는 抗辯權의 부여나 절차상의 訴權의 소멸이 아닌 權利自體를 消滅케 하는 原因事實인 것이다. 이에 대하여 많은 문제가 논의되고 있지만 그 根據를 밝히고 效果를 명확히 하는 것이 가장 우선문제라고 할 수 있다. 事實狀態의 존중이라는 점에서 權利關係를 保護함으로써 社會秩序維持라는 法의 使命을 달성하려고 하는 다른 制度와 비교하여 볼 때 동일한 평면에서 논의될 수 있는 制度는 아니다. 물론 우리 민법상의 制度가 모두 배후의 權利關係에 집착하는 것은 아니다. 占有와 같은 制度는 權利狀態에 관계없이 사실상의 支配라고 하는 외부적인 形式에 의하여 法律的인 意味를 부여함으로써 本權과는 별개의 制度로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民法의 態度에서 본다면 時效制度가 가지는 事實狀態의 尊重이라는 점에 너무 비중을 둘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러나 時效制度는 占有와는 달리 진실 된 상태와 事實狀態가 충돌하는 경우에 後者에게 優先權을 두는 制度이므로 事實狀態 자체에 대한 비중보다도 비교형량 과정에서의 배려는 분명히 규명되어야 하는 것이다. 다른 경우에는 양자가 충돌할 때 진실 된 관계가 우선적으로 보호되고 있는 점은 그 필요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이러한 현상도 논리적 체계인 民法에 모순 없이 포섭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時效에는 取得時效와 消滅時效가 있는데 이들을 舊民法에서는 통일적으로 규정하고 있었지만 現行民法에서 消滅時效를 總則에서 取得時效를 物權編으로 분리하여 규정하고 있는 점은 우리 민법상의 時效制度 운용과 관련하여 어떤 관련성이 있지 않은가의 규명이 있어야만 한다고 본다. 이를 지적하여 規定形式의 차이에서 적용되는 原理의 상이성을 지적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논리를 전개하고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견해는 存在理由와 消滅時效의 효과에 관하여 規定形式의 變化가 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時效도 하나의 法律上의 制度라고 한다면, 그 規定形式에서 存在原理와 適用의 實際를 도출해 내는 것도 方法이 될 수 있지만, 그것이 절대적인 기준으로 작용하는 것은 지나치게 形式論理에 집착한 것이 아닌가 한다. 물론 法에서의 規定形式을 초월하여 法理論을 전개하는 것도 法의 실제성을 생각한다면 공허한 이론이 되기 쉬운 것이다. 이에 대한 균형 있는 해석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민법상의 制度는 각각의 存在理由를 가지고 있고 그들은 고립적인 것이 아니라 다른 制度와 관련성하에서 民法의 論理體系를 구성하고 있고 그러함으로써 民法의 理念達成에 봉사하고 있는 것이다. 時效制度의 存在理由와 관련된 논의는 연혁적인 이유에서 전개되는 경향이 없지 않지만, 制度의 存在根據를 규명하는 것은 그 本質을 명확히 하여 法律的인 사명의 달성에 봉사하게 하고 또한 實用的인 측면에 그 制度를 둘러싼 法規定에 명확한 意味를 부여함으로써 紛爭을 방지한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A prescription is the system which accepts a fact as true if a actual fact is continu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regardless of an aspect of right. It contains an acquisitive prescription and an extinctive prescription. The prescription system is applied rationally when a basis of the system is defined accurately, because it endows a factum with legal effect. We need the system to establish social order and to preserve evidence and because we can not provide protection for a person who neglects exercise of his rights. And it is reasonable that the right lapses when a concerned person claims the benefit of extinctive prescription in a case of expiration of the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