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민요 '아리랑' 지도방안 연구 : 아리랑, 해주아리랑, 진도아리랑, 강원도아리랑 중심으로

        이유선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을 통하여 중학교 학생들에게 우리나라 민요가 지역별로 나뉘며 각 지역마다 민요의 특징과 주요선율, 시김새가 다르다는 것을 알려주고, 지역별 지도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첫째, 우리나라 전통음악 민요의 정의와 분류에 대해 제시하였다. 민요 불려지는 사람에 따라 통속민요와 토속민요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민요는 경기민요, 서도 민요, 남도민요, 동부민요, 제주민요로 지역별 분류가 가능하고, 각 지역마다 대표 적인 선율인 토리가 있다. 둘째, 아리랑의 의미와 유래를 살펴보고 지역별 아리랑 종류를 알아보았으며, ‘아리랑’ 곡 중 각 지역마다 대표되는 곡으로 경기민요 ‘아리랑’, 서도민요 ‘해주아리랑’, 남도민요 ‘진도아리랑’, 동부민요 ‘강원도아리랑’을 선정하여 악곡의 해설과 가사풀이 악보를 제시하였다. 셋째, 2013년 3월부터 중학교 교육에 사용되어지는 중학교 음악 교과서 17종에 수록된 민요 아리랑의 비율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다. 조사한 아리랑의 곡 중 경기 민요 ‘아리랑’, 서도민요 ‘해주아리랑', 남도민요 ‘진도아리랑’, 동부민요‘강 원도아리랑’만을 대상으로 토리, 장단, 박자 가사와 같은 음악적 요소를 비교 분 석 한다. 가창영역 중심으로 음악형식 표를 만들어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넷째, 국악 가창 지도를 위해 중요한 요소인 자세, 호흡방법, 시김새, 장단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섯째,‘진도아리랑’,‘해주아리랑’,‘아리랑’,‘강원도아리랑’가창교육 수 업지도안을 제시 하였으며 수업지도안의 내용은 2009개정 교육과정 표현영역, 감상 영역, 생활화영역을 모두 포함시켜 작성하였다. 우리나라의 음악을 바르게 이해하고 보존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 우리나라 전통음악인 ‘아리랑’의 가치를 알고 그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서양음악전공 교사가 대다수인 교육 현장에서 교사 스스로 국악교육의 전문성을 길러 수업에 임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이 2009개정 교육과정 국악교육과 이후 개정될 교육과정의 국악 영역의 교육내용의 결정하는데 있어 활용되기를 바라며 효율적인 국악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도움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show that Korean folk songs are classified by region and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major melodies, and sigimsae by region,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ovide teaching methods by region, through Arirang a signature Korean folk song. First, the research herein suggest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folk songs, on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folk songs can be classified into popular and local folksongs depending on the person singing folksongs. Further, Korean folk songs can be classified into Gyeonggiminyo, Seodominyo, Namdominyo, Dongbuminyo, and Jejuminyo by region, and they have tori, a signature melody of each of the region. Second, it investigated the meaning and the origin of Arirang, identified the kind of Arirang by region, and provided liner notes of musical pieces and lyrics score by selecting Arirang of Gyeonggiminyo, Haeju Arirang of Seodominyo, Jindo Arirang of Namdominyo, and Gangwondo Arirang of Dongbuminyo for a signature song of each of the region, out of Arirang folksongs. Third, it analyzed the ratio of folksong Arirang in 17 music textbooks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by publisher from March of 2013. Out of the Arirang songs investigated,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Arirang of Gyeonggiminyo, Haeju Arirang of Seodominyo, Jindo Arirang of Namdominyo, and Gangwondo Arirang of Dongbuminyo based on musical factors such as tori, rhythm, and beat lyrics. Analysis results were suggested by making a table of musical form based on the singing area of Arirang songs. Fourth, it suggested a teaching of attitude, breathing, sigimsae, and rhythm that serve as a major teaching factor of Korean traditional singing. Fifth, it suggested lesson plans for singing education of Jindo Arirang, Haeju Arirang, and Gangwondo Arirang, whose contents all included expression, appreciation, and musical living parts fo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understand and preserve our country's music correctly, the education in the school is the most important. We should know the value of Arirang which is our traditional song and many studies should be made, and in educational field where the majority of teachers have majored in Western music, the teacher should foster their own professionalism of the traditional music before undertaking the class. I hope that this paper is utilized when determin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the traditional music domain of the future curriculum and for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wish that it can be helpful in proposing a basic data for an effectiv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 감사 전 재무제표 수정기업의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이유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llects pre-audit financial statements that contain little auditor's opinion due to mandatory submission of pre-audit financial statements introduced in 2014 and examines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managers’ accounting choices; and carries out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a measure of earnings management through discretionary accruals to check how this system affects audit quality. The authorities specify the ‘responsibility for preparing the Company’ financial statements due to the revision of the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hereafter in this paper referred to as ‘External Audit Act’); and when submitting the pre-audit financial statements to the external auditor six weeks before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he company should be obliged to submit to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Therefore, the practice of preparing the financial statements on behalf of the company disappears, and it persuades the company to prepare the financial statements on its own, preventing the auditor's self-review threat in advance; and with the auditors submitted to the financial statements within the deadline set by the External Audit Act, the company is expected that it will secure audit time and will enhance audit quality, and the submission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accounting transparency. Therefore, in this study I collect the pre-audit financial statements that contain little auditor’s opinions unlike the past due to the specification of ‘Company’s responsibility for preparing financial statements’. The more different a manager of an enterprise is from its financial statements, after the audit with the auditor's opinion, the more empirically I analyze what kind of financial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manager’s accounting choice and what direction it works by the sample with the intention of accounting choice. In addition, the use of earnings management through discretionary accruals, which is a substitute for audit quality, helps us to identify how changes in the External Audit Act affect audit quality. For this purpose, the discretionary accruals were calculated using the absolute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Dechow et al. (1995); and the analysis period was from 2015 to 2017; and the sample was analyzed using 1,843 corporate year data over December settlement corporations excluding the financial industry listed on securities. The positiv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our reviewing the pre-audit and post-audit financial statements, 60% of the total samples were the companies revised over 1% of at least one item of sales, operating profit, and current income of pre-audit financial statements; 41% of the total samples were over 5%; 31% of the total samples were over 10%; 21% of the total samples were over 20%.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number of cases most financial statement items were revised was increasing over the years. Second, it was shown that corporate size, debt ratio, sales growth rate, maximum shareholder equity, foreign ownership ratio, BIG4 auditor or not, and gross asset profit influence managers’ accounting choices. The lower the company size, sales growth rate, maximum shareholder equity, foreign ownership ratio, and gross asset profit rate, the higher the debt ratio, the more likely it is that it will affect the management’s accounting choices. Third, to confirm the impact on the audit quality due to the changes in the External Audit Act, the impact on the following year’s earnings management based on change was shown that the firms with a greater change, the more earning managements were made than the firms with a smaller change in the following year. Firms with a greater change make more earning managements, which are the accounting choices of managers, and the External Audit Act does not affect the reduction of their earning managem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 this point that limits sanctions on the External Audit Act to unsubmitted companies, we found that the frequency of amendment increases as the year of most financial statement items passes; and companies with a higher revision adjust its profits more than companies with a lower revision. This suggests the need for sanctions based on the revision of pre-audit and post-audit financial statements. Second, by presenting the effect of each section by dividing correction into over 1%, over 5%, over 10%, over 20%, I suggested that each section requires different sanctio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rd, I suggested that correction is identified by dividing each item in financial statements so that different sanctions are required depending on change according to each item. 본 연구는 2014년도 처음 도입된 감사 전 재무제표 제출 의무화로 인하여 감사인의 의견이 거의 들어가지 않은 감사 전 재무제표를 수집하여 경영자의 회계선택에 미치는 재무특성을 살펴보고, 본 제도가 감사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 측정치로 실증 분석하였다. 당국은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이하 ‘외감법’이라 한다.) 개정으로 인하여 ‘회사의 재무제표 작성책임’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감사 전 재무제표를 정기주주총회 6주 전에 외부감사인에게 제출할 때, 증권선물위원회에도 제출하게 하였다. 이에 기업의 재무제표를 대리작성하던 관행이 기업 스스로 재무제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감사인의 자기검토위협(self-review threat)을 사전적으로 방지시키고, 감사인은 외감법에서 정한 기한 안에 재무제표를 제출 받음으로써 감사시간이 확보되어 감사품질이 높아져 회계투명성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회사의 재무제표 작성책임’에 대한 명시로 인하여 과거와는 달리 감사인의 의견이 거의 들어가지 않은 감사 전 재무제표를 수집하여 감사인의 의견이 들어간 감사 후 재무제표와 차이가 많이 나는 기업의 경영자일수록 회계선택 의도를 가지고 있는 표본으로 보아 경영자의 회계선택에 영향을 주는 재무특성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떠한 방향으로 작용되고 있는지를 실증 분석한다. 추가로 감사품질의 대용치인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을 이용하여 외감법 제도 변경이 감사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 재량적 발생액은 Dechow et al.(1995)의 방법에 따라 측정 된 재량적 발생액의 절댓값을 이용하였고, 분석기간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로 하였으며, 표본은 유가증권에 상장 된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1,843 기업 연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 전 재무제표와 감사 후 재무제표를 살펴 본 결과, 감사 전 재무제표 중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중 한 항목이라도 1% 이상 수정 된 기업은 전체 표본의 60%이며, 5% 이상 수정 된 기업은 전체표본의 41%, 10% 이상 수정 된 기업은 전체표본의 31%, 20% 이상 수정 된 기업은 전체 표본의 21% 정도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대부분의 재무제표 항목들이 연도가 지날수록 수정되는 건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기업규모, 부채비율, 매출액성장률, 최대주주지분율, 외국인지분율, BIG4감사인 여부, 총자산이익률이 경영자의 회계선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향성으로는 기업규모, 매출액성장률, 최대주주지분율, 외국인지분율, 총자산이익률이 낮을수록, 부채비율은 높을수록 경영자의 회계선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감법 제도의 변경으로 인하여 감사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변경 정도에 따라 다음연도 이익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변경 정도가 클수록 아닌 기업에 비해 다음연도 이익조정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변경 정도가 큰 기업들일수록 경영자의 회계선택인 이익조정을 더 많이하며 외감법 제도가 이들의 이익조정을 줄이는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감법 제도의 제재를 미제출 기업으로만 되어 있는 현 시점에서 대부분의 재무제표 항목들의 연도가 지날수록 수정 빈도가 늘어나는 것을 발견하고, 수정 정도가 큰 기업일수록 아닌 기업에 비해 이익조정을 더 하는 것으로 보아 감사 전 재무제표와 감사 후 재무제표의 수정 정도에 따른 제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둘째, 수정 정도를 1% 이상, 5% 이상, 10% 이상, 20% 이상으로 구분하여 구간별로 나타나는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구간에 따라 다른 제재가 필요함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재무제표 항목마다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수정 정도를 확인하여 항목에 따른 변경 정도에 따라서도 다른 제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듣기능력증진활동이 유아의 듣기능력과 구문의미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이유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듣기능력증진활동이 유아의 듣기능력과 구문의미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이 유 선 유아교육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듣기능력증진활동이 유아의 듣기능력과 구문의미 이해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듣기능력증진활동이 유아의 듣기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문제 2. 듣기능력증진활동이 유아의 구문의미 이해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위의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S시에 소재한 S병설유치원 유아 20명을 실험집단(남 11명, 여 9명)으로 S시에 소재한 H병설유치원 유아 2O명을 비교집단(남 8명, 여 12명)으로 총 40명의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듣기능력증진활동을 전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은 생활주제관련 대소집단활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듣기가 이루어졌다. 실험은 2015년 10월 4일부터 2015년 12월 10일까지 10주 동안 1주일에 2회씩 총 20회 실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듣기능력 검사를 위하여 Royer 등(1979)이 듣기 이해력을 위해 개발한 문장 수정기법(Sentence Verification Teaching : SVT)검사를 참고로 정남미(1996), 최윤영(2000)이 수정․보완한 듣기 검사 도구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를 위하여 Phillips와 Donald(1998)가 개발한 TOLD-2(Test of Language Development-2, Primary)를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2004)이 한국 실정에 맞게 제작한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 및 결과분석은 SPSS Win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능력증진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는 비교집단 유아보다 듣기능력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듣기능력의 하위요소인 청각적 식별, 정보 확인, 내용 이해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듣기능력증진활동이 유아의 듣기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듣기능력증진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는 비교집단 유아보다 구문의미 이해력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문의미 이해력의 하위요소 중 문법형태소 이해와 의미 이해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듣기능력증진활동이 유아의 구문의미 이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듣기능력증진활동은 듣기능력과 구문의미 이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핵심어 : 듣기능력증진활동, 듣기능력, 구문의미 이해력

      •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통한 외현화 행동문제 아동의 전두엽 실행기능 및 뇌파의 변화

        이유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외현화 행동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진행하고, 뇌 연구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아동중심 놀이치료의 변화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뇌 연구는 뇌의 작용원리와 의식현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과학, 의학, 교육, 산업, 문화 전반에 걸쳐 근본적이고 실제적인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영역이다(김진영, 20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의 기능에 초점을 맞춰서 아동중심 놀이치료의 변화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아동의 외현화 행동문제는 전두엽 기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전두엽의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뇌 기능연구에 초점을 맞춰 진행을 해야 한다. 뇌의 구조를 파악하는 뇌 신경장비들은 뇌의 역동적인 활동의 총합으로써, 뇌 영상만으로 아동의 외현화 행동문제에 대한 원인을 총제적으로 파악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김유미·이지은, 2011). 대안적인 방법으로써 뇌의 기능연구는 뇌의 작용 원리나 메커니즘을 밝히기 때문에, 아동의 전두엽에 대한 현 상태 뿐만 아니라 아동의 외현화 행동에 대한 전두엽 측면에서의 원인, 적절한 개입방법, 전략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용이한 방법이다(김유미, 2008). 전두엽 뇌의 기능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도구 중 전두엽 실행기능은 전두엽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영역이다. 전두엽 실행기능은 독립적이며 목표가 있고, 이성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미래지향적이고 목표지향적인 능력을 의미하는 기능으로, 정서 및 행동에도 영향을 주어 외현화 행동문제와도 연관이 깊다(신윤희 외, 2010; Lezak, 1995). 실행기능은 억제, 인지적유연성, 작업기억을 측정함으로써 그 기능을 파악할 수 있는데, 실행기능이 부족할 경우 외현화 행동문제를 보이게 되므로(이민경, 2016), 아동의 외현화 행동문제를 뇌의 기능적 측면에서 살펴볼 때에는 전두엽 실행기능의 요인들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전두엽 뇌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다른 평가 도구로는 뇌파를 활용할 수 있다. 뇌파는 신경세포들이 정보를 통신할 때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의 총합을 대뇌피질에서 측정하여, 그 파형을 분석하여 뇌의 기능적 상태를 실시간으로 해석할 수 있다(이건영 외, 2013; 이연희, 2008). 특히 전두엽에서 발생된 다양한 주파수를 통해 아동이 현재 경험하는 총체적인 정서 상태를 파악하는 데 용이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외현화 행동문제를 지닌 아동의 상태를 뇌파 지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이연희, 2008). 대개 세타파와 알파파 같은 서파(slow wave)는 편안하고 이완된 상태에서 증가하며, 정신활동을 하게 되면 속파(fast wave)인 베타파가 발생하게 된다(심준영·김용호, 2006). 베타파는 각성, 스트레스가 많을 때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베타파는 낮은 상태일 때 두뇌를 효율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지상현 외, 2004). 따라서 외현화 행동을 보이는 아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세타파와 알파파를 높이고 베타파를 낮추는 것이 이상적인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이영희, 2004; 구지은 외, 2013). 본 연구에서는 전두엽 뇌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실행기능과 뇌파 두 가지를 측정도구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활용할 때 아동의 전두엽에서 발생하는 뇌의 기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기존의 아동중심 놀이치료 연구방법에서 흔히 활용되었던 부모 보고의 K-CBCL(아동 행동평가척도)을 병행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방식과 뇌 연구의 방법을 함께 살펴보는 연구로 확장하였고, 궁극적으로는 외현화 행동문제 아동의 전두엽과 정서, 행동, 사회성의 변화 메커니즘을 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부적응 행동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만 5-6세의 아동 18명을 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으로 나누었고, 실험집단에게는 주 1회 50분씩 총 12회기의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의 기초 통계분석과 비모수 통계방법인 Mann-Whitney U 검정과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중심 놀이치료는 부적응 행동문제를 보이는 아동의 아동 행동평가 척도의 변화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특히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 총점에서 실험집단의 의미있는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이 척도는 만 4-18세 아동·청소년기의 사회적 적응 및 정서·행동문제를 부모가 평가하는 것이므로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받은 외현화 행동문제 아동의 정서, 행동, 사회성의 변화를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아동중심 놀이치료는 외현화 행동문제를 보이는 아동의 전두엽 실행기능 향상에 뚜렷한 변화를 가져왔다. 억제, 인지적 유연성, 작업기억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전두엽 실행기능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아동중심 놀이치료는 외현화 행동문제를 보이는 아동의 뇌파변화에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아동중심 놀이치료 전과 후의 세타, 알파, 베타의 분석 결과 실험집단 아동의 세타파는 Fp1, Fp2 에서 사후에 높은 활성도를 보였고, 베타파는 Fp1, Fp2에서 사후에 전체적인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알파파 Fp1, Fp2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아동중심 놀이치료 후에 실험 아동이 극단의 스트레스 상황(베타파)이 감소되고 극단의 편안한 상태(세타파)가 활성화 되도록 유도하는 뇌파상태가 형성된 것임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아동중심 놀이치료 과정에서 외현화 행동문제를 보이는 아동의 치료적인 반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동의 반응양식과 반응내용(주도성, 적응성, 유연성, 구조화)에서 1회기보다 12회기에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외현화 행동문제를 보이는 아동의 정서, 행동, 사회성을 개선하고, 실행기능 및 뇌파의 뇌기능 변화에 효과가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전두엽 기능의 변화가 아동의 정서, 행동, 사회성의 변화를 촉진했음에 대한 시사점에서 아동중심 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메커니즘을 재조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아동중심 놀이치료와 뇌 연구의 연계 가능성 및 방향성을 이끌어내고, 뇌의 기능연구와 아동중심 놀이치료의 전략을 폭 넓게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의 역할을 한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hildren with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through child-centered play therapy by performing the therapy and applying brain research methods. Brain research is a study that helps to understand actual, fundamental mechanisms in science, medicine, education, industry, and culture by identifying the mechanism of brain and consciousness phenomenon (Jinyoung Kim, 2016).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by child-centered play therapy, focusing on the function of the brain. Since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are closely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frontal lobe (Youngan Jeon, et al., 2007), the focus of this study should be on the functional research of brain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the frontal lobe. Since neuro-analytic devices show the dynamic activities of brain in a comprehensive manner, they have a limitation in understanding the cause of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nly with the brain image (Yumi Kim, Jieun Lee, 2011). Therefore, the functional study of the brain that reveals the mechanism and action of the organ is a useful alternative which helps identify not only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frontal lobe but also the cause of their externalizing actions and appropriate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Yumi Kim, 2008). Among the tools that evaluate the function of the frontal lobe, frontal executive function directly supports the frontal lobe. The function is a future- or goal-oriented function which allows independent and radical behaviors with a certain goal and is closely related to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by influencing emotion and actions (Yunhui Shin, Juyeon Yun, Sangbok Lee, 2010; Lezak, 1995). It can be evaluated by measuring inhibition, cognitive flexibility, working memory, and since the lack of executive function lead to the behavior problems (Mingyeong Lee, 2016), the factors that show the frontal executive function need to be examined when the behavior problems are studied with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brain. Another tool that can evaluate the frontal lobe function is EEG. EEG shows the functional status of brain in real-time by measuring the electronic signals that occur when neurons’ information exchanges and analyzing the wave of the signals (Geonyeong Lee, Minjeong Woo, Woojong Kim, Jingu Kim, 2013; Yeonhui Lee, 2008). Since various frequencies that occur at the frontal lobe provide the overall picture of one’s current emotions, the condition of children with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can be understood by EEG result (Yeonhui Lee, 2008). In general, slow waves such as theta wave and alpha wave increase when the person feel comfortable and relaxed while fast waves such as beta wave occurs when the person is engaged with a conscious activity (Junyeong Sim, Yongho Kim, 2006). Since the beta wave tends to increase at the time of awakening and stress, a low beta wave level shows the productive status of the brain (Sanghyeon Ji, et al., 2004). Therefore, the behavioral change in the children with the concerned problems requires elevating theta and alpha wave and lowering beta wave (Yeonhui Lee, 2004; Jieun Gu, et al., 2013). In this study, we used the two tools, the executive function and EEG, to increas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rontal lobe study. Using these tools, we tried to analyze the function of the children’s frontal lobes when child-centered therapy is applied. In addition, we extended this study to a comparison study by also applying the commonly used method, K-CBCL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reported by parents, comparing it to the two brain research methods. Ultimatel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change in the frontal lobe, emotion, behavior and sociality of the children with the concerned problem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8 children aged 5 to 6 years old experiencing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 was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9 and a control group of 9, and the child-centered therapy was performed once a week for 50 minutes 12 sessions in total. The baseline statistical analysis of analyz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rank sum 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centered play therap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of behavior evaluation scale of children with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Especially, the total score in internalization, externalization and problematic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since the scale is used to assess the social adaptation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aged 4 to 18 years old, the result suggests the emotional, behavioral and social changes in the child with the concerned problems after the child-centered play therapy. Second, the therapy brought about clear changes in the improvement of frontal lobe executive function of the children. The result showed that the therapy contributed to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inhibition, cognitive flexibility and working memory area.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EEG of children with the concerned problems after the therapy.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heta, alpha and beta wave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heta wave showed high activity on Fp1, Fp2 while beta wave showed an overall decrease in activity on Fp1, Fp2 after the therapy. However, the alpha wav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p1, Fp2. This EEG result suggests that it decreased extreme stress (beta wave) and increased extreme comfort (theta wave) after the play therapy.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children with the problems during the child-centered play therapy. The response style and contents (initiative, adaptability, flexibility, and structuration) of the children were more positive in the first session of the therapy than the 12th one.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ild-centered play therapy improves the emotion, behavior and sociality of the children with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and is effective in changing their brain function of executive function and EEG. Also, the study rediscovered the mechanism of the therapy’ effect by focusing on the aspect that the change in frontal lobe function leads to the change in children’s emotion, behavior and socia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vided the basic data that shows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the connection study between child-centered play therapy and brain research and helps the better understanding about brain function research and strategy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 공연예술의 소셜미디어 마케팅으로서 유튜브 채널 활용에 관한 연구 : 국내 뮤지컬 제작사를 중심으로

        이유선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튜브는 많은 기업이나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중심 공간으로 자리잡으며, 현대 사회에서 사회의 커뮤니케이션을 연결하는 수단이 되고 그 자체만으로도 수익을 창 출할 수 있는 핵심 상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따라 유튜브를 활용한 마케팅은 영상 콘텐츠를 통해 브랜드, 상품, 서비스에 관한 관심을 유도하고 구매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인다고 생각된다. 공연예술의 소셜미디어 마케팅에 대한 선행 연구는 페이스북이나 네이버 블로그 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고 전통적 ‘마케팅 믹스’1)나 한 작품의 마케팅 전략을 중심 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튜브의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알아보기 위해 공연 예술의 소셜미디어 마케팅으로서 유튜브 채널의 활용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 를 효과적이고 세밀하게 알아보기 위해 국내 뮤지컬 제작사의 유튜브 채널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뮤지컬 제작사에서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4곳을 선정하고 정보 수집성, 콘텐츠혁신성, 소통추구성, 콘텐츠 반응 네 가지의 효과를 조작적 정의한 후 사례분석 연구를 수행했다. 효과지표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별, 제작사 별 대표 사례를 선정하였다. 각 채널의 특성을 밝히고 채널 간 비교 분석과 소셜미 디어로서 유튜브 채널의 가치와 역할 분석을 진행했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트렌드 반영과 활용, 소통 활성화를 위한 방안, 뮤지컬 유 형별 전략 수립, 유튜브 알고리즘 시스템 활용, 공연예술의 유튜브 활용 구조 및 현 황 파악, 효과적인 유튜브 전략 수립까지 다양한 공연예술의 소셜미디어 마케팅으 로서 유튜브 채널 활성화 방안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국내 뮤지컬 제작사의 유튜브 채널 연구를 통한 공연예술의 소셜 마케팅으로서 유튜브 채널에 관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표와 방안이 실무적으 로도 적용되어 실제 효과가 입증되기를 기대한다.

      •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 또래상호작용 및 뇌파변화에 미치는 효과

        이유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스트레스, 불안, 또래상호작용 및 뇌파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D 유치원에서 위축된 행동으로 의뢰를 받은 만 3∼5세의 위축유아 중 교사에 의한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에서 위축척도 영역 임상범위(65T)에 속한 유아 12명이다. 모집된 유아 12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진행한 뒤 인구학적 변인들을 고려하여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 2회, 35분씩 총 12회기의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를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회기동안 어떠한 처치도 받지 않았다. 프로그램을 종결한 후에는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와 같은 척도로 사후검사를 진행하여 전·후를 비교하였다. 연구도구는 위축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Blascovich와 Tomaka(1991)의 연구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염현경(1998)이 수정 및 개발한 ‘한국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 KPDSS)’를 사용하였고, 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형 불안척도인 레이놀즈불안척도(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 RCMAS)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또래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교사의 평정에 의한 대상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Fantuzzo와 동료들(1998)의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를 참조하여, 최혜영(2004)이 번안· 수정한 척도를 고예진(2008)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전 및 사후검사를 위한 자료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모수 검증인 맨휘트니(Mann-Whiteny)검정과 윌콕슨(Wilcoxon)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를 통한 위축유아의 놀이상호작용 변화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이행숙(2011)이 개발한 아동중심 놀이치료에서의 아동 반응 관찰척도를 이용하여 치료과정을 녹화한 동영상을 토대로 관찰기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는 위축성향 유아의 전체 일상적 스트레스와 하위요인인 불안-좌절감 영역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는 위축성향 유아의 불안 영역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셋째,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는 위축성향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중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넷째,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는 위축성향 유아의 뇌파지수 중 정서지수와 뇌균형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가 스트레스, 불안 및 뇌파의 정서지수에 효과가 있음을 밝혀, 아동중심 접근법이 아동의 정서적인 어려움을 다루는 데 효과적임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비침습적인 특성을 지닌 뇌파검사를 통해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의 정서에 대한 효과성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가 정서변화 및 또래상호작용에 효과가 있음을 밝혀, 위축성향 유아에게 효과적인 놀이치료 접근방법을 제시해 주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넷째, 유치원 현장의 자원을 활용하여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의 효과를 밝혔다. 이는 유치원이라는 공간으로 놀이치료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표본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on improvement of withdrawn preschool children’s daily stress, anxiety, peer interaction and EEG vari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decreases daily stress of the children; second, whether the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decreases anxiety of the children; third, whether the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affects child’s peer interaction behavior positively; fourth, whether the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affects EQ(emotion quotient), CQ(corelation quotient) in EEG variation of the children The research subjects are 12 children in 3-5years old who are over 65T in the social-withdrawal scale of KPRC(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 They were recommended by class teachers due to the withdrawal behavior at D kindergarten in Seoul. The 12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considering demographic variables.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2 sessions of the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twice a week for 35 minutes. But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Mann-Whitney-U test of the non-parametric was preceded and homogeneity between two groups were verified. Also, a Wilcoxon’s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o check on the pre-to-post changes of daily stress, Anxiety, peer-interaction and EEG variation by using SPSS 18.0. In addition, qualitative analysis of children’s behavior during the sess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nges of the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has differences in overall daily stress and experience anxious-distressful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daily stress. Second, the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has differences in overall anxiety of withdrawal children. Third, the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has differences in promoting positive peer interaction of withdrawal children. Fourth, the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has differences in EQ(emotion quotient) and CQ(corelation quotient) of EEG of withdrawal children. However, control group shows significant changes in CQ, as well. In conclusion, this research reports that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decreases daily stress, anxiety and increases positive peer-interaction, EQ of withdrawal children.

      • 베르나르 브네(Bernar Venet)의 작품에 나타나는 수학적 개념

        이유선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on the mathematical concepts Bernar Venet (1941- ) has realized in his works. Venet became known for his works that reflect his anti-artistic demeanor in the early 1960s when he began his artistic career. His friendship with many artists in Ecole de Nice set the stage for his interest in corporeality and embracing external contexts of art. After moving to New York, he reflected gradually more on mathematical elements as a way of realizing his own ideas. This is a distinct feature of his conceptual art. And yet, his works’ seminal materials and forms’ various transformations that appeared in this process have an aspect that makes it hard to interpret his works consistently. His works have so far been largely discussed in two aspects: some focused primarily on a mathematical concept of “monosemy” and others studied modeling qualities in his serialized work Indeterminate Line and Equation Painting since 1979. An anti-formalistic attitude he has constantly emphasized as a conceptual artist seems transformed into some abstract, aesthetic style. Discussions on his series Indeterminate Line were not enough to account for any association with mathematical concepts the series was based on as they were limited merely to corporeality as a steel sculpture and its modeling value. Accordingly,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diverse changes in his works in a consistent context, focusing primarily on mathematical concepts that form the framework of his art. An aesthetic goal Venet has ultimately pursued was to unmask the hallmarks of an artwork itself, going beyond seeing a work of art as a means. He tried to put stress on corporeality, excluding his intent as much as possible. Since his early stage, he explored cardboard, tar, coal, wood, and steel whose material qualities were not controlled by his intention. As a result, his works have involved unpredictable, unfixed chance elements. Venet made forays into executing conceptual work so as to lay stress on his work’s objectivity. He embraced mathematical, scientific theories in earnest in consideration of their logical characteristics. Equations, graphs, and mathematical symbols were particularly adopted for the main concept of his work. They could gain monosemy referring to an object itself with a deductive trait peculiar to mathematics. Venet copied mathematical graphs and diagrams as they are or reduced handwork with enlarged photographs. Afterwards, he explored the theatrical basis on monosemy after giving up handwork in 1971. After resuming his work with the series Angles and Arcs, he tended to underscore geometric form. He used simplified angles, arcs and lines for a visual representation of mathematical concepts. Undetermined Line whose pieces were initially reliefs but later produced as three dimensional works was a showpiece of Venet’s work since the 1980s. Inspired by modern mathematical theories like Incompleteness Theorems, he brought something confrontational such as artistic intention and corporeality, logic and aesthetics and order and disorder into complementary relations. 본 논문은 베르나르 브네(Bernar Venet, 1941∼)의 작업에서 여러 양상으로 구현되는 수학적 개념들에 대해 살펴본 연구이다. 브네는 작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하던 1960년대 초반부터 반(反)예술적 태도가 반영된 작업을 통해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에꼴 드 니스(École de Nice)의 여러 미술가들과의 교우는 브네에게 있어 물질성에 대한 관심과 미술 외적인 맥락의 도입을 위한 발판이 되었다. 뉴욕으로 이주한 후에 그는 점차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수학적 요소들을 작품 속에 반영해왔는데, 이러한 작업들은 개념미술가로서의 브네를 알리는 특징이 되어왔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작품의 주재료 및 형태의 다양한 변화는 브네의 작품에 대한 일관된 해석을 어렵게 만드는 측면이 있었다. 지금까지 그의 작업에 대한 논의들은 주로 ‘단의성’이라는 수학적 개념에 초점을 맞추거나, 1979년 이후 부각된 <비결정적인 선> 시리즈와 <방정식 회화>들의 조형성에 대한 연구들로 나뉘어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개념미술가로서 브네가 지속적으로 강조해왔던 반(反)형식주의적인 태도는 일견 추상적이고 미학적인 양식으로 변모된 것처럼 보이게 되었다. 특히 <비결정적인 선>에 대한 논의는 철 조각으로서의 물질성과 그로 인한 조형적인 가치에 한정되었을 뿐, 그 근저에 있는 수학적 개념과의 연관성을 설명하기에 부족함이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작업의 골간을 이루는 수학적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작품의 다양한 변화들을 일관된 맥락에서 살펴보자 하였다. 브네가 궁극적으로 추구한 미학적 목표는 미술작품이 하나의 수단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예술 작품 자체의 특성을 드러내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그는 작가의 의도를 최대한 배제한 채, 물질성을 강조하고자 했다. 따라서 그의 작업은 초기부터 카드보드지, 타르, 석탄, 나무, 철 등의 특성을 탐색하는 한편, 이러한 물성이 작가의 의도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브네의 작품 안에는 예측 불가능하고 고정되지 않는 우연의 요소가 개입되었다. 한편, 작품의 객관성을 강조하기 위해 브네는 점차 작가의 손을 거치지 않은 개념적 작업들을 시도하였다. 수학과 과학이론을 본격적으로 작품에 도입하게 된 것 역시 그들 학문이 가지는 논리적인 특성에 기인한 것이었다. 특히 방정식, 도표, 수학 기호 등은 그의 작업에 있어서 주요 개념으로 등장하였다. 이들은 수학 특유의 연역적 특성을 지님으로써 대상 자체를 지칭하는 단의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 브네는 수학 그래프와 도표들을 그대로 옮겨 그리거나, 이들의 확대 사진을 전시하는 등 손 작업을 줄여나가면서 이론적 근거를 함께 탐구하였다. <각들과 호들> 시리즈를 통해 작업을 재개한 이후에는 기하학적 형상을 강조함으로써 조형적 형식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단순화된 형태의 각, 호, 선 등은 수학적 개념을 시각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특히 나무 부조에서 입체로 나아간 ‘선’은 1980년대 이후 브네의 대표적인 작업이 되었다. 브네는 ‘불완전성의 정리’와 같은 현대 수학 이론에서 모티프를 얻어 작가의 의도와 물질성, 혹은 논리와 미학, 질서와 무질서처럼 대립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온 요소들이 작품 안에서 상보적인 관계를 이루게 했다. 이러한 특징은 수학공식과 도표들이 강렬한 색채의 평면 위에서 표류하는 듯한 그림을 통해 더욱 두드러졌다. 수학 공식들이 함축한 자기지시적인 특징이 전면에 드러나면서도, 동시에 그 의미가 읽히지 못하도록 탈맥락화하거나 중첩시킴으로써 미학적 요소가 부각되도록 했다. 그 결과 그의 회화 속 수학공식들은 단의적이면서도 한편으로는 다층적인 의미를 함축한 조형언어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브네는 수학적 개념을 작품에 도입함으로써 전통 미술의 재현성과 모더니즘의 추상성을 비판하고 논리와 미학이 양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왔다. 그의 작업은 현대미술의 다양성에 기여하고 미술의 경계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수학적 개념을 축으로 하여 브네의 작업을 일관된 맥락 위에서 살펴보고, 그 미술사적 의의를 짚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