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자질 인식과 행복감의 관계

        이유미 ( You Me Lee ),김성숙 ( Sung Suk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bout teaching competencies and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outh Korea and Japan and to suggest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we have conducted a questionnaire investigation with 400 university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ren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Jap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recognition about teaching competencies and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outh Korea and Japan. Second, the case of South Korea students , there was no st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score of teaching competencies and the happiness, but the results showed a static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ompetencies and happiness. In addition,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happiness showed high level of recognition for personal competenciesOn the other hand, the case of Japanese students, there was st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score of teaching competencies and the happiness. But, in the teaching competencies, personal competencies had no relationship with happiness,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showed static relationship with happiness. The results of difference in the level of happiness, group of high level of happiness showed high level of recognition for teaching competencies. But according to the level of happin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 qualifications. In the aspect of professional competencies, higher level of happiness showed higher level of recognition about professional competencies.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자질 인식과 행복감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밝히고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사 교육 방안 모색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및 아동학과에 재학 중인 2∽4학년 예비유아교사 400명을 연구대상으로 교사 자질 인식과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 예비유아교사와 일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자질 인식 및 행복감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일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자질 인식과 행복감 간 관계를 어떠한지 확인한 결과, 우선 한국 예비유아교사의 경우, 교사 자질 총점과 행복감에는 정적인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교사 자질 중 개인적 자질과 행복감간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행복감 수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행복감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개인적 자질에 대한 인식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 예비유아교사의 경우, 교사 자질 총점과 행복감 간에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하지만 교사 자질 중 개인적 자질은 행복감과 정적인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전문적 자질과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행복감 수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행복감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교사 자질 인식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행복감 수준에 따라 교사 자질 중 개인적 자질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문적 자질에 대해서는 행복감 높은 수준이 높을수록 전문적 자질에 대한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 간 차이 분석

        이유미(Lee, You Me),안지혜(Ahn, Jee Hy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실행 간 차이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영유아 권리존중의 관점에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수도권 지역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1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를 활용한 중요도-실행도분석(IPA)을 주요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실행정도는 중요성의 인식정도에 비해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인식이 높고, 근무시간이 길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실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 로,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대한 중요도-실행도(IPA) 분석 결과, 영유아의 하루 일과와 관련된 활동은 유아교사의 인식도와 실행도가 높아 현행 수준을 유지해도 좋은 반면, 영유아의 낮잠은 실행도에 비해 인식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유아의 특별활동 그리고 자율성 및 정보 제공은 인식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아 이들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들의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실행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ognition and th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of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we have conducted a questionnaire investigation with 183 teacher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of the metropolitan area , and SPSS with (IPA)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significantly lower overall compared to the recognition level on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Second, the higher the teaching career, high recognition of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longer working hours, the low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was found to be less run of the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Finally, the results of IPA analysis, activities related to day infants, high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is also good to maintain the current level, But 'nap' for infants was found to be less recognized than the performance level. On the other hand, special activities and autonomy and providing information of infants, all recognize that run low degree, it was found that the recognition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for these activities is urgent most. We have proposed a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run the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 KCI등재

        전통육아방식에 대한 부모세대와 조부모세대간 인식 비교 연구

        이유미(Lee, You-me),이정은(Lee, Jung-e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아시아문화연구 Vol.2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육아방식에 대한 부모 세대와 조부모세대 간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오늘날 세대 간 양육갈등문제 해결을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115명의 부모와 95명의 조부모이며 연구진이 개발한 척도에 의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조부모세대는 전통양육방식에 대해 부모세대보다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특히. 조부모의 역할에 대한 두 세대의 인식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전통적인 수유형태나 출산의례에 대한 세대 간 인식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두 세대 모두 아기의 건강 및 영양과 관련하여 과학적으로 입증된 내용에 대해서는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조부모교육의 활성화와 전통육아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과학적 탐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of perception of the traditional child-rearing practices between the parents' generation and grandparents‘ generation and to suggest possible solutions for inter-generational conflicts of child-rearing practice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15 parents and 95 grandparents, who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our research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program.<b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Overall, the grandparents' generation recognizes the need of the traditional child-rearing practices more than the parents' generation. Especially,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grandparent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ut,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in traditional feeding forms and birth rites were not significant. The two generations similarly recognized scientifically proven inform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baby's health and nutrition.<b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of grandparents should be activated and the traditional child-rearing practices should be continuously explored in a scientific way.

      • KCI등재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수준 간 관계 : 한-일 비교연구

        이유미(Lee, You Me),김선정(Kim, S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국가 간 비교를 통해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수준의 일반적 경향성과 차이를 분석하고, 바깥놀이 실행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내재적 변인 간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 유아교사 240명, 일본 유아교사 245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상관관계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및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식을 통한 검증을 적용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방해요인, 실행 수준의 한-일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한-일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인식, 실행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과 실행 간 관계에서 한국과 일본 모두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의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한 국가 간 차이점의 확인,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이 바깥놀이 실행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력 및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이 실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맥락의 유사성과 연구결과에 따른 차이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활성화 방안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general tendency and the level of play memories, perception,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on outdoor play, and to identify the intrinsic variables to activate the execution of outdoor pla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0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45 Japa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n memories of outdoor play, obstacles and operating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mories of outdoor play, perception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and Japa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ies of outdoor play and operation, both Korea and Japan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Conclusion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hildhood outdoor play memories, perceptions, and operations of Korean and Japanese childhood teachers and confirmed that indirect influence on outdoor play and awareness of outdoor play are key facto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milarities in the social contexts of Korea and Japan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ults were examined, and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were discussed.

      • KCI등재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정서지능, 전문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유미(Lee, You Me),김선정(Kim, S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정서지능, 전문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그 과정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어린이집의 원장 265명이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정서지능, 전문성은 보통 이상의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과 정서지능 및 전문성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정서지능, 전문성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은 적합하며, 리더십이 원장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의 부분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정서지능, 전문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리더십과 전문성 간의 인과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으로서 정서지능의 중요성을 재고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논의를 통해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과 정서지능 계발을 위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5 childcare center director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s to analyze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ism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showed a higher averag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ism variables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Third, the leadership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ism. In addition, the leadership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had an indirect effect on professionalism by partially mediating emotional intelligenc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improving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directo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ought for ways to promote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fessionalism, and confirm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that promote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professionalism.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유․초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 고찰: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이유미(Lee, You-me),안지혜(Ahn, Jee-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유․초 연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러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초 연계교육에 대 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초등학교 간 역할동일성은 낮고, 유․초 연계교육 필요성은 높으며 연계교육이 필요한 이유로 아동의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함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유․초 연계교육 운영에 대해 다 소 부정적이며, 자신의 초등교육과정 이해 정도는 낮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초등교육과정 이해 효과에 대한 인식이 높아, 유․초 연계 관련 교과목 개설 시, 수강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초 연계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수업 참관을 통한 상대 기관의 교육과정 운영 이해’를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초 연계교육을 위한 유아교사 역할 인식은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하위요인 별로 살펴보면 사회정서지원, 부모와의 협력, 기본생활습관지도, 교수계획, 학습능력향상 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라 살펴본 결과, 유․초 연계교육의 필요성, 초등교육과정 이해 효과, 유․초연계 교과목 수강 의사 및 교수계획을 제외한 유아교사의 모든 하위역할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초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nd analyze if these perceptions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er efficacy. The 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mostly believed that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have different roles, but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need to be continuous mostly to lessen children’s psychological burden. Also, they thought that linked education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is currently not operated properly and they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But they thought that better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would be positive fo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and they were highly motivated to learn about the courses on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For the improvement of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they preferred observation of classe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urriculums. Secon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is high and the subfactor s level were appeared in order of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cooperation with parents, guides for basic daily habits, teaching plans, and improvement of learning abiliti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needs fo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the effectiveness of understanding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desire to take courses on continuity, and overall level of perception of rol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plan was proposed for the operation of continuity educa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이유미(Lee, You Me),안지혜(Ahn, Jee Hy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188명을 대상으로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실행 수준을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들의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 수준은 기본 욕구, 등원시간, 정리시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영유아에 대한 정보제공, 자율성 존중에서 실행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최종 학력과 재직연수가 높을수록 그리고 근무시간은 8시간 이상 10시간 미만일 때,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수준에 따라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실행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은 48% 이상이며‘전문적 지식’,‘직업윤리’,‘사회경제적 지위’가 영 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교사 개인의 노력과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적 지원을 제안하며 이는 보육현장에서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In this study, targeting 188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look at the execution level of care-giving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and analyze the effects of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are-giving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First, run level of ‘basic needs’, ‘attending time’, ‘arrangement time’ were high in regular sequence,‘provision of information’ and ‘respect for infant’s autonomy’ were low. Second, in the case of longer tenure of service and higher education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eacher’s working hours less than 10 hours for more than 8 hours, level of care-giving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was high. Third, depending on the level of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the items in the execution of care-giving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Finally, the effect of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are-giving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was 48% or more, the sub-factors were ‘expert knowledge’, ‘professional ethics’ and ‘socioeconomic status’. On the basis of this study, I suggest the individuals eff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improving expertise,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is effort. It will be contribute to improve the execution level of care-giving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in the nursery field.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 강점과 행복감에 대한 비교 연구

        이유미(Lee, You-me),김성숙(Kim, Sung-suk)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아시아문화연구 Vol.36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 강점과 행복감 수준을 비교하고 이들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강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예비유아교사 216명, 일본 예비유아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 예비유아교사의 성격 강점은 ‘진정성’이 가장 높고 ‘공정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 강점은 ‘감사’가 가장 높고 ‘용서’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일본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 수준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격 강점중 창의성, 겸손, 신중성은 한국과 일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한국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성격 강점은 ‘희망’인 반면 일본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성격 강점은 ‘사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과 일본 예비유아교사들의 성격 강점을 고려한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happiness and character strengths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outh Korea and Japan, an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them. To this end, 21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18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apan were surveyed. We have got following results. First, character strengths of ‘authenticity’ is the highest but ‘fairness’ is the lowest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apan, ‘gratitude’ is the highest but ‘forgiveness’ the lowest.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and Japan, the happiness index is not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creativity’, ‘humility’, ‘prud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in South Korea and Japan have not static correlation with happiness. Finally, ‘hope’ (including optimism), ‘spirituality’, ‘forgiveness’, ‘appreciation’, ‘self control’ affect on the happiness of Korean teacher, ‘love’ ‘happiness’, ‘forgiveness’, ‘patience’, ‘leadership’, ‘curiosity’ affect on the happiness of Japanese teac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hat happiness-promoting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교직 적․인성에 미치는 영향

        이유미(Lee, You-M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4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 - kindergarten teacher s self - esteem on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32 pre– kindergarten teachers attending K University at Gyeong-Gi.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self–esteem of pre–kindergarten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ic report and the negative self–esteem of pre–kindergarten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volunteer activity experience’. Teacher s aptitude and personality leve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volunteer activity experienc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factors of aptitude and personality between upper-group and subgroup of posive self–esteem and the score of aptitude and personality in upper group appears to be high. Finally, the influence of positive self-esteem on the whole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was 17.9%. Especially, negative self–esteem among the sub–factors of self –esteem was a determinant factor affecting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pre–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influence was confirmed to be 23.0%.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how to raise awareness of self–esteem and to promote various measures for improvement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적․인성 향상을 위해 자아존중감이 교직 적․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K대학 유아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자아평가 수준은 ‘봉사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부정적 자아평가 수준은 ‘성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직 적․인성 수준은 ‘성적’에 따라 부분적으로, ‘봉사경험’에 따라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자아평가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에는 교직 적인성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자아평가’는 교직 적․인성 전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 영향력은 17.9%로 나타났다. ‘부정적 자아평가’는 특히 ‘심리적 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은 23.0%로 나타나 예비유아교사의 심리적 안정성을 예측하는 매우 강력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자아평가를 증진시키기고 부정적 자아평가를 감소시키는 다양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적․인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보수ㆍ승진에 대한 인식이 자기개발 욕구에 미치는 영향

        이유미 ( Lee You Me ),안지혜 ( Ahn Jee Hy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보수ㆍ승진에 대한 인식이 자기개발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유아교사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계선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자기개발 욕구는 평균 수준이며, 그 중 전문적 영역에 대한 개발 욕구가 가장 높고, 이어 개인적 영역, 조직적 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보수ㆍ승진 인식은 교사 자기개발 욕구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 임파워먼트와 보수ㆍ승진 인식은 유아교사의 자기개발 욕구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임파워먼트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은 유아교사의 전문적 영역에 대한 개발 욕구를, ‘지위’는 유아교사의 개인적 영역과 조직적 영역에 대한 개발 욕구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교사의 보수ㆍ승진에 대한 인식은 자기개발 욕구의 조직적 영역에만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기개발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인으로서 교사 임파워먼트의 가치를 재고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awareness of rewards on self-development desire. For this, the surveys targeting 288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were carried out. With the data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development desir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t the average level and from which, the development desire with respect to the professional areas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th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areas.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awareness of reward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self-development desir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both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awareness of reward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elf-development desir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ere the empowerment had a relatively higher effect. In particular, ‘self-efficacy’ among the sub-levels of empowerment was revealed to affect the professional areas with respect to the self-development desir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ile ‘position’ was revealed to mainly affect th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areas with respect to the self-development desir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whil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rewards was shown to partly affect the organizational areas of the self-development desi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s in that the value of teacher empowerment as the main factor affecting self-development desir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been re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