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학생들의 학습장애에 대한 인식연구

        이원령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1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특수교육 관련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장애에 대한 이해 및 인식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지역 대학교 2, 3, 4학년으로서 학습장애 관련 연수 및 강의수강 경험이 있는 97명과 경험이 없는 92명으로 총 1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학습장애’ 하면 떠오르는 용어를 쓰도록 요구하는 자유반응형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수 및 강의수강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학습장애의 정의와 개념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경험이 없는 학생들은 정의부분에서 불일치 및 제외요소를 인식하고 있지 못했다. 또한 학생들은 학업적 특성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사회적 문제와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장애 관련 연수 및 강의수강 경험이 있는 학생들도 학습장애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인식과 이해가 필요하며, 경험이 없는 학생에게는 학습장애에 대한 보다 기초적인 지식습득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attention of learning disability is increasing and higher prevalence was reported than other disabilities. Many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founded to attend a regular class instead of special school or special class, and it needs to understand learning disabilities exac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recognition on learning dis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become the special educators in special school, special class, special education center, etc. One hundred eighty nine students around Daegu and Gyungbuk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were ninety seven students who had courses of learning disability subject and ninety two students who didn't have. I asked them to write associate terms freely when they listened ‘learning disability’. The result was that most of students who had courses of learning disability subject had a high recognition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study. But students who didn't have had a low recognition on the definition. Specially, Most of students had a low recognition on the social problems and teaching method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etc. Even students who had course of learning disability subject were found to need mor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n teaching method of learning disability. The other students were found to need a basic knowledges on definition of learning disability.

      • KCI등재

        학습장애아동의 읽기 명명속도와 유창성 중재방법에 대한 고찰

        이원령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아동의 명명속도와 읽기 유창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중요성 및 교육중재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읽기 기술은 모든 학습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단어해독과 내용이해로 크게 나누어진다. 단어해독을 위해서는 음운인식 혹은 음운처리능력이 요구되어지며, 내용이해를 위해서는 읽기의 속도와 정확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정확하고 빠르게 읽기 즉, 읽기 유창성은 단어해독과 읽기이해를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일반적인 교육상황에서 심각한 읽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장애아동들은 연령 혹 은 학년이 올라간다고 해서 읽기 유창성이 저절로 획득되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적 접근이 요구된다. 최근 읽기 유창성 향상을 위한 교육중재로서 또래지도, 파트너 읽기 등을 통한 반복읽기 중재와 다요소 읽기중재, RAN 과제 훈련 등이 실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유창성 향상에 대한 인식은 미흡한 실정이다. 앞으로 학습장애아동을 위한 명명속도 및 읽기 유창성 향상에 대한 체계적이고 다 각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important contents about naming speed and reading fluency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reviewing of preceding studies. The reading abilities are very important skills, because they are foundational in every subject at school. They are divided into word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y are needed for word decoding. The reading speed and accuracy are needed for reading comprehension. The reading fluency, that is reading rapidly and correct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word decoding with reading comprehension. The reading fluency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not acquired of itself through age or grade. Hence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reading fluency. Repeated reading interventions through peer tutoring, partner reading strategy are practiced for reading fluency recently and so does the multicomponent reading intervention and RAN task training to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But the endeavor and recognition on naming speed and reading fluency are insufficient and not systematic. Therefore we need to found the efficient interventions and apply for reading fluency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들의‘학습장애’에 대한 인식

        이원령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5 No.3

        학습장애아동의 대부분이 일반학교에서 통학교육을 받고 있는 가운데 점차 일반교사의 학습장애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들의 학습장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일반교사 100명에게 학습장애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초등학교 31명, 중학교 35명, 고등학교 29명등 최종 95부에 대한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원인, 진단, 지도, 특성에 관련된 내용으로서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그 결과 연령, 지도경험, 교육경력의 변인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 연수경험, 학력, 소속학교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연령에 따라서 진단, 교육경력에 따라서 특성, 지도경험에 따라서 원인에 대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습장애 관련 연수나 강의를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하여 학습장애 인식을 높여 나갈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적인 제한성을 가지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 KCI등재

        음운인식훈련을 통한 읽기장애아동의 음운인식 변화와 읽기능력에 관한 연구

        이원령,이상복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19 No.4

        This study was done to see the change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ability through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ree boys with reading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One of them was in the third grade and the others were in the first grade of regular class. The first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was for rhyme. The second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was for phoneme additions, deletions, and substitutions on letters. The third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was for phoneme blending and distin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ach child showed different phenomenon in baseline. When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all of them showed more improvement in finding words with same sound of initial letters than last letters. Second, all the children showed less improvement on phoneme substitution than addition and deletion. Third, all the children showed improvement on phoneme blending and distinction. But they were confused with the letters with two vowels or similar shape. Fourth, performance level of reading letters and nonwords was improved much more than performance level of reading words.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의 공감적 이해능력과 자아탄력성에 따른 교사효능감

        이원령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empathic understanding ability and self-resilience according to major, gender, and grade, and to examine their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To this end, a related survey was conducted on 77 student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major and 73 students of middle special education major,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tergroup t-test, ANOVA,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empathic understanding ability and self-resili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and cognitive empathy and optimistic attitude were the highest. Teacher efficacy was found to be higher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Second, taking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empathy and empathic interest of emotional empath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eacher efficacy. Third, it was found that self-resilience rather than empathic understand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efficacy. However as sub-variables, it was found that taking the perspective and personal pain in empathic understanding ability, and confidence in self-resilience affect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addition to the importance of teacher efficacy in the expected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educational attention and guidance are needed to improve empathic understanding ability and self-resil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특수교사의 전공, 성별, 학년에 따른 공감적 이해능력과 자아탄력성의 수준을 살펴보고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특수교육전공 77명과 중등특수교육전공 73명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집단 간 t 검정, ANOVA, 상관관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적 이해능력과 자아탄력성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인지적 공감과 낙관적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효능감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공감의 관점취하기, 정서적 공감의 공감적 관심, 자아탄력성은 교사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적 이해능력 보다 자아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변인으로 공감적 이해능력의 관점취하기와 개인적 고통, 그리고 자아탄력성의 자신감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기대역할에 있어서 교사효능감의 중요성과 함께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공감적 이해능력과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교육적 관심과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교원성과상여금제와 중국의 교사적효공자제(敎師绩效工资制) 비교 분석

        김이경(Kim, Ee-Gyeong),최은옥(Choi, Eun-Ok),원령정(Yuan, Ling-Ti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3

        우리나라 교원성과급을 둘러싼 문제점을 보다 심도있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탐색하려면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유사한 국가 사례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한국의 교원성과상여금제와 중국의 교사적효공자제를 도입 목적, 재원 조달방식, 성과급 평가 방식, 교원의 인식 측면에서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중국은 성과급제 도입을 통해서 연공급 기반의 교원보수체제에 성과 기반 보상 개념을 가미함으로써 교직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했다는 점에서는 유사했으나, 교원의 사회적 위치나 보수제도의 특성에 따라 세부적인 목적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성과급 지급을 위해 별도의 재원을 마련했는가라는 측면에서 한국과 중국은 차이가 있었으나, 양 국가 모두 중앙정부가 정한 지침에 따라 성과급을 차등 지급하고 있었고, 정량적 평가지표 위주의 평가방식이 활용되고 있었다. 성과급이 의도한 목적을 일부 달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성과급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은 다소 부정적이었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교원성과급제가 교직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제도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mance-based payment policies for school teachers which were adopted in Korea and China, and draw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Analysis was guided by four major factors including the purposes, financial sources, evaluation method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to identif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The comparative analysis have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authorities of Korea and China have attempted to revitalize teaching profession by introducing performancebased payment into their traditional seniority-based teacher salary policy. Second, while there were separate financial sources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for performance pay in Korea, Chinese authorities provided differentiated amount of monetary rewards to each teacher within the teacher salary account. Third, with respect to the evaluation methods for performance pay, both countries tended to utilize quantitybased indicators such as number of teaching hours and homeroom teacher duties. Fourth, the purposes of introducing performance payment were partially achieved in both countries, while presenting heavier challenges to overcome to meet the needs of teachers and schools. Based on the conclusions, policy implications were drawn to improve the teacher performance pay system as a wh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