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글쓰기에 관한 몇 가지 성찰

        이왕주 ( Wang Joo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9

        플라톤의 대화편 파이드로스에서 ``글쓰기란 무엇인가``를 묻는 파이드로스에게 소크라테스는 ``글쓰는 사람은 누구인가``를 되묻는 것으로 답을 대신한다. 이 소론의 목적은 ``글쓰기란 무엇인가``를 소크라테스의 이 답에 함축된 철학적 인문학적 의미를 해석학적으로 풀어보는 것이다. 소크라테스에 따르면 ``글쓰기란 무엇인가``는 ``글쓰는 사람은 누구인가`` 의 차원에서 탐론될 때에만 근원적으로 해명될 수 있다. 제대로 된 글쓰기란 ``회상의 글쓰기``가 아니라 ``영혼에 새기는 글쓰기`` 이기 때문이다. 영혼에 새기는 글쓰기는 영혼이 바로 선 인간에게만 가능한 것이다. 한국의 고전춘향전은 이러한 소크라테스의 QA가 지닌 심오한 맥락을 예증해주는 문학작품이다. 과장에서 제출한 한편의 문장을 한 인간의 모든 능력을 가늠하는 척도로 삼는다는 것은 탁월한 글쓰기는 오직 균형잡힌 인간에게서만 나온다는 인간론을 전제한다. 춘향전의 논리는 ``글쓰기로부터 인간이 유추(類推)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부터 글쓰기가 유출(流出)된다`` 는 사실을 보여준다. 현재 한국의 입시제도에서 중요한 평가 척도로 도입되고 있는 입시 논술이 안고 있는 치명적인 문제는 평가의 초점을 쓰는 자(writer)가 아니라 쓰기(writing)에만 맞추고 있다는 것이다. 이 문제점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논술은 입시학원에서 비법처럼 전수해주는 한갓된 글자 짜맞추기와 같은 손재주로 전락될 수도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타르코프스키의 <희생>의 영상 기호 분석

        이왕주 ( Wang Joo Lee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08 아시아영화연구 Vol.1 No.1

        타르코프스키의 <희생>에서 결정적 의미를 지니는 4개의 영상 기호를 분석하였다. 우선 첫 시퀀스에 등장하는 ``죽은 나무``는 주인공의 독백내용으로 미뤄보아, 생명을 잃어버린 세계에 대한 상징으로 해석된다. 아버지는 죽은 나무를 살리는 방법을 아들에게 전수함으로써 세계의 구원에 대한 열망을 드러낸다. 두 번째로 ``자전거``는 기술지상주의에 저항하는 삶의 양식으로 이해된다. 두 부류의 인간군이 있다. 자전거를 차는 자와 자동차를 타는 자다. 영화에서 자전거는 바퀴의 이미지를 통해 니체의 영겁회귀 사상을 환기시켜준다. 세 번째 오토가 선물한 ``17세기 유럽지도``는 이성과 질서를 절대화하는 데카르트의 형이상학을 상징한다. 기계기술 중심주의, 물질만능주의 등이 이러한 데카르트적 세계관에서 파생되어 나온다. 희생이 필요한 파국은 결국 여기서 발원한다. 마지막으로 ``불타는 집``은 그 결과를 기약할 수 없는 희생을 상징한다. 알렉산더는 전쟁으로 백척간두의 위기에 내몰린 세계의 구원을 위해 자신에게 생명처럼 소중했던 집과 자동차를 불태우는 제의를 실행한다. 이러한 상징들의 분석을 통해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데카르트적 세계관에 대한 대안적 철학으로 니체적 세계관을 선호하는 타르코프스키의 철학적 관점이다. In this paper I try to analyze four signs in Andre Tarkovsky`s last famous film <The Sacrifice>. The first sign is the dead tree that symbolizes the dead world. The protagonist Alexander had taught his son that he could revive the dead tree if he waters it everyday. The second sign is the bicycle that takes a role to discriminate the pro-lives and anti-lives. But it has the deep meanings to signify the Nietzschean perspectives of the world and the life which has been well known as the ``Permanent Return of the Same.`` The third sign is the map of Europe in 17th century that symbolizes the metaphysics of Descartes. The machine centrism and the extreme materialism stem from this philosophy make our life world dangerous more and more everyday. The director Tarkovsky seemed to try to suggest a new paradigm, namely the Nietzschean Philosophy to save our life world. The last sign is the burning house which means the holy sacrifice of the protagonist Alexsander who loves his son, house, wife, daughter, friends, his country and this world. This analysis informs us of Tarkovsky`s some ambitious dream or his philosophy of changing andsaving this world.

      • KCI등재

        매체, 니체, 그리고 춤

        이왕주(Lee Wang-Joo)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6 No.-

        이 소론이 주장하려는 것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디지털 시대의 매체 환경이 조장하고 있는 소통양식은 ‘탈육체’라는 플라톤주의의 존재론적 전제에 연계되어있다. 흔히 기술지상주의의 단순한 역기능 정도로 간주되는 ‘육체적 인간’의 위기는 여기서 우연적이거나 주변적인 것이 아니라 필연적이고 본질적인 것이다. 논자는 여기에 매체 권력의 조직적인 음모가 개입해있다는 가설을 제시하고,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눈부신 약진 덕분에 매체 집단이 비상하게 권력화된 것이 아니라 매체 집단의 권력화가 소통 테크놀로지의 약진을 견인해냈다는 사실을 논변해 보이겠다. 이 논문이 주장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는 이러한 상황이 특정한 형이상학적 세계관을 전제하고 있는 만큼, 그 대안도 세계관의 근본적 전향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플라톤적 탈육화의 비전에서 야기된 위기는 육체성의 복권과 그를 지지하는 세계관의 복원에서 그 돌파구를 찾지 않으면 안된다. 우리가 니체를 끌어들이는 것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다. 니체는 육화된 삶의 구체성을 회복해야할 무대를 ‘대지’로 제시했을 뿐 아니라 친절하게도 대지 위에서 그것을 수행할 구체적인 전략까지 처방해주었다. 그것이 곧 ‘춤’(Tanz)이다. 니체에 따르면 육체를 갖고서야 우리가 춤을 추는 게 아니라, 춤을 추기 시작하면서 비로소 우리는 육체의 인간으로 태어난다. ‘어떻게 우리가 다시 몸의 주인이 될 것인가’ 이것이 시대의 화두라고 할 때, 니체의 이러한 통찰은 우리에게 여전히 소중한 것이다. 문화사의 메이저 권력인 기독교가 장악한 어느 시대에나 니체는 이단이었지만, 이 디지털 시대에 니체의 이단성은 더욱 선명하고 현저하다 I suggest two main points in this paper. The one is a fundamental reflections on our existential situations in these cyber ages. In these alienated environmental situations of communication, we are nothing but some nullified subjects which had lost every independence in experiences and judgements. I believe thar some of these tragic situations resulted from some high tech strategies of media which had strengthened itself through the human history of culture. To demonstrate this facts I use the logic of Hegel, namely his famous dialectic theory of the domination and the subjugation. The other is the prescription of these problems. We should descend from the lofty place of the subjectivity to the flat of the beings. In order to keep the concreteness of the life-world, we should live the Nietzschean vision that man should encounter the earth with his flesh and hone and accept the way of living with the body which could be expressed in Nietzschean Dance brilliantly.

      • KCI등재

        라캉의 마지막 탱고

        이왕주(Lee, Wang Joo)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1 No.3

        지혜사랑의 영원한 지향점은 ‘근원’ 이다. 탈레스가 이미 철학함이란 이 근원을 향한 심원한 열정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실천적으로 보여주었다. 학문의 정체성이 뒤죽박죽 헝크러져버린 이 장르혼성 시대, 우리가 귀소(歸巢) 해야할 최종 준거는 여전히 탈레스다. 이런 맥락에서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의 베르톨루치, 『세미나』 연작의 라캉은 자신들이 선 자리에서 탈레스 하기를 실천한 철학자들이다. 베르톨루치는 빈방, 광장, 성의 진리를 무대화 함으로써, 라캉은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를 변별해냄으로써, 각각 저 시원의 아르케를 향한 횡단의 몸짓을 인상깊게 각인시킨다. 이 소론이 제시하는 선언적 결론은 퇴색해버린 철학의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해 ‘시궁창에 자빠짐’ 을 ‘아르케를 향해 기투하라’ 는 정언명법으로 받아들이는 ‘탈레스하기’ 를 복원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The permanet target of the philosophy (the love of wisdom) is the pursuit of the Arche. In the age of the ancient Greek, Thales had taught us that practical lesson by the way of being modell by himself. We should refer to his teachings because it show us what we ought to do keep the pure original spirit of Philosophieren in Kantian context in these days of mixed interdisciplinary. Bernardo Bertolucci, the director of the famous film 〈The last tango in Paris〉 and Jacques Lacan, the author of Seminars Series are the typical Thalesian philosophers. Bertolucci showed us the diverse props symbolizing mise-an-scenes of the vacant room, square, and the truth of the loves, and Lacan, the diverse discourses of the notorious three oders,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They are the icons of Philosophieren to which we should refer, for their works are the brilliant achievements of philosophical Entwurf.

      • KCI등재

        어느 개죽음에 대한 성찰

        이왕주(Lee Wang-Joo)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5 No.3

        카프카의 소설 『심판』의 독법 중 하나는 탐정소설로 읽는 것이다. 평범한 은행원인 K가 서른 살 생일 아침에 까닭 없이 체포되고, 그 일 년 뒤에 늦은 밤 차가운 채석장에서 정체불명의 인물들에 의해 처형된다. 여기서 제기되는 당연한 의문은 누가, 무슨 이유로 K를 죽였는가다. 이 연구는 그 범인이 '죽음'이라는 것을 밝힌다. 죽음은 죄인을 색출해서 심판하고 처형하는 공포스러운 권력자다. 이 권력자를 해부하는 기존의 담론들을 검토한다. 에피쿠로스, 몽테뉴, 톨스토이, 하이데거 등은 이 범인의 복면을 어떻게 찢어내야 하는지를 우리에게 귀뜸해 준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하이데거의 처방이다. 후기 하이데거 사유에서 인간은 더 이상 세계-내-존재가 아니라 사방-내-거주자로, 죽음을 향한 존재(Sein zum Tode)가 아니라 죽을 자(Sterblich)로 해석된다. 죽음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이라기보다 오히려 존재가능 혹은 죽을 자의 능력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오직 사방에 거주하는 자 인간만이 죽을 수 있다.(sterben können) 죽는다는 것은 인간만이 지닐 수 있는 탁월한 존재가능, 혹은 능력이다. 사방-내-거주자로 인간을 이해하는 하이데거 후기 사유의 독창성이 발휘되는 지점은 죽음을 이렇게 '능력'으로 파악하는 곳이다. 데리다도 지적했듯이 '꽃은 스러지고 개는 뻗어나자빠질(crever) 뿐이다. 오직 인간만이 죽는다' 처형자의 입장에서 볼 때, 처형된 K의 죄는 '인간이면서 개처럼 살았다는 것'이다. 우리의 결론은 이렇게 요약된다. 누가 K를 죽였는가. 죽음이 K를 죽였다. 이유는 무엇인가. 인간이면서 개처럼 살았기 때문이다. 죽음에 의해 처형된 K는 결국 죽을 자로 죽은게 아니라 개처럼 뻗어나자빠진이다. 이 결론을 받아들일 때에만 우리는 카프카 소설의 마지막 문장 "개 같은! (like a dog!)"을 이해할 수 있다. One of the method reading Kafka's novel The Trial is to read it as a detective story. A common bankman K was arrested without a special reason on the very morning of his 30th Birthday. After one year, he was executed by two unidentified men in the cold quarry at night. Naturally we could ask questions here, who executed K and why? Our research reveals the offender be the 'Death' itself. Death is the terrible power who never fails to find out the criminal, pass sentence and execute. In the first place, we survey the several discourses on this power. Such wise men as Epicurus, Montaigne, Tolstoi, Heidegger give us some prescriptions to tear out the mask of this terrible power. Among them, the most challenging is Heidegger's. In his later thoughts, Heidegger took the human being not as Being-in-the world but as Dweller-in-the Tetragon, not as a Being onto the Death but as a mortal (Sterblich). Death is not an inevitable destiny of the man, but the Conatus (in the Spinozean meaning) of the mortal. Only the Dweller-in-the tetragon, namely the human being could die (sterben können). Dying is the exclusive possibility, or Conatus of human being. We could meet the brilliant originalities of later Heidegger's thoughts in the topics of interpreting Human being as a Dweller-in- the Tetragon. As Derrida said, 'The flowers wither, the dogs crever. But only the human beings die' For executor, the crime of the executed one(K) was clear, for it was unpardonable for human being to live a life of a dog. Who killed K? Death killed him. Why? Because he lived a life as a dog. That would be the exact meaning of Kafka's last sentence in the novel "like a dog!"

      • KCI등재

        카를로스 알베르토 광장의 니체

        이왕주(Lee, Wang-joo)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2 No.-

        논자는 영화예술의 본질을 니체의 예술생리학의 관점에서 해명해보고자 한다. 니체에 따르면 영화에서 빛나는 미장센들은 작가인 감독의 힘에의 의지의 표현이다. 그것은 자, 수, 추 등의 플라톤식 척도로써 모방을 재모방해낸 게 아니라 감독의 몸카메라(body-camera)로써 생의 약동하는 근원표상 대지(Erde, die ursprüngliche Vorstellung)를 프레임화해낸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영화는 본질적으로 몸과 대지가 카메라로 매개되는 생의 예술(die Kunst des Lebens)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예술을 감상하는 데 필요한 것은 눈이나 머리가 아니라 몸이다. 하지만 이때의 몸은 자본에 의해 조작, 통제, 변용되는 할리우드 표준관객의 둔중한 신체를 뜻하지 않는다. 우리는 상처와 도취로써 흔들리는 몸, 저 춤추는 듯 싱그럽고 가벼운 몸으로 작품 앞에 서야 한다. 이런 경우에만 ‘몸으로 영화보기’는 일상에서 작은 혁명들을 성취해낼 수 있다. 가령 벨라타르의 영화 <토리노의 말>을 그런 몸으로 접하게 된다면 우리는 더 이상 왜소화된 인간, 저 떼거리화된 인간(der Herde-Mensch)에 머물러 있지 못한다. 또한 벨라 타르의 저 심원한 미장센들은 왜 니체가 ‘진리로부터 멸망 당하지 않기 위해서 우리에게 예술이 있다’고 했는지 깨닫게 해줄 것이다. I try to elucidate the essence of cinematic art in terms of Nietzsche s physiological philosophy of art. According to Nietzsche, the mise-en-scènes in the film are expressions of willingness to the power of the author, the director. These are not re-imitations of the imitations with Platonic measure, sinker, number, but framing the elan vital Erde, die ursprüngliche Vorstellung with the director s body-camera. In this context, the film is essentially dieKunst des Lebens, in which the body and the earth are mediated by cameras. Therefore, it is not the eyes or the head, but the body that is necessary to appreciate film art. But the body at this time does not mean the heavy body of Hollywood standard audiences manipulated, controlled, or transformed by capital. We should stand in front of the film work with body shaking between trauma and Rausch, a dancing body, and a light and fresh body. Only by watching film with the body, can we achieve the small revolutions in everyday life. For example, if we watch Béla Tarr s film The Turin Horse in such a way, we can no longer be the dwarfed human beings, der Herde-Mensch. Also, Béla Tarr s mise-en-scene will make us realize why Nietzsche had said that there is art to us not to be destroyed by the platonic truth.

      • KCI등재

        문화현상으로서 부산 국제영화제에 대한 철학적 성찰

        이왕주(Lee Wang-joo)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7 No.-

        부산 국제 영화제는 십년이라는 짧은 연륜에도 불구하고 이제 명실상부한 아시아의 대표 영화제로 자리잡았다. 이 소론은 이 영화제의 성공을 특별한 문화현상으로 간주하고 이 현상을 철학적으로 성찰하고자 하는것이다. 공시적 맥락으로만 접근하면 부산 국제영화제의 성공 원인은 통상적 탐론 수준을 넘어서지 못한다. 통시성의 맥락을 짚어내야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맥락에서 성찰할 때 주목하게되는 것은 이 도시만이 갖고있는 고유한 역사적 정체성 즉 부산성이다. 부산성은 특이한 문화 에피스테메에 의해 침윤되어있다. 부산성 혹은 그 문화 에피스테메의 본질은 틈이다. 변방성, 타자성, 차이성은 이 틈의 역사적 현실태다. 요컨대 부산 국제영화제의 경이로운 성취의 핵심에는 변방성, 타자성, 차이성을 천년이나 버텨온 이도시의 문화 에피스테메가 위치하고 있다. 이 소론은 또한 남명의 의이(義異) 철학이 어떻게 틈의 사상을 구현하면서 부산성과 연계되는가 밝히고 있다. 남명 사상은 틈의 인문학적 지정학적 위치가 어떻게 주체의 자리로 승화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헤겔식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의 탁월한 범례에 속한다. 부산 국제영화제의 성공을 견인하는 힘은 남명의 의이 철학에 구현된 변방성, 타자성, 차이성의 승화라 할 수 있다. 부산 국제영화제가 표방하는 차별화 전략인 비경쟁 영화제, 아시아적 가치 등은 그 심원한 맥락에서 이런 남명 철학에 결부된다. 결국 부산 국제영화제의 성공은 행운스러운 우연이 아니라 역사적 필연의 결과다. In spite of short history (10years in 2005),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PIFF) has be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ilm Festival in Asia. It is something special for PIFF to succeed brilliantly in such a relatively short term. We fix our eye on this interesting cultural phenomenon which, we think, need to be explained in a persuading logic. Above all, to meet such a need, we should access to the phenomenon not in synchronic but in diachronic context. Firstl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identity of Pusan City. This has some special historical geographical political situations. I would pinpoint the essence of these as <Between> in the context of Hegelian terminology. Hegel had drawn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the dialectic turn of Master-Slave relation in the process of the live-death fighting for the freedom. Secondly, I suggest some disputable issue on the reason of PIPP"s success in this short paper. That is, the pivotal key of success of PIFF be the subtle sublimation of this Between-Situation which would be the matrix of the Episteme of Pusan culture. I behold that the Episteme of Pusan be realized in PIFF phenomena which is the dramatic evidence of dialectic turn in the historical geographic situations of <Between>. In order to legitimate this point, I draw the philosophy of Nammyong, the philosopher of middle Chosun Dynasty. I name his philosophical practice of <Between> as the Philosophy of Justice-Difference which could be linked with Episteme of Pusan culture easily,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which are the Border, the Other, the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success of PIFF is not the lucky accident but the inevitable historical necessity.

      • KCI등재

        학문 연대의 새로운 형식

        이왕주(Lee, Wang-joo)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12 No.-

        인문학에 두 종류의 한문연대가 존재한다 하나는 공간적 학문연대이고, 다른 하나는 장소적 학문연대다 여기서 공간과 장소는 순전히 수사적이며 전략적 메타포다 전자는 대수학과 경제학의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연대주체들을 영토화시키는 결속방식이다 핵심은 학문의 개성적 성취를 중성화, 등질화시키고 그 성과를 수량적으로 배치하는 코드들은 이심전심으로 공유하는 것이다 제도권의 이러한 주류 연대방식은 등재지와 같은 매체 권력을 통해 구성원들을 순치시킨다 당연히 매체주체인 학회가 공식적 활동무대가 될 수밖에 없다 후자는 전자의 학문적 수행과 평가 방식을 거부하는 학문주체들의 제휴방식이다 양적 단위로 환원불가능한 질적 차이를 반드시 평가 기준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신념들을 나눠 같는다 불가피하게 제도권 바깥으로 주변화될 수밖에 없는 이 비주류 연대는 단행본이나 대중강연 같은 각개전투로 내몰리는 상처의 역사들을 공유한다 결론적으로 전자는 지나치게 현실적이고 후자는 과도하게 이상적이다 내가 사이, 혹은 틈의 연대라고 부르고자 하는 것은 이 두 연대방식의 타협적 중간지대가 아니다 문제가 있는 곳에 문제와 함께 고민하며 문제와 함께 늙어가는 보다 정직한 학문적 실행의 연대방식이다 나는 이것을 노엄 촘스키 ‘학문의 사회적 실천’ 개념에서 시사 받았다 사이는 공간과 장소의 틈이 아니라 기존의 어휘망으로는 붙잡을 수 없는 특이한 연대 조건이다 그것은 오로지 문제가 있는 곳에 실행을 통해서 비로소 장소화되는 어떤 곳이다 틈이 있어서 들어서는 게 아니라 들어서는 실행을 통해 틈은 만들어진다 이런 틈 혹은 사이를 조명하기 위해서는 우리에게는 ‘새로운 지리학’이 필요하다 끝으로 나는 이런 새로운 학문연대는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그것을 예화하는 두 개의 모델, ‘동무 연대’와 ‘다중 연대’를 제시해보았다. There are tow kinds of academic solidarity The one is the solidarity of the space, the other is the solidarity of the place Of course, this usage of the space and the place is metaphoric The former shows the ways of cooperations in the scholars by the means ofalgebraical economical evaluation The bottom line is that the members of these academic societies have this kind of belief in common that the only reliable measure be that of quantitative These academic societies have the major journals which exercise its decis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members The latter says that the academic activity is not the matter of quantity but the matter of quality In this context, every scholat should try to show the achievements of the incommensurable specialities in his of her major In general, the members in the societies of this kind are to be driven to the marginal place of the academy They should try to publish monograph or find out another communicative channels The former is too much realistic, the latter, too much idealisticI suggest the another type of solidarity, namely the solidarity of the betweenness This is not the form of a compromising middle but of the subjective and creative one The betweenness is not some geographical place which permits some one to enter into It opens itself at the moments of academic practice we take in the light of solving problems I deliever two alternative models in this short paper, namely solidarity of Dongmu, and of multitude We should find out the new geography to get some validities of this kind of solid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