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賈誼新書』에 나타난 새로운 제국 질서의 사상적 기초

        이연승(Lee, Youn-Se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1 No.-

        賈誼는 서한 文帝 시기의 뛰어난 문인이자, 당시의 대내적, 대외적 정치 문제에 대해 예리한 진단과 대책을 제시했던 정론가다. 기존의 연구에서 가의는 한 제국의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고자 했던 사상가라고 평가되어 왔으며, 또한 그의 사상은 醇儒라고는 할 수 없지만 유가를 중심으로 하면서 법가나 도가, 황로학 등 다양한 사상이 혼융된 것이라고 이해되어왔다. 가의가 한 제국의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고자 했다면, 그의 사상 역시 당시까지의 사상을 그저 반복하기보다는 새로운 제국 질서의 구축에 합당한 체계를 구성하고 있으리라는 것이 본고의 문제의식이다. 가의의 저작여부가 문제시되었던 『가의신서』의 「道術」?「六術」?「道德說」이라는 세 편의 자료는 최근 출토문헌의 연구 성과에 힘입어 대체로 가의의 사상이라는것이 인정되었다. 본고는 이 세 편을 주요 자료로 하여 가의의 우주관과 윤리관이 공히 德을 중심으로 하고 있음을 논했으며, 六藝를 한 제국 지배와 수성을 위한 제도 및 사회 윤리의 근간에 두고 있음을 밝혔다. 아울러 이러한 가의 사상의 성격이 ‘유가적’이라고 이해되어 왔던 배경과 그 타당성에 대해서도 간략히 서술하였다. Jiayi: (賈誼) was an extinguished literary man, and also a pioneering thinker in the early Western Han Period of the Emperor Wen: (文帝), who had presented political arguments with a keen observation. So far, in the studies on Jiayi, there are two aspects upon which almost every scholars has agreeed: one is that he would build a new order of the Han Empire, the other is that his thoughts were not purely Confucian, but mixed with Legalistic, Daoistic, and Huanglao-daoistic thoughts. I think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Jiayi had suggested the blueprint of the Empire of new order. At that time he certainly had conceived a new worldview in harmony with that. Three chapters of Daoshu: (?道術?), Liushu: (?六術?), Daodeshuo: (?道德說?) in Jiayixinshu: (『賈誼新書』), lately had been recognized as the writings of Jiayi himself through the research on the documents excavated in Changsha Mawangdui: (長沙馬王堆), and Guodian: (郭店), and these are the central materials in this study. In this paper, I have investigated the basis of Jiayi’s thoughts, especially focusing on cosmology and social ethics is investigated. Moreover, the idea that Virtue(德) was the basis of Jiayi’s system of thought is introduced. Especially Jiayi thought that the Confucian Six Classics (六藝) was the foundation of the regime and the social system of the Han Empire. Finally, the reasons why people have said that Jiayi is a Confucian and the nature of Jiayi’s thought is also Confucian are explained.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고대의 흔례(?禮)에 대한 소고: 희생제의와의 관련성에 주목하며

        이연승 ( Lee Youn Seu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1 No.31

        고대 중국에서 피를 사용하는 의례는 크게 세 부류로 나뉘는데, 첫째는 혈제(血祭)로서 주로 종묘나 교제 등에서 제사 지낼 때 피를 바치는 것이고, 둘째는 회맹이나 맹세에 피를 사용하는 것이며, 셋째는 바로 본고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흔례(?禮)의 경우다. 아마도 은·주 시대로부터 이어져왔으리라 추정되는 흔례는 시행하는 대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진 의례라 볼 수 없고, 따라서 다양한 흔례의 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비로소 흔례의 성격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성과를 토대로 흔례 전반에 대하여 고찰하되, 특히 희생제의와의 관련성을 염두에 두고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흔(?)이라는 글자가 `씻는다`라는 기본적인 의미로부터 점차 제의적 맥락에서 무언가 상서롭지 못한 것을 떨쳐내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나아가 피를 바르는 대상 그 자체를 신성하게 만든다는 함의를 내포하게 되었던 과정을 추적해보았다. Ⅲ장에서는 다양한 흔례의 대상을 건축물에 대한 흔례와 기물에 대한 흔례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건축물의 경우는 비교적 상세한 기록이 남아있는 종묘에 대한 흔례를 중심으로 하였고, 마굿간에 대한 흔례를 간단히 다루었다. 기물에 대한 흔례는 학궁에서 사용하는 기물이나 악기·보물·귀갑 등 방기에 행하는 흔례와 북·기(旗) 등 군기에 행하는 흔례로 나누어 보았다. Ⅳ장에서는 흔례의 핵심을 이루는 `피(血)`를 유가의 제의에서 사용하는 것은 첫째, 인간의 세계와는 이질적인 신적 세계와 교류하기 위하여 바치는 원초적이고 질박한 제물이라는 것, 둘째, 왕성한 생명력인 기의 근원처라는 뜻을 가진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제의에서 희생을 살해하여 특정 시간과 공간 안에서 특정 대상에게 피를 바름으로써 대상의 변화를 도모하는 흔례는 희생제의의 범주 안에서 다루어지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생각하며, 동아시아적인 맥락에서의 희생제의에 대한 연구를 축적해나갈 필요가 있으리라 제안한다. There are three categories of rituals that use blood in ancient China: firstly, there was `blood sacrifice(血祭),` which is to pay blood when sacrificing mainly to Heaven and Earth, and at the Royal Ancestors` Shrines(宗廟); secondly, there were meetings of sovereigns of their deputies in ancient China to form alliances, and they were called by ritual of Huimeng(會盟禮); thirdly, there had been many kinds of ritual of Xin(?禮). I will examine the third case of rituals using blood, the ritual of Xin(?禮)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ain how the character Xin(?) had the meaning of applying or spreading blood, how it acquired the special meaning in the ritualistic context, and how the Xin rituals were performed in each case. There were various kinds of Xin ritual, but we can roughly divide into two; one is Xin rituals for some special buildings, expecially for the Royal Ancestors` Shrine, and the other is Xin rituals for ritual vessels, musical instruments, and arms etc. The core element of Xin rituals is blood itself, then what is the meaning of blood in ritualistic context? First, blood is the simple and unadorned offering for the purpose of interacting with the divine world, and second, it is the origin of Qi(氣) which contains the lifeblood. I think Xin rituals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sacrifice, even though the recipient of these rituals are not so evident in some cases. Finally, I expect that the accumulation of the researches on East Asian sacrifices will change the outline and implications of the term sacrifice.

      • 장자 : 불가능한 소통을 꿈꾼 사상가

        이연승(Lee Youn-Se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江原人文論叢 Vol.15 No.-

        天下無道의 상황을 어떻게 타개하여 춘추 전국시대의 오랜 전쟁을 종식하고 천하 통일을 이룰 것인가 하는 것은 제자백가의 공통적인 문제의식이었지만 오직 장자만은 사회ㆍ정치적인 문제보다는 어떠한 사회적인 구속에도 속박되지 않는 개인적 삶의 유희적 차원과 정신적인 내면의 자유를 추구했다는 것이 기존의 일반적인 장자 이해였다. 그런데 강신주의 『장자 :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은 ‘소통’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장자』를 재구성하여 『장자』이해의 새로운 통로를 보여주고 있다. 후대에 대사상가로 추앙된 ‘壯子’가 아닌 인간 ‘莊周’의 삶을 조명해볼 때, 장주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의식은 바로 현실세계 속에서의 ‘타자와의 소통’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필자는 이 논지를 따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저자가 말하는 장자의 ‘타자와의 소통’은 삶의 세계 안에서 유사한 욕망구조를 가진 사람들이라는 구체적인 타자와 조우할 때는 한계에 부딪치고 만다는 역설적인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장자가 구축하고자 했다는 소통의 논리는 삶의 세계 속에서 불가능하며 무의미한 소통으로 낙착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Generally speaking, Zhuangzi has been understood to be a thinler seeking for absolute freedom of mind or spirit, not a socio-political philosopher. But, Kang Sin-Joo, the author of Zhuangzi : Intercourse with the Other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Subject asserts that the primary concern of Zhuangzi's thought is the intercourse with the other(他者) in this real world. I examined this argument with my own perspective and raised several problematics. The critical point is that Zhuangzhou's intercourse with the other (claimed by Kang) can not be attained in the realities of life, and it could be meaningless if attained. But this book will give a lot of new and striking ideas about Zhuangzi and the readers can find out the possibilities of new comprehension of Zhuangzi.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사상사" 연구의 역사 -그 전개 과정 및 학계에서의 정위 모색-

        이연승 ( Youn Seung Lee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2

        이 글은 1890년대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약 120년 정도의 시간을 통하여, ‘사상’ 및 ‘사상사’라는 용어와 관념을 둘러싸고 어떠한 중요한 논의들이 있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과제로 삼으려 한다. 중국사상사연구의 영역에서 나타났던 중요한 현상들을 대체로 시간적 추이에 따라 서술하되, 중요한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담론이나 대표적인 연구자들의 사례를 들어, 백여 년에 걸친 중국사상사 연구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첫째, 청일전쟁의 패배 이후 전통적 학술 연구의 풍토에서 근대적 학문 체계를 수용해가는 과정에서 ‘국학’의 이념이 부각되었다. 둘째, 1920~30년대에는 서양철학의 개념이 소개, 도입되어 많은 지식인들의 주목을 받았고, 중국철학사 연구의 전범이 만들어졌으나, 동시에 철학(사)보다는 사상(사)라는 용어의 적합성이 고려되기도 하였다. 셋째, 마르크스주의는 1920년대에 이미 중국사상사 연구에 수용되기 시작했으나 1950년대로부터 80년대까지는 본격적으로 마르크스주의에 의하여 전통 중국의 학문을 재평가하는 흐름이 주류를 이루었다. 넷째, 1980년대부터 점차 마르크스주의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려는 움직임이 대두되었고, 이후 2000년을 전후로 중국사상사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반성과 연구방법에 대한 모색이 이루어지면서 중국사상사 다시쓰기가 시도되었다.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the process of researches on the Chinese intellectual history. It covers the years from the 1890s until now, and deals with the central issues of each stage of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studies on the Chinese intellectual history. By the end of 19th century, the traditional Chinese scholars had never used the word ‘philosophy’, and they had no idea how to tell the differences between ‘philosophy’ and ‘thoughts’. It shows the difficulties we should meet when we try to understand the unfolding of Chinese intellectual history. I suggested four unfolding stages: firstly, since China’s defeat by Japan in the Sino-Japanese War, the notion of ‘Guoxue(國學)’ has emerged in the process of China’s acceptance of modern academic system; next, in the 20s and 30s of the 20th century, Chinese intellectuals pursued the western notion of ‘philosophy’ and it was extensively applied to the Chinese traditional learning; thirdly, roughly speaking, from the 1920s and 30s to the 80s, Chinese literati gradually accepted Marxism and reinterpreted their intellectual tradition with it: lastly, around the beginning of the 21th century,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mpleted focusing on the methodology and materials of the research in the realm of the Chinese intellectual history, and many scholars have seriously contemplated rewriting the intellectual history of China.

      • KCI등재

        『춘추번로(春秋繁露)』에 나타난 효(孝) 담론

        이연승 ( Lee Youn-seung ) 퇴계학연구원 2017 退溪學報 Vol.142 No.-

        효는 중국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중심적 가치로서, 시대에 따라 그 함의를 넓혀왔다. 선진 시기의 제자백가들 가운데 공자와 맹자가 특히 효에 관하여 풍부한 논의를 전개했고, 전국 말에서 전한 초기 사이에 등장했던 『순자』와 『효경』 등에서는 점차 제국의 형성을 염두에 두고 효를 논의하는 경향이 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유교가 점차 제국의 지배이념이 되어갔던 과정에서 중요한 시기인 전한 무제기에 활동했던 동중서의 『춘추번로』에서 효라는 주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띠고 있을 것이라 짐작된다. 본고에서는 『춘추번로』에 나타난 효 담론을 고찰해보았다. 먼저, 동중서의 효 담론이 가지는 이론적인 특성을 음양오행론에 입각한 효의 이해라고 파악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서술하였다. 둘째, 『春秋繁露』, 「爲人者天」 편에서 『孝經』의 중요한 문구들을 설명하고 있는 양상을 다루며, 그 인용의 의도를 살펴보았다. 셋째, 천자의 제사론에서 하늘에 대한 천자의 孝라는 이념이 중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춘추번로』의 효 담론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한편으로는 우주론적 차원에서 효가 재해석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천자의 제사론이라는 맥락에서 효 이념이 동원되는 등, 제국의 형성과 전개 과정에서 효에 대한 다각적인 관심과 논의가 진행되어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lial piety(孝, Xiao) was a central value in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the term Xiao(孝) appeared from the early Zhou(周), when it referred to ritual service to deceased parents. In Confucius’ Analects, the concept of Xiao included the relationship with living parents, for example, feeding parents with deep respect. Confucius and Mencius were the representative thinkers who most seriously discussed on filial piety during the pre-Qin period. The Xunzi(『荀子』)of the late Warring States developed some new aspects of filial piety, and we may characterize them by so-cialization or politicization of filial piety. This paper examines the discourse of filial piety in Chunqiufanlu(『春秋繁露』). Firstly,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 of Dong’s discourse on fili-al piety is the theory of Yinyang-Wuxing(陰陽五行). Secondly, Dong was well acquainted with the Book of Filial Piety, and we found out that the entire chapter of ‘Weirenzhetian(爲人者天)’, the 41st chapter of Chunqiufanlu was the quotation and interpretation of some important parts of the Book of Filial Piety, and Dong especiall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a monarch when he commented these passages. Lastly, the idea of the filial piety has a central meaning in Dong’s theory of sacrificial ritual to Heaven(郊祭) offered by the Son of Heaven(天子). This study has shown that filial piety became to be settled within the cosmology of Yinyang-Wuxing, and also was discu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