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유아 간 교실 담론 분석

        이연선(Lee Youn 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유아교실의 이야기 나누기 시간 동안 일어나는 교사-유아 담론의 분석을 통해 교사의 경력에 따라 교사-유아 담론에 어떤 다른 양상을 보이는 가에 초점을 두었다. 초임 교사와 경력교사로 구분하여 교실 담론 속에 나타나는 정형화된 담론 유형을 파악하며 담론 속에 내재되어 있는 교사-유아의 권력 관계에 대하여 면밀히 살펴보고 더 나아가 유아-교사 담론에 대한 교사의 인식 수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교실 담론의 정형화된 형태가 교사 경력에 무관하게 존재하였으나 경력교사는 담론 속에 나타나는 유아의 경험을 더 존중해주고 초임교사에 비해 주제 지향적 수업을 덜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교사 담론에 내재되어 있는 교사-유아의 권력 관계를 고찰한 결과 이야기 나누기 시간 동안의 교시 권력의 행사를 표면화시킬 수 있었다. 아울러 유아-교사 담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부족에 대한 심각성을 제안하며 유아 교실에서 교사 담론에 대한 교사 스스로의 주인 의식 함양에 대한 노력과 함께 유아 교실담론에 대한 교사교육과 장학, 현장연구(action research) 형태의 제도권 자체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discourse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during the whole group activity. According to the teacher's career, teac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4 first year-career teachers and 4experienced teachers. The result was condensed into three parts: existence of the fixed pattern of teachers' discourse, power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nd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ir language use in the classroom. Regardless of their careers, the fixed pattern of discourse, or I-R-E pattern, it appeared, however, that experienced teacher used the fixed discourse pattern flexibly. Although teachers significantly dominated the classroom discourse, teachers were not aware of power use in the classroom. Therefore, teachers should be more aware of their power lise and have ownership of their language use in the classroom. Furthermore, types of teacher education, supervising and action research on teachers classroom discourse should also be accompanied.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이연선(Lee Youn-Sun),박선미(Park Sun-Mi),조희숙(Jo Hea-Soo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해 Q방법론에 의해 실시되었다. 부산, 울산 지역의 공사립 유치원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Q-방법론에 따라 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이미지를 교사 자신의 주관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이미지는 소극적-실제 중심형, 탐색적-내재적 원리 중심형, 유보적-실제 중심형, 실천적-내재적 원리 중심형의 4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각 유형에 속한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유아교사들은 생태유아교육에 대해서 자연친화적 활동과 프로그램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와 달리, 생태유아교육의 근본 철학이나 이념에 대한 생각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유아교육의 교사연수 및 교육을 통해 무엇보다도 생태 철학에 대한 교사의 욕구충족과 인식과 태도 변화를 수반하는 철학적 이해가 절실히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tesearch i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image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Q-Method. 40 Participants from various background of teaching experiences, type of kindergarten and academic factors in Pusan and Ulsan were eventually took part in this research and we tried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image from the teachers' subjective perspective. As a result, the types of teachers' image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divided into 4 categories: negative-practice centered types, exploring-intrinsic principle centered types, reserved-practice centered types and practical-intrinsic principle centered types. As a result, although the more or less difference among each type was found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population variables, generally, kindergarten teachers had a tendency to perceiv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program or just nature-friendly activities. However, most of teachers were mostly lack of eco-based knowledge and idea. 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change teachers' rather narrow awareness of Eco-ECE and attitude and to meet teachers' need through teachers training an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회절과 회절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실험하기

        이연선 ( Lee Youn-sun ),정혜영 ( Jung Hye-young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의 수업에 대한 두 교사교육자의 문제의식과 비판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유아수학교육과 유아사회정서교육이라는 두 과목을 들뢰즈의 철학하기와 바라드의 물질론을 근간으로 융합적 실험을 시도하였다. 회절과 회절분석을 연구방법이자 본 실험을 이끄는 하나의 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업-실험을 통해 첫째, 학생-교수, 이론-실제, 이성-감성, 물질-인간, 데이터-연구방법 등의 분할과 경계가 모호해졌고 해체되었음을 관념이 아닌 몸의 감각으로 느낄 수 있었다. 둘째, 학생 , 물질, 대화, 날씨, 공간, 음악, 실, 꽃, 그림 기록에 남아 있는 온기 등 물질들의 복합적 뒤얽힘은 교사교육자들이 만들어 내고자 했던 다양한 배치 속에서 모두가 동등한 존재자로 수업에 기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수업과 연구 두 영역에서 동시에 발생한 회절적 실험은 하나의 수행(performativity)으로 기록, 연구 자료, 연구방법 등으로 분할되어 환원될 수 없으며, 모든 물질들이 동등하게 얽히고 배치되어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때 교사교육자, 학생들, 수업은 변해갔다. 그 변화는 윤리-심미적이었는데 모든 수업들이 갖고 있는 고유의 내부작용(intra-action)에 더 많이 귀 기울여야 했기 때문이다. 회절은 늘 그 방향을 알 수가 없다. 본 수업-실험의 사례를 통해 모든 수업들이 갖는 특이성이 그대로 존중되며 하나의 사건으로 서로 공유되는 장이 더 많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two teacher-educators’ critical consciousness of class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experiment on the convergence of two subjects: mathematics and social science for young children based on Deleuze’s philosophy and Barad’s materialism. Diffraction and diffractive analysis functioned as an important tool to lead this experiment and analyze the research process. First, the binary boundaries including teacher-student, theory-practice, reason-emotion, human-nonhuman, and data-methodology were deconstructed. Second, the complicated entanglement of students, materials, conversation, weather, space, music, flowers, and the warmth of documentation wer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class equally. Finally, the researchers hoped that this diffractive and affective class-experiment could be regarded as one of singularity and performativi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은유(metaphor) 분석

        이연선 ( Youn Sun Lee ),견주연 ( Ju Youn Kyun ),김지연 ( Ji Yeon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가지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예비유아교사 197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가지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언어적 심상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체계적 은유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범주화 후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교육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대분류는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의 필요성, 교사의 역량 등이 나타났으며, 내용유형은 조화와 통합, 다양성, 사회적 당위성, 문화이해, 세계시민, 반편견 교육, 다문화역량의 총 7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해 주로 교육목적이나 내용의 방향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다문화교육 및 이를 위한 교사의 역량증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한 단계 진보된 시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이후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적 역량강화와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that prospectiv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to represent their linguistic images relating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From 250 preservice teachers, 197 metaphors were crea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tinuous comparison and contrast among three researchers and quantified for statistical analysis as well. From the metaphor analysis, seven categories that symbolize the prospective teacher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32.5% of participants conceived multicultural education as harmony and social integration. The other pictorial images were diversity(17.8%), the need of society (15.2%), anti-bias education(11.2%), cultural understanding (9.1%), teachers` cultural competency(7.1%), and cosmopolitan citizenship(5.6%). Results indicated that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70.1%) perceived multicultural education under the boundar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that is, what to teach. Metaphors are powerful linguistic tools to gain insight into teachers` thoughts about teaching, learning, teacher, and also educational culture.

      • KCI등재

        읽기수행에 관한 후기질적연구 : 포스트휴먼적 읽기와 유아교사∼연구자 되기

        이연선 ( Lee Youn-su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3 교육인류학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유아교사∼연구자의 ‘읽기’ 수행을 새롭게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후기질적연구이다, Deleuze와 Guattari, Barad, Lenz Taguchi의 포스트휴먼 이론과 더불어 사유하며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기존 ‘읽기(reading)’의 인식론적 한계, 둘째, ‘포스트휴먼 읽기(posthuman reading)’의 다른 수행성, 셋째, ‘포스트휴먼 읽기’ 탐구공동체를 향하여로 생성되었다. 먼저, 인본주의에 기반을 둔 전통적 읽기는 재현적 사유, 엄격하게 구분된 경계를 가진 독립된 신체를 가정하며 읽기를 ‘지식습득과 이해’로 축소시켰다. 반면 포스트휴먼적 읽기는 이론/실제, 주체/개체, 인간/비인간의 이분법을 무너뜨리며, 윤리-존재-인식론적 되기로서의 읽기와 마주침으로의 읽기로 다른 수행성을 생산한다. 끝으로, 관계적 존재론으로의 전환을 바탕으로 하는 함께-따로(Together-apart, Barad, 2014) 되어가는 포스트휴먼 읽기 탐구공동체를 제안한다. 개념이란 이미 만들어져 고정된 것이 아니라 오로지 되어간다(Deleuze & Guttari, 1991). 포스트휴먼적 읽기로의 개념변화가 유아교사에게 새로운 생각들을 출현시켜 유아교육현장에서 수행의 차이를 생산해 내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post-qualitative inquiry that investigates early childhood teacher∼ researchers’ reading performativity newl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Thinking with Posthuman theories of Deleuze, Guattari, Barad, and Lenz Taguchi, I focused on three research questions. The generated data is as follows: first, the epistemological limits of traditional ways of ‘reading’; secondly, different performativity of ‘Posthuman reading’; and third, towards ‘Posthuman reading’ community of inquiry. First of all, traditional ways of reading based on humanism reduce the meaning of reading as ‘knowledge acquisition and understanding’ by presuming representational image of thought and strictly separated independent body that has boundary. However, Posthuman reading disturbs the dualism between theory/practice, subject/object, and human/non-human, and produces different performativity such as reading as ethico-onto-epistemological becoming and reading as encounters. Finally, I suggest ‘Posthuman reading’ community of inquiry which becomes together-apart (Barad, 2014) based on the relational ontological turn. Concept is not something already made or fixed but only becoming (Deleuze & Guattari, 1991). I hope that the conceptual change into Posthuman reading would produce differences of pedagogical performativity in the early childhood field by generating new imagination and ideas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researchers.

      • KCI등재

        레지오 유아교육기관과 생태유아교육기관의 교사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연선 ( Youn Su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의 존재론적 입장에서 출발하여 생태유아교육과 레지오 유아교육이라는 독특한 교육철학 및 방식을 경험한 두 유아교사의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그들의 경험의 본질 속에 나타난 교육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시행 속에서 교사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어려움을 듣고 그들의 경험을 토대로 통합적 운영의 가능성을 찾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므로 내러티브 탐구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먼저, 최교사의 교육실천경험을 볼 때 생태유아교육은 인간중심 패러다임을 극복하고 생명중심 패러다임에서 교사의 역할을 되돌아보게 하는 자기반성적 시각을 갖게 하였다. 윤교사의 레지오 실천이야기에서 민주적 교사공동체형성의 어려움을 엿볼 수 있었고 교사의 집요한 관찰과 기록 그리고 교육적 반영이 아이들을 유능한 탐구자로 만들어주고 있었다. 철학이 때로는 강박관념으로 작용하기도 하였고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상당한 실천적 지식이 필요했다. 누리과정에 명시되어 있는 생활주제가 발현적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하기도 하였으며 일일계획안작성은 교사들에게 윤리적 갈등을 안겨주며 또 하나의 많은 양의 서류업무로 여겨졌다. 본 연구를 통해 철학, 누리과정, 그리고 교사 개인이라는 세 축에서 교사들이 마주하는 어려움을 사실적으로 볼 수 있었다. 교육과정은 철학의 완벽성이나 방법론의 우수성이 아닌 교사의 실천역량으로 실현된다. 레지오 교육이나 생태유아교육을 연구하고 고민하는 교육자와 교사교육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한 경력있는 교사들이 마주하는 구체적 문제들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며 교사교육의 심화과정에 이러한 부분들이 반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drive to establish comprehensive, viable standard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many teachers struggle to implement an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particular educational philosophies and principles. Reggio Emilia and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represent two such endeav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eriences of two teachers as each works with and reflects upon her individual experience with one of the programs under pressure to meet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Using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this study looks at each teacher`s detailed life experiences including practical knowledge in terms of the challenges and possibilities for implementing a balanced curriculum. As they reorganized and retold their stories in accordance with Clandinin and Connelly`s (2000) three dimensional inquiry space, the two teachers each informed chronological configured and communicable stories. This process revealed 1) the philosophy from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worked as a strong critical and reflective tool for the teacher, 2) On the other hand, the Reggio teacher showed us what the ‘democratic classroom conversation’ is and how ‘emergent curriculum’ can be actualized through observation and subsequent documentation. Perceiving this philosophical contradiction as an ethical conflict, the two teachers expressed confusion about implementing either of them. To relieve such confusion and to help teachers make balanced implementation judgments, programs merging practical knowledge and pedagogical diversities are needed in advanced teacher education courses. Education does not become actualized simply by the perfection of philosophy or pedagogy, actors do the actualizing in the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concludes that educational researchers need to go into the classroom, meet teachers, listen to them and watch what they do to find out their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through narrative inquiry, action research, and the multiple ethnographical ways of understanding their lives.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사고유형 분석

        이연선 ( Youn Sun Lee ),연희정 ( Hee Jong Yeon ),김태경 ( Tae Kyung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동성애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탐구해 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을 수행할 예비유아교사들의 동성애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은 성(gender)을 포함하여 문화의 개념을 다양하고 포괄적으로 접근하면서 한국사회가 시민교육과 다문화교육으로 나아가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 3,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에비유아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4년 10월 7일부터 2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177명의 설문지를 최종 연구자료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동성애에 대해 예비유아교사들은 은둔자, 사회적 소외자, 독특한 개성을 가진 자, 자유로운 개척자, 평범한 일반인, 타고난 자, 같은 성을 사랑하는 자, 혐오스러운 자, 이해불가한 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다문화교육이 사회적 편견과 고정관념을 해체하는 데서 시작한다고 볼 때, 동성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부정적 인식의 원인을 다각도에서 분석하고 다문화교육의 차원에서 동성애 개념을 새롭게 마련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aims to examin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homosexuality, and the rationale behind that. This stud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homosexuality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carrying 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ociety, was carried out has been made an attempt based on the thought that it woul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to step forward to civic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a diverse and comprehensive approach on the concept of culture including gender. For this study,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1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at three or four-year colleges in Busan and Gyeongnam area from 7th Oct 2014 to 24th Oct, and selected 177 questionnaires as final research data. The research showe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homosexuals as hermits, a socially alienated class, persons of unique individuality, pioneers of freedom, ordinary persons, gifted persons, homosexual lovers, disgusting persons, and inexplicable persons. With a view-point that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would begin with abreak-up of social prejudices and stereotypes, it is considered to be absolutely necessary to analyze the reasons for the negative perceptions of homosexuality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various angles and to newly set up a concept of homosexuality on groun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교육 정책과 실제를 위한 세계주의(Cosmopolitanism) 철학 탐색

        이연선 ( Youn Su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연구는 한국의 (유아)다문화교육정책이 지니는 이중적 태도와 동화주의적 접근을 비판하고 다문화교육의 여행자 교육과정에로의 구현에 문제를 제기하며, 이에 대한 철학적 대안으로 세계시민, 인간성(humanity)과 평등성 및 사회적 정의 구현 등을 강조하는 세계주의(Cosmopolitanism) 철학을 소개하고자 한다. 세계주의 철학은 한국이라는 국가 내에 공존하기 시작하는 타인과 그들의 다름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하나의 중요한 인식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세계주의 철학이 다문화교육의 교육적 실제에 시사하는 바는 크게 두 가지이다: 1) “자신의 문화와 전통에 기꺼이 참여(a willingness to engage with their own culture and tradition)”과 2) “타인과 타인의 문화에 기꺼이 참여(a willingness to engage with other)”의 중요성이다(Hansen, 2011). 다문화ㆍ세계화 시대에 타인의 다름(others’ otherness)와 한국 고유의 전통문화가 동시에 환영받고 존중받아야함을 권고하는 세계주의는 한국의 다문화정책과 다문화교육정책, 그리고 실제구현에 있어 철학적 이념으로 심도 깊게 고려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and the influx of immigrants nationwide, Korea has experienced a new demographic composition. Reflecting such social change, the rhetoric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prominent in national welfare and education policies. While some Western education systems tended to withdraw from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mid-1980s, in Korea, multiculturalism did not become an educational issue until the late 1990s. In her insightful book, Multicultural Education as Social Activism(1996), C.E. Sleeter points out that late-adopter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nd to see it as a means of reducing prejudices and stereotyping, or to take an assimilationist attitude. By problematizing assimilationist attitudes and reconsidering criticism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paper introduces cosmopolitanism as a philosophical alternative through reconceptualizing and reconstituting multicultural education within the tenets of the philosophy of cosmopolitanism. Cosmopolitanism, as an appropriate way of coexisting in a globalized world,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hetoric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It fosters a broader sense of belonging to the world by conceptualizing both others and us “citizens of the world.” Cosmopolitanism as a philosophy with an ethical vision, provides the reason why teachers should not regard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class for teaching specific cultural information based on tourist curriculum. Since the departure of their point is neither individual nor culture, that is, community, the orientation implies learning from rather than tolerating value differences. Therefore cosmopolitanism promotes both teachers and children to develop broad, deep, and rich understanding of self, community and the world. Teachers, educational policymakers, and teacher educators may need to consider this new cosmopolitan consciousness to deal with others and reflect ourselves.

      • KCI등재

        ‘놀이 중심 교육과정 전환’ 에 따른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의 세 가지 쟁점 연구

        이연선(Lee Youn-Sun),연희정(Yeon Hee-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통해 강조되는 놀이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세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연구물, 최신 이론, 현대적인 프로젝트들, 국제 교육과정 등의 문서를 심도 깊게 고찰하였으며, 세 가지 주요 쟁점인 교육과정 재구성,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놀이와 배움을 토대로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 다. 첫째, 교육과정에 대한 자기 성찰과 문제의식, 현장과의 파트너쉽을 통한 유아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바이 다. 둘째, 교사의 행위주체성(agency)을 중심으로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역할이 정립되어야 할 필요성과 교사 교육자에게 실험적(experimentation) 교수를 제안하였다. 더불어 놀이하며 배우는 유능한 유아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와 존중, 놀이를 통한 배움의 과정과 내적 현상에 귀 기울일 수 있는 교사의 페다고지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예비유아교사교육이 변화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ree important points related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right after ‘play-based curriculum change’ in 2019. We got clear ideas from reading recent theories and literatures including sever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papers, recent theories about play and learning, and play-based learning projec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 attempted to explain three important ideas which can transform the current discours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First, we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real experience of collective curriculum-making with children through self-reflection, critical awareness, and partnership with kindergartens. Secondly, teacher educators need to consider their teaching as experimentation and process so that teachers’ pedagogical role focused on agency could be revitalized. Finally, we expect the transformation and diversifi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for teachers to respect children who are capable, competent and active and listen to their intra-active learning through 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