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영화에서 나타난 헤게모니적 갑을관계

        이아람찬(Lee, Aramcha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4 씨네포럼 Vol.0 No.18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 나타난 갑을관계의 정치학과 노동영화의 개념을 중심으로 노동영화를 살펴보고 있다. 노동영화에서 그려진 갑과 을의 모습을 불공평한 헤게모니적 관계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을의 저항과 투쟁을 담아내고 있다. 세계 최초의 영화는 노동자의 삶을 그린 영화다. 뤼미에르 형제의 <공장을 나서는 노동자들>은 갑의 입장에서 을을 바라보고 있는 노동영화다. 비록 <공장을 나서는 노동자들>은 갑과 을의 패러다임을 인위적으로 설정하려는 의도는 확인할 길은 없지만, 최초의 노동영화가 노동자가 아닌 고용주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사실은 현재 노동영화와 다른 시선을 보여주고 있다. <또 하나의 약속>처럼 수많은 영화에서 갑의 횡포에 대해 끊임없이 다루어왔지만, 갑의 위치는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 자본의 논리 앞에 노동자의 인권은 더욱 악화되고 있으며, 근본적으로 한국적 갑을관계의 개선이 사회제도의 개선뿐만 아니라 법률적인 기반도 조성되어야함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노동 현장의 구조적 문제를 개인차원에서 노동자에게 전가하고 있음을 노동영화는 다시 한 번 지적하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labour films in relation to the politics of Boss-Subordinate Relations in Korean society. Boss and subordinate in the labour films have an unfair hegemonic relationship, so a number of subordinates show their resistance and struggle against their boss and company. It is very interesting that the world"s first film depicts the life of the workers in the factory. Lumiere brothers" Employees Leaving the Lumiere Factory (1895) is a unique labour film illustrating factory workers. Even though it is short, we could not confirm that this film depicts Boss-Subordinate Relations deliberately. However, it is meaningful to see that the first labour film made by employers not employees. Many labour films like Another Family (2013) have constantly addressed the problems in their workplaces; Boss-Subordinate Relations are never changed. Fundamentally to improve the relationship in Korean society, it is essential to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As a result, these labour films have pointed out labourers take the social dilemma as an individual level for a while.

      • KCI등재후보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헤게모니적 남성성

        이아람찬(Aramchan Le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그람시(Antonio Gramsci)가 언급한 대로 지배적 이념이 한 사회에 종속된 이들의 삶에 습관처럼 자리 잡고 있다는 헤게모니(hegemony) 개념을 통해서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남성성의 유형을 찾는데 있다. 그리고 코넬(R. W. Connell)은 그람시의 개념을 남성성과 연결시켜 헤게모니적 남성성(hegemonic masculinity)으로 발전시켰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한 국가나 사회에서 다른 남성과 여성을 종속하고 지배하려는 경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재현된 다양한 남성성을 구분하고, 특히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다루고 있다. 한편 코넬의 네 가지 남성성의 분류는 남성 그룹이라는 범주에서 지배 그룹과 피지배 그룹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보다 세부적으로 헤게모니적 남성성, 종속적 남성성, 공모적 남성성, 그리고 주변화된 남성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틀을 가지고 〈미녀와 야수 Beauty and the Beast〉(1991)에 나타난 지배적 남성성과 피지배적 남성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개스턴(Gaston)과 야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들 주변에 있는 남성들은 모두 공모적 남성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모리스(Maurice)는 지배 집단으로부터 거세된 종속적 남성성에 들어가게 되며, 야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주변화된 남성성 모두를 지닌 양가적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이처럼 디즈니 속에 나타난 남성성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기반으로 소프트바디에 의한 하드바디의 번복을 더디게 만들고 오히려 하드바디의 체제를 더욱 공고히 구축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hegemonic masculinity in Disney animated feature films in terms of Antonio Gramsci’s hegemony and R. W. Connell’s hegemonic masculinity. According to Gramsci, hegemony refers to the predominance of a dominant group over other groups. By the same token, Connell uses the term hegemony as the configuration of gender practice which embodies the domination of men and the subordination of women. He describes four masculinities to explore male hierarchy in male groups: hegemonic masculinity, subordinated masculinity, complicit masculinity, and marginalized masculinity. Through Connell’s terms, this study investigates masculinities in Disney films, especially Beauty and the Beast (1991) in relation to hegemonic masculinity. As a result, Disney describes repeatedly hegemonic masculinity as hard body defined by Susan Jeffords and supports tacitly the domination of a specific male group.

      • KCI등재

        특집 : 부산 시네리터러시 교육의 과제와 전망

        이아람찬 ( Lee Aramchan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2 아시아영화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한국영화교육의 다양한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세부적으로 부산 지역 영화교육의 현황과 전망을 다루고 있다. 초기 한국영화사에 서 부산은 여러 부분에서 언급되어 있다. 특히 1903년 부산 최초의 극 장인 행좌, 그리고 송정좌 등이 연이어서 세워졌고, 1904년 이 두 극장 에서 처음으로 영화가 상영되었다는 것과 1924년 국내 최초의 영화사 인조선 키네마 주식회사가 부산에 설립되어 영화제작에 많은 역할을 담당하였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최근에는 부산국제영화제를 비롯해 서, 부산국제어린이영화제, 부산국제단편영화제, 메이드인 부산독립영화제 등의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함으로써 영화도시 부산의 진 면목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부산의 영화·영상도시라는 특성화에 걸맞게 영화관련 각종 정부기관들이 부산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괄목할 만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부산에서 체계적인 영화·영상관련 산업이 보다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를 주도적으로 진행 할 인적자원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영화·영상산업 관련 인적자원 은 기본적으로 시네리터러시(Cineliteracy)를 폭넓게 이해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디지털기술과 문화가 융합되어 창의력 및 기획력이 경쟁력을 좌우하는 영화·영상산업은 근본적으로 관련 인적자원에 의존하고 있다. 즉, 영화·영상산업에서는 인적자원의 확보가 영상관련 산업 발 전의 원동력이며, 경쟁력 제고의 시작이며, 그리고 지역경제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결국 경쟁력 있는 인적자원의 확보는 체계적인 영화교육을 통해서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a various aspects of film education in South Korea, especially in Busan metropolitan city area. In Korean film history, Busan was mentioned many times regarding film industry. For instance, Haengjwa, the first theatre in Busan was opened in 1903 and subsequently Songjeongjwa was founded there in 1904. In addition, Joseon Kinema Corporation which was responsible for the many roles in Korean film industry as the first film company was established in 1924 in Busan. Recently, there are several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Busan International Children`s Film Festival, Busan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Made in Busan Independent Film Festival, including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eld successfully. Despite the remarkable growth in Busan film industry, it is said that Busan is needed to develop human resources for its industry. For this, Cineliteracy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o educate many students who want to learn film. In other words, through a systematic filmeducation in Busan, the city can have the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s in the film industry.

      • KCI등재

        영화교육의 개념 재/정의하기

        이아람찬(Lee, Aramcha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8 씨네포럼 Vol.0 No.29

        본 논문은 영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재/정의와 미디어교육과의 관계를 설정하는데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영화교육은 지속가능한 교과가 아닌 일시적인 예술 체험 활동에 그치고 있다. 이것은 영화교육을 학습자들의 연령과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서 영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재/정의가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그리고 영화교육은 학생들이 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영상 플랫폼을 읽고 제작함으로써 비판적 수용과 예술적 향유를 할 수 있는데 그 교육적 의미를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서 영화교육의 필요성 및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영화교육의 개념을 재/정의하고자 한다. 그동안 영화교육의 개념은 영화라는 텍스트를 뛰어넘어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을 교육적으로 접근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관점을 가지고 영화교육과 매우 유사한 미디어교육과의 관계도 새롭게 설정할 것이다. 초기 영화교육의 개념에는 영화적인 텍스만을 주요하게 생각해서 이에 대한 이해와 만들기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왔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21세기 리터러시에 필요한 최근 영화교육은 반드시 전철을 무조건 따를 필요는 없다. 학생들의 요구와 영화교육의 외연을 확장하고 보다 다양한 학교교육을 위해서 영화교육의 범주는 확대되어야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영화교육 개념이 과거 영화에만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영상 미디어 플랫폼을 포함하는 확장적 개념으로 재/정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explores to re/define the concept of film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at the secondary schools. At present, sporadic experience-based film education is not a sustainable subject but a temporary art activity. First of all, film education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because students can read and produce various video platforms including films, TV, etc and can accept critically and enjoy the moving images as an a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necessity and goal of film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and to re/define the concept of film education. In the meantime, the concept of film education has moved from the text of film to approach various types of platforms educationally. With this viewpoint,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which are very similar will be established. Certainly, the concept of early film education is based on only cinematic texts. However, the recent film education includes all kinds of platforms regarding the moving images. This is because the scope of film education needs to be expanded in order to get students" needs and the outreach of film education and to provide more diverse school education. So far, the concept of film education has not only been limited to films in the past, but also the redefinition processes as an expanding concept that includes various platforms.

      • KCI등재

        교육영화란 무엇인가

        이아람찬(Lee, Aramcha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5 씨네포럼 Vol.0 No.22

        영화분야에서 교육영화(educational film)는 매우 낯선 개념이다. 과연 어떤 영화를 교육영화라고 할 수 있는가? 교육영화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개념이지만, 이 개념은 영화를 전공 내에서보다 밖에 서 자주 사용하고 있다. 특히, 교육영화는 교육과 관련 있는 학문 제분야에서 종종 사용되는 개념이다. 교육영화는 영화분야에서는 자주 사용된 개념이 아니며, 특정 교육적 목적이나 가치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영화적 장치를 의미한다. 사실, 선행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그동안 교육영화는 교육학과 관련된 분야에서 더욱 활발하게 다루어져왔다. 그래서 교육영화에 대한 정의는 연구에 따라 그 넓이가 임의적으로 결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영화의 개념과 유형을 설정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교육영화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해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교육영화는 교육을 위해 특별하게 제작한 영화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EBS의 교육프로그램, 학원들의 인터넷강의 등이 이에 속한다. 둘째, 교육영화는 비록 상업영화로 제작되었지만, 교육적으로 활용할 만한 가치를 부여받은 영화를 말한다. 예를 들면, <암살>, <광해, 왕이 된 남자>, <국제시장> 등이 이 두 번째 유형에 들어갈 수 있다. 셋째, 교육영화는 학교라는 공간이나 학생과 교사라는 직업적 관련성을 제시하는 영화를 지칭한다. 이런 의미에서 <죽은 시인의 사회>, <스쿨 오브 락>, <홀랜드 오퍼스>와 같은 현실 교육에 대한 비판을 다룬 영화까지 교육영화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영화는 교육적 목적을 가지고 제작되지는 않았지만,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영화라고 그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educational film is a very unfamiliar in the field of film studies. Indeed, what is educational film? Although educational film is widely used, it has been more frequently used outside film studies. In particular, educational film is often used in pedagogy. In the field of film studies, the term is not a frequently used. Generally speaking, educational film refers to a cinematic device that can be used to implement certain educational purposes or values. In fact, as we have seen in literature review, educational film has been addressed more actively in the field related to education. So, this study emphasizes the definition of educational film. Educational film can be largely separated by three types. First, educational film refers to a film specially produced for learning. For example, EBS learning programmes, Internet lectures, etc. Second, even though it is a commercial film like Hollywood, the film has been granted the benefit educationally worth. For example, Assassinate, International Market, etc. Third, educational film refers to a film that presents students, teachers, and schools. In this sense, Dead Poets Society, School of Rock, Holland Opus, etc. Therefore, educational films can expand its scope. Indeed, all films for learning are able to be educational films.

      • KCI등재후보

        초기 한국영화교육사 연구

        이아람찬(Lee Aramcha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2 씨네포럼 Vol.0 No.14

        한국에서 제도권 영화교육이 본격적으로 시도된 것은 1953년 서라벌예술학교의 설립과 함께 이루어졌다. 이후 동국대, 서울예대, 중앙대, 한양대 등에서 연극학과, 영화학과 또는 연극영화학과가 개설되었고, 현재 수십 개의 대학 연극영화학과, 영화영상학과, 영화학과 등에서 영화학도들이 배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영화교육의 비약적인 발전은 1990년대 한국영화산업의 밑거름이 되는 등 한국영화의 발전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그동안 한국영화사에 대한 통사적 접근을 다룬 자료나 문헌들은 많으나, 이곳에서 영화교육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기란 좀처럼 쉽지 않다. 그나마 간헐적으로 한국영화사를 기록한 단행본이나 신문과 잡지 자료에서 영화교육에 대한 언급을 찾을 수 있다는 것에 만족해야 했다. 비록 제도권교육은 아니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조선배우학교, 조선영화예술협회, 그리고 조선문예영화협회에서 영화교육을 제공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조선배우학교, 조선영화예술협회, 조선문예영화협회 등이 내부갈등이나 재정적인 문제로 연구생 운영을 1년 남짓하지 못한 것은 제도권 영화학교의 설립이 지연된 점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그동안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지 못했던 초기 한국영화교육 연구를 통해 비록 국립영화학교의 틀을 마련하지 못했지만 이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영화교육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first film school in South Korea is Seorabeol Art College established in 1953. Since the school, many universities opened its film school such as Dongguk University, Seoul University of Arts, Chung-Ang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Such a dramatic development of film school is linked to the growth of the 1990s Korean film industry. There are a number of researches on a history of Korean cinema.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the materials to describe a history of film education in South Korea. Even though it did not have any official curriculum for film education, many institutions provided teaching about film, for example, Joseon Actor’s School, Association of Joseon Film Art, Association of Joseon Literary Film between the 1920s and the 1940s. But, they could not run the school due to financial problems and individual conflicts. This study could teach film for students in various forms, although there was no Korea National Film School at that period.

      • 교육적 텍스트로서 예술영화

        이아람찬(LEE Aramcha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0 씨네포럼 Vol.0 No.11

        실험영화, 다큐멘터리, 단편영화 등의 예술영화가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일선 초ㆍ중등 영화교육 현장에서 상업영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조명을 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이렇게 저평가된 예술영화의 교육적 가치를 담론화하고, 초ㆍ중등 학교교육에서 예술영화의 수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앞서 문화예술교육이라는 거대범주 속에 영화교육의 자리늘 찾아보고, 예술영화의 개념에 대한 고찰이 선행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예술영화를 일선 학교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점은 예술영화를 읽는데 있어서 지나치게 이론 중심으로 흘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지나치게 이론과 학문을 중심으로 한다면, 지나친 문화적 엘리트주의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영화교육은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차별화를 지양하고, 기존 고급문화로 인식되었던 예술영화에 대한 탈신비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ven though art cinema like experimental films, documentaries, short films has a pedagogical value, film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have been not interested in it for a while. This study argues the discourse of art cinema in secondary school and explores art cinema as pedagogical text. The paper looks at the defini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art cinema. The study argues film education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which are encouraging art educ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In order to provide art cinema to secondary students, first of all, teachers should not focus on theoretical approach to the films. If we mainly teach what theory of art cinema is, we can lead students to elite culture as those high cultural forms and institutions.

      • KCI등재

        Masculine Representation in South Korean Cinema

        Lee, Aramchan(이아람찬)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7 씨네포럼 Vol.0 No.26

        최근 한국영화에서는 남성 등장인물이 내러티브를 주도적으로 끌고 나가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여성 등장인물은 내러티브로부터 철저히 소외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한국영화에 재현된 트라우마적 남성성을 통해 접근하고자 한다. 남성 인물들이 주도하는 한국영화의 겉모습과는 다르게 재현된 남성의 이미지를 면밀히 살펴보면, 위기에 처한 남성으로 이들은 트라우마적인 경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위기에 처한 남성성은 히스테리한 모습을 많이 보여주게 된다. 히스테리한 남성성의 모습을 찾기 위해서 다양한 영화적 텍스트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트라우마적인 남성성은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한국사회의 모습과도 연결될 수 있다. 당시 사회적 변화에 따른 경제위기로 남성성의 모습이 매우 약해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트라우마적 남성성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트라우마적 남성성을 과잉된 남성성, 사디즘이나 매저키즘처럼 왜곡된 쾌락의 남성성, 노스탤지어를 통한 과거를 꿈꾸는 향수적 남성성의 모습으로 구분해서 설명하고 있다. A number of contemporary South Korean films are dominated by the image of male heroism. On the contrary, women are marginalised and absent from the narrative in those films.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masculinity in relation to trauma theory in contemporary South Korean cinema. In so doing, it illustrates to male protagonists are suffering from their traumatic experiences. In other words, this hysterical masculinity shows the masculine crisis. I draw to a close by mentioning the answers that I explore by discussing this study which is male hysteria in popular South Korean cinema. I conclude what I examine the dynamics of this traumatic masculinity throughout this paper begin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trauma, and the unique situation of social contexts that has surrounded films since the late 1990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I have limited the discussion to films since that period. Then, I suggest that contemporary South Korean cinema focuses on masculinity, especially traumatic masculinity. This study also examines traumatic masculinity in popular South Korean cinema. The traumatic male subject reproduces male status in South Korean society today; howev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roblem of this masculinity is caused by excess of masculinity, distorted pleasure such as sadism and masochism, and representation of memory.

      • KCI등재

        초·중·고 교실에서 영화 사용에 관한 연구: 등급과 연령의 불일치를 중심으로

        이아람찬 ( Lee Aramcha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청소년관람불가영화(이하 청불영화)와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단순하게 이러한 영화를 관람하는 것으로부터 아동·청소년을 지켜야 한다는 보호주의 관점은 결코 아니다. 사실, 일선 고등학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영화 교과서에서 청불영화를 언급하거나 분석하는 내용도 있고, 이런 과정에서 교사나 학생이 등급에 대한 인식 없이 무분별하게 청불영화나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를 접하게 된다. 이런 상황은 학교현장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누구도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지 않다. 교육이라는 핑계로 청불영화와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의 교실 상영이나 소개가 모두 법적인 테두리를 뛰어넘을 수는 없을 것이다. 과연 이들 영화는 교육영화로 활용될 수 있냐는 깊은 의구심을 가지고 본 연구를 시작한다. 청불영화나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의 학교 상영은 생각보다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있다. 교사가 사전에 학부의 동의를 얻는 방법이다. 하지만 실제 학교에서 이러한 복잡한 과정을 무릅쓰고 진행할 교사는 많지 않을 것이다. 현재 초·중등학교에서 교실 밖 현장체험학습을 할 때, 사전에 반드시 학부모의 동의를 요구한다. 그리고 기타 학부모의 동의가 필요한 경우 수시로 가정통신문을 통해 동의받고 있다. 영화 수업에서도 이러한 학부모의 동의 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학교 대부분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결론적으로, 학교현장에서 청불영화와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의 무분별한 상영과 소개를 줄이고, 더욱 제도화된 환경에서 교육영화로 이들 영화의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가 지향하는 점은 청불영화와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의 교육적 활용을 제한하려는 의도보다는 불가피하게 사용된 이들 영화의 교육적 활용에 있어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데 있다. 청불영화와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에 관련된 논의는 앞으로 충분히 더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looks at methods i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R-rated films and rate/age discrepancy films. It is by no means a protectionist view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should be protected from simply watching such movies. Besides, film textbooks used in high school classroom deal with R-rated films, and teachers and students encounter R-rated films or rate/age-discrepancy films indiscriminately without recognition of rate classification. This situation is repeated at schools, and no one is concerned about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Under the pretext of education, both R-rated films and rate/age discrepancy films will not go beyond the legal boundaries. We begin our study with deep doubts about whether these films can be used as educational films in the classrooms. School screenings of R-rated or age-discrepancy films may not be as difficult as we might think. It is only way to get permission from parents in advance. However, there will not be many teachers who will go through these complicated courses. Currentl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require parents' permission in advance when conducting field trips outside the classroom. Also, if permission from parents is required, they are frequently agreed through home correspondence. This process of consent from parents is absolutely necessary in film classes. However, most schools in South Korea do not have specific guidelines for this. In conclusion, we should reduce the reckless screening and introduction of R-rated and age-discrepancy films at schools and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these films as educational films in a more institutionalized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prepare a refined system for the educational use of these films inevitably used rather than the intention to limit the educational use of R-rated films and rate/age discrepancy films. It is needed to discuss on these films sufficiently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청소년 영화교육 정책에 관한 고찰

        오세섭(Se Seop Oh),이아람찬(Aramchan Lee)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4 지식과 교양 Vol.- No.14

        본 연구에서는 2010년대 이후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화교육 정책연구를 중심으로, 영화 공교육 활성화 정책을 짚어보고 이에 대한 의의와 한계를 짚어본 뒤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화교육 정책연구는 영화 공교육을 공론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화교육 교육과정을 구축했으며, 영화교육 중점학교를 운영하는 등의 성과도 있었다. 그러나 한계도 존재한다. 연구 결과를 뒷받침할 실행력이 미흡했으며 영화교육 중점학교 또한 더 이상 확대되지 못한 채 중단되고 말했다. 또한 영화교육에 대한 영화진흥위원회의 인식이 산업적 차원에서 머무르고 있다는 아쉬움도 있다. 향후 영화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가용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정책연구와 교재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 둘째, 교‧강사 네트워크 구축에 노력해야 한다. 셋째 영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는 영화진흥위원회가 지금까지 추진했던 영화교육 정책의 아쉬운 점을 보완하고 영화 공교육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 방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Korean Film Council (KOFIC)’s film education policy research since the 2010s. Our examination delves into the policies aimed at revitalizing film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by highlighting their significance and identifying limitations, and ultimately proposes a new plan. Initially, KOFIC’s film education policy research is noteworthy for its role in making film education more accessible to the public. Achievements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a film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operation of a film education focus school. However, certain limitations exist. The implementation capacity to support the research findings was insufficient, and the film education focus school was discontinued without the possibility of further expansion. Additionally, there is a sense of regret regarding KOFIC’s perception of film education, which remains predominantly at the industry level. A shift in policy is therefore imperative to rejuvenate film education in the future. The proposed changes are as follows. First, focus should be on policy research and textbook development, effectively utilizing currently available resources. Second,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 establishing a robust network of teachers and lecturers involved in film education. Third, a fundamental shift is needed in the perception of film education. By implementing these changes, we aim to address the shortcomings identified in KOFIC’s film education policy and pave the way for a more comprehensive and effective approach to public film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