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승희 시의 식물적 상상력 연구

        이승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775

        Abstract A Study on the botanic imagination in the Lee Seung Heui’s poetry Lee Seung heui (Supervisor Sarah Le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show Lee Seung-heui poet’s consciousness world and the movement of his imagination, through the botanic imagination appearing in his poems. As the object of the study and analysis, are selected two books of poems which were published since his debut as a poet in 1997, i.e. I Have Ever Seen a Moon Which Skipped Dinner(Jeonyeokeul gulmeun daleul bon jeok-i issda, Changbi Publishers, 2006), Crokscomb Like Magic(Geojismalcheoreom Maendramiga. Munhakdongne, 2013) together with fifty poems among such works as published recently in various literary magazines, where the movement of the botanic imagination can be examined. The works to be analyzed are those in which the poet’s own peculiar world of botanic images? images from the wild rose/rainbow pink/lilac, etc. in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inclusive of The Theory of Sed(Ssias-ron) and Together with Grass(Pulgwahamkke) as his debut works, to the ‘Crokscomb’ image shown in his second collection?have been embodied through the movement of botanic imagination. In general, botanic imagination works as various imaginative powers according to each individual’s experience and world view beyond the common property of the plant. Also in Lee Seung-heui’s poems, his botanic imagination chiefly uses self-characterized botanic images based on his experience and daily life, rather than based on the common property of the plant. This means that his poems are creating more vivid botanic images by standing on his own concrete experience not on the conventional imagination, and by being based on such images, reproducing picture of life and furthermore seeking a new order of balance and harmony between the poet and the world around him. In the first place, his poems, while accepting conventional images, are opening a new possibility of botanic imagination through dynamic imaginative powers which show realities of life in multi-layered perspectives. That is to say, his poems does not show existing sentimental botanic images or botanic images in a passive meaning, but shows various and fierce searches for a method to extremely reveal the limits of realities and concurrently get them over. Especially, these searches for a method show well the characteristics of botanic imagination in that they are based on the poet’s own introspection. The term, ‘botanic’, however, includes a variety of, complex and multi-layered meanings, which are unexplainable in a dichotomous way such as passivity and activity,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and negativism and positivism. The poe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botanic imagination in a method to overcome the limit of finite existence by raising individual’s independent cognizance obtained by inner introspection to a higher level of value. Botanic images in Lee Seung-heui’s poems are being used as principal images which reveal the deficiency of poetic ego. A strong desire is crouching in the inside skin of the deficiency and stretching out its arms toward the world, and such desire is nothing but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another volitional ego. The proposition that ‘deficiencies are proofs of the existence of desires’ exactly suits his poems. Various kinds of flowers frequently appearing in his poems are no more than ‘flowers’themselves on the process toward their fruition in morphological images. However, a ‘flower’ found by the poet exists as an outcome brought forth by the wounds and deficiencies of the world. It can be said that the substance of his flower, which appears in his poems not as an object of contemplation, is an outcome conceived by deficiencies as well as a directional existence proceeding toward eternity. The flower, therefore, comes out as a more brilliant and earnest representation toward conception. If perception is a ‘sticking-to-reality’ ability which reflects reality as it is, imagination is a ‘transcending-reality’ ability. It is difficult, however, for imagination to spread itself out, if it is not rooted in reality. Nevertheless, imagination may be said to be an independent consciousness certainly different from perception, and the poet is constructing imaginative worlds by borrowing various botanic images from the recognition which has been deep-rooted in reality. The botanic imagination unfolded by him, though based on reality, is not limited to the representations which disclose reality as it is. This is because imagination which has ripped out of representations displays volitions beyond the recognition of reality. Furthermore, the poet, through his botanic imagination, is constructing a world of his own by connecting various images such as water image contained in vegetability and images hanging down from endlessly spreading out boughs, to a single related network. Here,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just the heliotropism. Heliotropism means the habit of some plant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strong sunbeams. And also in the poet’s poems, ‘stretching out’ is pursuing a certain direction of heliotropism. Though the final destination being pursued by heliotropism is disclosed in some cases or not disclosed in other cases, it has a definite directional property and can be interpreted as not to be excessive in the perspective of ‘moving toward the sun.’ This is just why his poems are not gloomy forever, though seems to be gloomy or having been gloomy. Botanic images selected by him establish themselves as symbolic representations which obtain value of Dasein rather than emphasizing vital force, and furthermore play the role of a readerto imagine a new image through combination with other images. The botanic imagination o 요 약 이승희 시의 식물적 상상력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이승희 시인의 시에 나타난 식물적 상상력을 통해 시인의 의식 세계와 상상력의 움직임을 연구하고 밝히는 데 있다. 연구의 범위는 이승희 시인이 1997년 등단한 이후 출간한 두 권의 시집 『저녁을 굶은 달을 본 적이 있다』(2006년 창비), 『거짓말처럼 맨드라미가』(2013년 문학동네)와 최근 각종 문예지에 발표한 작품 중에서 식물적 상상력의 움직임을 살펴볼 수 있는 50편을 선택하여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대상 작품들은 등단작인 「씨앗론」및「풀과 함께」를 비롯하여 첫 시집에서의 찔레꽃, 패랭이꽃, 라일락 등의 식물 이미지와 두 번째 시집에서의 ‘맨드라미’ 이미지까지 시인만의 독특한 세계가 식물적 상상력의 움직임을 통해 형상화되고 있는 작품들이다. 식물적 상상력은 식물의 일반적인 속성을 넘어서 개인의 체험과 세계관에 따라 다양한 상상력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승희의 시에서도 식물적 상상력은 일반적인 식물의 속성을 바탕으로 하기보다는 개인의 체험과 생활에 근거한 자아화된 식물 이미지들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그의 시가 관습적인 상상력이 아닌 개인의 구체적 체험을 바탕으로 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식물성의 이미지들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삶의 모습을 재현하는 동시에 그것을 넘어 시인과 세계와의 사이에서 균형과 조화라는 새로운 질서를 찾고자 함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대상 시들은 전통적 식물 이미지를 수용하면서도 삶의 현실을 다층적으로 보여주는 역동적 상상력을 통해 새로운 식물적 상상력의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 즉, 기존의 감상적인 식물 이미지 혹은 수동적인 의미의 식물 이미지가 아닌 현실의 한계를 극단적으로 드러내는 동시에 이를 넘어서려는 다양하면서도 치열한 방법의 모색을 보여준다. 특히, 이러한 방법의 모색은 자신의 내적 성찰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식물적 상상력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식물적’이라는 말은 수동과 능동, 보수와 진보, 소극과 적극이라는 이분법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중층의 의미들이 존재한다. 시인은 내면의 성찰을 통한 개인의 주체적 자각을 보다 높은 가치로 유한한 존재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식으로 식물적 상상력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승희 시인의 시에서 식물 이미지는 시적 자아의 결핍을 드러내는 주요 이미지로 쓰였다. 결핍의 내피는 단단한 욕망이 웅크리고 앉아 세상을 향해 손을 내뻗고 있는데 이는 또 다른 의지적 자아의 표상과 다름없다. ‘결핍은 욕망의 존재 증명이다’라는 명제는 이승희 시인의 시에도 여실히 맞아 들어가는 것이다. 시인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여러 꽃은 형태적 이미지로는 결실을 향해 가는 하나의 과정 중인 ‘꽃’ 그 자체에 불과하지만, 시인이 발견한 ‘꽃’은 세상의 상처와 결핍으로 잉태한 하나의 결과물로 존재한다. 관조의 대상으로서의 꽃이 아닌, 시 속에 등장하는 꽃의 실체는 영원성을 향해가는 지향성을 지닌 존재, 결핍으로 잉태하는 결과물인 셈이다. 그래서 꽃은 더욱더 화려하고 잉태를 향한 간절한 표현물로 드러난다. 지각이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현실 고착적’ 능력이라면 상상은 ‘현실 초월적’이다. 하지만 상상 역시 현실에 뿌리내리지 않으면 뻗어 나가기 어렵다. 그렇다 하더라도 상상력은 확실히 지각과는 다른 독립된 의식 행위라 할 수 있는데 시인은 현실에 뿌리내린 인식 속에서 여러 가지 식물 이미지를 차용해 상상적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현실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그가 펼쳐낸 식물적 상상력은 있는 그대로를 드러내는 묘사에 멈춰 있지 않다. 묘사를 찢고 나온 상상력은 현실 인식 너머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시인은 식물적 상상력을 통해 식물성이 갖는, 물의 이미지, 끝없이 뻗어 나가는 줄기들에 달린 여러 이미지를 하나의 관계망 안에 연결해 시인만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이 바로 향일성이다. 향일성은 식물이 햇빛이 강한 쪽으로 자라는 성질을 말하는데 시인의 시에도 ‘뻗어 나감’은 일정한 방향의 향일성을 추구하고 있다. 그것이 추구하는 최종 목적지는 드러나 있기도, 드러나 있지 않기도 하지만 확실한 하나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고 그것이 햇빛을 향해 간다는 측면으로 본다면 초과하지 않는 해석이 될 것이다. 시인의 시가 어둡지만, 또는 어두웠지만, 마냥 어둡지만은 않은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그가 선택한 식물 이미지는 생명력을 강조하기보다는 살아 있음의 현존재로서의 가치를 획득하는 표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나아가 다른 이미지와의 결합을 통해서 새로운 이미지를 상상하게 하는 역할을 실천하고 있다. 이승희 시의 식물적 상상력은 부정을 통한 긍정의 시학을 통해 ‘불화’를 당당히 껴안음으로써 ‘화해’에 이르는 시인의 내적 성찰의 과정을 통해 그의 시 속에는 삶에 대한 긍정성이 내포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시의 기저에 내재한 결핍에 대한 인식은 오히려 시인

      • 젊은 성인의 허혈전처치가 최대하운동시 혈압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승희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It was cause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to exaggerated blood pressure response during exercise test. This study was purposed the effect of acute remote ischemic preconditioning on blood pressure response to sub-maximal exercise in young adults. The participants were total 16 (male 9, female 7) aged 20-30 years in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Sixteen healthy participants completed two testing sessions, separated by one week. Heart rate, blood pressures, rate pressure product(RPP) were measured during sub-maximal exercise test. Heart rate, SBP and RPP was not decreased both RIPC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RIPC group and control group for HR, SBP and RPP. Thus, an acute remote ischemic preconditioning didn't may prevent on exaggerated blood pressure response to sub-maximal exercise.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일회성 허혈전처치가 운동 중 심박수와 수축기혈압 및 심부담도의 상승을 억제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건강한 20-30대 남여 16명(남자 9명, 여자 7명)을 대상으로 허혈전처치와 통제처치를 무작위로 배정하고 일주일의 간격을 두고 교차설계로 진행하였다. 두 처치 후에 최대하운동부하를 자전거 에르고미터로 실시하였으며, 신체구성과 안정시와 운동시 심박수, 혈압, 심부담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방법은 반복측정분산분석과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일회성 허혈전처치가 운동 중 심박수와 운동 중 수축기 혈압, 운동 중 심부담도를 유의하게 억제시키지 않았다. 허혈전처치가 심박수 변화값, 수축기혈압 변화값, 심부담도 변화값을 유의하게 억제시키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회성 혀헐전처치가 운동 중 심박수, 수축기혈압, 심부담도를 억제하는 효과는 없었다. 추후 더 많은 대상자로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국립소록도병원 통합진료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이승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가 기관에서 운영하는 국내 유일의 한센병 전문 치료 기관인 국립소록도병원 은 한 때 6천여 명의 환자가 재원하고 있었으나 2005년 12월 현재는 679명만이 거주하고 있고, 그 수 또한 급격하게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어 장기적인 병원의 기능 전환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이에 애양원과 위셔드병원의 사례를 고찰하여 일반인과 한센인이 함께 진료 받는 통합진료를 통한 외래와 입원시설의 개방이 국립소록도병원의 기능 전환을 위한 과정으로 검토 되고, 병원의 성격 또한 공공의 정체성을 분명히 할 필요성이 있음을 연구하였다 . 병원의 기능 전환은 두 가지 원칙이 견지되어져야 한다. 첫째, 재원한센인들은 고령화, 높은 장애율 그리고 높은 만성질환 유병률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특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병원의 병원적 기능이 유지되어야하고 둘째, 한센인들의 소외와 차별이 없는 기능 전환이 고려되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통합진료의 시행 과정은 먼저 소록도병원을 대표할 수 있는 특성화 진료과를 개발하여 브랜드화 시키는 것에서 부터 한센인 뿐만 아니라 장애인 및 지역사회 빈곤층 같은 소외계층을 적극 수용하는 공공성 강화의 형태로 까지 천천히 점진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한다. 이는 정부 당국, 병원 당국, 재원한센인 및 지역사회의 긴밀한 협조가 요구되는데 이의 결합 형태와 통합진료 시행에 필요한 법률의 변경 및 재정 마련 방안 등을 통합진료 모형을 통해 제시하였다. 아울러 통합진료를 효율적으로 적용하였을 시에 기대할 수 있는 예상 효과와 예상되는 문제 및 극복방안을 함께 연구하였다.

      • 장애인보호작업장 편의시설 실태에 관한 연구-J지역을 중심으로

        이승희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한민국 헌법」제32조 제1항 및 제2항에 의하면 모든 국민은 근로의 권리를 가지며 모든 국민은 근로의 의무를 진다고 규정되어 있다. 인간은 성인이 되면 직업을 통해 사회에 참여하게 되고 사회참여를 통해 자기 만족감을 느끼며 사회 구성원의 일환으로 살아가게 된다. 누구나 일을 하면서 경제적 만족을 얻고 삶의 보람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으며 이는 장애인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장애인에게 삶의 안정과 사회참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애인 고용정책은 중요한 대안으로서 의미를 갖는다.(임경민,2009). 장애인복지법,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는 장애인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활동을 통해 더 나은 삶을 영위 하도록 고용 촉진 및 직업재활에 대해 법으로 규정해 놓았고, 장애인이 준비된 환경에서 직업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대해서도 규정되어 있다. 이렇듯 다양한 법률에서 장애인들이 일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일반 작업환경에서는 일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준비된 작업환경인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편의시설 실태는 어떠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J지역의 12개의 장애인보호작업장 편의시설에 대해서 2020년 9월 14일부터 10월 23일까지 설치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은「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제2조 제1항 별표1 편의시설의 구조․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 2018년 보건복지부 장애인편의시설 실태 전수조사 조사표 등의 자료 등을 참고로 하여 작성한 5개 영역(①매개시설, ②내부시설, ③위생시설, ④안내시설, ⑤기타시설) 15개 세부 항목(①주출입구 접근로, ②장애인전용주차구역, ③주출입구 높이차이 제거, ④출입구, ⑤복도, ⑥계단, ⑦승강기, ⑧대변기, ⑨소변기, ⑩세면대, ⑪점자블록, ⑫유도 및 안내 설비, ⑬경보 및 피난설비, ⑭작업대, ⑮음료대)에 대해서 편의시설 실태조사를 하였다. 분석 방법은 세부 항목별 각각의 편의 설치 실태에 대해 4(적정함), 3(미흡함), 2(미설치), 1(해당없음)로 평가한 후 항목별 설치율에 대해 백분율로 산출하고 세부 항목별 실태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였다. 편의시설의 설치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시설의 세부 항목 중 시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항목이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시설의 복도 손잡이 점자표지판, 위생시설의 성별을 구분하는 점자표지판 및 수도꼭지의 점자표지판, 안내시설의 점자블록, 유도 및 안내설비의 점자안내판, 음성안내장치, 경보 및 피난 설비 등 시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에게 꼭 필요한 편의시설이 대체적으로 미흡한 설치를 보였다. 둘째, 지체장애인이나 보행이 불편하여 이동에 제한이 있는 이용인에게 필요한 편의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일부 시설은 승강기 등 기본적인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시설의 보완이 많이 필요해 보였다. 셋째, 작업시설 특성상 다른 장애 유형보다는 지적장애가 75%로 가장 많은 유형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래서인지 대부분의 시설에서 편의시설에 큰 비중을 두지 않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었고 편의시설의 중요성에 대해 간과하는 시설도 있었다. 넷째, 장애인 작업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편의시설이 잘 갖춰지지 않고 관리 또한 제대로 되고 있지 않는 부분은 분명 보완의 여지가 많이 보였다. 정확한 실측을 통한 편의시설 설치를 통해 실질적으로 편하고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편의시설의 설치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이 공간에서만큼은 장애인들이 불편함 없이 시설을 이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책임감 있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해 보였다. 이상과 같이 J지역 보호작업장의 편의시설 실태 조사 결과 전체적인 설치율은 76.78%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 전국 장애인편의시설 실태 결과 편의시설 설치율 80.2%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보건복지부, 2019). 영역별 편의시설을 비교를 해보면 5개의 영역 중 매개시설이 관련 규정에 가장 잘 맞게 설치되어 있고 위생시설, 내부시설, 기타시설, 안내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부족의 문제는 건물을 들어 올 때부터 이동 및 접근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은 향후 꼭 보완이 되어 시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에 대한 정보 접근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인 작업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작업대의 활동 공간, 음료대의 유효 공간 등 편의시설의 부족 문제가 있었고, 기존 건축물에 장애인보호작업장이 운영이 되고 있는 시설이 있어 2층임에도 불구하고 승강기 설치가 되어 있지 않은 시설도 있었다. 이러한 기본적인 편의시설이 되어있지 않은 부분은 분명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셋째, 작업시설 특성상 눈과 손의 협응 능력을 필요로 하여 다른 장애 유형보다는 지적장애가 7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인지 조사 대상의 대부분의 시설에서 편의시설에 큰 비중을 두지 않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장애인 복지를 위한 시설인 만큼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지체장애인 등 다른 소수의 다른 장애 유형의 이용인의 편의를 위한 시설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 넷째, 장애인보호작업장은 장애인들이 직업훈련을 통해 평생 직업을 유지하고 더 나은 취업처로 나가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중요한 시설이기 때문에 통계적 설치율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와 동시에 장애인 편의시설 규정에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확인도 필요할 것이다. Article 32, Clauses 1 & 2 of the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 stipulate that "All citizens shall have the right to work" and "All citizens shall have the duty to work." Human beings participate in the society through their occupations once they come of age. They have self-satisfaction and lead a life as members of the society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Every person gets economic satisfaction and finds life rewarding through their work, an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no exceptions. Employment policies for the disabled hold significance as important alternatives to ensure their life stability and address their issue of social participation.(Im Kyung-min, 2009).The Act on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Promotion and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tipulates that the Act stipulates employment promotion and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through occupational activities suitable for their aptitude and abilities, and also provides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se acts also contain provisions abou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o that they can receive vocational training or lead a vocational life in a work environment specially prepar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have a difficult time working in a general work environment. There are various acts stipulating physical environments where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work. It is then needed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accessible facilities as par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a "work environment specially prepared" for them that have a difficult time working in a general work environment. This study thus examined the actual installation of accessible facilities at 12 sheltered workshops for the disabled in the J region on September 14~October 23, 2020. Based on the set of detailed criteria about the structures and materials of accessible facilities in Article 2, Clause 1, Asterisk 1 of "Enforcement Regulations of Act on the Guarantee of Convenience Promo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enior Citizens,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s" and the data of surveys on accessibl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conduct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8, a checklist was devised consisting of five areas(① medium facilities, ② internal facilities, ③ hygiene facilities, ④ guidance facilities, and ⑤ others) and 15 smaller items((① ramps to the main gate, ② parking areas reserved for the disabled, ③ removal of height differences in the main gate, ④ gates, ⑤ hallways, ⑥ steps, ⑦ elevators, ⑧ closet bowls, ⑨ urinal bowls, ⑩ sinks, ⑪ braille blocks, ⑫ inducement and guidance facilities, ⑬ alarm and evacuation facilities, ⑭ worktables, and ⑮ beverage stands)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accessible facilities. For analysis, the investigator rated each accessible facility according to the smaller items on a scale of 4(proper), 3(insufficient), 2(no installation), and 1(not concerned), obtained the installation percentage of each item, and analyzed the actual and current state of each smaller item. The analysis results of accessible facilities in their actual installa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state of installation was the poorest in accessible facilities for visually- and hearing-impaired people of the smaller items. Essential accessible facilities for visually- and hearing-impaired people were generally insufficient including braille signs for the handles of internal facilities along the hallway, gender distinction in hygiene facilities, and faucets, braille blocks of guidance facilities, braille signboards of inducement and guidance facilities, voice guidance devices, and alarm and evacuation facilities. Second, there was a lack of accessible facilitie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hose who have travel limitations due to difficulties with walking. Some had no installation of basic accessible facilities including elevators, requiring end-to-end supplementation. Third, intellectual disability accounted for the biggest proportion at 75%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facilities, leaving the other types of disability behind. Most of the vocational facilities did not place huge importance on accessible facilities accordingly, and some even neglected the importance of accessible facilities. Finally, the facilities were not well equipped with practical accessible facilities and failed to manage them right despite the fact that they were vocation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hich indicates that they have a huge room for supplementation. Accessible facilities should be installed through accurate survey to ensure practical convenience and free access for the disabled. Vocational facilities need to convert their consciousness in a responsible way so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use a facility with no inconvenience at least in their spaces. The survey results of accessible facilities at sheltered workshops for the disabled in the J region reveal that the overall installation rate was 76.78%, which was lower than 80.2% in the 2018 national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accessible facilities for the disabled(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The accessible facilities were compared among the five areas, and comparison results show that mediation facilities complied with concerned regulations best, being followed by hygiene facilities, internal facilities, others, and guidance facilities in the order. The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shortage of accessible facilities for visually- and hearing-impaired people can lead to difficulties with travel and approach from the moment of entering a building. It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to reinforce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visually- and hearing-impaired people. Secondly, the facilities surveyed in the study had problems derived from the lack of accessible facilities including activity spaces at the worktables and effective spaces at the beverage stands even though they were vocation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ome sheltered workshops for the disabled were operated in existing buildings, providing no elevators for the second floor. This absence of basic accessible facilities definitely demands improvement. Thirdly, vocational facilities were predicated on eye-hand coordination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which explains why intellectual disability outnumbered the other types of disabilities at 75%. Most of the facilities surveyed in the study thus tended to place no big importance on accessible facilities. They are, however, to promote the welfare of the disabled, which means that they need to take interest in facilities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minority groups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ies including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ies. Lastly, sheltered workshops for the disabled are important facilities to serve as their channels to keep a lifelong occupation through vocational training and move to better jobs. It is thus critical to increase the statistical installation rate of accessible facilities at such workshops and, at the same time, check if they are installed right according to the concerned regulations based on ongoing interest.

      •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10학년 과학 교과서 생명 단원의 탐구 과정 및 탐구 활동 분석

        이승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화ㆍ세계화 사회라고 규정되는 21세기 사회 속에서 과학 교육의 목적은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의사결정력을 지닌 과학적 소양인을 기르는 데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과학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과학적 지식과 함께 과학 지식을 찾는 방법과 과정을 알려 주어야 하며, 탐구 과정 및 탐구 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10학년) 과학 교과서 생명 단원을 중심으로 탐구 과정 및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과학 탐구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10학년) 과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생명 단원에서 제시된 탐구에 대해 탐구 요소 및 상황 영역으로 나누어 비교ㆍ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의 수와 주제를 분석한 결과, 제시된 탐구의 수는 총 157개였고, 탐구의 주제는 총 47개였다. 탐구의 수가 가장 많은 교과서와 가장 적은 교과서의 차이가 약 2배로 나타나 교과서별로 편차가 큼을 알 수 있었다. 또한 6종 교과서가 공통으로 다루고 있는 주제 수의 비율이 한 종의 교과서에서만 다루는 주제 수의 비율보다 5배 정도 높아 각 교과서별로 다양한 탐구의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탐구 유형별로 탐구 요소를 분석한 결과, 기초 탐구의 비율이 낮은 반면 통합 탐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초 탐구만을 활용한 탐구보다 기초 탐구를 바탕으로 한 통합 탐구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과학 탐구 유형 심화ㆍ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탐구 영역별 탐구 요소 분석에서는 개념적 탐구 활동이 탐구 실험보다 2배 이상 높은 비율을 보여 개념적 탐구 활동이 탐구 실험에 비해 더 큰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탐구 상황 영역의 분석에서는 ‘과학적 상황’이 ‘개인적 상황’보다 3.3배나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두 상황을 합하면 98.1%로 탐구의 상황이 ‘과학적 상황’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사회적 상황’과 ‘기술적 상황’을 합친 비율은 2%를 넘지 않았다. 따라서 교과서 간의 탐구 수와 영역을 균형 있게 배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몇 가지의 탐구 요소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탐구 요소들이 골고루 제시되도록 해야 하겠다. 또 세계적인 동향인 STS와 관련된 상황 요소를 보강하여 학생들이 실제 생활 속에서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보탬이 되는 탐구 과정 및 활동으로 나아가야 하겠다. The objective of science education is to develop the knowledeg of science to be able to determine important decision in the 21st centry.The 21st century is the century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Thus education at school has to be focused on the getting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long with how to access the required information on science. The inquiry and research activity have to be emphasized at school science education. Our study aimed at to analyse the inquiry process and research activity on the 10th grade student''s textbook on the chapter on life which was written on the 7th curriculum.The study was done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research elements and region of situation. We found the followings: 1. The analysis on the number of researches and theme of researches , we found 157 research subjects with 47 different themes.The discrepancy on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between the most and the least case of textbooks shows that the least numbered textbook has only the half of the most numbered textbook. Six different textbooks showed fivefold discrepancy in number of common research subjects with respect to the different research subjects. 2. The fundamental research subjects are low in number in comparison with integrated research subjects so that the integrated research subjects based on the fundamental research subjects are higher. 3. The conceptual research elements are higher in number in camparison with research activity related research and the ratio is two to one. 4. Research situation analysis shows that individual situation is 3.3 times higher than scientific situation and if we add the two situations, we get 98.1% which is related to scientific situation. The social and technical situation are less than 2%. Thus, one has to struggle to distribute a well balanced distribution in number of research along with region of research. Also STS related subjects along with situation have to be added which emphasized the real problem that one can find in everyday life.

      • 외국인 노동자의 일탈성향 연구 : 원곡동을 중심으로

        이승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반적으로 외국인에 의한 범죄가 증가하는 추세에서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와 외국인 노동자에게는 이질적인 우리나라의 문화가 충돌하면서 생겨나는 사회문화적 적응의 문제에서 나타나는 외국인 노동자의 일탈 성향에 대해서 연구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외국인 노동자 집단거주 지역인 안산시 원곡동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2차 자료를 비교해 보고 이곳에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삶에 대해서 살펴보고 외국인 노동자들의 삶을 통해 드러나는 외국인노동자들의 일탈성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외국인 노동자의 현실적 상황을 바탕으로 외국인 노동자의 삶을 바탕으로 외국인 노동자의 일탈을 연구한다. 외국인 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을 크게 긍정적 적응과 부정적 적응으로 나누며 긍정적 적응의 유형에는 동조와 동화가 있으며 부정적 적응 유형에는 고립과 주변화가 있다. 외국인 노동자들은 한국에 코리안 드림을 가지고 입국하지만 외국인 노동자의 사람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외국인 노동자들에게는 아노미적 상황 때문에 한국에 입국하기 전이나 한국에 입국하여 생활하는 중에도 그리고 불법체류자라는 낙인이 되어서 한국에 생활하는 시기로 나누었을 때 외국인 노동자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구조적, 제도적, 문화적 좌절요소가 많다. 이러한 과정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한국에 입국하기 전에는 범죄의 피해자였고 한국에 입국하여 생활하는 동안의 일탈 행위는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권을 위한 생계형 범죄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한국에서의 삶 속에서 한국에 대한 나쁜 선입견이나 좋지 않은 인상을 받은 것이 실제적으로 외국인 노동자에게 일탈을 하게 되더라도 고립형의 경우 삶에 대한 의지를 잃고 노숙자가 되거나, 동사, 마약 등을 하는 사례가 많다. 생계형 일탈의 경우 외국인 노동자들이 실질적 임금을 높이려고 하는 것이기에 한국인들이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경제적 관점에서 인식체계를 바꿈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외국인 노동자의 일탈 중 혁신저항형의 일탈은 한국에서는 인권운동의 성격을 띠기도 하지만 외국인 노동자의 이전국(hometown)에 돌아가서는 반한 단체 등으로 가는 경우가 있기에 이러한 것을 위해 특별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폭력형이나 자민족을 괴롭히는 피해-가해를 둘러싼 경험과 그 관계 특성은 사회과정 속에 상이한 반응과 적응 양식을 가져 올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게 고려할 만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