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보건의료시설 가이드라인의 체계 특성 연구

        이승지,김미애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19 의료·복지 건축 Vol.25 No.4

        Purpose: At the time of consensus on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guidelines for health care facilities suitable for Korea, the paper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in the aspect of the system of the US Health Care Facility Guidelines(FGI Guideline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Since the system is significant for the guidelines to be socially accepted and operated, this study focuses on the system. Methods: Literature studie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prior studies and the 2018 edition of the FGI Guidelines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history and outline of the FGI Guidelines, the derived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were governance, procedure, and composition. First, it had multi-layered organization and multidisciplinary members. Secondly, the focus is on the procedure of gathering opinions from industry and the public. Third, the Guidelines have been continuously evolving to reflect the needs of the times and changes in the medical environment, and the content framework and method of writing are user-friendly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caused by vast contents. Implications: First, we need to consider the composition of a private organization to prepare Korean health care facility guidelines. Second, it needs a system that can induce the participation of multidisciplinary experts. Third, a comprehensive and user friendly guideline needs to be constructed.

      • KCI등재

        도시경관 측면에서 미디어파사드의 공공성 향상 방안 -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이승지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미디어파사드의 디자인과 연관된 다양한 분야(도시, 경관, 건축, 조명, 영상 등)을종합적으로 고려한 디자인 항목들을 도출하고, 이용자(시민)의 의견수렴을 통하여 도시경관 측면에서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들과 그 중요도를 판별함으로써, 미디어파사드의 공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만족도 조사 및 통계분석 결과, 미디어파사드의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4개 인자 및 그 중요도는, 하드웨어, 콘텐츠, 조망, 기술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미디어파사드의 공공성의 증진을 위해서는 중요도가 높은 인자와 각 인자의 세부 변인들의향상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최근 미디어파사드에 있어 콘텐츠가 핵심적 요소로서 강조되고 있으나, 건축물과의 통합성, 크기, 설치유형 등 하드웨어 요소가 도시경관의 공공성에 기여한다는 전제가 우선적으로 충족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중요도가 높게 분석되었던 콘텐츠에 대한 조사 대상지의 만족수준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됨으로써, 미디어파사드의 공공성 향상을 위해서는 콘텐츠 수준 향상 역시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ublicness of media façades in terms of urban landscape through a user(citizen) satisfaction survey, with the goal of identifying improvement measures of the publicness. To this end, this study derived design elements of media facades from various fields (urban, architecture, light, media, etc.) and determined the major elements that affect publicness and their importance through the user satisfaction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our factors that affect the publicness of media facades - hardware, contents, view, and display - were rated based on their importance. The factors and their associated variables for which the importance rating was high should be given preferential conside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ublicness of media facades. Although the contents factor is generally highlighted as a key element for media façades, hardware factor and variables such as architectural integration, size, and installation type should be given preference for improvement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importance rating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researched sites, the contents factor, which presented a high importance rating, appeared to have the lowest satisfaction level.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ublicness of media facades, there is also an urgent need to improve the contents.

      • KCI등재

        협력적 거버넌스로 추진된 간판개선사업 특성

        이승지,설유경 SH공사 도시연구원 2018 주택도시연구 Vol.8 No.1

        This study proposes cooperative governance as a means of solving problems in the existing pilot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The pilot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executed in Korea have so far been led mainly by the government, and such a “government initiated” passive project process does not attract remarkable attention from the community. Even though the intention of signboard improvement is to 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nd create an aesthetic feature in city, it is used as a mere cursory administrative project, and it also causes civil complaints. This is because there are problems in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that have not been solved, which in turn causes a vicious circle rather than the lack of ability of the government that fails to settle the conflicts between various stake holders. As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without consensu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intended beneficiaries of the projects are ambiguous.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tracted and examined study literature dealing with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and looked at statistics and research of the pilot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And the necessity of governance was researched by examining the limitations of pilot improvement project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high effectiveness of the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 led by residents was confirmed through analyzing the four cases extracted. Thu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need of cooperative governance as a means of solving problems in the existing pilot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and it proposed significant performance analysis data of existing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in order to find ways for highly efficient community initiated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to be incorporated into future pilot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센터 종사자들의 음악치료 관련 인식도 조사

        이승지,황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센터 종사자들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후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 영역에서 실질적인 적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220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15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의 시행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사자들은 음악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음악치료를 시행할 경우, 학교 밖 청소년에게 심리 정서적인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의 음악치료 시행 여부에 따른 종사자들의 음악치료의 인식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치료 시행기관이 미시행기관에 비해 음악치료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관에서 음악치료를 시행하지 않는 이유로는 음악치료의 인식 부족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학교 밖 청소년 대상 음악치료를 시행하고자 하는 음악치료사들뿐만 아니라 관련 전문인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학교 밖 청소년 대상으로 음악치료 영역을 확대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 등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SCOPUSKCI등재

        Chitosan, PVA, 그리고 Chitosan/PVA 피막의 특성과 사과 겹무늬썩음병균 Botryosphaeria dothidea의 포자분산 억제작용

        이승지,박동찬,김이부,엄재열,이용현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5

        Chitosan을 피막을 형성하여 포자분산을 억제하는 새로운 사과 겹무늬썩음병 방제법의 피막재로 활용코져 연구하였다. Chitosan 필름과 polyvinylalcohol(PVA)을 혼합한 chitosan/PVA 혼합필름을 제조하고 인장강도, 신장률, 점도 등 물성을 검토하였다. Chitosan/PVA 혼합필름이 chitosan 단독 필름보다 우수한 피막형성능을 보였다. FT-IR spectra 분석결과 chitosan과 PVA간에는 새로운 화학결합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Chitosan과 chitosan/PVA 필름은 Botryosphaeria dothidea에 대한 상당한 항진균활성을 보였다. Chitosan과 chitosan/PVA 필름은 생분해성평가 공시균주들에 의하여 생분해성을 보인 반면 PVA 단독필름은 생분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위의 각종 피막을 이용하여 과수원에서의 B. dothidea의 포자분산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chitosan/PVA 혼합피막이 우수한 피막형성능과 피막지속성을 보였고, 포자분산 억제효과도 가장 우수하였으며, 1%의 chitosan과 5%의 PVA를 혼합한 피막의 경우 포자분산 억제률은 97.0%에 달하였다. The applicability of chitosan, a biodegradable natural polymer, as the coating material to prevent the dispersal of the spores of the apple white rot agent Botryosphaeria dothidea, was investiga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mixed chitosan/polyvinyl alcohol(PVA) film showed the increased physical properties for film formation, such as tensil strength, elongation, and viscosity, compare to either chitosan or PVA film. The FT-IR spectra of chitosan/PVA film indicated that the film was formed by simple blending not by any new synthetic bond. The chitosan and chitosan/PVA film showed effective antifungal activity on B. dothidea. The formed films were well decomposed by ASTM strains used for biodegradability test, on the other hand, the PVA film could not be decomposed by above standard strains. The field test at apple orchard showed that the dispersal of B. dothidea spores could be effectively reduced by coated film, especially by chitosan/PVA film. The spore dispersal was reduced upto 97.0% by 1.0% chitosan/5.0% PVA film during 4 mon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