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미국의 토지이용-교통 연동계획 사례 연구

        고주연,이승일Go. Joo-Yeon,Lee. Seungil 도시정책학회 2011 도시부동산연구 Vol.2 No.2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by greenhouse gas has been increasing. Around the world many countries announced their goals for reducing global greenhouse gas. Korean government, which declared its reduction goal, need, however, practical means to achieve it. For this purpose, we researched the land-use transportation linkage planning by the MPO of the USA, which is evaluated as one of most effective policies.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and-use transportation plans conducted by the Southern California as a case study in order to make Korean planners convinced of land-use transportation linked one.

      • KCI우수등재
      • 디자인 패턴을 사용한 객체지향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엔진 개발

        이승일(SeungIl Lee),심재용(JaeYong Shim),한동수(DongSoo Han)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Ⅰ

        jFlow는 OMG에 의해서 표준으로 제정된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이다. 이 표준안은 객체지향 패러다임으로 설계되어져 있으나 효과적인 표현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서 제정된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용이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안인 jFlow의 내용을 수용하는 객체지향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설계와 구현에 있어서 디자인 패턴이 효율적인 접근 방법임을 보인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 패턴을 이용하여 설계되고 구현하고 있는 한우리/TFlow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을 간단히 소개하고 프로세스 생성과 변경동에서의 jFlow와 한우리/TFlow 시스템의 클래스 구성방식을 비교 분석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지하철 통근통행시간이 역세권의 공간범위에 미치는 영향분석

        이승일(Lee Seungil),장세진(Jang Se Ji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1D

        최근 들어 시설투자를 통하여 대중교통중심의 교통체계로 전환을 시도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대중교통수송분담율의 제고를 위하여 대중교통 역세권의 토지이용체계를 대중교통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공간구조를 고려하여 서울ㆍ수도권 지하철 역세권에 대하여 역 주변에 거주하는 잠재적 이용자를 최대한 수용할 수 있도록 역세권의 공간범위를 설정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2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의 통행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철통행시간과 보행접근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역세권의 공간적 범위를 결정하는 보행접근시간은 지하철통행시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나 공간적 위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지하철통근자의 개인속성도 공간구조적 특성과 함께 보행접근시간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대중교통중심의 개발정책에 반영할 경우 지하철의 안정적인 이용률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Nowaday, the local governments eager to change their transport system aiming for public transport oriented one.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change the land use system in the catchment areas of public transport in order to enhance its usage sustainably for the long run. This research aims to seek maximal spatial extent of the catchment areas of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in consideration of its urban spatial structure in order to accommodate the potential users living around the subway stations. For this task the empirical data of the household travel survey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nducted 2002 were analysed. It Was founded that the walking access times to the subway stations, which can represent their spatial extents, are related to their travel times, bu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given positions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The characteristics of subway commuters also affect them with the conditions. It is to be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an enhancement of its usage by applying to land-use policies of the catchment areas.

      • KCI등재

        패시브하우스를 적용한 국내 정주여건 분석에 관한 연구

        이승일 ( Lee Seungil ),안진근 ( Ahn Jinkeun ),정석환 ( Jung Seokhw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이 살기 좋은 정주여건을 만들기 위해서는 건물의 에너지 성능 향상을 통한 제로 에너지화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자립도가 높은 단독주택을 기준으로 패시브하우스의 활용 방안에 대한 필요성과 효과적인 활용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패시브하우스와 에너지 효율 관련 문헌자료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둘째, 가장 최근에 phiko에서 인증된 2019년, 2020년 단독주택 다섯 곳을 선정하여 효율성, 심미성, 편의성, 안정성, 개방성을 토대로 전문가들의 분석을 반영한 평가지표를 작성하여 국내 패시브하우스의 정주여건을 분석한다. 셋째로, 앞서 분석된 결과에 근거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패시브하우스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 운영 방안을 마련한다. (결과) 국내 사례분석의 경우 패시브하우스의 특성상 년간난방에너지요구량 1.5L로 효율 면에서 탁월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심미성에서도 지역의 차이가 다소 있을 수는 있으나 뒤떨어지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대상 주택의 지형이나 일조량, 강수량, 풍향 등의 지역 특성이나 환경적 요인에 따라 효율성 측면에서 발생하는 영향을 감안하고, 평가지표 기준을 통해 국내 패시브하우스들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로,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태양의 일사량을 유입/차단하는 차양효과를 통해 건물 내부의 냉· 난방 환경을 조절하며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켰으나, 지열, 풍력, 바이오 등 신재생 에너지의 활용은 부족한 편이다. 둘째로 패시브하우스를 설비 측면에서 분석해 본 결과 주택 건축에 가장 많이 적용된 기술은 고성능 창호와 자연 환기 그리고 폴딩도어에 적용되는 슈퍼단열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설계 및 디자인의 측면에서는 건물 내부의 공간 배치와 주변 경관을 고려한 설계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건물 외부의 심미적 추구 때문에 A/V 값이 올라가면서 열효율을 위해 단열재의 사용량이 증가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결론) 여름 고온과 겨울의 저온을 모두 겪어야 하는 특성상 국내 단독주택 패시브하우스는 대부분 냉·난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고성능 창호나 환기시스템, 슈퍼단열 시스템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태양에너지 외 신재생에너지(지력, 풍력, 바이오, 폐기물 등) 활용에 있어서는 다소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단독주택 패시브하우스 활성화를 위하여 패시브하우스의 필요성 및 적용사례를 제시하여 지속적인 정책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In order to create a settlement where human beings can live well, zero-energy through the improvement of building’s energy performance is necessar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finding a necessity and an effective utilization direction about the utilization plan of a passive house based on a detached house with high energy independence. (Method) First, I consider literature materials and precedent research related to passive house and energy efficiency. Second, by selecting five places of detached houses in 2019 and 2020 that are most recently certified by phiko, I analyze the settlement conditions of domestic passive house by filling in the evaluation index that reflects the analysis of experts based on effectiveness, aesthetics, convenience, safety, and openness. Third, I suggest the direction of passive house that maximizes the energy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and prepare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for this. (Results) I considered the effect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o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rrain, amount of sunshine, precipitation, and the direction of wind of target houses and collected the analysis results of domestic passive houses through the standard of evaluation index. First, although the energy effectiveness increased by adjusting the cooling and heating environment of the building interior through the awning effect that flows in and obstructs the solar radiation quantity in terms of energy effectiveness, the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such as geothermal heat, wind power, and bio tended to lack.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passive house in terms of facilities, the most applied technology in house construction was high performance window, natural ventilation, and super insulation system applied to folding doors. Finally, even though the plan and design in terms of space layout of the building interior and surrounding landscape are good, the cases in which the amount used for insulating to ensure thermal efficiency increasing appeared as the price of A/V increased due to the aesthetic pursuit of external building. (Conclusion) Due to high temperature in summers and low temperature in winters, the high-performance window or ventilation system and super insulation system are mostly applied to heighten the efficiency of cooling and heating in the domestic detached houses of passive house. However, the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geothermal energy, wind power, waste, etc.) besides solar energy shows a somehow weak appearance. This aspect thus needs consistent research and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