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2 : 18세기를 읽는 몇 가지 키워드, 통,흥,맛 ; 18세기 조선의 음식 담론

        이숙인 ( Sook In Lee ) 한국실학학회 2014 한국실학연구 Vol.0 No.28

        조선의 18세기는 맛과 기호를 긍정하는 ‘음식 욕망론’이 새롭게 대두되면서 전통적인 ‘음식 도덕론’과 경합하였다. 이러한 음식 담론의 변화는 심성의 수양보다는 감동과 쾌감의 가치에 주목한 사상적 변화와 맥을 함께 하는 것이다. 즉 18세기는 사상적인 다원화가 이루어지던 시기로 개혁론과 더불어 보수적인 의식이 공존했던 사회이다. 18세기의 사상계가 유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사회의 변화된 요구를 반영하는 측면에서 논의되어야 한다면, 음식 담론도 이러한 맥락에 있다. 유학에서 음식은 욕망을 절제하고 기호(嗜好)를 조절하는 주요 수단이 되어 수기안인(修己安人)의 도덕적 실천에 활용되었다. 또한 유학은 음식을 예(禮)와 결부시켜 질서와 권력을 만들고 이념과 규칙을 만들어 인간 및 사회관계에 활용했다. 그런데 유학의 주류 담론인 도덕 및 예(禮)의 음식이 18세기에는 도전을 받는데, 경전을 새롭게 해석하는 방식으로 음식의 맛과 기호가 긍정되기 시작한 것이다. 맛의 추구는 18세기가 아닌 시대에서도 특권층을 중심으로 있어왔다. 다만 18세기는 그것이 대중으로 확대되었다는 점과 도덕의 규제를 덜 받게 되었다는 점 등에서 주목되는 것이다. 맛과 기호로서의 음식은 『논어』·『맹자』·『예기』 등에서 이미 승인된 것이다. 하지만 경전 해석의 역사에서 음식은 도덕의 옷을 입게 되었다. 다시 경전의 ‘맛과 기호’를 찾게 된 조선의 18세기는 단순히 맛의 긍정에 머물지 않고, 음식을 통해 얻는 ‘즐거움’이나 ‘희열’의 경험은 의리 추구의 원리로 타진되었다. 그런데 유학의 경전에서 ‘맛과 기호’의 긍정을 끌어낸 18세기적 성과는 다시 성별화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예컨대 남성에게는 ‘먹는 예절’이 강조되었고 여성에게는 ‘조리의 태도와 방법’이 요청되었다. 또한 조선의 18세기는 음식 지식의 종합과 대중화가 추진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에 18세기 음식담론의 다양한 특성을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논증하였다. In the 18th century Korea the new discourse regarding food as desire began to contest with the traditional discourse considering food as morality. The discoursive change in the sphere of food culture went hand in hand with the thought transformation putting high value on emotion and pleasure rather than mind-cultivation. Traditional confucianism regarded food as an instrument of control of desire and taste, that is, a means of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of society. Futhermore food etiquette managed and regulated the social relationship by making order and power as well as table manner and food custom. In the 18th century, however, Korean confucianists began to take a positive approach to the taste of food by re-interpreting Confucian canon. They argued that there were paragraphs approaching food as desire in Confucian canon such as Analects, Mencius, Book of Rites, etc. Futhermore appeared the argument that pleasure enjoying food could be a means of righteousness. But this kind of food discourse which emerged in the 18th century Korea, after all, produced the gendered discourse.

      • 공공성(公共性)의 타자들

        이숙인(Lee, Sook-i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2 다산과현대 Vol.4,5 No.-

        공공(公共)의 이름으로 그들은 어떻게 구성되며, 공공성의 확보에 그들이 어떻게 동원되는가. 이 글은 조선사회가 구성한 공공성에서 타자화된 존재들에 주목하였다. 즉 공(公)의 개념이 함축하는 공도(公道) · 공의(公義) · 공론(公論) 등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해되고 실천되었는가를 두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하나는 사족 여성 김씨의 행실을 빌미로 그 자손들을 관직에서 배제시키는 사대부 관료들의 ‘공론’과 그 성격을 보는 것이다. 여기서 ‘음란 여성’ 김씨는 ‘구성되는’ 타자로서 주요 관직을 놓고 ‘경쟁자’를 배제하기 위한 논리로 활용된다. 다른 하나는 과부가 된 한 사족 여성 이씨의 규방을 감시 · 감독하는 사림들의 의리정신과 그 사회적 실천이 갖는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이 작업은 공(公)의 개념에 내포된 다양한 갈등과 타자성을 드러냄으로써 공공성의 조건을 확보하기 위한 성찰적 자료가 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d on the problem of the otherness, focusing on how the others were constructed and mobilized by the publicity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author attempted to explore the way which the publicity expressed in the name of the public way, the public justice, the public discourse was produced in the Chosun society, centering on the two cases. The first wa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opinion made by male officials who excluded a aristocratic woman(Kim)"s descendants from government office, by arguing that she made a corrupt conducts. Kim was otherized, in other words, "constructed as a obscene woman" by male officials"s competitive desire for government offices. The second was to reveal the essence of loyal spirits and social practices of male officials who tried to observe and supervise a aristocratic widow(Lee)"s living room. In conclusion, this paper attempted to disclose the various conflicts and otherness implied in conception of the publicity.

      • KCI등재

        기업의 가족 친화적 문화와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이숙현(Lee Sook-Hyun)ㆍ권영인(Kwon Young-In)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1

        본 연구는 23개 기업에서 일하는 237명의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하여, 기업의 가족 친화적 정책에 대한 인식 및 사용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경로분석 모형을 사용하여 기업의 가족 친화적 문화가 아버지들의 자녀양육 참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일-가족 갈등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 기업의 가족 친화적 문화에는 아버지들이 인지하는 가족 친화적 정책의 수, 가족 친화적 조직 분위기, 그리고 아버지들의 주당 근무시간이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9.1 프로그램과 M-plus 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버지들은 가족 친화적 정책 중 자녀 성장지원제도, 무급 휴가제도, 그리고 육아휴직제도를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아버지들이 가족 친화적 정책을 인식하고 있더라도 실제 정책을 사용하는 정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아버지들이 느끼는 일-가족 갈등이 가족 친화적 조직 분위기 및 아버지의 주당 근무 시간과 자녀 양육 참여 정도와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분석한 결과, 일-가족 갈등이 이들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들이 근무하는 기업의 조직 분위기가 가족 친화적일수록 아버지들의 일-가족 갈등이 낮아지고, 일-가족 갈등이 낮을수록 자녀 양육에 좀 더 참여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아버지들의 근무 시간이 적을수록 그들이 느끼는 일-가족 갈등이 낮아지고, 일-가족 갈등이 낮을수록 자녀 양육에의 참여가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family friendliness of Korean companies and its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 care. For this purpose, we first explored family-friendly policies of 23 Korean companies reported by 237 fathers as well as the actual usage of those policies. In addition, we prepared path analysis model to examine direct influence of family friendly workplace culture on paternal involvement and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workplace culture and paternal involvement. Family-friendly workplace culture includes family-friendly polices, family supportive work environment and father's weekly working hours. SAS 9.1 program and M-plus 5.0 program was applied to analyze the data.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analysis, Korean fathers recognized only few family-friendly policies of their companies. Financial support for child rearing, unpaid leave policy, and parental leave policy were the most frequently recognized policies. Although fathers knew about family-friendly policies, they rarely used those policies, and the actual usage rate of family-friendly polices was very low. The result from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number of family-friendly policies recognized by fathers and fathers' weekly working hours directly influenced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 care. In addition, fathers' work-family conflict was par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ive work environ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and between fathers' working hours and paternal involvement.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위기 극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숙인(Lee Suk-In),김갑숙(Kim Gab-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학교 부적응으로 인하여 학업중단의 위기를 극복해내는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그들이 살아낸 이야기를 통해 그 경험의 의미를 삶의 한 부분으로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질문들은 첫째, ‘학업중단 위기와 극복과정을 어떻게 경험하였는가?’, 둘째, ‘학업중단 위기 극복의 경험은 그들의 성장 과정에 어떤 의미를 구성하는가?’이다. 연구 참여자는 고등학교 시절에 학교 부적응으로 인하여 학업중단 위기를 경험하였으며, 이를 극복한 대학생 2명이다. 연구자료는 연구참여자가 고등학교 재학 시절부터 대학에 진학한 후까지 이루어진 심층 인터뷰자료, 상담자료, 기억상자, 참여자의 문자 내용 등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탐구 결과로서 교사들이 학교 부적응 청소년들의 잠재적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들의 학업중단 위기 경험을 긍정적인 관점으로 바라보고 조력 활동을 함으로써 그들과 함께 학업중단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교 부적응 청소년들이 학업중단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 학교 교육과 교사의 역할에 시사점을 준다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depth exploration into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s of being at risk of dropping out of school due to school maladjustment and overcoming the crisis, and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s as part of their lives through the stories of their lived experiences.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at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during the crisis of dropping out of school an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risis and what meanings their experience of overcoming the crisis has in relation to the process of their personal growt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o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and overcame the crisis of dropping out of school due to school maladjustment in high school. The research data used in-depth interview data, counseling data, memory box, and mobile phone text messages of participants from the period of high school enrollment to after entering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method of narrative inquiry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inquiry showed that teachers can overcome maladjusted students crisis of dropping out of school together with them by discovering their potential, looking at their experiences of the crisis of discontinuing school from a positive point of view, and providing assistance and support for them.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roles of school education and teachers in the process during which adolescents at risk of dropping out of school due to school maladjustment are overcoming the crisis.

      • KCI등재

        15세기 조선의 改嫁 논쟁

        이숙인(Lee Sook-In) 한국동양철학회 2009 동양철학 Vol.0 No.32

        15세기의 조선에서는 과부의 개가를 둘러싼 두 차례의 대논쟁이 있었다. 성종 8년(1477)의 ‘개가 금지법 제정(制定)’을 둘러싼 1차 논쟁과 연산 3년(1497)의 ‘개가 금지법 개정(改定)’을 둘러싼 2차 논쟁이 그것이다. 과부 개가의 문제가 정치 현안으로 대두된 표면적인 이유는 유교 윤리에 입각한 풍속과 강상(綱常) 질서의 확립이었다. 총 46명의 학자 관료가 참여한 1차 논쟁은 10% 미만의 극소수의 주장으로 개가 금지법 제정으로 결론이 났다. 그것은 ‘재가녀자손금고법’으로 성종 16년(1485)에 공포된 『경국대전』에 등재되었다. 그 시행으로 복잡하고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자 법 개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총 29명이 참여한 2차 논쟁이 구성되었다. 이 글은 두 논쟁을 중심으로 개가를 규제한 예의 논리와 개가를 논죄한 형(刑)의 논리를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그 사상사적 의미를 모색한 것이다. 과부 개가에 대한 두 차례의 논쟁은 크게 금지론과 허용론으로 구성되는데, 전자가 원칙론과 의리론에 근거했다면 후자는 시의론(時宜論)과 인정론(人情論)에 근거했다. 한 쪽은 그 시대의 주요 가치인 절의(節義)의 원칙론에 충실했다면, 다른 한 쪽은 물질적 정신적 어려움에 직면한 과부의 현실에 주목했다. 각 주장은 가부장적 사유 구조와 유교 지식이라는 공통의 기반에 서 있지만 개가에 대한 이해와 그 접근 방식은 일률적이지 않았다. 이것은 가부장제사회의 보편적 여성인식을 보여주는 동시에 15세기 조선사회가 구성하는 여성 형상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이 논쟁은 남성 엘리트 계층이 소외된 여성 계층을 어떻게 보고 어떻게 말하는가를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듣는 효과를 보여준다. 논쟁에서 드러난 사대부 남성들의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인식은 이 시기의 사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자료가 된다. 즉 15세기의 두 논쟁은 과부의 고단한 현실을 진지하게 고민한 것이기보다는 상층부 지식인들의 이데올로기 논쟁의 성격이 짙다. 여기서 조선사회가 유교를 수용하여 전개시키 방법 및 태도의 한 특면을 엿볼 수 있다. In the fifteenth century, there were two great arguments on remarriage of a widow in Joseon society. The First was the argument around the enactment of prohibition law of widow's remarriage in the eighth year under the reign of Seongjong(in 1477) and the second was the argument around the enactment of prohibition law of widow's remarriage in the third year under the reign of Yeonsan'gun(in 1497). The nominal reason the problem of widow's remarriage was rising as a political issue was the establishment of custom manners and moral order. The first argument in which forty-six scholarly government officials participated resulted in the institution of prohibition law of widow's remarriage by the assertion of less than 10% participants. Henceforth, the enforcement of the prohibition law of widow's remarriage brought about a lot of social problems.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the amendment of the prohibition law was proposed and broke out the second argument in which twenty-nine scholarly government officials took part. This paper analyzes the logic of the principle regulating widow's remarriage and passing judgement of widow's remarriage and re-illuminates its meaning in terms of history of ideas.

      • KCI등재

        지속과 변용의 측면에서 본 19세기 유학의 젠더 담론

        이숙인(Lee, Sook I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9 인간연구 Vol.0 No.39

        젠더 인식의 측면에서 19세기는 불변의 시대이면서 변화의 시대였다. 유교적 규범이 지속되고 강화된다는 점에서 불변이라면, 여성의 경험이 지식 구성의 재료가 되고 여성의 가치가 다양해진다는 점에서 변화이다. 양극단의 두 흐름을 통해 19세기 젠더 담론의 이상과 현실을 드러내고자 했다. 먼저 남녀의 성품이 다르다는 전제로부터 여성의 역할을 끌어내는 유교 고유의 젠더 규범이 19세기에도 변함없이 강조되었다. 전통과의 연속성이 강한 전반기는 물론 개항을 기점으로 유교의 위상에 변화가 온 후반기에도 유교 근본주의자들의 여성 인식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전통 규범의 지속과 강화의 입장에 선 유학자들의 젠더 담론을 품성론과 역할론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품성과 역할의 담론은 여성을 대상화하고 활용하기에 유용하다는 점에서 젠더 위계를 유지하는 핵심 개념이다. 변화를 모색하는 흐름을 추적하며 세기 벽두의 두 여성 지식인의 저술에 주목했다. 임신·출산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의 여성 몸과 유교규범을 넘어선 역사 및 신화 속 여성들, 그 발견은 19세기 여성 인식의 지평을 여는 것이다. 또 여성 담론의 주체가 다양해지면서 은폐되었던 하층 여성들의 존재가 드러나고, 순종이 아닌 주도하는 ‘통 큰’ 여성들이 소개되는 등 시대에 따른 변화가 포착되었다. 유교적 젠더 규범을 지속시키려는 입장과 그 변용을 모색하는 입장이 공존했던 시대의 실상을 구체적 자료를 통해 확인하고 그 의미를 찾아보고자 했다. The 19th century in terms of gender awareness was an age of immutability and change. While Confucian norms were continued and strengthened, during that period, women’s experience became a material for the composition of knowledge and women’s values were diversified. This paper tried to reveal the ideal and reality of Confucian gender norms of the 19th century with focus on the two streams. On the one hand, Confucian gender norms were invariably emphasized in the 19th century. Confucian gender discourses advocating continuation and reinforcement of traditional norms, therefore, were analysed, with emphasis on characterism and role theory. The character and role in Confucianism is the key concept of maintaining the gender hierarchy. One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the 19th century began with two female intellectuals. Yi Sajudang rediscovered a woman’s body as a place where pregnancy and childbirth take place, and Yi Bingheogak introduced the various lives of women beyond Confucian norms. Also, in the 19th century, the lives of lower-class women were revealed as the subject matter of the gender discourse diversified. In conclusion I tried to find out the reality and meaning of the era when the position to continue the Confucian gender norm and the position to seek its variation coexisting.

      • KCI등재

        소문과 권력

        이숙인(Lee, Sook-I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0 No.-

        이 글은 16세기 중·후반의 조선에서, 학계와 정계에 풍파를 일으킨 한 사족 부인의 음행 소문을 재조명한 것이다. 소문의 주인공 함안 이씨는 상당한 재력을 가진 晋州의 진사 하종악의 후처로 들어와 28세의 나이에 과부가 되었다. 家奴와 음행을 저지른다는 그녀에 대한 소문은 곧 獄事로 전개되었다. 이에 이씨 배후의 ‘권력’과 南冥 曺植(1501∼1570)의 ‘권력’이 충돌하면서 陰謀說과 庇護說이 제기된 가운데 논쟁으로 격화되었다. 여기에 경상 지역의 명사들은 물론 중앙 정계의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게 되는데, 이 논쟁은 조선의 주연급 인사들이 총출연한 한편의 드라마를 연상케 한다. 한 여성에 관한 사소한 소문이 공론화되고 지역적으로 확대되면서 다양한 권력 관계를 함축하는 사건이 된 것이다. 함안 이씨의 사건은 남명의 편지글과 정인홍의 글 그리고 진주 옥사에 대한 조정의 회의 기록, 퇴계의 편지글 등을 통해 그 대강을 파악할 수 있다. 소문에서 촉발된 이 사건은 그 자체로 존재하기보다 각자의 방식대로 재구성되고, 인용의 인용을 통해 끊임없이 생성되었다. 소문의 구성은 여성의 性(sexuality)이 소재가 되지만, 혈연과 학연에 따라 입장과 주장이 서로 대립되었다. 이씨의 소문에 대해 남명으로 대표되는 하종악 전처 측근과 李楨(1512∼1571)으로 대표되는 하종악 후처 측근이 서로 달랐고, 남명 문인과 퇴계 문인이 서로 달랐다. 소문 사건 이후에는 소문 그 자체의 문제보다 소문이 사건화되면서 발생한 문제들에 대한 상반된 기억과 주장들이 제기되었는데, 남명과 이정의 손자들의 조부 옹호론과 노론계열 인사들의 ‘남명론’이 있다. 소문을 보는 관점과 내용의 차이는 시간이 흐를수록 첨가되고 각색되는 양상을 보인다. 소문은 사회의 도덕적 기준과 이데올로기를 생산하고 유통시키는 매개역할을 하는데, 특히 여성에 관한 소문은 성별화된 위계질서를 지지하는 지식과 권력의 긴밀한 공조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런 점에서 함안 이씨의 소문 사건은 여성의 性에 대한 유교의 정치학과 사림 정치가 열리는 16세기 후반의 사회적 특성을 통해 의미화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reexamine the rumor of a woman’s adultery, which raised a disturbance in academic and political sectors in the 16th century Chosun Dynasty period. The woman, whose family name is Lee and whose family clan is Haman, and is directly concerned with the rumor, became the second wife of Ha Jong-Ak, a rich, upperclass man in Jinju(晉州) county in Kyung-sang province. She became a widow at the age of 28. The rumor that she had engaged in an obscene act with her slave developed into a great controversy between those who advocated for her and those who opposed her. Cho Sik(曺植, 1501-1570), a great scholar, was a representative of the group that opposed her. Many political leaders of the central government, including prominent figures of Kyung-sang province, also took part in the controversy. This great dispute reminds of a drama in which all of the major figures of the Chosun Dynasty appeared. A trivial rumor about a woman increasingly expanded into public opinion, and finally developed into an affair, which had various political implications. This paper explored the meaning of this rumor and affair by concentrating on the social context of the latter part of the 16th century.

      • KCI등재

        삶과 앎의 문제로 본 이사주당 - 인물 재구성을 통한 여성사상사 서술의 시론 -

        이숙인 ( Lee Sook-in ) 한국여성사학회 2017 여성과 역사 Vol.0 No.26

        본 논문은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80여 생을 산 이사주당을 삶과 앎의 주제로 재구성한 것이다. 삶과 앎의 문제를 통한 인물의 재구성은 두 영역을 범주화하고 개념화할 필요가 있다. 먼저 삶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범주는 혼인을 통한 가족의 구성이기에 25세의 나이로 사취부인이 된 사주당의 혼인관계를 살폈다. 양반 남성은 자신의 혼인 횟수와 무관하게 4, 50대의 나이에도 초혼의 여성과 혼인하는 것이 당연시되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진주류씨세보』를 참고했다. 이이서 가족 관계를 만들어 간 사주당의 노력과 성과를 구체적 자료를 통해 살피고, 그녀의 살림과 나눔의 정신이 깃든 경제생활에 주목했다. 사주당 부부는 일상을 나누고 학문을 토론하는 동반자적 관계였다. 아들에게는 출세보다는 자신을 위한 학문을 하도록 이끌었고, 딸들에게는 문자생활을 통한 자기표현의 길을 열어주었다. 다음으로 사주당이 추구한 앎의 성격으로 `위기(爲己)`와 `실용(實用)`에 주목 했는데, 그녀의 저술 『태교신기』는 경험의 지식화라는 측면에서 조명했다. 마지막으로 앎과 삶을 일치시키고자 한 사주당의 노력이 주변 여성들에게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고, `여중유현(女中儒賢)`으로 기억되고 서술된 이사주당의 여성 사상사적 의미를 논하였다. This paper reconstructs the life of Yi-Sajudang(李師朱堂1739-1821) focusing upon her life and knowledge. Yi Sajudang was the mother of Yu Hui(柳僖, 1773∼1837) who wrote Eonmunji(諺文志) and a vast amount of Muntong(文通).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and conceptualize the two spheres, living and knowing, in order to reconstruct Yi-Sajudang`s life holistically. The most important category of her life was family-making based upon marriage. The convention was that a Yangban man, even if he be poor, should always marry a virgin. In other words, men`s marriage had nothing to do with their age or their past sexual and marital experience. In this contex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eatures and meaning of the marital relationship between Yi-Sajudang and her husband, arguing that Yi-Sajudang`s domestic life is based upon the spirit of sharing. Yi-Sajudang guided her son through his professional career path, leading her to express herself through texts. As an author she defined her knowledge system as Learning For One`s Own Improvement(爲己之學) and Pragmatic Learning(實用之學), estimating the value of her book, A New Writing for Prenatal Education(Taegyo-Shin`gi), in terms of the intellectualization of experience. Sajudang also based her discussions of prenatal care upon Yeol`nyeo-jeon, yet her arguments were quite different from what had been discussed in the past. Yi-Sajudang`s efforts to integrate knowledge and life gave influenced her female neighbours. Finally the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life as described by Yi Sajudang and her memorialisation as a sage in Choson women`s intellectual history.

      • KCI등재

        일반논문 : 『목민심서』 속, 가족의 두 얼굴

        이숙인 ( Sook In Lee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6

        이 글은 18~19세기 조선후기 사회, 가족의 이념을 읽어내고 그 현실을 살펴보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즉 『목민심서』 속의 가족은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고, 가족을 통해 사람들은 무엇을 추구하는가를 보고자 한 것이다. 『목민심서』의 성격 상, 이 속의 가족은 일반적인 교훈서나 이론서에서 제시된 그것과는 다르다. 하지만 그것은 다산의 이해와 해석을 통한 것이라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목민심서』 속의 가족으로는 `修身齊家`의 대상인 수령 자신의 가족이 있고, 수령 정치의 기초 단위가 되는 民의 가족이 있다. 이 두 가족에 대해 수령이 갖게 되는 태도와 의미는 다를 수밖에 없다. `公的`인 임무가 가족의 `私的`인 정서와 혼동되지 않아야 한다는 맥락에서 수령의 가족은 관리의 대상이 된다. 반면 民의 가족은 수령의 적극적인 보살핌과 배려를 요구한다. 즉 養民과 敎民의 임무를 띤 수령은, 民의 생존 문제를 가족의 형성과 유지를 통해 모색했고, 그 삶의 의미를 孝弟慈라는 가족적 가치에서 찾고자 했다. 수령이 직면한 두 가족은 그의 정치적 성패를 결정하는 관건이었다. 한편 『목민심서』를 통해 본 가족은 天倫의 본질적인 존재로 孝弟慈라는 선천적인 도덕 감정이 내재되어 있다고 보는 방식과 가족 속에는 자기 이해와 자기 욕망을 가진 개인들이 존재한다고 보는 방식이 있다. 전자가 가족에 대한 이상의 측면이라면 후자는 수령 정치가 직면한 현실 가족이다. 여기서 어떻게 가족의 `본질적`인 의미를 보존하면서 가족 속 개인의 현실을 담아낼 수 있을까 하는 문제가 생긴다. 조선후기 사회에서, 가족의 상징체계와 생활세계 속의 현실 가족은 어떻게 갈등하고 협상하며, 家族愛와 公共善은 어떻게 경합하고 공존하는가 등의 문제를 『목민심서』를 통해 읽어내고자 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idea and reality of family in 18th and 19th century Chosun by focusing on Mongmin simseo, written by Chung Yak-yong(1762-1832), a famous thinker, during that period. Mongmin simseo is a guidebook for a newly appointed county governor`s local administration. This paper put stress on three points. (1) There are two kinds of family for local governor to face in the county. The one is his own family, the other is the family of the people. I analysed what two forms of family meant for governor`s political activity. (2) We find two levels of family in that text. The one is ideal type of family, which is based on inborn morality such as filial piety, fraternity, and affection. The other is actual type of family which consists of individuals` own interests and desires. (3) I concluded that family love and public good co-exist, contesting each other in Mongmin simseo.

      • KCI등재

        조선후기 가정론(家政論)의 성격 : 양생(養生)과 치산(治産)

        이숙인 ( Sook In Lee ) 한국사상사학회 2013 韓國思想史學 Vol.0 No.45

        이 글은 ‘가정 건사’ ‘가정 경영’의 뜻을 가진 가정(家政)의 방법과 사상의 조선후기적 특성에 주목하였다. 조선시대의 가정(家庭)은 천리(天理)가 구현되는 인륜적 공동체이면서 물질적인 재화를 필요로 하는 현실적인 공간이었다. 둘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가정을 지탱하는 두 가지 축이다. 그럼에도 사상사의 내적 동인이나 시대적인 외부 요인에 의해 한 쪽이 강화되면 다른 한쪽이 약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조선전기는 성리학적 가족 이념의 수용과 정립이라는 사상사적 과제 위에서 부자·형제·부부의 명분론적 실천과 효제충신의 학습에 주력하였다. 즉 가족 윤리의 구현이 ‘가정 건사’의 핵심 주제가 되었다. 조선후기에는 가족 이념의 정착과 확산을 토대로 가족의 현실적 모습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이에 의리와 윤리에 가려져 있던 양생(養生)과 치산(治産)의 가치가 전면으로 등장하였다. 삶을 기르고 풍요롭게 하는 문제가 가정론의 화두가 되면서 가족의 신체 건강과 안전이 강조되고, 음식 관련 지식의 집적과 체계화가 이루어졌다. 특히 위생과 음식 등 양생의 지식들은 경험과 고증을 통한 여성학자들의 참여로 보다 전문화되고 심화되었다. 또한 가정 생활에 필수적인 재화의 생산과 관리가 가정론의 주요 주제가 되었다. 이에 재화(財貨)에 관한 유학 경전의 담론이 물질 긍정의 측면에서 재해석되었고, 청빈(淸貧)의 표상되던 ‘가난과 궁핍’이 무책임과 게으름으로 해석되었다. 주자학의 이념형 가족에서 실용 경영의 가족으로 변모된 조선후기에는 여성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조선후기에는 산림(山林)에서 생업을 도모하는 학인(學人)들이 ‘내 몸 내 집’ 다스리는 l가정(家政)을 정치가의 ‘경세제민(經世濟民)’의 일과 대등하게 놓으면서 그 자체 독자적이고 완결성을 가진 하나의 ‘사업’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조선후기 가정론의 입론은 이러한 지적 조류가 자원이 되었다. 나아가 조선후기 가정론이 공사논(公私論)적 젠더에 기초한 근대 학문 ‘가정학’의 성찰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s on housekeeping which means household management in late Chosun dynasty. The discourses on housekeeping in early Chosun dynasty pursued the establishment of Confucian family ideology and put stress on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together with loyalty and sincerity. Simply put, in that period the core of home management was the realization of family ethics. In late Chosun period, however, they had interest in the material condition of family. At the same time the value of health preservation and property management was emphasized. The health and security of family members was much debated and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goods necessary for family life become the core theme of discourses on household. While the discourses on goods in Confucian classics were reinterpreted positively, poor but honest living was regarded as inresponsibility and idleness. The family discourse connected to the problem of health and hygiene in late Chosun period became more specialized and deepened by woman scholars, and also women played the important role of goods production and household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