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체험학습장으로서의 도시묘지 활용

        이숙미,오충현,Lee, Sook-Mee,Oh, Choong-Hyeon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6

        본 연구는 도시묘지가 갖는 현장체험학습장으로서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이다.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미국 사례와 우리나라 사례를 비교하여 차이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묘지는 지역 내 현장체험학습장으로 충분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도시는 더욱 풍부한 교육자원을 가지게 되며, 주민과 학생에게는 현재보다 다양한 교육 기회가 제공될 수 있다. 미국 사례와 우리나라 사례를 비교한 결과 미국의 묘지에서 활발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은 묘지를 정원이나 공원과 같이 경관적으로 아름답고 쾌적하게 조성하고, 생태적으로 건강한 숲으로 보전해 왔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사회 묘지를 현장체험학습 장소로 적극 활용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기피시설이나 혐오시설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할 수 있도록 묘지를 리모델링하고 장묘문화를 변화시킨다면 묘지가 도시지역에서 부족한 현장체험학습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is study found the possibility of using cemeteries within the locality as field trip destination. A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s active progress has derived the difference and the implications. Therefore, this article found that the cemetery has sufficient resources based on experience-learning place within the community. Therefore, when the active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it gained more abundant resources for education, as well as provided more different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than now. As the result of comparison, the reason why the educational program is actively progressing in the American cemeteries is that a beautiful and fresh environment has been built up such as a park or garden in a cemetery and has been preserved as a healthy forest ecosystem. Furthermore, it is because they actively used the cemetery within a community as the subject. If our cemetery can be renovated and the funeral culture can be changed to break down the image of an avoidable unpleasant facility, it would play a role as a field for learning experience.

      • KCI등재

        봉산 생태,경관보전지역 팥배나무 군락 보전방안

        이숙미 ( Sook Mee Lee ),오충현 ( Choong Hyeon Oh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2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5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basic data base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of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in Bongsa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ctual vegetation showed that rate of vegetation cover were composed of 72.3% of Robinia pseudo-acacia Forest, 10.7% of Sorbus alnifoila Forest, and Sorbus alnifoila was founded as a dominant woody plant species in the Core Zone of Bong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Sorbus alnifolia Community in Bong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welve 100 ㎡ sized plots were set up in Bongsa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the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of Sorbus alnifolia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an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To analyze annual diameter growth rate for major tree species, nine sample trees from research plots were measured. Expected ages of Sorbus alnifoila trees were 27~37years, Robinia pseudo-acacia trees were 17~26 years,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Prunus sargentii, and Quercus mongolica trees were 27~38 years. As a result, annual diameter growth rates of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rigida tended to remarkably decreased, Sorbus alnifoila had the wood on inter-specific competition of the woody plant species. Importance values of Sorbus alnifoila in the three layers of Sorbus alnifoila communities were evenly high

      • KCI등재

        노숙인 자활증진 커뮤니티가든 프로그램을 위한 국내 노숙인의 특성 및 현황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이숙미(Sook Mee Lee),김인호(In Ho Kim) 인간식물환경학회 2015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8 No.2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 for understanding and getting the condition of the community garden program for improving self-support of the homeless. The homeless have got social concern upon foreign exchange crisis referring to IMF in Korea, they have not been reducing even if we thought that they could rehabilitate. The homeless person has higher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prevalence rate than ordinary person, so their health care is very important for rehabilitation, because health is related with will for rehabilitation. The purpose to support the homeless is to make them rehabilitate, not to make them isolate, and so the best method for it is to offer a work and a job training course. In the terms of a basic right of live, various services have been supporting to the homeless for basic living and social integration. While the supportive housing policy has been conducting for resolving the basic reason of sleeping out in the open recently, various services have been trying continually to link with supportive housing. Instituting the community garden to such supportive housing will offer to the homeless comprehensive service such as improving sociality and offering a space for job training through physical and mental health care and a space of communication for rehabilitation.

      • 제4분과 : 생태계 서비스 ; 도시묘지의 이용행태 특성 및 이용자 만족도

        이숙미 ( Sook Mee Lee ),오충현 ( Choong 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도시묘지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시환경의 위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겨나게 되었다. 오늘날 도시에서 묘지는 주택·공원·녹지·도로·수도 등과 함께 도시생활에서 필수적인 도시기반시설이다. 그런데 도시묘지의 묘지의본래 기능인 시신의 위생처리 이외에 주변 지역 환경을 조절해주는 냉섬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역사문화의 교육장소로도 활용되고 있어 생태계서비스 제공 공간으로 매우 중요한 장소이다. 정보의 홍수, 첨단기기의 발달, 단독세대의 증가 등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생활에서 생활권 공원과 도시 외곽의 도시숲은 지친 심신을 회복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매력적인 공간이다. 그러나 도시묘지는 인근 주민들의 휴식과 운동으로 이용하는 사례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혐오시설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의 도시묘지를 이용하는 방문객들의 이용행태의 특성을 파악하고 생태계서비스 중 문화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도시묘지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제고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묘지를 재정비하거나 신규 조성을 계획할 때묘지 연고자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을 위한 공간조성을 고려한 계획 및 관리에 반영하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에는 조선시대 왕릉 5개소와 국립묘지 2개소, 묘지공원 4개소, 공동묘지 1개소가 있다. 서울외국인묘지공원과 서울추모공원을 제외한 묘지들은 일부 산림이 유지되고 있는 토지이용을 갖고 있다. 본 연구대상지는 국립서울현충원, 선릉, 망우리묘지공원, 서울외국인묘지공원, 방학동천주교묘지이며, 이는 각 유형별 묘지 중 도심에 위치하거나 인근에 주거지역이 입지한 조건을 갖고 있는 묘지이다. 도시묘지가 제공하고 있는 공급서비스, 조절서비스, 문화서비스의 생태계서비스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관계, 교육적 가치, 장소성, 문화다양성, 여가활동, 관광, 심미적가치, 문화유산적 가치, 영적·종교적 가치를 포함하는 문화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각 묘지에서 총 487명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식이나 추석 등 주요 성묘일이 아닌 주말 조사 시 50대 이용객이 가장 많고, 직업군을 분석한 결과 주부, 학생, 회사원의 순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빈도는 주 1회 이상 이용한다는 이용객이 가장 많았고, 시간 날 때마다 1~2시간 이상 친구와 함께 휴식과 산책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이용객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방문객의 약 60%는 대상지까지 걸어서 이동하였고 묘지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방문객은 약 27% 정도로 나타났다. 도시묘지의 대상지별 문화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 대상지를 실제로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만족도와 문화서비스 평가지표 9가지에 대한 인식정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 대상지별 평가에서는 국립서울현충원이 80.99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외국인묘지공원은 82,51점, 망우리묘지공원은 65.83점, 방학동천주교묘지는 52.02점으로 평가되었다. 도시묘지 유형별 종합평가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국립묘지가 84.53점, 왕릉이 80.99점, 묘지공원이 73.46점, 공동묘지가 52.02점으로 평가되었다. 국립묘지와 왕릉이 묘지공원보다 유의하게 높고, 묘지공원은 공동묘지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묘지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IPA분석을 시행한 결과 도시묘지에서의 이용편의성은 중요하다고 생각하면서 만족도도 높아 유지강화 해야 하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점진적인 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는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회를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접근성, 경관, 쾌적성, 안전성, 역사성, 운영관리 항목은 중요도는 낮으나 만족도가 높아 지속적인 관리로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5개소의 도시묘지는 모두 90% 이상의 녹지율을 나타내고 있으나, 산림에 위치한 곳과 도심의 공원으로 조성된 곳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이용행태를 조사한 결과 설, 한식, 추석 등의 특정일이 아닌 날에는 성묘를 위한 방문객보다는 운동, 휴식, 산책을 위한 인근 주민들의 이용이 상당히 많은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시림이나 도시공원과 달리 학습을 위한 방문객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묘지가 주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에서도 지역사회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다양한 현장학습이 가능하며, 주변에 부족한 녹지공간으로써 심신의 휴식을 취할 수있는 공간으로 여기고 있었다. 또한 도시묘지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어 문화유산적 가치가 있는 장소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볼 때 도시묘지는 기피하거나 혐오스러운 시설이기보다는 이미 생활환경 주변에서 운동과 휴식을 위한 공간이자 학습과 문화의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것을 알 수 있었다. 도시림과 도시공원이 갖고 있지 않은 역사와 문화의 장소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며, 묘지라는 특성으로 개발의 손길에서 벗어나 도시의 부족한 녹지로서 쾌적한 녹지공간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도시묘지는 생태계서비스의 공급, 조절, 문화서비스가 고르게 발휘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면 훌륭한 도시녹지 자원으로 손색이 없을 것이다.

      • KCI등재

        수목장림의 조성 및 관리 방안 -인천가족공원을 대상으로-

        오충현 ( Choong Hyeon Oh ),김용훈 ( Yong Hoon Kim ),이숙미 ( Sook Mee Lee ) 한국환경보건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0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3 No.3

        As social environment of Korea was changing, the cremation is increased instead of traditional funeral culture. Therefore woodland burial appears new funeral culture in Korea. This research had been executed to find out the problem of soil and vegetation environments of woodland burial forest. The case study was worked at woodland burial in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which was national pilot project. The problem of soil and vegetation environments were surveyed in slope, soil compaction, actual vegetation, vegetation communities,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and so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woodland burial construction didn`t consider the damage and management of vegetation environment in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Problems for the Law on funeral facilities of Korea is a lack of natural friendly standards for slope, management on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facilities for users in it. It had steep topography, soil compaction, reduction of species diversity and poor plant growth on woodland burial in Incheon Family funeral Services. Therefore the users of it increase in the future, vegetation environment of woodland burial will be devastated. And so we need to improve standards of woodland burial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o settle down burial culture of woodland burial in Korea.

      • 일제 강점기 서울지역 장묘시설 연구

        이숙미,오충현 동국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2008 산업기술논문집 Vol.17 No.2

        Funeral facilities are valuable demands for urban land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direction of advanced funeral facilities in urban area of Korea by analyzing about problem of funeral facilities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So we researched the status of funeral facilities of Seoul (ex, public cemeteries, crematoriums, etc.) in this period. The Japanese government who didn't consider the Korean custom and tradition had applied the public cemetery system in this period. In 1910s, the Japanese government procured the national land of Seoul, and they promulgated the rules for grave yard in 1912. Also cremation system was started and made municipal crematoriums. Cremation had been inhibiting in Chosun dynasty. In 1920s, lacking of public cemeteries was a social problem of Seoul, because of unplanned public cemeteries. And so many new cemeteries were established in Seoul. Many existing incongruent public cemeteries were transferred to building site. In this period, urban planning was started, but the grave yard policy was insufficient. In 1930s, the urban planning Acts was promulgated, and the boundary of Seoul was enlarged. And so population seriously increased, many graves were disappeared. The grave yards were transferred to residences area, schools, roads, etc. In 1940s, according to the seoul government's program to control graves, 5cemeteries was established radially far from the urban center. The Japanese government enforced the system of public cemeteries without the land use planning. For this reason it should be repeated that facilities was moved and newly was established. The poor civilians also became the needy, thrown out and wandered from place to place, because of policies for colony. They made mud huts near the public cemeteries and lived. But the Japanese government removed mud huts and continuously transferred the facilities to residences area because of housing shortage. Since that times, the most people have been thinking that the public cemeteries are a factor to inhibit the urban developments. Seoul was not enough to have the funeral facilities to take a million population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But Seoul is still worried about the shortage of funeral facilities with ten million population. The existing funeral facilities system is difficult to solve this situation. To solve this problems, we should introduce the new funeral facilities system, which is appropriate to present age.

      • 백악산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한 산림 관리방안

        이숙미,오충현 동국대학교 자연과학 연구원 2008 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get a plan of the forest management. This search set up 7 plots (1,400 m2) as survey target area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there was Pinus densifliora in the only upper layer and was not in the middle layer and lower layer. In the middle and lower layer, many Quercus spp. was founded. And so it was judged that succeeding generation of Pinus densifliora would be unattainable. Therefore, to conserve the Pinus densifliora community, the Quercus spp..in the underlayer of Pinus densifliora shoud be rem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