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해중합 반응과 에스테르 교환반응의 동시 실행에 의한 PET병의 재활용

        이수복,최우식,Lee, Su-Bok,Choe, U-Sik 한국섬유공학회 1997 한국섬유공학회지 Vol.34 No.2

        Depolymerisation of post-consumed PET bottle during in situ transesterification with BMT and EG was studied and the kinetics of transesterification, thermal, mechanical properties of samples prepared at different PET scrap contents were investigated. Transesterification conyersion, calculated from effluent methanol, decreased as PET scrap content increased in the reaction mixtur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ET prepared with 20, 3owt% PET scrap were similar to the original PET but decreased at PET scrap content of 40w1ole and in the case of ORP. Thermal properties were similar to original PET at all PET scrap contents. Intrinsic viscosity was found to decrease at 40% and ORP but found to be higher in other cases.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bottle and samples containing PET showed different peaks from the original PET.

      • KCI등재

        초기 말더듬아동의 치료효과 예측변인 연구

        이수복(Soo Bok Lee),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2

        배경 및 목적: 초기 말더듬아동의 말더듬 회복 및 지속에 대한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말더듬 발생 1년 이내의 2-5세 말더듬아동을 대상으로 상호작용치료 후, 3개월 후의 유지기간 동안 부모요인 변화가 아동의 말더듬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상호작용치료효과 예측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후향적(retrospective) 연구로서 18명의 말더듬아동을 연구대상으로18개월 시점의 비유창성 빈도를 기준으로 회복집단아동(12명)과 지속집단아동(6명)으로 구분하였다. 상호작용놀이 상황에서 2차례 발화를 수집하여 아동발화길이(평균형태소길이) 및 비정상적 비유창성 빈도, 부모의 발화길이, 말속도, 반응시간, 의사소통행동(질문하기, 지시/간섭하기)을 분석하였다. 결과: 말더듬 회복 예측모형은 3개월시점에는 상호작용치료 후 부모의 발화길이, 부모의 지시/간섭, 부모의 반응시간, 부모의 조음속도가 회복을 82% 예측하였고, 6개월시점에는 부모의 질문과 직접치료 후 아동의 발화길이가 유창성 회복을 37% 예측하였다. 요약하면, 초기 말더듬아동의 유창성 회복에 부모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접치료를 하는 중에도 상호작용치료의 효과가 부모에게 계속 유지되게 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논의 및 결론: 임상적 의의는 치료 시기별로 초점을 두어야 할 목표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치료결과 및 반응을 예측하여 치료의 효과비용을 높이고자 하였다. 학술적 의의는 치료 시기별 말더듬 회복에 긍정적인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초기 아동말더듬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하며 아동말더듬 치료예후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Objectives: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PCIT) is a widely used indirect approach to promote the fluency of young children who stutter by modifying their parents' interaction 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CIT by identifying factors predicting the frequency of disfluency in the stuttering of persistent and recovered groups. Methods: PCIT was given to the parents of 18 children for 3 months. After PCIT, direct ther-apy was given to all children.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two times (at 3 and 6 months after the initial evaluation) and were analyzed to identify contributing factors to predict stuttering persistence and recovery.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redictive model at 3 months predicted 82% of recovery by utterance length, communication behav-iors, response time, and articulation rate of parents. On the other hand, the predictive model at 6 months (1 month after direct therapy) predicted 37% of recovery by parent's questioning and utterance length of the childre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using both PCIT and direct therapy for children to improve and maintain treatment outcome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a therapy approach for young children who stutter needs to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whether their stuttering problems are persistent or have recovered.

      • KCI등재

        ‘코로나 블루’가 대중가요 가사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2019년과 2021년 인기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이수복(Su Bok Lee),박재록(Jer Ok Park) 한국대중음악학회 2023 대중음악 Vol.- No.31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전후의 인기 대중가요의 장르, 가사의주제, 가사의 정서를 분석․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과 2021년두 해의 멜론 연도 차트 100곡을 선정하여 총 200곡의 각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인기 대중가요는 팬데믹 이전에 비해 장르에서는댄스 음악의 비중이 높아졌고, 주제는 이별보다 사랑을 다루는 내용이 많아졌으며, 정서는 긍정적이고 높은 각성을 갖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사회 전반의 분위기가 어두운 시기에 유행하는 인기 대중가요는긍정적이고, 쾌활한 방향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통해 사회의분위기가 변함에 따라 대중음악의 속성도 변화한다는 기존의 이론을 재확인할수 있었고, 그 속성이 사회 분위기에 반하는 방향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를 통해 사회 위기 상황에서 발생한 대중가요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어이후 사회와 대중가요에 관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genres, themes, and emotions expressed in popular music before and during COVID-19 using a dataset of the top 100 charting yearly songs from the Melon music streaming service in 2019 and 2021. The study focuses on the “Corona Blue” effect and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link between stress during the pandemic and negative emotions.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the dance music genre and positive themes in lyrics. Moreovoer, there was a decrease in negative themes, such as “breaking up,” and an increase in themes, such as “love” in the song lyrics. Furthermore, the emotion of the lyrics tended to be more positive and arousing in 2021 compared to 2019. These findings reinforce the theory that elements of popular music change as the social atmosphere changes (in this case, the social atmosphere was indirectly correlated with popular music themes) and offer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ID-19 pandemic and trends in popular music.

      • KCI등재후보

        담배가격 인상에 따른 흡연율 및 금연계획의 변화

        이수복(Bok-Soo Lee),서정안(Jeong-An Seo)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22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는 2015년 담배가격 인상 정책 전후의 흡연율 및 금연 계획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토대로 담배가격을 인상하기 전 2013년도와 인상을 시작한 2015년, 그 후 2017년도의 인구 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소득 5분위, 직업분류, 교육 수준, 고혈압 유병, 당뇨병 유병)과 건강행태(음주, 스트레스 인지, 비만)에 따른 흡연율 변화와 금연 계획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13년의 흡연율은 23.3%, 2015년의 흡연율은 20.5%, 2017년의 흡연율은 21.0%로 나타나 담배가격을 인상하기 전보다는 흡연율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담배가격 상승은 사회학적 변인 중 소득, 직업, 교육 수준은 흡연율의 차이를 보였고 건강행태는 흡연율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배가격 인상이 금연 계획 증가에 일시적인 효과를 보였으나 금연계획의 상승이 반드시 흡연율 감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에는 성별, 연령별, 사회적 요인별로 맞춤형 금연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금연계획이 흡연율 감소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국가적인 차원에서 노력이 필요하겠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크게 확인하지 못한 건강행태에 따른 연구도 진행되어야 하며 향후 가격인상 정책을 고려하거나, 새로운 정책을 시행할 경우 본 연구가 흡연율 영향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moking rates and smoking cessation plans before and after the cigarette price increases in 2015. Therefore,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 of the change in smoking rate and cessation plans with sociological variables (gender, age, income quintile, occupation, education level, hypertension, diabetes) and health behaviors (drinking, stress perception, obesity) in 2013 before the cigarette price increases and in 2015 and then in 2017. Results indicated that the smoking rate in 2013 was 23.3%, the smoking rate in 2015 was 20.5%, and the smoking rate in 2017 was 21.0%, indicating that the smoking rate de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cigarette price was raised. Among the sociological variables, the cigarette price increases showed a difference in the smoking rate of income, occupation, and education level, and health behavior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moking rate. In addition, the cigarette price increases showed a temporary effect on the increase in the smoking cessation plan, but the increase in the smoking cessation plan did not necessarily lead to decrease the smoking rate. Therefore, in the future, efforts will be needed at the national level to provide custom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s by gender, age, and social factors so that the smoking cessation plan can lead to decrease the smoking rate. In addition, Research on health behaviors that were not identifited in this study should also be conducted.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the prediction of the impact of smoking rate in case the price increases policies are considered or implemented.

      • 키즈카페 공간구성에 나타나는 감성디자인 요소 분석 - 복합문화시설형 키즈카페 중심으로 -

        이수복(Lee, Su-Bok),남경숙(Nam, Kyung-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9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3

        Each year, the number of children due to the falling birth rate decreased dramatically, and the need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along with rising economic power increased by double-income, telecommuting, and flexible working systems increased time spent with their children. This has led to a steady growth in the kids industry as parents invest in their children, and has led parents to find indoor play areas where they can do what they need at the same time with their children. In line with this, the Kid"s Cafe has emerged, combining commercial spaces such as play areas where children can be active and cafes where parents can rest. The size of the kids industry is growing every year, and more recently, it has become a complex form of cultural facilities by operating education and experience activities for children by introducing programs other than simple play and relaxation areas. Children achieve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by their surroundings and various factors, and experience through these processes affects their emo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id"s Cafe interior sensibility design elements and provide them as basic data to satisfy the emotional needs of the main users of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말더듬 회복 여부에 따른 초기 말더듬아동의 언어능력

        이수복(Soo-Bok Lee),이다연(Da-Yun Lee),심현섭(Hyun-Sub Sim),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1

        배경 및 목적: 초기 말더듬아동의 치료예후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말더듬 회복집단과 지속집단을 판별하는 것은 실제적이고 이론적으로도 관심이 높지만 두 집단 간에 표면적으로 유사한 점들이 많기 때문에 판별하기가 어렵다. 다양한 요인 중에서 말더듬 치료후 말더듬 회복 여부를 예측하기 위해 말더듬아동의 언어능력을 초기평가 시점과 18개월 후에 자발화를 분석하였다. 한국어의 교차언 어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의미론적, 구문론적 프로파일을 모두 분석하였다. 방법: 부모-아동의 상호작용 자발화에서 NDW (다른 낱말수), MLC-w (평균낱말길이), 격조사 빈도, 연결어미 빈도를 초기 평가 시점과 18개월 시점에 분석하였다. 말더듬 아동들은 간접치료와 직접치료를 받았다. 통계분석은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 Spearman 비모수 상관분석(Spearman nonparametric correlation analysis) 및 다중단계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그룹 간에 언어 예측인자를 탐색하였다. 또한, 구형성 가정을 만족 시키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Mauchly의 구형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집단 간에 다른 언어 프로파일 특성이 발견되었다. 지속집단은 초기 방문 시 언어수행력이 떨어졌지만, 18개월 시점에는 격조사 외에는 다른 요소들은 모두 회복집단과 유사한 정도로 향상되었다. 질적분석에서도 집단 간에 서로 다른 경향을 보여, 격조사는 지속집단을 예측하였으며, 연결어미는 회복집단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논의 및 결론: 언어능력이 초기 말더듬아동의 회복과 지속을 예측할 수 있는지, 한국어만의 특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어 격조사와 연결어미가 말더듬 회복과 지속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다수의 인원으로 추가적인 언어 프로파일 연구가 필요 함을 제안한다. Objectives: Predicting the prognosis of children who stutter during early childhood is critical. Thus, it is of practical and theoretical interest to identify who will recover from stuttering and who will not, yet this is not an easy task due to overlapping surface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groups. We investigated whether language skills at the initial visit can predict 18-month outcomes of stuttering severity. We examined both semantic and syntactic profiles that represent cross-linguistic features of Korean. Methods: A longitudinal study obtained children’s language skills, such as number of different words (NDW), mean length of C-unit in word (MLC-w), the number of case markers, and the number of connective endings across time periods (initial visit vs. 18 months later). Children received both indirect and direct therapy. A repeated one-way ANOVA, Spearman non-parametric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plore the language predictors that can discriminate between groups. Results: Different linguistic profiles were found between groups. The persistent group performed poorly on language variables at the initial visit, even though they all caught up in 18 months, with the exception of the use of case markers. Qualitative analysis showed different tendencies between groups. It was the number of case markers predicting later stuttering severity level in the persistent group and connective ending was the predictor in the recovered group. Conclusion: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how initial language skills can disentangle children who will recover and persist. Cross-linguistic features important to consider when explaining these results are also highlighted. Additional research on language profile in children who stutter is suggested.

      • KCI등재

        Trinucleotide Repeat Polymorphisms of SBMA Locus in Koreans, Chinese, Japanese and Caucasoids

        이수복(LEE Su-Bog),후등순(GOTO Jun),김택일랑(KANZAWA Ichlro),박용하(PARK Yong-Ha),평정백수(HIRAI Momoki) 대한체질인류학회 1997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0 No.2

        SBMA(Spinal bulbar muscular atrophy)는 HD (Huntington’S Disease), MJD (Machado-Joseph Disease), SCA1(Spinocerebellar ataxia type1), SCA2 (Spinocerebellar ataxia type 2) DRPLA (Dentatorubral-palhdoluysmn atrophy)와 같은 진행성 신경질환이며 최근 몇 년간의 보고에 의해서 이들 질환의 원언이 되는 각 와위 속에 존재하는 3 엽기 반복배엽의 이상증폭이 이들 질환에 직접적으로 관련하고 있음이 확인원 바 있다 또한 HD 관련좌위인 IT15 에 존재하는 CAG와 CCG의 Tnplet 반복배영의 다형성 등에 관한 연구보고에 의하면 이틀 3염기 반복배열은 환자, 비환자집단 공히 Mongoloid, Caucasoid, African의 인류의 대표적 3그룹간에 그 유의성이 보고되어 있으며, MJD SCAI SBMA등도 몇몇의 population 단위로 조사되어 그 집단간의 차이가 보고되어진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일본인, 중국인 (북방한족) 코카소이드의 비환자집단에 한해 SBMA 와위상의 3염기 반복배열의 다형성을 조사해보았다. 그 결과 4집단 공히 Allele Size의 분포가 정상분포의 영태를 보였으며 이는 이미 보고된 HD SCAI MJD 좌위의 3염기 반복배영의 다형성의 분포와는 구별되는 영태라 할 수 있겠다 몽고 로이드갱단 중에서 한국인 중국인보다 일본인이 평균 Allele size 와 전제적 분포에서 코카소이드집단에 유전적으로 가까운 분포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