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콘텐츠 산업의 포스트 코로나19 이슈 탐색 연구 : 신문기사의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중심으로

        이수범 ( Soobum Lee ),송민호 ( Minho Song )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2021 언론문화연구 Vol.30 No.-

        본 연구는 국내의 포스트 코로나19에 대비하기 위한 콘텐츠 산업에서의 주요 정책적 이슈를 발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빅카인즈에서 ‘포스트 코로나 and 콘텐츠’의 키워드 조건을 만족하는 406개의 기사를 수집하였다. 이후 수학적 산출 기준을 통해 89개의 핵심어를 분석 대상으로 의미연결망 분석과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관광 산업, 지역산업, 글로벌 진출 전략, 기업 성장 강화, 에듀테크, 콘텐츠 산업 지원, 콘텐츠 전환 서비스, 문화예술 산업 등 총 8개의 하위 이슈를 식별하였다. 8개 하위 이슈 간의 일관성 및 주제의 근접성을 파악하기 위해 밀도 매트릭스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콘텐츠 산업 지원과 에듀테크의 주제 일관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지역 산업과 관광 산업, 콘텐츠 산업지원과 지역 산업, 에듀테크와 콘텐츠 전환 서비스, 콘텐츠 전환 서비스와 기업 성장 강화의 순으로 주제의 공유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글로벌 진출 전략과 문화예술 산업은 단독적인 주제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하위 이슈 간의 정책적 유기성 강화를 위한 방안과 더불어 소외된 산업 분야의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한 언론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major policy issues in the content industry to prepare for post COVID-19 in Korea. To this end, BIG KINDS collected 406 articles that met the keyword conditions of ‘Post COVID-19 and Content.’ This study then performed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ith 89 key words analyzed through mathematical comput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analysis, a total of eight sub-issues were identified, including tourism, regional industries, global expansion strategies, corporate growth, EduTech, content industry support, content conversion services, and cultural arts industries. We analyze the density matrix to determine the consistency between the eight sub-issues and the proximity of the topic. As a result, content industry support and EduTech’s topic consistency level are the highest. Next, the level of sharing of topics is high in the order of local industry, tourism industry, content industry support, local industry, EduTech and content conversion service, content conversion service and strengthening corporate growth. On the other hand, global expansion strategies and cultural arts industries have been shown to form a single them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strengthen policy organicity between each sub-issue and the role of the media to evoke interest in the marginalized industrial sector.

      • KCI등재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제19대 대통령선거 TV토론의 수용자 반응 연구 연관어 분석과 감정어 분석을 중심으로

        이수범 ( Soobum Lee ),김용준 ( Yongjun Kim ),이선정 ( Sunjeong Lee ) 방송문화진흥회 2018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2

        본 연구는 이번 19대 대통령선거 기간 동안 실시된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TV토론을 통해 트위터에서 발생한 여론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각광받는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진행한 연구이며, 트위터 계정을 대상으로 수집된 방대한 자료들을 ‘소셜메트릭스’를 이용하여 연관어 분석과 감정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주관한 총 3회의 TV토론일을 기준으로 각각 전일과 익일 총 18만 7,851개의 계정에서 발생한 트위터 메시지를 분석하였다. 19대 대선 TV토론과 관련한 연관어와 감정어 분석 결과, 일부 멘션에서는 ‘팩트’, ‘팩트체크’ 등 발언 및 공약의 신빙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부분의 경우 TV토론에서 나타난 각 후보자들의 토론 태도와 능력, 각종 발언과 더불어 후보자의 제스처와 말투 등 이미지에 주목하여 여론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를 통해 트위터 이용자들이 후보자의 정책과 공약보다 이미지나 발언에 주목하고 이에 대한 평가 혹은 감정들을 중심으로 여론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TV토론에 대한 트위터상의 연관어와 감정어 분석을 통해 이용자들의 반응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TV토론과 이를 시청하는 유권자 반응에 대한 다양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analyzing public opinion about televised debates during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This study applied social big-data to examine a great number of tweets by using analysis of related keywords and emotion words. According to the result, audiences focused on respective candidates’ attitude toward debates, speech skills, and content of speech in the televised debat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audiences attempted to participate in fact-checking of policy and election pledges. This result reveals that televised debates can contribute to the shaping of public opinion in the election campaig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worth to note debates’ original goals and functions during the election by revealing that audiences more focused on image or speech of candidate than policy and election pledges.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기획자, 경험자, 비경험자간 인식 차이

        이수범(Soobum Lee),손영곤(Youngkon, Soh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에 관한 리터러시 기획자와 리터러시 경험자, 리터러시 비경험자 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에 기초한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객관적 일치도의 경우 리터러시 경험자와 비경험자 간에 일정 부분 인식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주관적 일치도와 관련하여 리터러시 비경험자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모든 요인에 대해 리터러시 기획자나 경험자와 차이를 지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도에 대해서는 리터러시 경험자와 리터러시 기획자가 추정한 경험자의 관계에서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었을 뿐, 다른 집단간 상호 인식에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리터러시 비경험자 집단의 경우 미디어 리터러시의 의의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To analyze media literacy practitioners’, media literacy experienced, and media nonexperienced persons’ perceptional differences toward media literacy, this study adopted co-orientation model, using agreement, congruence, and accuracy. This study analyzed empirical relationships among their own perception, their inference about others’ percep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media literacy practitioners and media literacy experienced persons on agreement. Also, media literacy nonexperienced persons didn’t perceive media literacy practitioners and media literacy experienced persons perception on congruence. On accuracy,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literacy experienced persons and media literacy practitioners toward media literacy constructs was similar, and that there was a hug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practitioners,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persons. And, media literacy nonexperienced’s persons didn’t seem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 literacy.

      • KCI등재

        모바일, SNS, MCN 미디어 시대에 데이터 어낼리틱스 기반 미디어 시너지 제고 방안: ‘미디어 소비단위’별 연결망 분석을 통한 접근

        이수범(Soobum Lee),봉연근(Yonkun Bong),오윤석(Yoonsuk Oh)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6

        본 연구는 정보의 전달속도와 정보의 전달능력이 중요시 되는 모바일, SNS, MCN 미디어 소비 시대에 총도달량만을 나타내는 정량적 지표인 시청률(청취율, 구독률, 페이지뷰) 등에 의한지상파TV의 광고매체가치를 규정하는 틀에서 벗어나 데이터 어낼리틱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미디어 소비단위별로 갖는 광고매체적 시너지가치를 측정하는 분석지표를 산출하였다. 아울러 모바일, SNS, MCN 미디어 소비 상황에서 이와 같은 분석지표를 활용하여 전체 매체 시너지를 최적화하는 멀티플랫폼 미디어 믹스 운용방안에 대한 실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SNS, MCN 시대 미디어 소비 연결망에서 매개(betweeness) 중심성은 정보의 흐름을 제어하고 미디어 교차소비를 통한 정보노출 단계에서 통제력이 높은 미디어 소비단위(‘플랫폼-시간대’)를 찾아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고, 매개중심성이 높은 미디어 접점으로서 ‘플랫폼-시간대’ 노드가 갖는 멀티플랫폼 미디어로서의 가치는 한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댓글 및 추천활동 등이 해당 접점에 노출된 수용자의 미디어 교차소비 활동과 연계되어 광고 미디어 가치를 높이려는 매체목표를 갖고 있는 경우에 효과적임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특정제품군 구매(예정) 집단의 미디어 소비 특성에 기반하여 잠재적 경쟁브랜드 간의 최적 미디어 믹스와 주어진 특정미디어 소비단위에 맞는 잠재 광고주 발굴 방안에 필요한 미디어 믹스 수행과정 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기도 한다. This study calculated an analysis index to measure the synergy value of advertising media for each media consumption unit by data analytics methodology, away from the framework of defining the advertising media value of terrestrial TV based on ratings (listening rate, subscription rate, page view), which is a quantitative indicator of total delivery. Specifically, in the media consumption network in the era of mobile, SNS, and MCN, the betweeness centrality plays a role in finding the media consumption unit ('platform-time zone') that has the greatest control ove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flow. The value of the 'platform-time zone' node with a high betweeness centrality as an advertising medium is to increase the advertising value by linking word of mouth effects or comments of consumers. In addition, practical guidelines on how to operate multi-platform media mix that optimizes overall media synergy using these analysis indicators in the context of SNS and MCN media consumption through mobile were proposed. In this process,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posed the optimal media mix between potential competitive brands and the media mix required to find potential advertisers suitable for a given media consumption unit based on the buyer-graphics of a specific product group.

      • KCI등재후보

        TV 채널 이미지가 채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수범 ( Soobum Lee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1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채널의 브랜드 이미지가 채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호, 독특함, 장점, 재미, 진지 등 8가지 측정 아이템과 기존 연구에서 차용한 아이템들을 결합해서 채널 브랜드 이미지의 새로운 측정도구를 제안하고, 이를 통해 채널 이미지와 관련된 기존 연구의 한계점들을 극복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본 연구는 전술한 측정 도구를 이용해서 한국의 5대 TV 채널의 이미지를 측정한 후 그러한 이미지가 채널 충성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브랜드 연상 관련 요인 중에서는 선호와 강점이, 그리고 브랜드 개성 관련 요인 중에서는 재미, 능숙, 세련됨 세 요인이 충성도를 결정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how a channel’s brand image can affect channel loyalty. To this end, this study develops a new channel brand image measurement tool which consists of 8 items (favorability, uniqueness, strength, excitement, sincerity, competence, sophistication, and ruggedness) and combines previous measurement indic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is topic. The study uses the index to measure the image of 5 broadcasting channels in Korea before testing how the results affected channel loyalty through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in terms of brand associations, favorability and strength influenced channel loyalty while, in terms of brand personality, excitement, competence, and sophistication affected channel loyal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소셜미디어와 선거캠페인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

        이수범 ( Won-ki Moon ),문원기 ( Soobum Lee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선거분야에서의 소셜미디어 이용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시도로 국내에서 발표된 소셜미디어 정책PR 연구에 대해 메타분석과 동향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소셜미디어 이용이 정부나 정치인에 대한 지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셜미디어가 정책PR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소셜미디어 이용에 따른 정치성향을 분석한 결과 진보적 성향의 공중이 소셜미디어 이용에 좀 더 활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향분석 결과, 소셜미디어와 선거캠페인에 대한 연구는 2010년 이후 꾸준히 지속되고 있었으나, 최근 들어 주제의 다양성이 감소하고 연구의 수도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소셜미디어는 캠페인에서 중요하게 활용할 수 있는 미디어라는 것이 밝혀졌으나, 어떻게 효과가 발생하는지 그 구체적인 과정이나 활용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부족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meta-analyzed published studies about social media usage in political election campaig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studies about social media use which related to public relations of political election campaig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eta-analysis, published studies cited social media use had influences on intention of support for the political candidates. Therefore, the government and politicians can use social media for policy making and management of public relations. Specifically, previous studies found that social media users with liberal political orientation tended to use social media politically. According to the research trends analysis, researchers have been continuously published the social media studies about political campaigns. However, recent studies reduce the diversity of the subject. Furthermore, the quantity of research paper has decreased. Future studies have to extend the study area of social media use in the election campaign to understand how social media engages public relations between political organizations and public.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