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적 분석을 통한 상담과정 중 내담자 지혜 발달 연구

        이수림,양미진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 folds; One is to look at whether clients could develop their wisdom through the counseling process and the other is to figure out the factors which promote the clients' wisdom development(WD).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opted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lients defined the wisdom as both a widened perspective and calmness; Second, the clients reported positive changes in the areas of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personal relationships; Third, the clients who reported an increase in their wisdom level were those who attended therapy voluntarily,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with a complaint in their personal relationships. Fourth, among a therapist's counseling skills, sympathy, confrontation, suggestion, and interpretation were considered as helpful for the client's WD. Lastly, the therapist’s thoughtful concerns and considerations to the clien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clients' WD. 본 연구는 상담을 통해 내담자의 지혜가 발달하는지와 내담자의 지혜 발달을 촉진시키는 상담과정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담에 참여했던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합의에 의한 질적 방법(CQR)을 사용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을 통해 문제가 해결되고 도움을 받았다고 보고한 내담자 10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내담자들은 비선정내담자들에 비해 상담전보다 지혜가 증가하였고 현재 증상정도가 경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는 지혜를 조망의 확대, 평정심으로 지각하였고, 상담을 통해 인지적, 정서적, 행동 및 관계적 측면에서 지혜로워졌다고 하였다. 둘째, 내담자는 상담을 통해 인지적, 정서적, 행동 및 관계 측면에서의 변화를 보고하였다. 셋째, 상담을 통해 지혜가 발달한 내담자는 비교적 장기간 상담이 이루어졌으며 상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고 상담받기 이전에 관계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넷째 상담과정 중에서 공감, 직면, 제안, 해석 등의 상담기법이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움이 된 상담자의 요인은 내담자를 향한 배려와 관심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논의하였으며 함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 가출예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수림,김은영,송미경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1 청소년상담연구 Vol.19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run-away prevention program for the youth and to test its effectiveness. A need analysis with 884 of 6th grader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elementary students' needs for this program.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 with runaway adolescents who were staying at a shelter was conducted in order to derive basic components of a run-away prevention program.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ults of need analysis, a short-term runaway pre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which could be run in a classroom as a unit. The runaway pre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covers the following areas;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runaway, ways to manage one's stress, ways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parents in conflicts, and ways to ask for help. The guidebook for parents and manual book for teacher have been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was tested with 430 of 4th, 5th, 6th graders, and its effectiveness was evaluated using pre-, post- and followup-test along with questionnaire on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tress coping and in thoughts on runawa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developing the runaway pre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which could be run at a school setting.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출을 예방하기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대상 가출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운영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문헌과 선행 프로그램을 고찰하고, 초등 학생 6학년 대상 요구조사, 가출 청소년 대상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가출예방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는 가출에 대한 지식, 합리적인 스트레스 대처, 부모와 갈등 시 의사소통 방법, 가출 시 도움 요청하는 방법으로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를 토대로, 초등학교에서 활용 성을 위해 2교시 단기교육프로그램과 애니메이션 등 시청각 교구재를 개발하고, 부모교육자료 및 교사용 자 료집도 함께 개발하였다. 시범운영 결과, 실험집단의 가출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사 후 및 추후검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참가자 및 교사, 부모 평가에 있어서 긍정적 만족도가 나타났다. 따 라서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가출 예방에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적용점,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 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정신화 척도(Korean Version of The Mentalization Scale)의 타당화

        이수림,이문희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5

        이 연구는 Dimitrijević 등(2017)이 개발한 정신화 척도(The Mentalization Scale: Ments)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전체 358명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수집된 자료를 무선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첫 집단 160명은 탐색적 요인분석 자료로, 다른 집단 190명은 확인적 요인분석검증 자료로 사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한국판 정신화 척도는 원 척도와 동일하게 3요인 모델로 나타났고,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3개 문항을 제거한 총 25문항의 3요인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문항의 내적 일치도는 .88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의 내적 일치도는 .74 - .84로 원척도에 비해 다소 높거나 비슷하였다. 준거 타당도 검증에서 정신화 척도는 공감, 마음챙김, 정서자각, 삶의 만족도, 애착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경계선 성격특성, 우울, 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일련의 검증을 통하여, 한국판 Ments를 타당화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imitrijević et al.(2017) developed The Mentalization Scale(Ments) for Korean. A total of 358 data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data were used as follows; the first group (N=160)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ata and the other group(N=190) a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the same three-factor model as the original scale through the EFA, and the 3-factor model of the total 25 items without the three items was appropriate in the CFA.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otal items was .88 and the sub-factors was .74-.84, which was little higher or similar than the original scale. The criterion validities were verified, Ment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empathy, mindfulness, affection awareness, satisfaction of life, and attachment. And Ments was negatively related borderline personality, depression, and anxiety. The Korean version of Ments were verified through the EFA, CFA, and criterion validiti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판 지혜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수림,조성호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Wisdom Scale and examine the validity of the scale. The Korean Wisdom Scale was developed and identified its validity b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he Korean Wisdom Scale consists of five factors, which are ‘Outlook and Insight’, ‘Adjustment of Emotion’, ‘Perspective Taking’, ‘Integration of Experience’, ‘Concern and Comprehension’. Those five factors indicated the reasonable fit index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his scale identifi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as satisfaction and meaning of life,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it indicated a negative relation with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neurosis and clinging. Also, the scale was differentiated from Adult Self-transcendence Inventory.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is scale has a reliable criterion-related validity.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relation with futur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의 지혜 연구 기초를 마련하기 위하여 한국판 지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 척도 문항들을 수집하고,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56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먼저 567명(M=27.52세)의 대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지혜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새로운 대학생 및 일반인 참가자 566명(M=27.84세)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본 척도 요인구조의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전체 참가자 대상(N=1,133)으로 지혜 척도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한국판 지혜 척도는 다섯 개의 하위요인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고, 하위요인들은 ‘안목과 통찰’, ‘정서조절’, ‘조망수용’, ‘경험의 통합’, ‘관심과 포용’이었다. 그리고 본 지혜 척도는 만족할만한 신뢰도,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척도가 갖는 의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비대면 수업 및 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

        이수림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필수 교양 영어 교과목을 비대면으로 수강한 대학생과 대면으로 수강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비대면 및 대면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의 개인 변수에 따라 자기주도영어학습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으로 구성된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을 측정하는 설문 조사를 실시했고, 신입생 284명의 자료를 IBM SPSS 27.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 영어 수업을 비대면으로 수강한 대학생과 대면으로 수강한 대학생들의 자기주도 영어학습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7개 하위요인 모두에서 비대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평균 점수가 대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고, 7개의 하위요인 중 학습동기, 학습활동의 지속성, 학습자원 이용관리 요인에 대한 평균의 차이와 전체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둘째, 비대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은 성별, 영어 어휘 수준, 영어에 대한 흥미도, 하루 평균 학습 시간이라는 개인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 평균 점수의 차이가 일정한 패턴을 보이기도 했다. 셋째, 대면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은 성별, 영어 어휘수준, 영어에 대한 흥미도, 하루 평균 학습 시간이라는 개인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일부 개인 변수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개인 변수의 종류에 따라 비대면 수업을 수강한학생들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과 비슷한 결과도 있었으며, 반대되는 결과도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수업 및 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발견하고, 비대면 및 대면 영어 교양 과목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쉼터 거주 가출 청소년의 가출 이전과 이후의 경험에 관한 연구

        이수림,송미경,김은영,손현동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2

        본 연구는 가출 청소년의 가출 이전부터 가출 이후의 경험을 질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쉼터에 거주중인 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합의에 의한 질적 방법(CQR)을 사용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출 청소년들의 가출 이전의 자신의 모습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지만은 않았다. 둘째, 가출 이전의 가정생활은 경제적 문제, 가정해체와 같은 가족의 구조적인 문제 외에도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나 심리적인 역동과 같은 기능적인 문제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첫 가출과 재 가출의 공통점에는 충동적인 결정, 가족문제, 주변의 지지 부족이 있었으며 차이점으로는 첫 가출 때보다 재 가출에서 청소년들은 비행, 생활고, 범죄경험 등으로 더욱 힘들고 취약해졌다는 것이다. 넷째, 가출청소년들은 쉼터의 생활과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기간 제한이 있는 것을 불편하게 생각하였다. 다섯째, 대부분의 가출 청소년들은 가출 경험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목표를 가지고 계획을 세워 가출했던 청소년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 and perspective of runaway adolescents in their lifetime. In doing so, authors interviewed eight runaway adolescents who have stayed in shelter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by CQR.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revealed that runaway adolescents recognized their self positively as well as negatively before the runaway. Their family showed relationship problem as well as structure problem including a family breakdown. The first and following runaways exhibited common reasons. However, runaway adolescents reported more delinquency, hardship in life, and crimes in their re-runaway than in the first runaway. Fourth, adolescents reported positive experiences about a shelter but dissatisfied with limitation in staying. Finally, most runaway adolescents considered their runaway experience negatively, whereas an adolescent viewed his/her runaway experience positively when (s)he has the pla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

        이수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9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on the relation between traumatic event type, posttraumatic growth and wisdom by the data from 247 adults by using path analysis. Besides,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variables between traumatic event type groups. At first, The results of the MANCOVA, person-related traumatic event group were higher than the non-personal traumatic event group in negative coping and trauma stress level, and lower in social support, positive coping, posttraumatic growth and wisdom. The path analysis results shows that traumatic event type was related to wisdom by mediate factors. Traumatic event type affected wisdom through social support, positive coping, posttraumatic growth. The significant mediators were social support, positive coping, posttraumatic growth. Negative coping was not a significant mediator between event type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results show that non-personal traumatic event group are tends to have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positive coping, posttraumatic growth, and wisdom. In the end, we described that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본 연구는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모형에서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47명의 성인자료를 대상으로 외상경험질문지, 스트레스 대처 반응 검사, 사회적 지지척도, 외상후성장 척도, 초월적 지혜척도를 실시하였다. 먼저, 두 외상 유형 집단인 대인외상 집단과 비대인외상 집단을 비교하여 외상후성장과 외상 정도, 사회적 지지, 대처, 지혜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비대인외상집단의 사회적 지지, 긍정적 대처, 외상후성장 및 지혜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대인외상집단의 외상 정도, 회피적 대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을 경로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외상 유형이 사회적 지지, 긍정적 대처, 외상후성장을 매개로 지혜에 영향을 주었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 긍정적 대처, 외상후성장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외상 유형에서 긍정적 대처로 가는 경로와 사회적 지지에서 회피적 대처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회피적 대처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결과를 종합하면, 비대인외상 유형이며, 사회적 지지가 높고, 긍정적 대처를 사용할수록 외상후성장이 높고 지혜가 발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외상에 대한 개입방안,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