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紫霞 申緯의 「貊錄」에 나타난 春川의 表象

        이성형 한국한문고전학회 2023 漢文古典硏究 Vol.4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epresentation of Chuncheon in 「Maekrok」 by Jaha Sinwi (1769~1845). 「Maekrok」, which contains 131 Chinese poems written while serving as a governor of Chuncheon, and 223 numbers, tried to reflect Jaha's careful observation and inspiration of the seasonal scenery of Chuncheon in his works. In 「Maekrok」, Jaha expressed the geographical place of Chuncheon and everyday life in Chinese poetry, projecting and symbolizing his own experience and sensibility. First of all, looking at the representation of ‘Gaeunhyang(可隱鄕)’ like fairyland, it seems that Jaha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name of the pavilion of the Chuncheon government office or the surrounding place names such as Mt. Bongui(鳳儀山) in connection with the actual scenery. Because of thi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natural result that Chuncheon was represented as a fairyland. Furthermore, the perception has changed to a place where one can expect a retreat. Next, looking at the representation of Chungin-hyang(忠仁鄕) with Maekpung(貊風), Jaha discovered the Chungin(忠仁) tradition of Maekguk(貊國) in Chuncheon and tried to edify the people well by giving good selection as a pastoral official.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Chuncheon, he created ‘Maekpung(貊風) 12 Chapters’, a kind of farming song, which shows that his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the style of Maekguk(貊國) deepened. Lastly, looking at the representation of Mukyeon(墨緣) as a literary culture, Jaha made a connection with many people in Chuncheon by chanting poems or prose, or through works or letters on the signboard. In addition, with Jaha's reputation, his silent relationship gradually widened, such as leaving a piece of writing in a scenic spot in another place.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conditions for Chuncheon as a literary and artistic town were created. 本稿는 紫霞 申緯(1769~1845)의 「貊錄」에 나타난 春川의 表象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春川 府使로 재직하고 있었던 시기에 지은 한시 131題 223首가 撰次 된 「貊錄」은 자하가 춘천의 계절적인 풍광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감흥을 작품에 반영하고자 했다. 자하는 「貊錄」에서 춘천이라는 지리적 장소와 일상을 한시로 표현하면서 자신의 경험과 감성을 투영하여 표상화하였다. 먼저 仙境의 可隱鄕으로 표상화한 것을 살펴보면, 자하는 춘천 관아의 누각의 명칭이나 鳳儀山 등 주변의 지명 등의 의미를 실제 풍광과 연계해서 이해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서 춘천이 仙境으로 표상화 된 것은 자연스러운 귀결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隱居를 기대할 수 있는 장소로까지 인식이 변모하였다. 다음으로 貊風을 간직한 忠仁鄕으로 표상화한 것을 살펴보면, 자하는 춘천 에서 맥국의 忠仁한 遺風을 발견하고 목민관으로서 선정을 베풀어서 백성들을잘 교화하고자 했다. 또한 춘천의 지리적 특성을 살펴서 일종의 勸農歌인 ‘貊風 十二章’ 창작했는데, 이는 맥국의 유풍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깊어졌음을 보여 준다. 마지막으로 墨緣의 文藝鄕으로 표상화한 것을 살펴보면, 자하는 춘천의 많은 인물들과 시문을 수창하거나 작품이나 현판의 글씨를 매개로 묵연을 맺고 이어갔다. 또한 자하의 명성으로 타지의 명승에 편액 글씨를 남기는 등 묵연이 점차 넓어지게 되었다. 이것은 춘천이 문예향으로서의 여건이 조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 KCI등재

        『使朝鮮錄』에 나타난 明 使臣의 朝鮮 認識

        이성형 열상고전연구회 2023 열상고전연구 Vol.80 No.-

        本稿는 『使朝鮮錄』에 수록된 明 使臣의 使行錄을 중심으로 그들의 조선 인식을 살펴보았다. 使朝鮮錄 에는 명 사신 중에서 倪謙․張寧․董越․龔用卿․朱之蕃․姜曰廣의 사행록이 찬집되어 있다. 사조선록 에서 명 사신의 조선 인식은 크게 선입견의 재확인과 중화 질서의 재정립으로 드러난다. 먼저 ‘孝女 金四月 旌閭門, 箕子廟, 文廟’ 등 조선에서 직접 咨詢한 내용과 시문 수창 과정을 통해서 중화의 제도와 교화의 흔적을 확인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迎詔禮’ 같은 외교 의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치열한 논쟁을 벌이기도 하였다. 이를 통하여 ‘天下同禮’의 명분 아래 명 중심의 의례를 관철시킴으로서 중화 질서를 재정립하고자 했다. 명 사신은 조선이 중화에 가깝지만 중화는 아니라는 관점과 태도가 인식의 저변에 공고하게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海月 黃汝一의 修學期 漢詩에 대한 考察

        이성형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7 No.-

        In this study, life of Haewol(海月) Hwang, Yeo-Il(黃汝一) (1556-1622), his literary evaluation, Sino-Korean poetry works during learning period and characteristics of poetry writing were observed. When observing life of Haewol(海月) essentially, during learning period (1556-1585), he received teaching of Daehae(大海) Hwang, Eung-Cheong(黃應淸) (1524-1605), Hakbong(鶴峯) Kim, Seong-Il(金誠一) (1538-1593), Yakpo(藥圃) Jung, Tak(鄭琢) (1526-1605), Wolcheon(月川) Cho, Mok(趙穆) (1534-1606) and was grown as a member of Toigye school(退溪學脈) while exchanging with his disciples. In early Sahwan period (1585-1601) was the time when an effort was mainly made to be engaged in an internal job and overcome Imjin Japanese Invasion and in late Sahwan period (1601-1618), he mainly served as regional officer of Gyeongsangdo(慶尙道) that is external job. In retreated period (1618-1622), he retired to his hometown by breaking away from confused political scene and spent his last days there. Literary ability of Haewol(海月) was so excellent as to be comparable with Osan(五山) Cha, Cheon-Ro(車天輅) (1556-1615), Baekho(白湖) Lim, Jae(林悌) (1549-1587) as first class writer and his literature has been evaluated to have buoyant spirit. As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writing, he created many natural poetries of buoyant intention and was versed in utilizing a method of expressing delicate subtlety of ambiguous meaning through repeated use of poetic diction. As Sino-Korean poetry works during learning period, his works relevant to 'sincere association with Toigye school(退溪學脈)' exposed sincere friendship with Daehae(大海), Hakbong(鶴峯), Bongrae(蓬萊) Yang, Sa-Eon(楊士彦) (1517-1584) and Hogok(虎谷) Hwang, Yu-Il(黃有一). As a next step, his works relevant to 'exposure of self learning and governing thought' was focused on study based on self learning and governing thought of trying to contribute to the world by becoming an excellent talent was also expressed. Finally, through his works relevant to 'attachment to Seonchahyang(仙槎鄕) and Gwandong(關東) scenery', he exposed longing for his hometown while having devoted himself to learning at a temple and Seonggyungwan(成均館) in order to unfold Sabangji(四方志) and particularly, he exposed nostaliga by using poetic word including 'Hae(海)' for 58 times. In addition, he created many poetic works exposing an affection for mountain scenery after traveling tourist attraction of Gwandong(關東) or Naeyeonsan(內延山). 본고는 海月 黃汝一(1556∼1622)의 생애와 문학적 평가 및 作詩上의 특징, 修學期 漢詩의 작품 세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海月의 생애를 분절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修學期(1556∼1585)는 大海 黃應淸(1524∼1605)과 鶴峯 金誠一(1538∼1593), 藥圃 鄭琢(1526∼1605), 月川 趙穆(1534∼1606) 등의 가르침을 받고, 그 문하와 교유하면서 退溪學脈의 일원으로 성장해 갔던 시기였다. 前期 仕宦期(1585∼1601)는 주로 내직과 임진왜란의 극복을 위해서 노력했던 시기였고, 後期 仕宦期(1601∼1618)는 주로 외직인 경상도의 지방관을 역임했던 시기였다. 退居期(1618∼1622)는 혼란했던 정국에서 벗어나 낙향하며 만년을 보냈던 시기였다. 海月의 문학적 역량은 五山 車天輅(1556∼1615), 白湖 林悌(1549∼1587)와 비견될 정도의 能詩者로 第一流 文章士이며, 그의 문학은 飄逸한 기상이 있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작시상 특징으로는 우선 飄逸한 意境의 자연시를 많이 창작했고, 詩語의 반복적 사용을 통한 重意의 묘미를 살리는 표현법을 활용하는데 능숙했다. 수학기 한시의 작품 세계로 우선 ‘退溪學脈과의 信實한 交遊’와 관련된 작품은 退溪學脈으로 분류할 수 있는 大海, 鶴峯와 蓬萊 楊士彦(1517∼1584), 虎谷 黃有一 등과의 신실한 교유관계를 노정했다. 다음으로 ‘爲己之學과 經世意志의 露呈’과 관련된 작품은 爲己之學을 근간으로 학문에 매진했지만, 훌륭한 인재가 되어 세상에 기여하고자 하는 經世意志도 표명했다. 마지막으로 ‘仙槎鄕과 關東 山水에 대한 愛着’과 관련된 작품은 海月이 四方志를 펼치기 위해 사찰과 성균관에서 학업에 전념하면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정했는데, 특히 ‘海’를 포함한 시어가 58회나 사용해서 思鄕之心을 노정했다. 또한 海月은 관동의 명승이나 內延山 등을 유람하고 山水愛를 노정한 작품을 다수 창작했다.

      • KCI등재

        東溟 黃中允의 漢詩 硏究 - 對明 使行詩를 中心으로 -

        이성형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5 No.-

        In this paper, the literary world of Dongmyeong Hwang Jung-Yun (1577 ~ 1648), the writer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poetry from the envoy trip to Ming Dynasty out of his Chinese poetry Jumunsa envoy trip by Hwang Jung-Yun was sent out to explain the suspicion of Ming Dynasty on the dissuasion of royal envoy by Hong Myeong-Won in the situation that Ming Dynasty had suspicion that Joeon Dynasty would be communicating with Later Jin. The envoy trip to Beijing was reduced about 15 days, for which in the Hang Jung-Yun's poetry during the envoy trip, there was no Chinese poetry exchanged with the companions and there was few description or feelings about the scenic spot or relics until they arrived at Beijing after crossing the Amnokgang River. When Hwang Jung-Yun stayed at Okhaguan, Wanli emperor of Ming Dynasty died and Taichang emperior ascended the throne and total 4 teams of 2 team of Jumunsa, Cheongchusa team and Seongjeolsa team exchanged the Chinese poems staying at Okhaguan and attended together at the celebration of Taichang emperor ascension. The Chinese poetry in the envoy trip of Hwang Jung-Yu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distinguishing his literary world clearly by the envoy trip section. First, in the domestic section from Hanynag to Uiju,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the internal conflict against the possession of loyalty and filiar piety at the same time. Second, in the works created moving the route before entering in Sanhaeguan after crossing the Amnokgang River, the wariness on the threat of the barbarians in northern region was expressed in various works. Third, in the section after entering to Sanhaeguan to entering to Beijin, it showed the literary world that expressed the expectation on the exciting excursion as the wariness on the barbarian in the north region disappeared. Fourth, in the record of staying at Okhaguan and in the section of return trip, it was shown the tendency of praising, consoling and communing with others through active Chinese poem exchange with the companions. In addition, the works expressing the feeling after attending the celebration of ascension showed the literary world composed mainly of the splendid modification and praise. 본고는 조선 중기의 문인인 東溟 黃中允(1577~1648)의 漢詩 중에서 對明 使行詩를 중심으로 그의 한시의 일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황중윤의 주문사행은 명이 조선이 후금과 왕래한다는 의심을 품고 있는 상황에서 홍명원의 칙사파견 만류에 대한 명의 의심을 해명하기 위한 차원에서 차견하게 된 것이었다. 사행 노정은 북경까지 이동 기일이 보름정도 단축되었는데, 이로 인해서 황중윤의 사행시에서 도강이후로 북경에 도착하기까지 동행들과의 수창시가 없고, 명의 명승이나 유적에 대한 묘사나 소회가 적었다. 황중윤이 옥하관에 체류하고 있을 때에 만력제가 붕서하고, 태창제가 등극하였으며, 奏聞使 二行, 千秋使, 聖節使 등 四行이 함께 체류하여 시문을 수창하거나 태창제의 등극 축하 반열에 함께 참석하기도 하였다. 황중윤의 사행시는 사행 노정에 따른 시상의 전개가 상이한 특징을 보여주었다. 먼저 한양에서 의주까지의 국내 구간중에는 忠孝兼全에 대한 내적 갈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압록강을 건너서 산해관에 입관하기 전까지의 노정을 이동하면서 창작한 작품에서는 호족의 위협에 대한 경계심이 여러 작품에서 노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세 번째로 산해관에 입관해서 북경에 입경하가까지의 구간에서는 호족에 대한 경계심이 사라지면서 壯遊에 대한 기대감을 표현한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 네 번째로 옥하관 체류기와 귀국 노정 구간의 작품에서는 동행들과의 활발한 수창을 통해 상대방을 찬양하고 위로하면서 교감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등극 축하 반열에 참여한 뒤에 그 소회를 표현한 작품은 화려한 수식과 찬양을 위주로 하는 작품 세계를 보인다. 아울러 귀국 노정 구간에서도 수창시가 대다수를 차지했는데, 호족에 대한 두려움, 수창 대상에 대한 칭송, 사향지심 등이 주된 내용이었다.

      • KCI등재

        민선정부하의 경제정책: 알폰신 정부의 아우스트랄 계획에서 메넴정부의 경제개혁에 이르기까지

        이성형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1992 국제지역연구 Vol.1 No.2

        이 글에서 필자는 아르헨티나 민선정부가 추진한 경제안정화 정책의 공과를 검토하고 그 미래의 방향을 전망하는데 역점을 두고자 한다. 경제안정화정책이 성공하려면 '경제적 안정화'라는 공공재를 산출해 나가는 과정에 수반되는 비용을 사회 각 부문이 타 세력에게 전가하고 자신은 '무임승차' 하려는 행동수칙을 정부가 해체시킬 수 있어야 한다. 알폰신 정부가 주창하는 정당정치의 논리에 입각한 신구조주의적 경제개혁안은 그에 걸맞는 제도적 매개물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로섬 게임의 행동수칙을 해체하는데 무력할 수 밖에 없었다. 메넴 대통령 정부는 전임자의 실패를 '보수적 동맹'의 신자유주의적 개혁안을 통해 해소하려고 한다. 즉 금융과두제 세력과 전략적 차원의 동맹을 맺고 안정화정책의 부담을 노동자들에게 전가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안정화의 비용부담을 일방에게 전적으로 귀속시키는 '착취 게임'의 상황을 얼마나 지속적으로 감내할 수 있는 지, 그리고 민영화를 통한 구조조정으로 과연 아르헨티나 경제가 효율성과 경쟁력을 회복하게 될지는 좀 더 두고 볼 일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play between economic stabilization policies and political democratization in Argentina from 1983 to 1992. The new civil governments tried to end the stop - go cycles in economic policy - making, attempting to manage the transition from the authoritarian to a constitutional regime. The 'heterodox shock' packages of Alfonsin government, 'Austral Plan', failed to curb the inertial inflation as well to consolidate democratic institutions due to its lack of political support of organized labor and business groups. The Menem administration, providing reassurances to business sectors with the exclusion of organized labor, has tried to stabilize and restructure the crisis - ridden economy by both privatization of public companies and radical reduction of public deficits. However, the ultimate outcome of Menem's 'capitalist revolution' will depend on the prospective political viability as well as o the character of external constrains.

      • KCI등재
      • KCI등재

        칠레 전력산업 민영화의 성과와 문제점

        이성형 서울大學校 스페인中南美硏究所 2003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14 No.-

        Chile started its reform process of electricity sector in the late 1980s. As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longest and most extensive privatization experience, Chile provides a good case study. This paper analyses a series of problems that have taken place in the sector since the late 1980s: higher prices by oligopolistic market design, frequent black-outs and rationing by administrative decree, and foreigners' control of the industry. First, the Chilean case shows clearly how difficult it is to design adequately the structure of the post-privatization market, even though the technological conditions of the industry have been changed by the advent of combined-cycle gas turbine(CCGT) generators. The case illustrates the perils of privatizing an industry characterized by natural monopoly segments and substantial informational asymmetries without implementing a full regulatory regime. Second, one of the main problems resulting from Chile's privatization of the electricity sector is that it allowed the creation of a large vertically-integrated conglomerate that could use its market power to reduce competition in order to raise its profits. Therefore, the efficiency gains are not distributed to consumers. Third, and ambiguous and weak regulatory framework makes the generation companies depend heavily on much cheaper hydraulic resources which do not provide stable supply of energy. The generation companies failed to provide electrical power adequately in the times of drier season. Therefore, there were large and frequent black-outs in the 1990s. Finally, Spanish TNC Endesa has a dominant control over the sector and enjoys higher profits. Appropriation of national rent in the strategic sector by foreign companies shows clearly one of the darker sides of post-privatization debacle in Latin Ameri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