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북 논매기소리 중 방아소리의음악적 특징

        이성초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58 No.-

        <Bang-a-sori> is distributed all over Korea. It’s a representative Rice-paddy Weeding songs found in all parts of Chungbuk. And Mus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focusing on <Bang-a-sori> distributed in the Chungbuk region. <Bang-a-sori>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northwestern regions of Chungbuk, such as Goesan, Jecheon, and Chungju. There are three types. The shortest of these is the most common. The singing style is mainly composed of catfish and receiving, and only the long type of Bang-a-sori are called solo. The short and slow type of Bang-a-sori, it are mainly composed of farming related lyrics, and other folk songs are borrowed. The long type of Bang-a-sori is composed of meaningless biting spirits and birdsong. short type consist of beats of 3 small beats as 4 basic beats, Slow type consist of irregular beats of 3 small beats and 10 to 16 beats. Menaritori is a typical sound organization. but unique melody appears in Chungju, Jecheon, and Eumseong, Menaritori and Yukjabaekitori are mixed. This is a part of the previous study that the Rice-paddy Weeding songs in Chungbuk area is different from that of a typical menoritory and a few usayongtori. <방아소리>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분포되어있으며, 충북의 모든 지역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이다. 이에 충북지역에 분포하는 <방아소리>를 중심으로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방아소리>는 충북의 모든 지역에 분포하며, 특히 괴산, 제천, 충주 등 충북 서북부지역에 중점적으로 분포한다. 짧은방아, 느린방아, 긴방아의 세 가지 유형이 나타나는데, 이 중 짧은방아가 가장 보편적으로 분포한다. 짧은방아만 단독으로 불리는 지역이 다수이고, 괴산, 충주, 제천 지역에 한해서 긴방아-짧은방아, 느린방아-짧은방아의 긴․자진형식으로 불린다. 가창형식은 메기고 받는형식이 주를 이루며, 긴방아만이 독창으로 불린다. 짧은방아와 느린방아는 농사와 관련된 가사가 주를 이루고 이 외 통속민요의 가사를 차용하기도 하며, 긴방아는 의미없는 입타령과 새소리로 구성된다. 기본박은 3소박으로 1박자로, 짧은방아는 3소박 4박자의 규칙적인 장단이 주를 이루고, 느린방아는 3소박 10~16박의 불규칙적인 장단으로 구성되며, 긴방아는 1음절이 3소박 1~6박자로 노래한다. 짧은방아, 느린방아, 긴방아 순으로 한배가 느려진다. 음조직은 메나리토리가 대표적이나, 충주, 제천, 음성지역에서는 선율진행, 종지패턴에 있어 변형선율이 나타나고, 육자백이토리와의 혼용을 보이는 악곡도 보인다.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충북지역의 논매기소리가 전형적인 메나리토리와 약간의 어사용토리가 발견된다는 내용과는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 KCI등재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서도민요 제재곡 선정 및 지도방안 제시

        이성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3 국악교육연구 Vol.17 No.1

        Seodo folk songs are includ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xtbooks in fewer frequencies and types of pieces, compared to folk songs from other regions. There are only five songs <Monggeumpo taryoung>, <Jajin Aari>, <Susimga>, <Ukgum susimga>, and <Haeju arirang>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urrently, Seodo folk songs included in textbooks are limited, and it is when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odo folk songs for instructional materials is needed.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was recently announced, and music textbooks will be written according to the 2022 revision. Reflecting the cont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music element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this study selected <Gin-nanbong-ga>, <Jajin-nanbongga>, and <Saseol-nanbongga> to be included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nd suggested teaching plans. <Gin-nanbong-ga>, <Jajin-nanbongga>, and <Saseol-nanbongga>, representative folk songs of the Hwanghae province, are appropriate for explaining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at the high schools level such as jangdan, se(accent) of jangdan, change of hanbae(tempo), nanbongga tori and the form of yeokeum(an extended form by densely-woven lyrics). They are also composed of regular jangdan and a call-and-response form, allowing for a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areas of performance, appreciation, and creation at the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Teaching plans such as singing Gin-nanbongga,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expressing with the body were suggested in the performance area. Through listening to <Gin-nanbong-ga>, <Jajin-nanbongga>, and <Saseol-nanbongga>, distinguishing the form of yeokeum from the form of hanbae and clarifying the concept of hanbae were suggested in the area of appreciation. Making words-jangdan on the Jajin-taryeong jangdan, transposing the refrain melody of <Jajin-nanbongga> up four degrees, and composing an accompaniment melody of <Jajin-nanbongga> by using an application were suggested in the area of creation. It is effective to use the garakseonbo(melodic contour notation) for classroom music scores, to manifest sigimsae(musical ornaments) through the bodily expression activities of hand-sigim, and use gueum for playing instruments. 서도민요는 타 지역의 민요에 비해 초ㆍ중ㆍ고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횟수 및 악곡의 종류가 적은 편에 속한다.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도 <몽금포타령>, <자진아리>, <수심가>, <엮음수심가>, <해주아리랑>의 5곡만 수록되어 있으며, 이 중 <몽금포타령>, <수심가>, <해주 아리랑>은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도 수록된 악곡이다. 즉 현재 교과서에 수록된 서도민요 제재곡이 한정적이며, 다양한 서도민요 제재곡의 개발이 요구되는 지점이다. 한편, 얼마 전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이 발표되었으며, 앞으로 2022 개정에 따라 음악 교과서가 집필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과 음악 요소를 반영하여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할 서도민요로 <긴난봉가>와 <자진난봉가>, <사설난봉가>를 선정하고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긴난봉가>와 <자진난봉가>, <사설난봉가>는 황해도 지역의 대표적인 민요로, 장단, 장단의 세, 한배의 변화, 난봉가토리, 엮음형식 등 고등학교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를 설명하기 적절하며, 규칙적인 장단과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에서 연주, 감상, 창작 영역에서 다양한 활동이 용이하다. 연주 영역에서는 <긴난봉가>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신체 표현하기 등의 지도방안을 제시하였고, 감상 영역에서는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사설난봉가>의 감상을 통해 엮음형식과 한배에 따른 형식을 구분하고, 한배의 개념을 명확히 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창작 영역에서는 자진타령장단을 활용하여 말장단 만들기, <자진난봉가>의 후렴구 선율을 4도 위로 이조하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자진난봉가>의 반주선율 만들기의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재곡의 악보는 가락선 악보를 활용하고 손시김의 신체 표현 활동을 통해 시김새를 표현하고, 악기 연주하기는 구음법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KCI등재

        서도잡가 <별조공명가> 고찰-박월정과 박기종 음원을 중심으로-

        이성초 한국민요학회 2019 한국민요학 Vol.56 No.-

        <Gongmyeongga(A Song of Kongming)> is one of the most popular seodo-japg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it has derived musical pieces such as <Byuljo-Gongmyeongga> and <Sasul-Gongmyeongga>. Among these, <Byuljo-Gongmyeongga> is only known as one of the seodo-japga, written by Kim Chil-sung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paper, it is confirmed that <Gongmyeongga> which Park, wol-jeong received in 1926 and 1931 is <Byuljo-Gongmyeongga>. Among them, I examined the process of forming an editorial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recorded recordings in 1931, and also examined the transformational pattern by comparing it with the current tradition of Park, Gi - Jong <Byuljo-Gongmyeongga>. The editorials of <Byuljo-Gongmyeongga> are divided into 22 paragraphs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the sequence and flow of the contents follow the song <Gongmyeongga> to some extent. However, in the details and expressions of the editorials, the editorials of Pansori <Jeokbyeokga> were borrowed the most, and the portions of the editorials of <Gongmyeongga> and the independent editorial are almost similar. It is a musical composition that is created in harmony with the framework of the Seodo-japga and ha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content of the editorial and the melody. In addition, when the same editorial as <Gongmyeongga> is borrowed, it can be seen that the melody was also borrowed. Although the melody was almost similar to that of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yuljo-Gongmyeongga>, the pace of the song was slowed down, the tone was lowered, and the expression of the squeak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is a piece of music that is well-made in the framework of a Seodo-japga, and is a musical piece made by fusing the poem <Gongmyeongga> and Pansori <Jeokbyeokga>. <공명가>는 20세기 전반기 인기 있게 불리던 서도잡가 중의 하나로, <별조공명가>, <사설공명가> 등의 악곡들을 파생하였다. 이 중 <별조공명가>는 20세기 초반 김칠성이 작곡한 서도잡가의 하나로만 알려져 있을 뿐 악곡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1926년과 1931년 박월정이 취입한 <공명가>가 <별조공명가>임을 확인하였고, 이 중 1931년 녹음된 음원을 중심으로 사설 형성 과정 및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고, 현재 전승되는 박기종 <별조공명가>와의 비교를 통하여 변모양상도 살펴보았다. <별조공명가>의 사설은 내용에 따라 총 22단락으로 구분되며, 내용의 순서 및 흐름은 서도잡가 <공명가>를 어느 정도 따르고 있긴 하다. 하지만 사설의 세부 내용 및 표현에 있어서는 판소리 <적벽가>의 사설을 가장 많이 차용하였고, <공명가>의 사설을 차용한 부분과 독자적인 사설은 거의 비슷한 비중으로 나타난다. 박월정 창 <별조공명가>와 박기종 창 <별조공명가>의 박자구조 및 선율진행을 비교한 결과, <별조공명가>는 현행으로 전승되면서 선율선에 있어 큰 차이는 없었다. 다만 박월정 창은 sol음을 비중 있게 사용하여 re-mi-sol-la를 중심으로 선율을 진행하는 데 반해 박기종 창은 la음을 비중 있게 사용하여 re-mi-la-si를 중심으로 선율이 진행되었다. 또한 곡의 빠르기에 있어 박월정 창에 비해 박기종 창이 약간 느려지고, 음고가 낮아졌다. <별조공명가>와 최섬홍․손진홍의 <공명가> 및 김칠성의 <공명가>와의 선율을 비교한 결과, <별조공명가>는 순차진행이 많고 동음반복이 많으며 선율진행의 폭이 좁게 나타난 점에 있어, 김칠성 <공명가>와 유사하였다. 이로써 <별조공명가>에는 김칠성이 가지고 있는 음악적 특징이 잘 들어나는 악곡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서도명창 김주호의 음악활동 고찰

        이성초 한국민요학회 2019 한국민요학 Vol.57 No.-

        In the 1930s, new folk songs appeared in earnest. Singer will be at the crossroads of maintaining the traditional sound or accepting new folk songs. Kim Joo-ho took the record with famous new folk songs singers. He was different from other Seodo master singer. In this paper, I looked into the aspects of Kim Joo-ho’s music activities, and based on this, I wanted to think about the musical area and status of Kim Joo-ho as Seodo master singer at that time. Kim Joo-ho, took a lot of recpords with Sun Woo Il-sun, was one of the most popular new folk songs singers. Recording with Sun Woo Il Sun is interpreted as a way to pursue popular popularity in record sales and performance. He took the variety of Seodo-japga records, and Kim Joo-ho’s sound source is quite visible. He also paid attention to tradition, and it is thought that the creative ability of traditional sound was excellent. He sang the Jeadam sounds well. He took a lot of records, that was jeadam sounds. Among them, <Mangggongi-ta-ryeong> was very popular at the time. <Mangggongi-ta-ryeong> is created by Kim Joo-ho. At that time, Park Chun-jae was gaining popularity through the sound of jeadam in Seoul, but it is speculated that Kim Joo-ho had a similar status as Park Chun-jae in Seodo.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he took, it is understood that the song was abbreviated and sung at a relatively fast tempo. Kim Joo-ho actively embraced the new folk songs in the early 20th century, but he also worked hard to create and transmit traditional music. The musicians of that time considered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music and the acceptance of new folk songs. Kim Joo-ho seems to have been seriously concerned about this. He was not biased to either end. He succeeded to traditional music and at the same time accepted the new song. It is estimated that he made various gropings, such as making his own Sound feature. 1930년대는 본격적인 신민요의 등장 시대로, 소리꾼들은 전통소리를 유지하거나, 신민요를 수용하거나의 기로에 서게 된다. 당시 서도지역의 명창인 김주호는 인기 있던 신민요 가수들과 같이 음반을 취입하는 등 전통소리를 고수하던 서도지역의 다른 명창들과는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어 궁금하였다. 이에 김주호의 음악활동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당시 서도명창으로서의 김주호의 음악적 영역과 위상을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김주호는 당대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던 신민요 가수 선우일선과 같이 신민요의 음반을 많이 취입하였다. 선우일선과의 녹음은 음반 판매량 및 연주활동에서 대중적 인기를 추구하기 위한 방편으로 해석된다. 또한 당시 유명했던 작곡가 및 작사가들의 작품을 취입한 것으로 보아 신민요에서 김주호의 영역이 결코 적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다. <칠석보>, <평양승지>, <전쟁가>, <향산유람가>, <날찾네>, <발림엮음>, <전쟁가> 등 다양한 서도잡가를 취입하였고, 이 중 김주호의 음원이 유일한 경우도 꽤 보인다. 그는 신민요 못지 않게 전통소리에도 심혈을 기울였고, 전통소리의 창작능력 역시 뛰어났던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그는 재담소리에도 능했던 명창이었다. 총 11곡의 재담소리 음반을 취입하였고, 이 중 김주호가 창작한 <맹꽁이타령>은 당시 큰 인기를 구가하였다. 당시 서울지역의 박춘재가 재담소리로 큰 인기를 구가했었는데, 서도지역에서는 김주호가 박춘재와 비슷한 위상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가 취입한 음악의 특징을 살펴보면, 비교적 빠른 템포로 악곡을 축약하여 불렀던 것으로 파악된다. 다른 서도명창들에 비해 서도잡가나 수심가를 부를 때도 사설을 촘촘히 엮어주는 특성이 또렷히 들어나는데, 이는 빠르게 엮어 부르는 것을 추구하는 그의 음악적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김주호는 20세기 초반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에 살아남기 위해 당시 유행하던 신민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으나, 한편으로는 전통음악의 창작 및 전승에도 힘썼던 명창이다. 전통음악의 전승과 신민요의 수용은 당시를 살아가던 모든 음악인들의 고민이었을 것이고, 김주호 역시 이 부분을 치열하게 고민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결국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전통음악의 계승을 기본으로 하면서, 시대의 변화에 살아남기 위해 신민요를 받아들이고, 본인만의 소릿조를 만드는 등 다양한 모색을 하였던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서도민요 분석

        이성초 한국국악교육학회 2019 국악교육 Vol.47 No.47

        The folk song is the most popular piece of Korean music in current music textbooks. Music textbooks have undergone many revisions, and the number of folk song has increased.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portion of Seodo folk songs in textbooks was lower than that of folk songs in other regions.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contents of Seodo folk songs in the revised textbook of 2015 and the Seodo folk songs in the revised textbook of 2009.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revised editions of 2009 and revised editions of 2015, there are seven songs , and for the 2015 revision, there are <Monggeumpo Taleong>, <Haeju Arirang>, <Susimga>, <Ssaruml>, <Ukum-susimga>, <Ponggu sori>, <gumdareaggung> were excluded from the <gumdareaggung>, and <Jajin baettaragi> was added. In 2009 and 2015, <Monggeumpo Taleong> was recorded the most, followed by <Haeju Arirang> and <Susimga>, 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ongs recorded by music.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2009 revision, the proportion of Seodo folks was slightly higher in the revision of 2015, but the share of folks is still smaller compared to other regions folks. In the 2009 revision, there was a problem of recording <Monggeumpo Taleong>, bansusimga tori, as a water susimga tori, or There was a problem of recording the score of <gumdareaggung>, which was sampled by the scale of 're-mi-sol-la-si', and describing it as a susimga tori. In the revision of 2015, many textbooks showed the musical scale of<Monggeumpo Taleong> as "la-do-re-mi-sol", bansusimga tori, and This problem was secured by recording the score of <gumdareaggung> recorded in the scale of 're-mi-sol-la-do'. However, in some textbooks, there is still some misunderstanding in explaining Tori, which requires improvement. In the revision of 2015, a new song titled <Jajin baettaragi> was recorded as a song for the Seodo folk song. <Jajin baettaragi> is a type of <Baechigi sori>, which was called in the west coast region, and suggested that this music should be recorded as a Seodo folk song by the existing research. Although it is encouraging to include <Jajin baettaragi> in the revision of 2015, it was found that the musical piece name was not unified by the textbooks, and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er and the recorder was not accurately recorded in the recorded music. 민요는 현재 음악교과서 내 국악 제재곡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장르로, 여러번의 개정을 거치면서 민요 제재곡의 악곡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서도민요는 다른 지역의 민요에 비해 교과서에 수록된 비중이 낮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과서에 수록된 서도민요와 2009 개정 교과서에 수록된 서도민요를 비교하여 어떤 내용들이 추가되고 바뀌었는지 살펴보았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9 개정과 2015 개정에 수록된 서도민요는 각각 7곡으로, 2015 개정에서는 2009 개정에 수록된 <몽금포타령>, <해주아리랑>, <수심가>, <싸름>, <엮음수심가>, <풍구소리>, <금다래꿍>에서 <엮음수심가>가 제외되고 <자진배따라기>가 추가되었다. 2009 개정과 2015 개정 모두 <몽금포타령>이 가장 많이 수록되었고, <해주아리랑>, <수심가> 순으로 악곡이 수록되어, 악곡별 수록횟수에 있어 큰 차이점은 없었다. 또한 2009 개정에 비해 2015 개정에서 서도민요의 비중이 조금 더 높아졌지만, 여전히 타 지역 민요에 비해 서도민요의 수록비중은 적은 편에 속한다. 2009 개정에서 반수심가토리인 <몽금포타령>을 수심가토리로 오기(誤記)하거나 ‘레미솔라시’의 음계로 채보된 <금다래꿍> 악보를 수록하고 이를 수심가토리로 설명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2015 개정에서는 다수의 교과서에서 <몽금포타령>의 음계를 ‘라도레미솔’로 표시하거나, 반수심가토리로 악곡을 설명하였고, ‘레미솔라도’의 음계로 채보된 <금다래꿍> 악보를 수록하여 이런 문제점을 보안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몇몇 교과서에서는 토리를 설명함에 있어, 잘못된 내용이 발견되고 있어 개선을 요한다. 2015 개정에는 서도민요의 제재곡으로 <자진배따라기>가 새롭게 수록되었다. <자진배따라기>는 서해안 지역에서 불리던 <배치기소리>의 한 유형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이 악곡을 서도민요의 제재곡으로 수록할 것을 제시하였다. 2015 개정에 <자진배따라기>를 수록한 점은 고무적이지만, 교과서별로 악곡명이 통일되지 않았고, 수록된 악보에 채보자 및 가창자의 정보가 정확히 기재되지 않은 점 등이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충청지역 민요의 연구현황 및 토리 이론 재검토

        이성초 한국국악학회 2023 한국음악연구 Vol.74 No.-

        The Chungcheong area is an area where various tory are mixed, and although it is the same area, research results on tori are der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search subject.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d the research status of folk songs in Chungcheong and reviewed the Tory theory of folk songs in Chungcheong by focusing on Tory-related studies. The study of folk songs in Chungcheong-do began in the 1970s, and with the publication of the MBC Korean Folk Song, various studies were conducted by scholars in the 2000s. The Chungbuk region has a high proportion of Menari-tori.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Menari-tori and YukjaBagi-Tori is high in Chungnam region. Menari-tori and YukjaBagi-Tori have various types of variations in Chungcheong. The changed its ending sound or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note and the second note was narrower than that of the Menari-tori. Uayong-tori. this phenomenon as a personal characteristic of intestines. However, it is appropriate to see it as a variant type of Menari-tori, given that it is mainly seen in Arari fork song, some songs with the same singer were sung as Menari-tori, and some songs were sung as Uayong-tori. In one song, there are also many aspects of mixing Yukjabagi-tori and Menari-tori, and it is assumed that it was natural to cross the two Tori, not to recognize Menari-tori and Yukjabagi-tori as different Tori in Chungcheong.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본 국악교육의 방향성 모색

        이성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4 국악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반영할 수 있는 국악 관련 제재곡 및 활용방안 등을 살펴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국악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이론적 배경, 영역 및 내용 요소를 포함한 준거틀을 검토하고 선정하였다. 둘째, 분석준거에 의거하여 각 영역별로 국악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활용 가능한 제재곡을 살펴보았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영역 중 1.지속가능한 현재와 미래 2.지속가능한 환경과 시민생활 3.지속가능한 사회와 시민생활 4.지속가능한 경제와 시민생활에서 국악과의 연관성을 밝히고, 활용 가능한 제재곡을 제시하였다. 국악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인재상을 양성하는데 중요한 교육적 제재로, 이러한 관점에서 앞으로의 국악 교육은 음악적 탐구에서 나아가 경제, 환경,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적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이러한 국악의 교육의 활용은 국악교육의 가치 및 중요성과 당위성을 공고히 할 수 있으며 앞으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 song materials and their utilization plans that can reflec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SD.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a framework of criteria includ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domains, and content elements of ESD was reviewed and selected.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 relevanc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identified for each domain and song materials suitable for class use were examined. Within the domains of ESD, specifically focusing on 'sustainable present and future', 'sustainable environment and civic life', 'sustainable society and civic life', and 'sustainable economy and civic life,' the relevanc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identified, and song materials suitable for use were presented. Korean traditional music serves as a significant tool in cultivating talented individuals to enable a sustainable future. From this point of view,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go beyond mere musical exploration and offer integrated education encompassing various fields such as economy, environment, society, and culture. The educational utilization in Korean music can solidify the value, importance, and legitimac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continuous research on this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