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반 유아 및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실험연구 분석

        이성용 ( Yi Seong-yong ),김진호 ( Kim Jin-h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일반 유아 및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해 중재를 적용한 국내 실험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선행 연구들의 중재 효과를 살펴보고 앞으로 일반 유아 및 초등학생을 위한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 있어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1998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사회적 기술 관련 학술연구 25편(유아14편, 초등 11편)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25편의 선행연구는 9가지 분석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변인은 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목표기술, 측정도구, 중재방법, 중재기법 및 전략, 연구결과, 효과크기다. 주요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은 일반 유아 만 5세가 많았다. 둘째, 실험환경은 유치원과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에서 연구되었다. 셋째, 실험설계는 집단설계연구의 사전-사후 비교(통제)집단 설계를 활용하였다. 넷째, 목표기술은 사회적 기술뿐만 아니라 추가 목표기술도 설정하였다. 다섯째, 측정도구는 SSRS를 대부분 사용하였다. 여섯째, 중재방법은 유아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초등학생은 모두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일곱째, 중재기법은 언어적 기법이 다수 활용되었다. 여덟째, 연구결과 중재는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켰다. 아홉째, 효과크기는 유아의 경우 대부분 큰 효과를 나타냈고, 초등학생의 경우 다양하게(작은~큰 효과)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 및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 관련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experimental research literature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of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1998 to 2018 revealed 25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25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9 analytical variables(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arget skills, tools of measurement, types of intervention, strategies of intervention, effects of intervention, effects size). The finding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of the studies conducted in preschool settings were five years old young children in general. Second, research settings of the experimental studies were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Third,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studies was the pre-post comparison(control) group design. Fourth, target skills were established not only for social skills but also for additional target skills. Fifth, most studies used SSRS as a measuring tool. Sixth, as the type of intervention, various programs were conducted for young children in preschool settings, and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s were used for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venth, most reviewed studies used linguistic techniques as strategies of intervention. Eighth, intervention programs of the studies have enhanced social skills of most participants. Ninth, effect size was mostly large for young children, an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ere various effect sizes(small to large effect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s were presented.

      • 일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직무 만족도 및 심리적 소진 비교 연구

        이성용(Yi Seong yong)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4 특수·영재교육저널 Vol.1 No.2

        대부분의 장애학생들은 일반학교에 배치되어 통합교육을 받고 있다. 그리고 통합교육에서는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심리적 소진을 조사하여 통합교육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J군의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24명(비교: 일반학급 22명)으로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설문조사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교사는 직무 만족도가 높았고, 심리적 소진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학급 교사와 일반학급 교사는 직무 만족도와 심리적 소진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육 확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ost of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re in a general education school to receive inclusive education.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re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inclusive education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set up and develop educational policies(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wenty-four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job satisfaction level was high and the burnout level was low.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between general classroom teachers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expans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수학 교수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이성용(Seong-Yong Yi) 한국발달장애학회 2019 발달장애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특수교육에서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교수를 실시한 단일대상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적장애학생의 수학 교수를 위한 프로그램 관련 참고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지적장애학생 대상 수학 교수 관련 실험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13개의 실험연구(단일대상연구)를 최종 분석대상논문으로 선정하였다. 그러고 나서 7개의 분석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변인은 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목표기술, 중재방법, 중재효과, 질적지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논문들의 연구대상은 대부분 초등학교 지적장애학생들로 나타났다. 둘째, 분석대상논문들은 대부분 교육기관을 실험환경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분석대상논문들의 연구설계는 대부분 대상자 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였다. 넷째, 분석대상논문들은 수와 연산을 목표기술로 선정하였다. 다섯째, 분석대상논문들의 중재방법은 자기교수 훈련, Touchmath 전략 등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분석대상논문들의 중재효과는 중간~큰 효과 크기를 보였으며, 대부분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분석대상논문들은 80%이상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수학 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research literature of mathematic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3 to 2018 revealed 13 experimental studies(single-subject design) published in special education with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13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7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arget skills, type of intervention, effect size(PND), quality indicato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 of studie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Most of the research setting of studies were school(classroom). Third, Most of the research design of studies were a multiple(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 Fourth, Most of the target skills of studies were numbers and operations. Fifth, Most of the intervention of studies were self-instruction training and touchmath program. Sixth, The results of studies indicated a moderate and large positive effects for interventions. Lastly, Most of the studies have met more than 80% of quality indicators.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 KCI등재

        인권교육에 대한 실험연구 동향 분석

        이성용(Yi Seong yo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65 No.-

        세계 인권 선언(1948년)이 선포된 이래 모든 사람들은 존중받고, 보호받아야 할 고유한 권리인 인권을 보장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권교육을 실시한 국내 실험연구를 문헌 분석함으로써, 증거기반 인권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학령기 인권교육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인권교육관련 실험연구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선정기준에 따라 국내 16편의 실험논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4가지 분석영역에 따라 총 7개의 분석 변인(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연구결과, 효과 크기)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이 많았고, 독립변인은 여러 가지 학습활동을 포함한 인권교육프로그램 연구가 많았다. 종속변인은 인권감수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다수로 나타났다. 효과크기는 중간 크기에서 큰 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7개의 분석 변인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인권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All human beings have inherent rights that need to be respected and protected. This idea has been accepted since the 1948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human rights educ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t school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4 to 2014 revealed 16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education with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16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7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ype of intervention, target skills, results(ie, effects), and effect siz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7 analytic variables. In particular, results indicated a positive effects of human rights education studies. Intervention revealed moderate and large effect size.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human rights education were presented.

      • 자기교수 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화폐 지불 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성용(Yi Seong yong)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7 특수·영재교육저널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교수 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화폐 지불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초등학생 6명이며, 자기교수 훈련은 해당 학생이 다니는 특수학급에서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짝을 이룬 두 명이 함께 중재에 참여하는 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이 지역사회 상점(슈퍼마켓, 문구점, 분식점)에서 활용하는 화폐 지불 기술을 습득 및 유지하였다. 둘째, 자기교수 훈련은 중재 단계에서는 중간 효과, 유지 단계에서는 큰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능적 기술 및 수학 교육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기능적 기술 및 수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instruction on money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ix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ir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instruction improved the money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a moderately positive effect for self-instruction. Maintenance effect revealed large effec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self-instruction and money skills(functional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an be used to plan and implement successful mathematics program.

      • KCI등재

        초등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소진에 대한 연구: C도를 중심으로

        이성용(Seong-Yong Yi),이승훈(Seung-Hoon Yi) 한국발달장애학회 2020 발달장애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소진을 조사해 이들을 위한 정책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목적표집으로 C도의 초등특수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중간보다 높았고, 심리적 소진은 중간보다 낮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다소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경력에 따른 심리적 소진은 차이가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소진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직무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교직의식은 심리적 소진의 하위 요인인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상실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혁신성은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상실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동료애는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상실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업무부담은 정서적 고갈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증진 및 심리적 소진 감소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special teache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set up and develop educational policies. This study method is survey research.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14 elementary school special teachers in “C”-do.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c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C program(ver 25.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special teachers job satisfaction level was high than moderate level and the burnout level was low than moderate level.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job satisfaction score between man teachers and woman teach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burnout score about career(year). Third, The correlation of the factors related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burnout was negative correlation. Forth, The teaching consciousness gave a negative influence in the sub-factors of burnout such a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 The innovation gave a negative influence in the sub-factors of burnout such as emotional exhaust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 The fellowship gave a negative influence in the sub-factors of burnout such as depersonalizat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 The work(burden) gave a negative influence in the sub-factors of burnout such as emotional exhaus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these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nd to reduce the burnout.

      • KCI등재

        상황이야기를 활용한 문제해결 교수가 장애위험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성용(Yi, Seong-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상황이야기를 활용한 문제해결 교수가 장애위험 유아의 사회적 기술 습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은 장애위험 유아 2명이다. 연구 설계는 사례 연구이고, 중재(상황이야기를 활용한 문제해결 교수)는 자유놀이활동 시간에 일반학급에서 실시되었다. 목표기술은 사전-중재-사후에 사회적 기술 척도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이야기를 활용한 문제해결 교수는 장애위험 유아의 사회적 기술 습득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장애위험 유아를 지도하는 일반교사는 중재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는 장애위험 유아를 위한 교육 및 지원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향후 장애위험 유아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intervention using social story on the social skills of at-risk young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wo at-risk young children. The research method was case study.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the regular education classroom.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solving intervention using social story was effective at improving the acquisition of the social skills. Second, the social skills were generalized and regular education teacher was had positive perception to intervention. It was discussed ways and implications of social skills improvement of at-risk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ovide insight about how to educate at-risk young children on the social skills.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비디오 자기모델링 연구 메타분석

        이성용(Seong-Yong, Yi)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를 적용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메타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2002-2021년) 국내에 발표된 비디오 자기모델링 관련 연구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였고, 분석 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2003년부터 2019년까지 발간된 총 20편의 학술지 논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은 6개의 분석 변인(연구 대상, 중재 환경, 목표 기술, 중재 회기, 중재 효과, 유지 및 일반화 효과)을 바탕으로 심층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은 자폐성장애가 많았고, 중재 환경은 대부분 특수학급으로 나타났다. 목표기술은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과 기능적 기술로 나타났다. 메타분석한 결과 중재와 유지 및 일반화 효과가 모두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6개의 분석 변인에 따라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향후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의 개발 및 활용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ta-analysis the research literature of VSM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VSM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3 to 2019 revealed 20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special education with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20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6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target skills, sessions of intervention, effects of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6 analytic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any children with ASD, and the research settings were mostly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he target skills were social-communication skills and functional skills. In particular, results indicated a highly positive effect for VSM (median PND=100%). Maintenance (median PND=100%) and generalization effects (median PND=100%) revealed large effect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VSM were presented.

      •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지적장애학생의 전기 포트와 세탁기 작동 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성용(Yi Seong yong)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6 특수·영재교육저널 Vol.3 No.1

        비디오 자기모델링 기법은 장애학생들의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기능적 기술, 그리고 행동 기능을 중재하기 위해 활용되는 매우 효과적인 중재 기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초등학생에게 전기 포트와 세탁기 작동에 필요한 기술을 교수하는 데 있어 비디오 자기모델링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초등학생 2명이고, 중재는 특수학급의 중간놀이 및 점심시간, 방과후학교 수업을 활용하여 2개월간 이루어졌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비디오 자기모델링 기법은 지적장애 초등학생들의 전기 포트와 세탁기 작동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비디오 자기모델링과 지적장애학생의 가정생활 및 일상생활 기술 교수 관점에서 제언하였다. The video modeling(video modeling or video self-modeling) is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ddressing social-communication skills, functional skills,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using an electric kettle and a washing machine of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wo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in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video self-modeling improved the using an electric kettle and a washing machine of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video self-modeling and domestic skills(daily living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an be used to plan and implement successful domestic skills(daily living skills)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