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이해

        이선경(Yi Suhn-gyohng) 한국양명학회 2011 陽明學 Vol.0 No.28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은 조선의 상수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 문헌이다. 이 논문은 조선의 『역학계몽』 관련 연구들 가운데,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이해를 살펴본 것이다. 이황(李滉)의 『계몽전의(啓蒙傳疑)』는 조선의 『역학계몽』 관련 저작 가운데 최초의 본격적 연구서라 할 수 있으며, 이 저작은 특히 후대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본고에서는 이황이 『계몽전의』를 저술한 문제의식이 무엇이며, 『계몽전의』에서 다룬 주요 쟁점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그것이 후대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연구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밝힌다. 그리하여 퇴계학파 『역학계몽』 이해의 종합적 특징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역학계몽』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도모하였던 이황의 태도는 후세의 연구자들에게도 일관된 모습으로 드러나며, 주석들 간의 불일치를 해소하고자 하는 연구방식 역시 동일하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는 『계몽전의』를 묵수하거나 옹호하는데 있지 않으며, 『계몽전의』를 통하여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을 다시 쟁점화하고, 그에 대한 조선의 선배학자들의 견해를 검토하며 자신의 견해를 제시한다. 이렇게 『계몽전의』를 중심으로 연구사의 축적을 통해 『역학계몽』 이해의 완전성을 추구해가는 모습은 다른 학파와 구별되는 퇴계학파 『역학계몽』 연구의 특징이라 할 것이다. 『계몽전의』에 나타난 태극논의는 이황이 상수학(象數學)을 통하여서도 리(理)의 필연성과 주재력을 확보하고자 하였음을 보여주며, 이는 『계몽전의』 가상수학 저술이지만 그 안에 이학적(理學的) 관심이 내재하였음을 의미한다. 다만 후대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연구에서는 이학적 관심이 뚜렷한 경우와, 이학적 관심과는 별도로 도수적(度數的) 연구에 치중한 경우로 나뉨을 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19세기 저작들에서 뚜렷이 드러나며 이는 퇴계학파 안에 내재하던 하나의 흐름이 19세기에 이르러 결실을 맺은 것으로 생각된다. Zhu Xi’s Yi Xue Qi Meng(『易學啓蒙』) is the core text in understanding the Image-Number(象數) Theory of Chosun Dynasty. Among the literature on Yi Xue Qi Meng during Chosun perio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work of the school of Toegye (退溪). Yi Hwang’s Qi Meng Zhuan Yi (『啓蒙傳疑』) is known as the first full-scale research work of Yi Xue Qi Meng written in Chosun period. It also had tremendous influence upon the subsequent research of Yi Xue Qi Meng in Chosun. This article has three aims: it (ⅰ) examines Yi Hwang’s motivation of writing Qi Meng Zhuan Yi, (ⅱ) spells out the main issues appearing in Qi Meng Zhuan Yi, and (ⅲ) investigates how it affects the subsequent study of Yi Xue Qi Meng performed by the followers of Toegye. As a result, this article will reveal principal characteristics of Yi Xue Qi Meng research performed by the school of Toegye. Just as Yi Hwang, his followers sought perfect understanding of Yi Xue Qi Meng while resolving the inconsistencies among the annotations of the text. In doing so, they did not merely keep to Qi Meng Zhuan Yi. Rather, they raised questions on the unresolved issues in the text, examined the predecessors’ views on them, and developed their own solutions. Their work is distinct in that they pursued the perfection in understanding Yi Xue Qi Meng by means of accumulating research on Qi Meng Zhuan Yi. The discussion of Tai-Ji (太極) in Qi Meng Zhuan Yi reveals that Yi Hwang intended to establish the necessity and predominance of Li (理) even in his theory of Image and Number (象數學), which suggests that Qi Meng Zhuan Yi embraces the subjects of Neo-Confucianism, though it is primarily a work of image-number theory. Later the analyses of Yi Xue Qi Meng diverged among the followers of Toegye: some took an interest in the theory of Li while others concentrated on the study of nature. In particular, the theoretical traits of the latter are conspicuous in their work in the 19th century, which suggests that one stream of Toegye School bore fruit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하빈 신후담의 『주역』 해석 일고찰

        최영진(Choi, Young-jin),이선경(Yi, Suhn-gyoh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한국학 Vol.37 No.2

        이 글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역학자인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 1702?1761)의 역학사상을 그의 주저 『주역상사신편(周易象辭新編)』을 통하여 고찰한 것이다. 이 글은 신후담 역학사상연구의 첫걸음으로 건괘(乾卦)를 중심으로 그의 『주역』해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주역상사신편』은 신후담의 중기역학사상을 담고 있는 저작이다. 27세에 집필에 착수하여 33세에 완료한 이 저작에서 신후담은 정주(程朱)역학을 기반으로 하면서 이미 자신만의『주역』해석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주역』의 편제에 대하여 신후담은『주역전의(周易傳義)』와 같이 전체를 12편으로 나누지만, 곤괘(坤卦) 이하의 배열구조는 옳지 않다고 보고, 경(經)은 경(經)대로, 전(傳)은 전(傳)대로 분류하는 건괘의 괘사?효사?단전?상전의 체제로 『주역』전체를 다시 편집한다. 이는『주역』의 ‘경’ 부분과 ‘전’ 부분에는 일정한 사상적 차이가 있다고 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신후담은 괘효사를 해석할 때 각 효의 자리(位)와 그에 따른 상(象)을 면밀히 분석한다. 상을 통하여 ‘의리’를 도출하며 점(占)을 언급하지는 않는다. 특히 효변(爻變)을 효사 해석의 구체적 방법으로 명시하여 각 효를 모두 효변에 입각해 풀이한다. 상과 효변에 입각한 『주역』 해석은 신후담에게 하나의 방법론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화된 것이다. 이는 정주(程朱)의 역학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특징이다. 조선 역학사에서 신후담 이전에 효변을 활용한 괘효사 해석의 사례는 간간이 있었지만,『주역』 효사 전체를 효변에 입각하여 해석하는 사례는 아직 찾을 수 없다. 또한 한 세대 뒤 인물인 정약용(1762?1836)이 효변을『주역』 해석의 방법론으로 체계화하였음을 볼 때, 양자의 효변론에 대한 비교연구, 더 나아가 성호(이익)학파 역학사상의 특징을 전체적으로 조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신후담의 역학은 ‘의리’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정주의 역학을 계승하고 있으며, 효의 자리와 상의 관계를 철저하게 분석·종합하고, 효변을 괘효사 해석의 중심방법론으로 체계화하였다는 점에서『주역』 해석에 새로운 지평을 연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heory of Yi(易) held by Shin Hudam(愼後聃, 1702?1761) by examining his Zhouyixiangcixinbian(『周易象辭新編』). In particular, I focus on his interpretation of Qian Gua(乾卦) as it is the steppingstone of studying his theory of Yi. Shin starts to write Zhouyixiangcixinbian when he is 27 and finishes it at the age of 33. So, it represents his thoughts of Yi in the middle period of his academic career. In this book, Shin develops his own interpretation of Zhouyi (『周易』), drawing upon Cheng Yi’s and Zhu Xi’s theories. He divides Zhouyi with 12 sections as in Zhouyizhuanyi (『周易傳義』). However, unlike the existing way, he rearranged Zhouyi separating the Scriptures (經) from the Interpretations(傳). This reorganization reflects his view that there is a theore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different kinds of portions in Zhouyi.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hexagram and the line, Shin fully analyzes the place of each line(爻) and its corresponding image(象). He draws out the implications of hexagram and the line without mentioning divination(占). Especially, he explicates each line based on the principle of lines’ change(爻變). Shin’s theory of Yi(易) is distinguished from Cheng Yi’s or Zhu Xi’s in that it is built upon the images and the principle of lines’ change in interpreting the lines. It also precedes one of the four interpretations of Zhouyi known as xiaobian(爻變) given by Jung Yakyoung(丁若鏞, 1762?1836). In conclusion, Shin’s theory succeeds Chen Yi’s and Zhu Xi’s in that it employs the implications (義理), whereas it differs from them in that it highlights the place of each line and its corresponding image and takes the principle of the lines’ change as the principal method of interpreting Zhouyi.

      • KCI등재

        조선후기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 이해

        이선경 ( Suhn Gyohng Y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5

        이 글은 조선후기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가 어떠한 특징을 지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자료의 측면에서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는 대체로 한원진을 중심으로 그의 동료, 문인들에 의해 연구되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퇴계학파의 『역학계몽』연구가 이황 『계몽전의』이후, 16세기말로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진데 비하여,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는 18세기에 집중적으로 논의되고, 그 이전과 이후에는 비중있는 연구저작들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본고에서 채택한 주제는 3가지로, 그들의 태극론, 하도와 8괘형성에 관한 이론, 「본도서」의 이른바 ``오위상득설``이 그것이다. 태극론의 경우 기호성리학파는 『역학계몽』의 상수적 태극을 이기지묘의 이기론과 인기질의 인성론을 바탕으로 해명하는 독특성을 보여준다. 하도와 8괘형성에 관한 이론에 있어서는 기호성리학파내부에서도 논의가 분분하여 명쾌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결국 그들은 종래 주희와 호방평이 하도와 복희팔괘횡도, 복희팔괘원도를 종합하여 하나의 원리로 설명하려던 시도를 유보한다. 한원진은 하도와 원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양자의 관계를 보다 명쾌하게 설명해내는 방식을 취하고, 이는 그의 동료문인들에게 지지를 받는다. 이러한 과정은 전통적 진리체계의 보편성에 대한 의식의 균열을 내포하며, 이러한 기류는 홍대용과 같은 기호실학자들에 의해 전통과학과 진리체계가 부정되면서, 19세기 『역학계몽』연구가 지속되지 못하는 한 원인이 되었다는 것이 필자의 가설이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studies of Yi Xue Qi Meng(易學啓蒙) performed by the researchers of Neo-Confucianism in Ki Ho region in later Chosun period. Philologically speaking, these studies were mainly performed by Han Won Jin and his colleagues. While the study of Yi Hwang(李滉)`s Qi Meng Zhuan Yi(啓蒙傳疑) performed by the researchers of Toegye(退溪) School lasts from the end of the sixteenth century to the nineteen`s century, the Ki Ho(畿湖) scholars` study of Yi Xue Qi Meng are centered 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hardly any significant work on this text is found before and after this century. In order to single ou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Ki Ho School of Neo-Confucianism, this article examines three subjects the Ki Ho scholars delved into: (i) their theory of Tai Ji(太極), (ii) their theory of He-Tu(河圖) and the formation of eight trigrams, and (iii) the so-called Wu Wei Xiang De Shuo(五位相得說) discussed in one of the sections in Yi Xue Qi Meng titled the Source of He-Tu and Luo Shu[本圖書]. The Ki Ho scholars are remarkable in interpreting Tai Ji in Yi Xue Qi Meng in the context of the theory of Li-Qi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There are differences in opinion among the Ki-Ho scholars with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He-Tu and the formation of eight trigrams. Eventually, they withhold Zhu Xi(朱熹) and Hu Fang Ping(胡方平)`s attempt to synthesize He-Tu, the rectangular diagram of Fu Xi(伏羲)`s eight trigrams, and the circular diagram of Fu Xi`s eight trigrams into one single principle. Han Won Jin tries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He-tu and the formation of eight trigrams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He-Tu and the circular diagram, and his attempt is widely supported by his colleagues. This theory runs counter to traditional model of explaining truth. My conjecture is that such academic trend is further developed by the defenders of Practical Learning such as Hong Dae Yong (洪大容), who vigorously reject traditional system of truth and science, and that it partly explains why the study of Yi Xue Qi Meng ceases in the nineteenth century.

      • KCI등재

        주역의 죽음관

        이선경 ( Yi¸ Suhn-gyohng ) 동양철학연구회 2021 東洋哲學硏究 Vol.107 No.-

        역의 관점에서는 세계 자체가 변화이므로, 그 밖의 세계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주역에서 죽음은 세계 밖의 문제가 아니라, 하나인 전체 세계 내의 문제로 존재한다. 변화는 음양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기에 죽음이 없는 삶은 없으며, 삶과 죽음은 통전(通全)적으로 이해된다. 주역의 죽음관은 사생을 음양의 순환과 취산으로 이해하는 종시론적 인식과 삶의 실존적 차원으로 이해하는 두 관점을 포괄한다. 종시론적 관점에서 죽음은 종말이나 소멸이 아니라 새로운 변화의 국면으로서 우주적 차원에서 새로운 생을 예비하는 휴지(休止)로 설명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체의 죽음이란 우주적 순리에 부합하는 것이기에, 관조적이고 초탈적으로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존재성’을 드러내는 통로로 몸의 역할을 중시하는 유가사상에서 육신의 죽음은 중대한 사건으로 인지된다. 실존적 차원에서 마주하는 죽음은 단지 우주변화의 한 양상으로만 치부할 수 없는 지극한 슬픔[凶]이기 때문에, 오히려 ‘애이불상(哀而不傷)’의 중도로써 상(喪)을 치루는 이의 생명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죽음은 ‘존재의 의미’가 가장 크게 노출되는 사건이다. 이를테면 ‘치명수지(致命遂志)’는 비록 육체적 생명을 버리는 일이지만 자신의 존재성을 실현하는 엄숙한 결단이라는 점에서, 흉(凶)이 아닌 길(吉)의 방향이 된다. 주역의 죽음관은 ‘생생(生生)’의 철학에서 그 궁극적 지점을 발견할 수 있다. 생생은 무한히 종시(終始)를 반복하면서 순간순간 새로운 동적 평형을 이루어 나가는 과정으로서, 일음일양을 통합한 도의 움직임이며, 사생의 통합으로서의 생이다. 주역의 죽음관은 변화를 벗어난 영원불변의 안식을 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순간’만이 절대적 실재로서 ‘참’이며, ‘영원’은 피안이 아닌, 변화하는 현장의 주체로서 인간 자신에게 있는 것이다. In I Ching‘s view, the world itself is a change, so no other world exists. Therefore, in I Ching, death is not a problem outside the world, but a problem within the entire world. There is no life without death because change is done through yin-yang interactions, and life and death are integrated. I Ching's view of death encompasses two points of view: First, life and death are understood as a yin-yang cycle, or a clot and a scatter. Second, death is approached from an existential level of life. In the first sense, death does not mean an end or extinction, but a new phase of change. It is described as a period of suspension on a cosmic level to prepare for a new life. In this respect, the death of an individual is compatible with cosmic reasoning, and thus can be accommodated in an observational and superfluous manner. However, the death of the body i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event in I Ching, which values the role of the body as a channel for expressing its "existence." Death faced on an existential level is a great sadness that cannot be dismissed only as an aspect of space change. So the principle of burial is that "no matter how sad you are, you should not hurt yourself." Death is the most exposed aspect of the 'meaning of existence'. There is a saying in I Ching that says, "I fulfill my purpose by sacrificing my life." It is a direction of blessing, not unhappiness, in that it is a solemn decision to realize one's own existence, even though it is a abandonment of physical life. I Qing's view of death can be found at its ultimate point in the philosophy of “Production and reproduction (生生)”. “Production and reproduction (生生)” is the process of achieving a new dynamic equilibrium moment by moment, repeating the end and beginning indefinitely. It is the integration of life and death. I Qing's view of death does not seek eternal rest beyond change. Rather, only "moment" is "true" as an absolute reality, and "forever" is not in after life, but in the changing field of life.

      • KCI등재

        一叟 李元龜의 易學思想과 그 實學的 지향

        이선경(Yi Suhn Gyohng)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7 泰東古典硏究 Vol.23 No.-

        이 논문은 역학적 관점에서 인륜과 산업의 통합이론을 제시하였던 이원구의 실학사상을 실학사상사적 흐름 속에서 이해한 것이다. 통념적으로 실학의 특징을 이용후생으로 보지만, 실상 북학파를 비롯한 실학사상가들은 이용후생만을 주장하지 않았으며, 정덕과 이용후생의 균형과 조화를 추구하였다. 이원구의 인륜산업론은 이러한 사유를 계승하여 이론화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원구는 역(易)의 건곤론을 뿌리로 하는 구도육사론(九道六事論)를 통하여 인륜과 산업의 통합을 모색한다. 인륜구도(人倫九道)를 건(乾)의 천도(天道)로, 산업육사(産業六事)를 곤(坤)의 지도(地道)로 보아 음양의 상관적 사유를 전개하고, 곤도와 건도를 완성하는 의미로 이해함으로써 역학적 견지에서 실학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한다. 그는 인륜과 산업을 건곤의 인·의(仁義)의 관계로 보고, 건원(乾元)과 곤원(坤元)의 소통성에 주목하며, 산업을 문질론(文質論)의 입장에서 문(文)의 완성으로 본다. 곤도에 의한 건도의 완성이란 측면에서 산업의 위상을 제고하고 문질론을 통하여 산업을 문(文)의 완성으로 봄으로써 그는 실학의 입장에서 도학과의 접점을 이론적으로 확보한다는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d the thought of Yi, Won Gu s Practical Study, who suggested the integrated theory of humanity and industry based on I-qing. Conventionally, the main concept of Practical Study is Yiyonghusaeng (making a good use of things and the public welfare), but thinkers including Bukhakpa not only emphasized Yiyonghusaeng, but pursued the balance and harmony of right virtue and Yiyonghusaeng. We can find significance in that Yi Won Gu s integrated theory succeeded and conceptualized this kind of thought. Yi Won Gu seeks the integrity of humanity and industry through Gudoyuksaron (the theory of nine ways and six tasks) which is rooted from qian-kun theory of I-qing. He regarded humanity and nine ways as the way of qian and industry and six tasks as the way of kun, so he developed interactive thought of yin and yang. He also saw the way of kun as a means of completing the way of qian, therefore, he made the conceptual foundation of Practical Study in light of I-qing. He saw the humanity and industry are relevant to benevolence·righteousness in qian-kun. While he noted the communication between qian and kun, he thought industry is the completion of accomplishment(文) in the context of the theory of accomplishment and solid quality(文質論). He raised the status of industry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pletion of qian by kun, then he saw industry as the perfection of accomplishment(文) through the theory of accomplishment and solid quality(文質論), so he ensuredtheoretical interface of Ethics and Practical Study.

      • KCI등재

        16세기 기호(畿湖) 성리설 성립기 학자들의 교유와 학문 - 『삼현수간(三賢手簡)』을 중심으로

        이선경 ( Yi Suhn Gyohng ) 한국공자학회 2018 공자학 Vol.34 No.-

        기호학파의 학자들은 율곡 이이를 종장(宗匠)으로 삼고 그 학설을 표준으로 삼는다. 그러나 사계 김장생, 신독재 김집으로 이어지는 16세기 기호(畿湖)의 후학들은 단지 이이의 문하에서만 수학한 것이 아니라 송익필, 성혼에게도 동시에 출입하였다. 송익필과 성혼은 이이가 평생토록 삶과 학문을 나눈 절친한 벗들이다. 이 세 인물이 주고받은 친필 편지를 편찬한 『삼현수간(三賢手簡)』은 이들의 삶과 학문이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삼현수간』을 통해서 세 인물의 사귐을 세밀하게 살필 수 있으며, 예(禮)와 사단칠정, 인심도심 등의 성리설에 대해 치열하게 토론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기호의 성리설은 이이 한 사람의 학설이 논변 없이 독점적으로 전승된 것이 아니라, 송익필과 성혼이 논변의 과정에서 드러내었던 문제의식과 사유가 함께 전승된 것이다. 이글은 『삼현수간』을 주요 텍스트로 하여 그들의 교유와 학문의 특징을 살피려는 것이다. 이이보다는 송익필과 성혼을 중심에 두고, 16세기 기호학파의 성리설이 형성되어가는 현장을 관찰한다. 이들의 육성이 담긴 『삼현수간』을 통해 그 학설의 특징을 드러내는 방법을 취함으로써, 기호학파의 예학과 성리학의 형성과정을 보다 구체적이고 입체적으로 드러내려는 것이다. The scholars of the Gyeonggi-Hoseo(Giho) area followed Yulgok Yi Yi as a grand master and use his theory as a standard. However, his followers such as Kim Jang-saeng and his son Kim Jib were not only studied at Yulgok school but also at Song Ik-pil and Seong Hon at the same time. Song and Seong close friends of Yulgok who shared thoughts and learning throughout their lives. Samhyunsugan(三賢手簡), the compilation of the letters exchanged by these three figures, shows that their lives and learning are closely related. We can see not only their friendship in detail through Samhyunsugan, but also see the fierce discussion among them about the theories such as Ye(禮), Sadan-chiljeong(四端七情), and Insim-dosim(人心道心). The neo-confucian theory of Giho school is not that the theory of Yulgok had been exclusively handed down without arguments, but it seems that Song and Seong also had passed down their ideas revealed in the process of arguments.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of the neo-confucian theory of the Giho school in the 16th century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ymbiosis and scholarship, focusing mainly on Song Ik-pil and Seong Hon. By taking an inductive method tha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octrine through Samhyunsugan it is possible to elaborate more specifically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neo-confucian theory of Giho school.

      • KCI등재

        중용의 실현 근거로서 誠의 철학: ― 존재, 인식, 수양의 측면에서

        이선경 ( Yi Suhn Gyohng ) 한국공자학회 2018 공자학 Vol.35 No.-

        이 글은 중용의 실현근거로서 성(誠)의 의미를 존재론, 인식론, 수행론의 차원에서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중용은 인간이 내적중심을 확립하고 그것을 지켜냄으로써 매일의 일상과 역사현실에서 당면하는 사태들에 대해 양극단으로 치우치지 않는 균형적 판단과 행위를 해낼 것을 요구한다. 이것을 시중(時中)이라 부른다. 중용의 실천은 매우 어렵지만,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는 일상 속에 항상 열려져 있다. 『중용』은 시중을 성취할 수 있는 근거와 방법을 성(誠)으로 제시한다. 성(誠)의 철학은 시중이 단순한 윤리적 지침이나 임기응변이 아님을 말한다. 『중용』은 존재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 존재로의 회귀를 삶의 목적으로 설정하며, 그에 이를 수 있는 길을 인식론적 그리고 수양론적 차원에서 제시한다. 첫째, 존재론적 차원에서의 성(誠)은 진리의 기준으로서 천도 (天道)와 그것이 내재화된 인간의 성(性) 그리고 희노애락이 아직 발동하지 않은 마음의 체(體)로서의 중(中)을 모두 함축하고 있는 개념이다. 성(誠)은 외재적 천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재적 인성으로서 내외를 관통하는 것이다. 둘째, 진실한 존재자체인 성(誠)은 그 개념 안에 인식의 완전성의 개념을 이미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이상적 인간의 표준인성인(聖人)의 모습으로 상정되지만, 성(誠)자체인 천도 역시 존재와 인식이 하나이다. 아직 성인에 이르지 못한 보통사람은 ‘성지(誠之)’의 노력이 요청되는데, 인식의 영역에 있어서 그러한 노력이 명선(明善)이며, 이때의 인식은 단순히 대상에 대한 지식을 갖는 것이 아니라, 인식주체가 진실한 마음으로 대상을 체인하는 것인 까닭에 명선은 필연적으로 몸의 수행을 요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식의 확장은 주체가 확장되는 결과를 낳음으로써 궁극적으로 존재자체인 성(誠)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셋째, 선(善)을 밝힌다는 인식 차원에서의 공부는 몸의 실천공부인 ‘성신(誠身)’의 기초가 되고, 성신은 다시 한 차원 높은 인식의 기초가 됨으로써 명선(明善)과 성신(誠身)은 호환적 구조를 지닌다. 명선과 성신은 자기 자신의 주체 확립으로 수렴되며 [成己], 이를 기초로 다시 외부로 확산[成物]되는 음양적 변증구조를 지닌다. 성(誠)의 철학의 궁극적 목표는 시중의 실현에 있으며, 그것은 ‘지극히 진실한’ 주체를 요구한다. 지극한 도는 지극한 덕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인간이 그의 존재를 실현할 때 진리도 비로소 그 모습을 드러낼 수 있는 것이다. This paper is focused upon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sincerity (誠) as the element in fulfilling the philosophy of mean(中庸). In The Zhong yong(Doctrine of the mean) is said that the mean of a man of virtue is timely-reaching-the-mean. Although practicing the mean is very difficult, the chance of realizing is open in our everyday life. The practicing principle of timely-reaching-the-mean as shown in the book of mean is sincerity(誠). Viewed from the philosophy of sincerity, timely-reaching-the-mean is not a simple ethical code or temporarily effective methods of dealing with surroundings. The Zhong yong(Doctrine of the mean) investigates the ontological nature of things, and suggests the right way to recover the originally perfect human nature. Following are three facets of sincerity as a cornerstone in realization of the mean. 1. Ontologically, sincerity contains ① heavenly way as a cadre for truth, ② human nature as internalization of heavenly way, and ③ original human mind not inclined to any form of emotion.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sincerity pertains to the heavenly way(outside), as well as internal human nature. 2. As a true existence itself, the concept of sincerity contains in it the perfectness of cognition. The perfect union of existence and cognition is found in the sage, as the highest standard of humanity, and it is also accomplished in Heaven, the sincerity itself in this context. Most of people, who are not sages, are required the struggle for attainment of sincerity, whose cognitive element is bright decision on the problem of good(明善). Cognition in this context in not simply knowledge about the object concerned, but also includes acceptance and experience of the object with pure mind. So, bright decision on the problem of good necessitates bodily practice. In this way, extension of cognition entails extension of self, which results in proceeding to sincerity as the ultimate being. 3. There is a reciprocal relation between bright decision on the problem of good(明善) and making oneself pure and devoted(誠身), each being the basis for the other. Both of them reduce to establishment of one's subjectivity[成己], and then extend to outside[成物]. Their relationship is dialectical. The ultimate aim of philosophy of sincerity is realization of timely-reaching-the-mean. The realization of sublime postulate calls for sublime virtue, and the verity comes along when the human being realizes him/herself.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사상사 연구방법론으로서 역(易)의 가능성 시론(試論) - 이병헌·안재홍·박종홍·류승국을 중심으로 한 예비적 고찰 -

        이선경 ( Yi Suhn Gyohng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6 No.-

        이 글은 역(易)이 한국의 학술 및 문화와 밀접한 관계에 있음에 주목하고, 한국사상사 연구방법론으로서 역의 논리의 형성가능성을 예비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역과 한국사상이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인식한 4명의 학자의 경우를 고찰하였다. 진암 이병헌, 민세 안재홍, 열암 박종홍, 도원 류승국이 그들이다. 이병헌은 역과 한국사상사의 관계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공자를 동방계로 인식하고, 유교가 ‘동방의 교’라고 천명하면서 공자가 손수 지은 작품이 「역전(易傳)」이기에, 역과 조선의 학술문화가 깊은 관계에 있다고 보았다. 안재홍은 우리가 쓰는 말이 그대로 ‘생활이념’이며 ‘철리(哲理)’가 담긴 것이라고 보아, 우리말에 담긴 철학적 의미를 풀어냄으로써 한민족의 세계관과 인간관 그리고 정치철학을 제시하였다. 그는 역에 대해서만큼은 특별하게 생각하여 역은 조선적 요소가 매우 많은 것으로, 역리와 태극사상, 그리고 오방사상은 일종의 국제공통성을 지닌다고 파악하고, 역의 음양론과 생명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박종홍은 역의 ‘중의 변증론’이 헤겔의 이성주의와 실존주의의 내면적 진실성을 겸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중의 변증론’을 한국사상사의 골자로 보았다. 그는 ‘역사의 전개란 절대정신이나 역사법칙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주체의 자각과 실천에 달린 것이며, 종합 역시 인간주체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본다. 류승국 역시 ‘중의 인간론’을 말하며, 내외를 아우를 수 있는 인간의 순수한 주체성이 한국역학의 본질이자 한국사상의 본령이라고 주장한다. 고찰의 결과 필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향을 얻게 되었다. 첫째, 역의 사유가 한국학술문화의 중추를 형성한다는 점을 정당하게 주장하기 위해서는 한국사상의 시원과 역의 관계를 탐구해야 하며, 여기에는 ‘동이(東夷)’라는 큰 산맥이 놓여 있다. 둘째, 박종홍의 ‘중(中)의 변증론’과 류승국의 ‘중(中)의 인간론’으로부터 구체적으로 전개되어온 한국사상사를 조명할 수 있는 역의 논리를 시사받을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보다 정밀한 연구가 요청된다. 동시에 『정역』이 제시하는 황극인(皇極人)의 인간상 역시 새로운 휴머니즘의 모색을 위해 연구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lose relationship of Yerk (易) to Korean academic and cultural studies,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forming Yerk (易)'s logic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Korean philosophy history. To this end, the case of four scholars who recognized that Yerk (易) and Korean thought were closely related was considered. They are Lee Byung-hun, Ahn Jae-hong, Park Jong-hong, and Ryu Seung-guk. Lee Byung-hun did not directly m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Yerk (易) and Korean history. However, he recognized Confucius as an Eastern person and declared Confucianism as the “teaching of the East.” “YerkJeon (易傳)” is Confucius's work, which means that Yerk (易) and Joseon's academic culture are deeply related. Ahn Jae-hong considered Yerk very special and said that Yerk has a lot of Korean elements. He identified Yerk's principle and Taegeuk's idea as international common principles. He actively accepts yin and yang theory and A's life ideas. Park Jong-hong saw that Yerk's dialectic could serve as both Hegel's rationalism and the inner truth of existentialism. He viewed ‘Mean's dialectic’ as the gist of Korean thought. He believes that “the development of history is not influenced by absolute spirit or laws of history, but depends o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human subject, and synthesis is also possible only through the human subject.” Ryu Seung-guk also refers to ‘Mean's Human Theory’. He believes that the pure subjectivity of human beings who can control both inside and outside is the essence of Korean thought. Park Jong-hong's “Mean's Dialectic Theory” and Ryu Seung-guk's “Mean's Human Theory” need to be studied more precisely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Korean history. At the same time, the human image of the Hwanggeuk-in (皇極人) presented by Jeong Yeok will also need to be studied to find new humanism.

      • KCI등재

        안재홍, 보편을 지향하는 민족철학

        이선경 ( Yi Suhn Gyoh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3

        이글은 일제강점기와 해방정국에서 활동하였던 민세(民世) 안재홍(安在鴻)의 사상을 살펴 본 것이다. 안재홍 사상의 특징과 주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고유어에 담긴 뜻과 사상성에 주목하여 한민족의 철학을 구성한다. 둘째, 사대주의적 문화풍토가 지배하기 이전 고조선의 문화와 언어에서 한민족의 ‘영원한 생명성’을 찾아낸다. 셋째, 태극사상 및 역리는 국제공통적 문화요소로서 한민족의 세계관과 매우 부합한다. 넷째, 불함도[□사상]와 ‘다사리’ 이념은 고유한 민족철학이면서도 현대적 적용 및 발전이 가능하며, 세계의 어느 이념보다 우수한 보편적인 것이다. 풍류도와 홍익인간 및 제세이화, 광명이세에서 그 실제를 볼 수 있다. 다섯째, 사람은 어떤 정치적 이념보다 앞서는 선국가적 존재이며, 그러한 구체적 휴머니즘으로서의 민족주의는 어떠한 이데올로기나 정치이념으로도 무력화시킬 수 없다. 여섯째, 이와 같은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는 상호 지양됨으로써 통일국가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일곱째, 20세기 문화의 방향은 개개민족이 민족적 개체성을 분명히 하면서 다양한 세계의 민족문화와 교류, 소통하는 가운데 상호 발전해 나아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안재홍의 철학은 사상성은 풍부하나 엄밀성은 부족하다. 언어학적 접근을 통해 역사를 증명하려는 방법은 그 엄밀성을 담보하기 어려우며, 그가 제시한 이론체계 자체 안의 모순도 보인다. 그러나 우리말에 담긴 생활이념과 이를 매개로 한 사색의 전개를 주창한 것은 여전히 소중한 문제제기이다. 20세기 전반, 국제적으로도 한국인 스스로도 한민족의 역량에 자부심을 갖기 어려운 시절에, 안재홍이 한국의 고유사상에서 현대에 소통가능한 철학과 이념을 구축하고, 한민족의 고유정치사상[‘다사리’ 이념]을 실현하고자 한 노력은 주목할 만하다. 안재홍의 호 민세가 민족과 세계에서 따온 것이듯, 개개 민족과 세계가 서로 소통하면서 함께 성장해 나가야 한다는 ‘민세주의’는 오늘날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시사하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houghts of Ahn Jae-hong, who was active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liberation regime. The characteristics and arguments of Ahn Jae-hong's though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onstitutes the philosophy of the Korean people by paying attention to the meaning contained in native words. Second, it finds the 'eternal life' of the Korean people in Gojoseon's culture and language. Third, the Taegeuk(Taiji) thought and logic of Yijing are common international cultural elements and are very consistent with the Korean people's worldview. Fourth, the ideology of 'Bulhamdo' and 'Dasari' is a unique national philosophy, and this has universality that can be applied to modern times. Fifth, people are pre-state beings ahead of any political ideology, and nationalism as such humanism cannot be neutralized. Sixth, liberalism and socialism, centered on nationalism, should be mutually integrated. Seventh, the national culture of the world can develop and move forward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His idea that individual ethnic groups and the world sh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grow together suggests the direction in which Korea should move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