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VOCs의 제거 특성을 지닌 ZnO 입자의 광촉매 특성에 관한 연구
이석영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최근 산업화의 발전과 함께 값싸고 질 좋은 건축자재가 다양하게 출현함에 따라 건축내장재도 여러 가지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점에도 불구하고 다른 한편으로 새집 중후군이라는 천연재료를 사용한 주거 문화에서는 발생되지 않았던 새로운 질병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로 인해 야기되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이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최근에 많이 이루어 졌으며 특히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는 ZnO, CsS, WO3, TiO2등 여러 물질이 소개 되었고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의 역사가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아직도 연구 분야가 몇가지의 물질에 국한되어 있으며 성능이 우수한 새로운 물질에 대한 연구보고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값이 저렴한 Zn을 이용하여 ZnO분말을 만든후 광촉매 반을을 통한 VOCs의 제거 특성에 대한 실험을 행하였다. Benzene, Toluene Xylene 등의 유기화합물과 촉매제로 투여된 ZnO와 반응시간과의 관계를 측정하여 반응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환비율을 VOCs측정기를 통하여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TiO2에 비해 제거 특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가격대비 우수한 제거 특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 된다.
초등학생을 위한 강화학습 중심 인공지능 교육이 인공지능 기술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석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현재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과 자료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부분 기계학습의 3가지 방법 중 지도학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는 학생들에게 ‘기계학습은 곧 지도학습’이라는 오개념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 미래 사회에 주목받는 기계학습 방법인 강화학습은 인간의 학습 과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게임으로 쉽게 시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인공지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향상시키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적합한 기계학습 방법으로 강화학습을 선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강화학습 중심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에이전트 역할을 직접 체험하면서 강화학습의 요소와 원리를 이해하는 횡스크롤 웹 게임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강화학습 중심 인공지능 교육과 일반적인 인공지능 교육을 각각 실시한 후 인공지능 기술 태도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강화학습 중심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기술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군인교회 중년남성의 성숙성에 관한 연구 : 이야기 심리학(narrative psychology)적 접근
이석영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 심리학'(Narrative psychology)적 입장에서 군인교회 중년남성들의 성숙성의 대본(generativity script)을 살펴보는 것이다. 중년기는 심리적, 신체적, 종교, 가족관계, 직업생활, 사회적 지위와 사회활동이란 영역에서 중요한 전환기이다. 일반적으로 중년기의 사람들은 자신들을 평가하는 과정과 신체적 상태, 직업적 지위, 인간관계 등을 조정하며 중년기 위기를 경험한다. 융(Jung), 쉐이(Sheehy) 등은 중년기에 중년기 위기를 경험한다고 한다. 대조적으로, 에릭슨(Erikson)과 코트레(Kotre) 그리고 매카담스(McAdams) 등은 중년기가 위기의 시간일 뿐만 아니라 성숙성의 기간이라는 것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 논문은 특별히 이야기 심리학의 이론적 관점에서 중년기의 성숙성을 말한다. 매카담스의 이야기 심리학은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기 위해 이야기를 만든다는 개념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매카담스의 이야기 심리학에서 중년기 성숙성 대본 형성의 이론적 구조를 설명했다. 나아가, 이 이론에 기초하여 심리전기적 방법의 입장에서 만들어진 질문지를 도구로 군인교회 중년남성 네 사람을 인터뷰했다. 심층면접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는 군인교회 중년남성 네 사람의 사례를 분석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id-life generativity script for Military Church men from the narrative psychological viewpoint. Mid-life is a period of important transition in the areas of psychology, physical, religion, family relations, occupational life, social classes and social activities. The people of mid-life generally experience the mid-life crisis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mselves and adjusting their lives with regard to their physical conditions, occupational positions and human relation, etc. A number of studies by Jung, Sheehy, etc. showed us that mid-life has experienced the mid-life crises. On the contrary, Erikson, Kotre and McAdams etc. revealed to us that mid-life was not a period of crisis but a period of generativity. This thesis especially focuses on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narrative psychology's viewpoint to point out the mid-life generativity. McAdams's narrative psychology is a theory which is based on the idea that individuals create their own stories to discover self-identity. Therefore I summaries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mid-life generativity script with McAdams's narrative psychology. Furthermore, based on these theories, I interviewed four mid-life men in the Military church as a tool of question sheets from the standpoint of psycho-autobiographical method. On the bases of intensive interview, I analyze the four cases of middle aged men in the military church.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동기, 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이석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study the mediat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 the relation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is study we want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to support the necessarity of self-efficacy program for the learners' autonomous motivation. Question for the study are like this: First,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con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influence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Forth, does the academic self-efficacy have the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cond,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Gi provence participated this study. Kim Ah Young and Park in Young(2001)'s academic self-efficacy test and Kim(2002)'s Korean Academic Self-regulation Questionnaire(K-SPA-A) are used this study.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we use the midterm examination score in 2009. To analyze the data, first we search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do th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 are following: First, in the relation in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has more influence on internal cause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tyles. Also it i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mong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tyles except the external reason. So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can help to arouse the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Second, in the relation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academic self-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is the most significant expectable variable and the influence of confidence is the lowest. Through this result we can expect that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can help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Third, in the relation i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s identified/integrated reason is the most powerful variable, external reason influences negatively. This result shows that intrinsic motivation encourage can help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but it is difficult to make the learners to study only through the intrinsic interest in school. So it is necessary to help the learners have the intrinsic interest and to improve the learners autonomy by themselves using extrinsic rewards. Forth, we studied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has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 result said that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s, introjection reason, identified/integrated reason and intrinsic reason have partial mediating influence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show that improvement of academic self-efficacy can influence on the arousal of intrinsic motivation. And in the long ru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can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So it is necessary to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of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self-efficacy improvement program development. And these studies can help the learners study using intrinsic interest by themselves affecting learners' improvement of autonomous motiv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동기,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자율적 동기 증진을 위한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마련의 필요성을 뒷받침하여, 궁극적으로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결정성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 듈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기결정성동기는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결정성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 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2, 3학년 남, 여 학생 3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김아영, 박인영(2001)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와 Kim(2002)의 한국형 학업적 자기조절 설문지(K-SPA-A)를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도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2009년 1학기 중간고사 점수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기술통계치를 살펴보았고,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와 결론을 연구문제별로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동기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결정성 동기유형 중 내적 원인에 가까운 유형에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외적 원인을 제외한 모든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에서 자기조절효능감이 가장 유의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습자의 내적동기 유발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과제난이도선호가 학업성취도의 가장 유의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 변인 중 자신감의 영향력만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통해 학업성취도의 향상도 모색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셋째, 자기결정성동기와 학업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성동기 유형 중 확인․통합된 원인이 학업성취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예언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외적 원인의 경우 학업성취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적 동기 유발이 학업성취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학교라는 상황에서 학습자가 완벽히 내적인 흥미를 통해 학습하게 하는 것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외적 보상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학생이 스스로 자율성을 증가시키고 내적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결정성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성동기 중 부과된 원인, 확인․통합된 원인, 내적 원인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내적 동기 유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내며, 이것은 궁극적으로 학업성취의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추후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는 학습자의 자발적 동기증진에 영향을 주어 학습자 스스로 내적 흥미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주사슬에 실리콘을 포함하는 새로운 Polybenzimidazole의 합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이석영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주사슬에 실리콘을 포함하는 단량체를 단계별로 합성을 하였고, 이를 가지고 테트라아민기를 갖는 3,3‘-diaminobenzidine과의 축합중합 방법을 통하여 두 가지 새로운 중합체 PBI Ⅰ, PBI Ⅱ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중합체들의 구조분석은 IR, 1H-NMR 측정을 통해서 확인하였고, 분자량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서 GPC를 측정한 결과 다분산지수가 1.55로 우수하였다. PBI의 물리적, 열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용해도조사, 점도 측정 그리고 TGA 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 중합체가 DMAc, DMSO, NMP, DMF등의 극성 유기용매에 잘 용해되었으며, 열안정성은 초기분해온도가 368℃이고, 800℃에서 잔존질량이 57%로 열적으로 아주 우수한 고분자임을 확인하였다. The silicon containing monomers that the acid dichlorides bis(4-chlorocarbonylphenyl)diphenylsilane (DCPS) was synthe -sized by a previous report. Novel PBIs containing DCPS were synthesized by polycondensation with 3,3‘-diaminobenzidine suitable aromatic tetraamines. The resulting polymers were characterized by FT-IR, 1H-NMR and GPC. The polymers were soluble in a variety of organic solvents such as DMAc, DMSO, NMP and DMF ets. The thermal stability were determined by TGA. Initial decompositon temperature of PBI Ⅱ was about 368℃ and char-yield at 800℃ was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