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집형 감자 수확기 적정 작업속도 분석

        이상희 ( S. H. Lee ),강태경 ( T. G. Kang ),김영근 ( Y. K. Kim ),최일수 ( I. S. Choi ),현창식 ( C. S. Hyun ),최용 ( Y. Choi ),전현종 ( H. J. Jun ),김진구 ( J. G. Kim ),유승화 ( S. H. Yu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국내 감자 수확작업은 굴취기를 이용하여 굴취한 후 인력으로 수집하는 형태로 감자 생산 총 노동시간58.0 hr/10 a 중 수집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29.5%에 달하며, 농촌 노동력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수집형 감자 수확기 개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Hyde 등(1983)은 감자 수확기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컨베이어의 이송속도와 작업속도의 비라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제작 한 수집형 감자 수확기의 적정 작업속도를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시험에 사용된 공시 트랙터는 Grandmax GM56, Kubota, Japan)으로 저속 1단, 저속 2단, 저속 3단 3수준에서 실험을 하였다. 각 단수에서 작업속도는 10회 측정하였으며, 저속 1단은 0.2 m/s, 저속 2단은 0.24 m/s, 저속 3단은 0.28 m/s로 조사되었다. 실험은 5 m 구간 작업 후 굴취율, 손상율, 이물질혼입율을 조사하였으며, 속도별로 3반복 씩 총 9회 실시하였다. 데이터는 SAS (v9.4., SAS Institute Inc., USA)를 이용하여 유의수준 0.05에서 최소유의차 검정을 실시하였다. 굴취율의 경우 작업속도 0.2, 0.24, 0.28 m/s에서 각각 99.9, 99.9, 99.3%로 나타났으며, LSD 검정 결과 작업속도에 따른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감자의 경우 두둑 상부로부터 15~20 cm 깊이에 분포하므로 굴취율은 작업속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손상율의 경우 0.2 m/s에서 4.3%, 0.24 m/s에서 4.7%, 0.28 m/s에서 7.7%로 나타났으며, 특히 0.28 m/s에서 표피손상이 0.2, 0.24 m/s에서 보다 2.6~3%증가하였다. 이물질 혼입율은 0.2 m/s에서 3.5%, 0.24 m/s에서 3%, 0.28 m/s에서 10.2%로 나타났으며, 0.28m/s에서 이물질혼입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0.2 m/s와 0.24 m/s에서는 굴취율, 손상율, 이물질혼입율 모두 작업속도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0.28 m/s에서는 0.24 m/s보다 손상율이 3%, 이물질혼입율이 7.2% 높게 나타나 0.28 m/s에서는 작업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0.2 m/s와 0.24 m/s 간에 시작기의 성능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시작기의 작업능률을 고려할 때 0.24 m/s가 적정 작업속도라고 판단된다.

      • 수집형 감자 수확기 개발을 위한 굴취·이송 요인실험

        이상희 ( S. H. Lee ),김영근 ( Y. K. Kim ),강태경 ( T. G. Kang ),김성우 ( S. W. Kim ),최용 ( Y. Choi ),전현종 ( H. J. Jun ),최일수 ( I. S. Choi ),현창식 ( C. S. Hyu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감자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주요 밭작물로 감자의 소비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재배면적은 2000년 29,400ha에서 2014년 22,000ha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생산량 또한 2000년 704,6000톤에서 2014년 590,000톤으로 감소하고 있다. 현재 감자의 수확작업은 굴취기를 이용하여 굴취한 후 인력으로 수집하는 형태로 감자 생산 총 노동시간 58.0hr/10a 중 수집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17.1hr/10a에 달하며 농촌 노동력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수집형 감자 수확기 개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자의 생력재배(Labor saving cultivation)를 높이기 위해 수집형 감자수확기개발을 위한 굴취날 각도 및 이송속도에 따른 요인실험을 수행 하였다. 수집형 감자 수확기는 트랙터 부착형으로 굴취날 각도 3수준(20, 23, 26°), 이송속도 3수준(0.3, 0.4, 0.5m/s)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굴취날은 각도 별로 3개를 제작하여 날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고, 시험은 평창 감자밭에서 이루어졌으며 시험포장의 토성은 양토였다. 굴취율은 3m구간 굴취 후 굴취된 개수와 미굴취 감자의 개수를 비교하였으며 3반복 측정 하였다. 이송속도는 모터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는 모터 컨트롤러를 따로 제작하여 기체는 정지시키고 이송부만 작동하며 실험하였다. 이송속도 별로 1회에 시료 50개를 투입하여 총 3반복 실험하였으며 표피손상과 형태가 파손된 것을 손상으로 간주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감자의 물성은 크기와 무게를 조사하였으며 평균 가로 75.4±6.26mm, 세로 62.5±5.3mm, 높이 81.7±7.67mm, 무게는 230.7±45.6g이었다. 수집형 감자 수확기의 굴취 및 이송 요인별로 시험하여 감자 굴취율, 이송손상 및 수집손상을 조사한 결과 굴취날 각도에 따른 굴취율은 감자수집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굴취날 각도 20, 23°에서는 약 99%로 수집되었으며, 26°의 굴취각에서는 모두 수집되었다. 또한 이송속도에 따른 이송부 및 수집부의 감자손상 및 손상률 시험결과 이송부손상률은 0.3m/s에서 2.67%, 0.4m/s에서 3.33%, 0.5m/s에서 6.67%로 0.5m/s의 이송속도에서 손상율 증가폭이 크게 상승하였다. 수집부 손상율 또한 0.3m/s에서 2%, 0.4m/s에서 2.67%, 0.5m/s에서 약 6.67%로 0.5m/s의 이송속도에서 증가폭이 크게 상승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수집형 감자 수확기는 작업속도, 감자손상 및 손상율을 고려할 때 0.4m/s의 이송속도에서 수확 시 가장 적절할것으로 판단하였다.

      • 콩 탈곡기를 활용한 들깨 탈곡 기계화 연구

        김형곤 ( H. G. Kim ),전현종 ( H. J. Jun ),김진구 ( J. G. Kim ),유승화 ( S. H. Yu ),김영근 ( Y. K. Kim ),강태경 ( T. G. Kang ),최일수 ( I. S. Choi ),이상희 ( S. H. Lee ),최용 ( Y. 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들깨 생산을 위한 농작업에서 경운· 정지, 피복, 방제 등은 기계화 되었으나 파종, 정식, 예취· 탈곡은 기계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화가 미흡한 들깨의 탈곡작업 기계화 촉진 및 범용화를 통한 들깨 기계화기술을 향상 하고자 수행하였다. 첫 번째 수행내용은 기존 콩 탈곡기 송풍 팬에 의해 손실되는 들깨를 줄이고자 송풍 팬 속도(450~1350 RPM)에 따른 풍구속도(m/s) 및 손실량(g)을 측정하기 위해 탈곡된 들깨 500 g을 탈곡기에 투입하여 실험하였다. 두 번째 수행내용은 투입된 작물의 줄기가 탈곡 시 배출이 용이하도록 탈곡기 덮개 안쪽에 가이드를 설치하여 탈곡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탈곡시험은 가이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설치한 경우로 분리하여 비교시험을 하였다. 가이드는 급동 회전방향과 10°, 20°, 30°를 유지하면서 배출구까지 도달하도록 설치하였고, 각도에 따른 잔물배출시간(s), 잔물배출무게(g) 및 잔물 파쇄 길이(cm)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들깨의 손실률이 발생되는 구간은 1050 RPM, 풍구속도 5.27 m/s였으며 송풍 팬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손실률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실험 탈곡기 구조의 들깨 종말속도가 대략 5m/s로 송풍팬 회전속도를 1000 RPM, 풍구속도를 5m/s 이하로 설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이드 각도에 따른 잔물배출시간은 각도가 클수록 잔물배출시간이 단축되었고 특히 10°(18.90 s)는 무 설치(29.23 s) 보다 약 10초 단축되어 가이드 설치가 잔물배출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잔물배출무게는 가이드 각도에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잔물 파쇄 길이는 가이드 각도가 클수록 길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실험 콩 탈곡기 적용 들깨 탈곡 시 5 m/s 이하의 풍속에서 잔물배출시간과 파쇄정도에 따른 들깨 손실 등을 고려한 복합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2K-H Ⅱ 형식 복합형 무단변속기의 효율실험

        박재민(J. M. Park),김연수(Y. S. Kim),이상희(S. H. Lee),최상훈(S. H. Choi) 한국정밀공학회 2005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5 No.10월

        We designed the compound CV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by combining power circulation mode CVT and power split mode CVT, which have been proposed for connecting 2K-H Ⅱ differential gear to the V- belt type CVU (Continuously Variable Unit), as an input coupled type. With the designed compound CVT, we carried out theoretical analysis and performance experiments. We proved that the compound CVT had a better performance than either of the power circulation mode or power split mode.

      • 중경제초기 구동 메커니즘에 따른 제초성능 분석

        이상희 ( S. H. Lee ),최용 ( Y. Choi ),전현종 ( H. J. Jun ),강연구 ( Y. K. Kang ),현창식 ( C. S. Hyun ),강태경 ( T. G.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국내 밭작물 재배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한중 FTA 등 농산물 개방화로 밭작물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농촌인구는 2000년 403만명에서 2018년 230만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고령화율은 2000년 21.7%에서 2018년 44.7%로 농촌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고 있어 밭작물 기계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국민들의 건강 및 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와 안전한 먹거리 생산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 친황경 농산물 시장규모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유기농업에서 잡초 방제를 위한 제초작업은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농민에게 부담이 되고 있으므로 중경제초기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여성화 되고 있는 국내 농촌에서 고령·여성 농업인도 사용하기 편리한 소형 전동 배부식 중경제초기 개발을 위하여 제초 메커니즘에 따른 제초성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제초기는 전동 배부식으로 경량화를 위해 배터리는 가방을 이용해 등에 짊어지고 제초 도구만을 이용하여 제초가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제초기는 날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반경이 지면에 수직인 수직회전 방식과 회전반경이 지면에 수평인 수평회전 방식 2가지의 제초기를 제작하였다. 2가지 방식의 중경제초기를 이용하여 제초성능을 분석한 결과 수직회전 방식의 경우 제초율은 86.7~91.4%로 나타났으며, 수평회전 방식의 경우 제초율은 100%로 조사되었다. 수직회전 방식의 경우 제초날이 지면을 깊게 파고 들어가지 못하여 잡초의 뿌리 제초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앙에 위치한 기어박스 부분이 제초가 되지 않아 제초율이 낮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어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평회전 방식의 경우 뿌리 제거는 가능하나 제초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소요시간 단축을 위한 제초날 형상 및 배치 등에 따른 추가 실험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비닐절개형 무 파종장치 파종 특성 분석

        이상희 ( S. H. Lee ),강태경 ( T. G. Kang ),김영근 ( Y. K. Kim ),최일수 ( I. S. Choi ),현창식 ( C. S. Hyun ),최용 ( Y. Choi ),전현종 ( H. J. Jun ),김진구 ( J. G. Kim ),유승화 ( S. H. Yu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파종·이식 작업의 경우 기계화율은 8.9%로 비닐피복, 수확 등 다른 작업공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무 파종 작업의 경우 비닐피복과의 열상 문제로 기존 파종기는 적용이 어려워 비닐피복 절개와 동시에 파종하는 파종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무 파종작업의 기계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비닐을 절개하며 파종할 수 있는 점파식 파종기의 파종장치를 제작하여 파종 특성을 분석하였다. 파종장치는 점파식 파종기로 파종과 동시에 비닐 절개 칼날에 의하여 피복비닐을 십자로 절개하며 파종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1회 파종립수는 4~5개, 주간은 27 cm로 관행 파종방식에 맞게 제작하였다. 10 m 구간 3반복 파종 후 파종립수, 주간, 결주율, 비닐절개 직경을 조사하였다. 파종 특성을 분석한 결과 파종립수는 4.1±0.83, 주간은 27.3±0.29 cm, 결주율은 0%, 비닐절개 직경은 8.65±1.04 cm로 분석되었다. 또한, 파종 14일 후 관행 인력 파종구와 기계 파종구의 출현율 및 생육조사를 실시하였다. 생육조사결과 기계 파종구의 출현율은 99.1%, 인력 파종구는 98.2%로 나타나 비닐절개 파종 시 열상의 우려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육조사 결과 기계 파종구는 초장 8.42±1.87, 엽수 2.73±0.52개로 조사되었으며, 인력 파종구는 초장 8.23±1.61 cm, 엽수 2.57±0.5개로 생육 또한 인력 파종과 비교해서 초장은 2.3%, 엽수는 6.2% 생육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Mg-Ca 합금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Ca 첨가량 및 열처리의 영향

        이상희 ( S. H. Lee ),정동석 ( Dong Seok Chung ),박병옥 ( B. O. Park ),김용길 ( Y. G. Kim ),정하국 ( Ha Guk Jeong ),김혜성 ( Hye Sung Kim ) 한국열처리공학회 2004 熱處理工學會誌 Vol.17 No.3

        N/A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heat treatment and Ca contents on the electrochemical behavior was investigated. Mg-Ca alloys, i.e., Mg-0.22wt%Ca, Mg-0.56wt%Ca, Mg-1.31wt%Ca are prepared by ingot metallurgy. As-cast Mg-Ca alloys exhibited better electrochemical properties than pure Mg. Especially, Mg-0.22wt%Ca alloy improves its anode efficiency up to 62% and lowers the OCP up to -1.72VSCE. Microstructure and XRD patterns of Mg-Ca alloys show that additive Ca element is mainly solid-solutioned. While, the others show the microstructure and XRD pattern with large Mg₂Ca at grain boundary. To assess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as-cast Mg-alloy, the specimens were heat treated at 200℃ for 2 hours under CO2 gas atmosphere. Although corrosion properties of Mg-Ca alloys are somewhat deteriorated by heat treatment at 200℃ Mg-0.22wt%Ca alloy with uniformly distributed nano-sized Mg,Ca phase in a-Mg matrix show still better corrosion properties than pure Mg speci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