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과 융합의 상상력 멀티포엠과 디카시(詩)의 전략

        이상옥 ( Sang Ok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5

        This thesis aims at analyzing two contemporary aspects of Korean poems, known as multipoem and dicapoem. These two novel trends represent the ways Korean poems take to surviving in the era of socal network by adopting strategies of utilizing multi-media languages. Chang Kyong-ki, a leader in the multipoem society, proclaimed the first declaration of multipoems in August, 1996, and continued helping the new attempt settle and stabilize itself by holding several multipoem movements and events, such as, Digital Manhe Festival, Multipoem Academy, Multipoem Contests, Multipoem Exhibitions, and the Multipoem Performance Festival. However, although the multipoem movement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utilized computers and calls for change, it is still hard to define multipoem as a unique new genre because it focuses more on the outward expansion by bringing in the image poems on the internet, flash multimedia poems, large size poems, framed poems, and porcelain ware poems. On the other hand, Lee Sang-ok published the first dica (digital camera) poem book titled The Way to Kosung in 2004. He has ever since helped his development further grow and settle down by opening a net cafe, holding dica poem contests and festivals, publishing a dicapoem periodical, and hosting meetings for dica poems researches. In the early 90s, dica poems remained a simple subject in the minor culture, but gradually found its way in the medium of digital environment. Dicapoem had a challenge to answer the general question of compatibility between the picture images and the text, despite the undeniable characteristics lying in utilizing the digital cameras in creating poems. Despite the several problems the multipoem and dicapoem have posed, it is true that they both attract the public interest in that the two similarly command multi-media languages, transcending the mere letters. The multipoem actively utilize the multi-media while the dicapoem accommodate the digital camera images, a kind of basic multi-media language, in conjunction with letters. In this respect, they may well be both considered a new poetic genre in the multimedia era. There is a strong potential for both multipoem and dicapoem to naturalize as an indispensible genre in the digital era, particularly if more progressive theorists participate and develop sophisticated poetics.

      • KCI등재

        자유주제 : 김현승 시의 변모 양상 -기독교 예정론을 중심으로-

        이상옥 ( Sang Ok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1

        김현승은 50대 이후에 ‘고독’ 테마의 시편으로 시적 개성을 드러내면서 기독교적인 형이상학적 시인으로 한국시사에 매우 특이한 개성으로 자리한다. 우리 시단에서는 드물게 기독교를 본격적으로 자기화하여 기독교가 그에게는 곧 생리이자 사고방식이 되었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기독교에 대해 회의한 50대 전과 후, 그리고 고혈압으로 쓰러진 이후 3기로 나누어 그의 종교적 굴곡에 초점을 맞추어 기독교 예정론을 중심으로 김현승 시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았다. 시인 김현승은 50대에 평생 믿고 따르던 신을 부정하고서 표현론의 관점으로 시를 고스란히 남긴바,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평생 신과 갈등(절대주권과 자유의지)의 파노라마를 보여주었는데, 이런 갈등국면 속에는 기독교 예정론, 즉 기독교 2천 년 역사 속에서 현재 진행형인 신의 절대주권과 자유의지론의 논쟁이 고스란히 드러나면서 그의 시의 변모 양상은 다음과 같다. 제1기는 신의 절대주권과 자신의 자유의지 사이에 충돌을 경험하며 신의 세계를 인정은 하면서도 시인으로서의 자의식이 강하게 드러나 신의 절대주권을 전적으로 수긍하기 힘든 국면을 노래하였다. 신의 절대주권과 자유의지의 충돌로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자화상自畵像」,「푸라타나스」,「사랑을 말함」,「나무와 먼길」,「그냥 살아야지」 등이 있다. 제2기는 신의 절대주권을 벗어나 자신의 의지로 나아가 스스로가 주체가 되고 주인이 되어 실존적 고독을 드러낸다. 대표 작품으로는 「제목題目」,「병病」,「시詩의 맛」,「견고堅固한 고독」, 「절대絶對 고독」,「고독의 끝」등이 있다. 제3기는 신과 결별하고 자유의지를 한껏 추구하며 승승장구하는 듯했으나 고혈압으로 쓰러지고 난 이후 신의 절대주권을 수용하며 절대 신앙의 고백을 드러낸다. 대표작으로 「마지막 지상地上에서」,「촌村 예배당禮拜堂」,「무기武器의 노래」,「나무」,「부활절에」등이 있다. 김현승 시는 절대주권과 자신의 자유의지와의 대결에서 갈등 양상을 보이다가 신의 절대주권에서 자유의지의 세계로 독립하였으나, 결국 신의 절대주권의 세계로 회귀함으로써 신의 절대주권 앞에 복종하는 인간상을 구현해 보이고 있다. 김현승은 기독교 2천년의 가장 큰 이슈인 예정론의 논쟁을 자신의 온 몸으로 수렴하여 시로 표현해 냄으로써, 신앙의 육화(肉化)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시 세계를 구현해 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시단에서 그의 자리는 드러나는 바가 뚜렷하다. 아울러 예정론과 자유의지론의 논쟁은 기독교 2천 년 역사 속에서 여전히 현재 진행형으로 존재하고 있는바, 그 대결 양상을 생래화하여 문학으로 재현해 보이는 그의 시는 교리적 측면에서도 살펴볼 만한 가치가 분명하다 하겠다. Kim Hyun Sung`s poems in his fifties show the thematic characteristic of solitude. As a poet of Christian metaphysics, he locates himself in a very unique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poems. He individualizes Christianity and that is an ecology and a way of thinking in his poems. This study deals with his skepticism on Christianity before and after his fifties. The varying patterns of his poems are studied based on the Christian supralapsarianism in the category of three periods after the high blood pressure struck him,Kim Hyun Sung denies God in his fifties whom he believed in his entire life until then. His poems express that well. Born to a church minister, he shows panorama of conflicts with God. The conflict between absolutism and indeterminism is still going on in the two thousand history of Christianity. The varying patterns of his poems are as follows. The first period shows that he accepts God`s absolutism in the conflict with his free will as a poet. He finds it hard to acknowledge God`s absolutism in his strong self-consciousness as a poet. Poems showing such characteristics are “Portrait,” “Platanus,” “Talking about Love,” “Tree and a Long Way,” and “I Will Just Live.”The second period shows that he gets away from God`s absolutism and finds his own way of free will. He becomes a master of himself in the existential solitude. Poems of such characteristics are “Title,” “Disease,” “The Taste of Poems,” “The Solid Solitude,” “The Absolute Solitude,” and “The End of Solitude.”The third period shows that he seems to be victorious in his pursuit of free will after his separation with God. However, the high blood pressure attacked him and made him confess his faith in God in the acceptance of God`s absolutism. Poems of such characteristics are “The Last Day on the Earth,” “In a Country Church,” “The Songs of Weapon,” “The Tree,” and “On the Easter Day.”Likewise, he shows denial and acceptance of God in his poems. His direct experience of supralapsarianism helped him incarnate his belief in God well in his poems. His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poems is distinct in this respect. It is worthwhile to look into his poems in the light of theology. He made it an ecology in his poems to deal with ongoing conflict between absolutism and indeterminism.

      • KCI등재

        이상 시의 시간의식 연구

        김대웅(Kim, Dae-woong),이상옥(Lee, Sang-ok)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3

        This essay purposes to explain the consciousness on time in Lee Sang’s poems, focusing specifically on his poem, Strange Reversible Reaction. The argument will start from the obvious fact that the poet"s literature was based on the discovery of the material condition, called, the colony Gyeongsung. Through this discussion, what caused rejection and distrust for the time, which appear repeatedly in his literary texts, will be explained. Once, the modernist Lee Sang was dreaming of the perfect world of modernity. But the modern world he experienced was nothing but a cruel civilization with no vitality. As a result, he gave the death sentence to the world and tried to build up a new civilization. His literary texts will answer to the question, “Did the straight line kill the circle?”

      • KCI등재

        존재, 사상과 언어

        이상옥(Lee Sang-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6

        하이데거의 철학적 예술사상을 현대 중국의 대표소설에 적용하여 소설에 반영된 중국 역사와 중국인의 실존에 대해 그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현대 이론의 창시자인 하이데거의 실존철학은 현대의 중국의 현대성과 실존의 문제를 해석하는데 중요한 상징적, 방법론적 사상의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하이데거의 철학적 예술의 개념을 이론적 배경으로 고찰해본다. 인간 존재의 근원적 현상인 존재와 죽음, 불안, 이성적 인식 등이 이러한 개념에 해당된다. 존재와 죽음은 인간의 존재를 실현하는 가장 치열한 피할 수없는 현상이고 이를 대면하는 것이 유한한 인간 존재의 모습이다. 그러므로 유한성과 유한성을 초월하는 무한성의 객관적인 죽음의 존재성이 실존의 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이 예술의 인간 존재에 대한 진리적인 의미로 표현된다. 예술이 그 많은 인간과 친화적인 존재 중에서 가장 인간의 비밀스런 영원한 존재의 의미를 밝혀줄 도구로 하이데거에게는 확신되는 것이다. 진리는 예술작품같이 영원성과 무엇보다도 개방성을 작 드러내야 한다. 하이데거 철학의 예술 경향은 인간 존재와 존재일반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을 통해 깊고 넓은 서유세계를 구축한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시는 언어의 집약체이며 시작(詩作)의 근원으로써 귀향 의식을 가진다. 이러한 존재감이 중국 당대의 대표적인 세 가지 문학소설을 통해 어떻게 구체적으로 구현되느냐가 우리가 이해하고 느낄 수 있는 자각적 존재 탐구 행동의 일환이 될 것이다. 왕멍에게 있어서 이데올로기는 비 이데올로기적 “문화혁명”적 이데올로기와 본질적으로 다르다. 그러나 객관적인 역사를 존재 밝힘의 중심 개념으로 보는 하이데거와는 예술의 본질에서 존재감을 밝히는 것과 그것을 은폐하는 점 사이의 괴리와 인간 존재를 위해 예술작품을 도구로 사용하는 도구론의 입장에서 동일성을 보인다. 왕안이는 역사의 비극을 망각하려는 여류작가이다. 섬세한 역사의식을 신변 잡화적 주변화하고 있다. 개인의 경험으로 전체의 역사가 공유를 멈추고 변화하면 그것은 역사적 사실성과 객관성의 해석학적 재생산이 아니라 오히려 역사의 과거 속에 매몰되어 버리는 나약한 인간 존재를 재인식할 뿐이다. 자핑와는 또 다른 중국 현대를 대표하는 애로티즘의 전사이다. 통속과 황색의 오해와 문학 엄숙함의 역사 예술 전통과 정책 속에서 질시와 해금을 당한 억울함을 보여준다. 새로운 탐미주의와 바디를 통한 인간 해방과 현실의 자아상실의 쾌락성을 예시하고 있다. 본성의 존재 실현의 명제와 마음의 작용의 유한성은 자핑와에 의해 모순적인 존재 밝힘의 이중성으로 표출될 뿐이다. 존재와 존재자를 연계하는 타 존재물 들 간을 내적으로 연계하는 존재 인식의 방식은 그러나 하이데거와 자핑와와의 불일치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다음 세 가지 필자의 결론을 간략히 내리고자 한다. 첫째, 하이데거에게 예술은 인간 존재를 형이상학적 아닌 현상학적, 그리고 해석학적으로 설명하는 중요한 도구로 작용한다. 예술작품은 인간 존재에 대한 진리의 존재를 체득하게 해 준다. 둘째, 현대 중국의 문학 세계를 통한 인간 존재의 의미를 구현하기 위한 하이데거의 이론 적용은 다음 세 가지 대표작에서 이데올로기, 역사, 그리고 성애식 즉흥적인 자아상실의 메시지로 상징화되었다. 셋째, 인간 존재는 예술작품과 같이 유한성을 극복하는 무한성과 불가지성의 의미를 띠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being" concept image through contemporary Chinese novels from the Heidegger prospect. The "being" in contemporary China have had a manifold aspects through the whole historical period in comprehensive idea of modernizing and post-modernizing China process. The three categories applied for discussing Chinese being character, which include ideology, history, and sexual freedom. Heidegger`s aesthetics philosophy had established the thought basis in applying the human being or existence to the contemporary Chinese historical literature. The novels had been selected by manifesting Chinese being expressions, such as Wang Meng, Wang Anyi, and JiaPinwa. They has represented the genuine utopia ideology, history forgotten, and sexual freedom. In conclusion, we suggest three points as follows: 1) "being concept" of Heidegger explained phenomenology or hermeneutics perspective; 2) the representative three contemporary Chinese novels expressed the limitations of being; 3) the "being" of human really become the existence maintaining limitations and unlimit.

      • KCI등재후보

        근대 중국 불교의 정치성 -유식론(唯識論)을 중심으로-

        이상옥 ( Sang Ok Le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5 No.-

        본문에서 중국 근대 불교의 대표적인 사상인 유식론(唯識論)의 정치사상 지향적인 경향에 대해 변화의 내용과 특징을 역사와 문화적인 시각으로 분석을 시도했다. 이러한 근대 불교 유식론의 친(親, pro-) 정치사상화의 경향은 다음 세 가지로 논의의 주제를 귀납할 수 있다. 근대 중국의 불교 유식론의 현실적실성(適實性)의 주요 전개 양상은 어떠한가? 유식론의 본질과 내용의 양상의 변화는 어떠한가? 유식론의 현대적 체계 건립의 가능성은 무엇인가?불교 인식론의 이론 검토에서는 유식론에 대한 논리적, 철학적 이론, 중국 근대 불교 사상의 맥락 및 정치사상에 친화적인 이론에서 일반 이론을 검토하는 것을 주로 논의했다. 유식론이 일반 종교 철학 이론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라는 가능성에 대한 주제에서는 현대 철학화의 과정을 위해서 인식 본질과 작용, 과정에 대한 체계와 인식 주체와 객체, 그리고 대상에 대한 주관적인 선험적 및 초월적 내용에 객관적이고 경험적 및 존재적 의미가 보 완되어 새로운 불교 논리 체계화에 작용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중국 근대 불교 사상의 맥락에 대한 논의에서는 불교의 중국화의 오랜 전 통은 불교의 선종화와 유가(儒家)와 도가(道家) 사상 등 토종 사상과의 융합 과 경쟁의 토양 속으로 진입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부각하였다. 근대 불교는 내적으로 묘산(廟産) 흥학(興學) 등의 자정(自淨) 노력과 외적으로 정치 혁명 사상과의 밀접한 결합의 형식으로 표현되었다. 정치사상에 친화적 인 이론에 대한 논의는 사회 비판적 인간 존재의 온전성의 보존, 그럼으로써 해탈 경지로의 진입을 위한 수양 주체로서의 불가(佛家) 유토피아의 체득과 적극 입세(入世)와 출세(出世)를 통한 개인과 중생 구제의 과도적 단계를 통하여 궁극적 무(無)와 공(空)의 세계로 진입하는 초월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 띠는 두 가지로 논의한다. 중국 근대 유식론의 주요 사상으로는 주요 세 사상가를 중심으로 시대 상황적 유식학의 창조적 논리를 검토했다. 구양경무는 금일(당시) 필요한 것은 종교도 철학도 아닌 불교라는 주장을 편다. 그는 종교의 유신론(有神論)을 비판한다. 그의 논단은 명리(名理) 상 성립하지 않지만 새로운 불교의 유식론적 돌파를 시도한 것이다. 그의 결론은 명확하다. 불법은 유식(唯識)을 말할 뿐 우주를 언급하지 않는다. 웅십력은 유가적 철학의 입장에서 불교의 종교적 입장을 비판한다. 웅십력의 불교에 대한 기본적인 입장은 철학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연스레 종교이다. 유교 또한 마찬가지이다. 웅십력이 가 장 중요시한 불교의 인식론 차원은 본체론에 대한 것이었다. 특히 체용론(體用論)에 집중되었다. 체(體)와 용(用)은 결국 하나라는 것이 그의 결론이었다.장병린은 무신론 사상가로 기독교에 반대한다. 그는 불교 사상을 적극적인 입세(入世) 사상으로 해석한다. 그러므로 그의 사상은 일정 부분 불교에 대한 왜곡과 취사선택 그리고 혁명 형세의 퇴조로 인한 사상적인 허구성을 점차 로 띠게 된다. 상대주의에 입각한 세계 만물의 자재(自在)는 ?제물론석?의 장 자 철학을 빌어 도(道)의 평등성을 상징하려 한다. 모든 중생은 평등한 것이 그의 불교 존립 가치의 핵심이다. 유식론 중심의 신(新)불교 개념 체계의 세 범주에 대한 논의에서는 첫째, 본체론의 변화를 얘기한다. 초월과 유한의 종극(終極) 문제-심(心)을 중심으로 한 객체와 주체의 합일, 둘째, 인식론의 포용이다. 기존의 아라야식과 진심 (眞心)에서 이성주의(理性主義) 등 새로운 방법의 채택과 모색, 셋째, 가치론 의 전환이다. 불교의 자아(自我)와 적(寂), 공(空)에서 실(實)과 유위(有爲)의 객 관 실체의 인정에 대해 논의했다. 결론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근대 중국 불교의 지위는 빈사 (瀕死)의 상태에 처해 있었다. 이러한 상황을 만회하려는 불교 정신혁명은 인 식론의 유식학의 범주에서 인간 불교의 세속 관여적 형식으로 지향되어 표 출되었다. 둘째, 근대 불교 사상가들은 정치사상과 이데올로기를 불교 혁신 사상의 주요 이념으로 도구화했다. 셋째, 유식론의 구체적인 차(次) 범주인 본체론, 인식론과 가치론에서는 인식 주체와 객체의 합일을 꿈꾸는 이상주의 실현으로서의 불교를 개혁하려 했다. The paper would illuminated that Vijnaptimatrata had have the characteristics and politics tendencies in Contemporary Chinese Buddhism fro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 The pro-political tendencies had has three theses as follows: first, Would Vijnaptimatrata have adaptation to the realities? second, what would the essence and contents of Vijnaptimatrata? and third, what would the establishment of Vijnaptimatrata`s modern formation? The reviews of the related theories would check the logical, philosophical and political thought tendenci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of modern Chinese Buddhism had entered the stages of the mixture or harmony history among Zen sect, Daoism and Confucianism religion or philosophical thoughts. The main stream of modern Chinese Buddhism had included that Ouyang, Xiong and Zhang` Vijnaptimatrata thought systems and concepts. They mainly had discussed that modern Chinese Buddhism had has the general religion or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r not. The categories of Vijnaptimatrata, I would suggest, ontology, epistemology and value theories. In conclusion, I would suggest that first, modern Chinese Buddhism had changed itself open-minded thought system to the real world in modern Chinese historical stage, second, the theories of modern Buddhist Vijnaptimatrata had included political thoughts and ideologies as the reform real world instruments, and third, the inner categories of modern Chinese Buddhist Vijnaptimatrata had included ontology, epistemology and value theories.

      • KCI등재후보

        현대 중국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미학의 역사와 과제

        이상옥(Lee Sang O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4

        본 논문은 중국 디자인의 개념과 디자인 미학의 특징 내용과 현대적 의미의 이론 정립을 위한 과제를 역사 맥락(context)의 각도에서 검토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디자인 미학의 개념은 전통식과 현대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미에 대한 관념이 포괄적으로 정의되어 있고 이 전통이 현대 서양의 이질적인 디자인 미학과 만나 현대적 의미가 생겨나게 되었다. 현대적 의미의 특징은 유미주의적 기능주의에서 실용주의적 기능주의로의 변화를 나타낸다. 디자인 미학의 역사는 고대와 근대 그리고 현대의 세 단계로 나눈다. 고대 디자인 미학의 특징은 윤리에 바탕을 둔 현실주의와 자연과 인간을 동일시한 인상주의의 두 가지 갈래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인간 마음이 심미의 기본이 되는 "의경"설이 주된 접근 방법이었다. 근대에 들어서 형상적인 의미보다 사상적인 맥락에서 디자인 미학 이론이 전개되었으며 서양 미학의 전래와 재해석 계몽으로서의 기능 문학과 사회개조 등 비극적인 역사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방편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현대에 들어서 현대주의와 후 현대주의 사조로 전이되는 특징을 보인다. 마르크스적 사고와 철학 방법과 내용이 전용되었으며 이데올로기의 실천과 생명에 대한 외경의 정신으로 반영되었다. 개혁 개방이 원숙화 되는 단계로 접어들면서 1980년을 기점으로 실천과 생명 개념이 각각 표방되는 메시지가 되었다. 중국 디자인 미학이 글로벌 시대정신을 관철하기 위해 새로운 이론과 사상을 정립해야 하는 지상적 과제를 부여받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 디자인 미학 정통성의 획득을 위한 노력 전통적 성격의 미학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미학 건설을 위한 "심미" 본질과 그 인식 표현 방법과 부호 사용 등에 대한 고민과 모색을 거듭하고 있다. 또한 서양적 의미의 디자인 미학 이론을 적극 포용하여 자신의 창조를 위한 변화를 실험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상업주의에 대한 비판적 이론을 수립하는 것이 중국적 디자인 미학의 중요한 과제가 된다. 결론적으로 중국 디자인 미학과 서양 디자인 미학의 구분을 해체하고 전통에 대한 현재적 재해석과 가치관의 확립 중국과 서양의 관련 콘텐츠에 대한 객관적 연구와 체험이 필요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illuminate Chinese modern design aesthetics. The contemporary Chinese design Aesthetics has experienced the long process that it has acquired globalism with mixing Chinese style and elements. The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design aesthetics is "the mind-centered" recognition of subjectivity of cognition "the beauty". The context of Chinese aesthetics history three stages ancient modern and contemporary. Ancient aesthetics has been influenced by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It divided two mainstream realism and impressionism. Modern aesthetics expressed two images: tragedy and enlightenment. Contemporary history represented the "practice" theme. The agendas of contemporary Chinese design aesthetics I suggest will be three ideas: the elimination of Chinese and Western aesthetics concepts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design aesthetics in basis of Western aesthetics and the objective study and experience of Chinese classic and Western aesthetics thought.

      • KCI등재후보

        전통 중국 가구(家具) 디자인의 현대화

        이상옥(Lee, Sang Ok)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3

        고대 중국 전통 가구 디자인의 현대화 경향을 내용, 형태 및 기타 요소 등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연구는 일반이론과 특수 이론으로 나누어 검토했으며 가구 디자인이 독립적인 장르로 확립되기 시작한 1960년대 이후 현대주의와 후현대주의의 사조로 나뉜다. 이 두 가지 사조가 동시에 중국 현대에 진입했으며 중국 전통 가구 디자인의 유산(遺産)과 절충 혹은 융화, 상호 배척 등의 패턴으로 현대 중국의 가구 디자인에 주요 요소로 확립된다. 전통 가구 중국화의 이론은 가구의 요소인 ‘중국 원소’에 의거하여 현대화와 친화적인 사상 경향의 맥락을 정신, 형식과 형상의 세 차원에서 분석하여 그 가능성을 귀납한다. 전통 가구 디자인의 내용과 사상 기조는 자연, 윤리 및 추상화의 부호와 언어로 표출되었으며 조형의 현대화에는 점과 선의 기본 요소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구조의 재구성 등을 통한 형태의 현대화 노력을 점검했다. 기타 요소에서는 재질과 장식 문양 등의 현대화 시도와 실천을 살펴보았다.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고대 중국 가구 디자인의 내용 측면에서의 현대화는 고대 심미와 문화 사상의 현대적 해석과 재생산의 일환으로 간주된다. 둘째, 고전 가구 디자인의 형태 및 형식 측면에서의 현대화의 노력은 고대 유산의 완전한 구조 해체와 재구조화와 기본 요소인 점과 선의 재기능화, 재질, 색채 및 장식문양을 통해 점차 진행되었다. 셋째, 중국 고대 가구 디자인의 현대화의 실천은 한국의 고대 가구 디자인에 대한 방법론적 성찰을 제기하여 우리 것을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I would study that the mainstream of modernization of furniture design(hereafter FD) in contemporary China, focusing on the two related theses as ‘Chinese styles’ and ‘elements of ancient FD.’ As for related theories, I would suggest that generalized and specificated FD theories. The theories of ancient FD have concluded that minds, formations and representations be the tendencies toward modernization according to the ‘Chinese elements’. The modernization in ancient Chinese FD contents had been three main trends as following the nature, ethicalized aesthetic mind, and abstraction and symbolization or narratives. The modernization of ancient FD had been expressed as dots and lines of fundamental elements in FD, re-construction of structure. And the other modernization efforts had been explained as materials, ornaments and emblems. In conclusion, I would suggest that first, the modernization of contents of ancient FD has been re-interpreted of ancient aesthetics and cultural thoughts and theories, second, the modernization of formations has been de-and re-structures and re functioned of fundamental elements, and third, the modernization of Chinese ancient FD would be the lessons for the modernization of ancient Korean FD.

      • KCI등재

        E-커머스의 스마트미디어 플랫폼 확장에 관한 연구

        이상옥(Lee, Sang-Ok),상호(Lee, Sang-Ho)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7 기업과 혁신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e-커머스 사업자가 기반이 되는 기존의 인터넷 플랫폼에서 스마트미디어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과정을 다각화의 형태별로 유형화하고, 소셜미디어 페이스북 등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례를 탐색적으로 정리한 연구다. 연구자는 다양한 출시 배경을 가진 e-커머스 서비스 및 사업자의 확장 방향이 결과적으로 스마트미디어를 정점으로 융합되는 현상을 확인하였고, 다수의 준거 기준으로 평가하여 수개의 유형을 구분하고, 그들의 스마트미디어 영역에서의 마케팅 사례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최근 등장하는 스마트미디어 커머스로 진화한 e-커머스 서비스 및 사업자의 유형을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들은 홈쇼핑 사업자의 확장 유형, 소셜커머스 사업자의 확장 유형, MCN등 영상 및 모바일 기반 사업자의 스마트미디어 확장 유형이다. 이와 같이 e-커머스 사업자들은 진화의 근원은 상이하나 유사한 목적의 연관분야 플랫폼 다각화를 통해 스마트미디어 커머스 영역으로 진입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분야는 지속 가능하며, 향후 정량적 연구와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등의 연구로 확장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process of expanding from the existing Internet platform on which the e-commerce business is based to the smart media platform to the type of diversification, and to summarize the marketing case of using social media Facebook etc. The researchers confirmed that the expansion of e-commerce service providers with various launch backgrounds resulted in the convergence of smart media to the vertices, and they evaluated several types of criteria, classified them into several types, we tried to sort out marketing cases. The researchers categorized 3 types of e-commerce services. These include expansion types of home shopping companies, expansion types of social commerce business, and the type of smart media expansion of MCN, video and mobile-based businesses. In this way, e-commerce operators have confirmed that they are entering the smart media commerce area through diversification of related fields of similar purpose, although the origin of evolution is different. This research is a field that can be continuously studied, and we hope that it will develop into research fields such as quantitative research and policy altern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