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증례 :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에 의한 전신성 홍반성 낭창 환자에서의 다발성 농양 1예

        이상열 ( Sang Youl Rhee ),이연아 ( Yeon Ah Lee ),이상훈 ( Sang Hoon Lee ),문주영 ( Ju Young Moon ),김윤화 ( Youn Wha Kim ),이희주 ( Hee Joo Lee ),양형인 ( Hyung In Yang )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

        SLE의 치료에 있어서 스테로이드와 면역억제제를 흔히 사용하는데 이는 SLE의 질병 활성도를 낮추어 임상경과의 호전 및 증상의 관해를 유도하지만 면역력 저하에 따른 감염성 질환 및 합병증의 증가를 불가피하게 초래하게 된다. 본 증례는 SLE 및 이에 수반된 루푸스신염의 악화로 mycophenolate mofetil 및 methylprednisolone을 사용하고 있던 환자에서 발생한 다발성 농양으로서 경험적 항생제 사용에도 임상경과는 지속적으로 악화되었으며 뇌농양 제거술 이후 재발한 뇌실내 출혈로 환자는 사망하였다. 환자 사후 원인균의 동정을 시도하였고,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에 의한 것으로 진단하였다. Infectious complications are very common cause of both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These complications are especially common in the patients who used systemic corticosteroids or immunosuppressive agents. We report a patient who developed abdominal wall, pulmonary and brain abscesses caused by nontuberculous mycobacteria after aggressive treatment with corticosteroids and immunosuppressive agents in a patient with SLE.(Korean J Med 69:S952-S958, 2005)

      • SCOPUSKCI등재
      • Unilateral Diaphragmatic Paralysis after Thyroid Surgery

        변종규,이상열,김유진,엄유진,김슬기,손정일,진상욱,전숙,김우식,김주영,이병욱,우정택,김영설,Byun, Jong Kyu,Rhee, Sang Youl,Kim, Yu Jin,Um, Yu Jin,Kim, Seul Ki,Son, Jung Il,Chin, Sang Ouk,Chon, Suk,Kim, Woo-Shik,Kim, Joo Young,Lee, Byoung Woo The Korean Society for Head and Neck Oncology 2014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0 No.2

        갑상선 암 진단과 치료기술이 발전하면서 최근 그 수술 건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이와 관련된 합병증과 부작용을 면밀하게 평가해야 할 필요 역시 점차 늘어나고 있다. 갑상선 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드문 합병증의 하나로 횡격막 신경마비(phrenic nerve paralysis)가 있다. 이러한 횡격막신경마비는 대부분 증상이 경미하고 쉽게 호전되어 임상적으로 크게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갑상선 수술 후 갑작스런 호흡곤란이 발생한다면 횡격막 신경마비에 의한 횡격막 마비(diaphragmatic paralysis)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저자들은 최근 갑상선암 수술 후 발생한 호흡곤란으로 2년 동안 심각한 호흡곤란을 호소하던 73세 여자환자에서 투시촬영(fluoroscopy) 상 편측으로 상승되고 운동성이 저하된 횡격막을 확인하여 일측성 횡격막신경마비(Unilateral phrenic nerve paralysis)를 확진 하였다. 갑상선수술 후 발생하는 일측 횡경막 신경마비는 임상에서 드물게 관찰되는 수술 합병증이기에 환자는 상당기간 이에 대한 감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우리는 횡격막 마비의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하여 심한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환자의 증상 및 병의 경과를 호전 시킬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아포지단백 E의 유전자 다형성과 미세알부민뇨 발생과의 연관성

        권미광 ( Mi Kwang Kwon ),이상열 ( Sang Youl Rhee ),전숙 ( Suk Chon ),오승준 ( Seung Joon Oh ),우정택 ( Jeong Taek Woo ),김성운 ( Sung Woon Kim ),김진우 ( Jin Woo Kim ),김영설 ( Young Seol Kim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5

        목적: Apo E 유전자 다형성은 당뇨병성 신증 발생과 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적 인자 중의 하나로 연구되어 왔으나 이의 연관성에 대해 아직까지 명확한 결론이 없는 상태이다.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e2 대립형질과 E2 아형이 현성 당뇨병성 신증 발생에 위험 요인임을 밝힌 연구가 있으나 모두 단면적 조사연구이고 또한 초기 당뇨병성 신증인 미세알부민뇨 발생과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알부민뇨군과 정상알부민뇨군을 비교함으로써 Apo E 유전자 다형성과 미세알부민뇨 발생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이에 혈청 지질농도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로 하였다. 방법: 경희대학교 병원 내분비대사 내과 외래에서 10년 이상 치료 중인 제2형 당뇨병 환자들 중 1998년에 서 2003년 사이에 시행한 미세알부민뇨 검사 상 정상알부민뇨(n=59)나 미세알부민뇨(n=37)를 보이면서 당시 신기능이 정상이고 10년째의 당뇨 유병기간을 포함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real-time PCR을 이용해 Apo E 유전자형을 결정하였다. 두 군에서 성별, 연령, 고혈압의 빈도 등 임상적 특성과 함께 10년간의 평균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크레아티닌, 당화 혈색소를 구하여 비교하였으며 Apo E 유전자형, 대립형질, 아형 발현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미세알부민뇨군이 정상알부민뇨군에 비해 평균 당화 혈색소(7.6±1.3% vs 7.0±0.9%, p=0.012)와 평균 크레아티닌(1.2±0.7 mg/dL vs 1.0±0.2 mg/dL, p=0.004)이 유의하게 높았고 e3/e4 유전자형(5.6% vs 20.7%, p=0.045)과 E4 아형(5.9% vs 22.8%, p=0.035) 발현 빈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당화 혈색소, 고혈압,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보정하기 전 시행한 로지스틱 회기분석에서 E2 아형과 E4 아형의 비교위험도는 각각 0.833(95% CI 0.245-2.833), 0.205(95% CI 0.043-0.986)였다. 그러나 보정한 후에는 E2 아형과 E4 아형의 비교위험도가 각각 0.664(95% CI 0.134-3.289), 0.365(95% CI 0.061-2.187)로 Apo E 유전자 다형성과 미세알부민뇨 발생과의 연관성이 약화되었다. 건강대조군, 정상알부민뇨군, 미세알부민뇨군에서 Apo E 아형과 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 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E4 아형은 미세알부민뇨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이의 발생을 억제할 것으로 기대되고 Apo E 아형과 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간의 연관성은 없었다. Background: Apo E genetic polymorphism has been proposed as the one of the risk factors for diabetic nephropathy. We studied the association between Apo E genetic polymorphism and the development of microalbuminuria, which is the early stage of diabetic nephropathy. Methods: Fifty eight subjects with normoalbuminuria and Thirty six subjects with microalbuminuria were enrolled. They were all type 2 diabetic patients who had normal renal function and a history of diabetes longer than a 10 years duration. We examined the mean HbA1c,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for 10 years, and we also examined several clinical characteristics. We determined the Apo E genotype by performing real time PCR. Results: In the microalbuminuria group, compared with the normoalbuminuria group, the HbA1c (7.6±1.3% vs 7.0±0.9%, respectively, p=0.012) and mean creatinine (1.2±0.7 mg/dL vs 1.0±0.2 mg/dL, respectively, p=0.004)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frequencies of the e3/e4 genotype (5.6% vs 20.7%, respectively, p=0.045) and the E4 carriers (5.9% vs 22.8%, respectively, p=0.035) were significantly lower. 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crude odds ratio of being an E2 carrier and being an E4 carrier were 0.833 (95% CI: 0.245-2.833) and 0.205 (95% CI: 0.043-0.986), respectively. However, the odds ratio after adjusted by HbA1c, hypertension,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0.664 (95% CI: 0.134-3.289) and 0.365 (95% CI: 0.061-2.187), respectively.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being an Apo E carrier and the lipid levels in the healthy controls and diabetic patients. Conclusions: Being an E4 carrier might play a role in protecting against the development of microalbuminuria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among the Apo E genetic polymorphisms and the lipid levels. (Korean J Med 72:511-521, 2007)

      • KCI등재

        증례 : 내분비-대사 ; 우연히 발견된 부신피질 과립세포종 1예

        김동현 ( Dong Hyun Kim ),성지연 ( Ji Youn Sung ),이상열 ( Sang Youl Rhee ),박소영 ( So Young Park ),손정일 ( Jung Il Son ),진상욱 ( Sang Ouk Chin ),전숙 ( Suk Chon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4

        부신피질 과립세포종은 매우 드문 부신종양으로, 대개 비기능성이기 때문에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저자들은 고혈압 병력을 가진 54세 남성에서 좌측부신에 위치하는 양성 비기능성 부신피질 과립세포종을 경험하였다. 이에 이번 증례와 함께 최근 발표된 문헌들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그 희귀성에도 불구하고 부신피질 과립세포종은 부신종양의 진단 시 반드시 감별하여야 하는데 이는 양성과 악성의 분류기준의 차이 및 예후의 차이 등에 기인하며 이를 위하여 임상소견, 생화학적 검사 및 조직학적 특징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Adrenal oncocytomas are very rare. Because most of them are benign and nonfunctioning, they are detected incidentally. Here, we report a case of nonfunctioning benign adrenocortical oncocytoma located in the left adrenal gland in a 54-year-old man who presented with no symptoms. The tumor was 4.5 × 3 × 3 cm in size and was predominantly composed of oncocytes, which exhibited abundant eosinophilic granular cytoplasm and were arranged with a nested or diffuse architecture without capsular or vascular invasion. Nuclear atypia and mitotic figures were not observed. A discussion of this case and a review of recent updates in the literature are presented. In patients with adrenocortical oncocytomas, treatment is similar to that for adrenocortical neoplasia. However, due to the risk of over-diagnosis of malignancy, and the better clinical outcomes associated with adrenocortical oncocytoma,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diagnosis of adrenocortical oncocytoma. (Korean J Med 2013;84:581-585)

      • KCI등재
      • KCI등재

        증례 : 내분비-대사 ; 거인증의 감별진단을 통해 확인된 클라인펠터 증후군 1예

        김주영 ( Joo Young Kim ),최용준 ( Yong Jun Choi ),이상열 ( Sang Youl Rhee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3

        클라인펠터 증후군은 잉여의 X염색체 존재에 의한 선천성 질환으로 남성의 일차성 성선기능저하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의 하나이다. 이는 고환 위축, 불임 등의 성선기능저하증과 관련된 증상 이외에도 여러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군 복무 중인 환자에서 거인증에 대한 감별진단을 통해 확진된 클라인펠터 증후군 환자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20세 남자환자가 지속적으로 키가 커지는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신장은 193.4 cm로 거인증과 관련된 다른 원인들에 대한 감별진단을 시행하였으나 모두 정상이었다. 하지만 환자의 신체 검사상 이차 성징의 증거가 뚜렷하지 않았고 호르몬 검사상 일차성 성선기능저하증이 의심되었다. 이에 염색체 핵형 검사를 시행하여 47, XXY의 클라인펠터 증후군으로 확진되었다. Klinefelter syndrome is a congenital disease that is associated with the existence of an extra X chromosome,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male primary hypogonadism. In addition to hypogonadism-associated manifestations such as testicular atrophy and infertility, it is also well known that this syndrome may be associated with other systemic comorbidities. In this report, we describe a typical case of Klinefelter syndrome that was differentially diagnosed as a cause of gigantism. A 20-year-old male was admitted to evaluate the cause of tall stature. His height was 193.4 cm, and all screening tests for gigantism were negative.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no clear evidence of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of a hormonal assay were highly suspicious for primary hypogonadism. Based on these findings, we performed a chromosomal analysis and confirmed Klinefelter syndrome with a 47, XXY karyotype. (Korean J Med 2011;80:343-347)

      • KCI등재

        제3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살펴본 직업군별 Framingham risk score

        최민철,송윤희,이상열,우정택 大韓産業醫學會 2009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1 No.1

        Objectives To find differences in Framingham risk scores which predict the probable risk of future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three different occupational categories Methods Subjects were selected from respondents of the 3r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total of 2,059 employed people between 20 to 59 years old were selected The occupational categories were professional and office workers salespeople and service workers and technicians and elementary occupations The Framingham risk score was calculated to find the risk of cardio vascular disease within the next 10 years In addition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fe-styles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were compared among the occupational categories Results The average Framingham risk score was 2.77± 6.44 for professional and office workers(n=771) 5.95±6.10 for salespeople and service workers (n=603) and 7.07±5.87 for technician and elementary occupations (n=685) Statistically significant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were derived(P<0.001) Conclusions Framingham risk scores of technicians and elementary occupations were highest which suggests that this occupational group has the highest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목적 제3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직업별 성인병 및 뇌 심혈관질환의 유병률의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으며 직업군별 Framingham risk score를 측정하여 직업군에 따라 향후 심혈관질환의 위험의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방법 제3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34,152명중에서 직업을 가지고 있는 20~59세까지의 성인 12,328명을 선정하였으며 Framingham risk score의 항목별 점수 측정이 가능한 총 2,059명을(남성 1052명 여성1007명) 최종 대상으로 하여 직업군별 인구학적 특성 생활 습관 만성질환 뇌 심혈관질환의 단순 유병률 Framingham risk score 및 10년 후의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및 뇌 심혈관질환을 합산한 경우 전문 사무직보다 판매서비스직과 생산직의 유병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10년 후의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측정하는 Framingham risk score를 전문 사무직 판매서비스직 생산직의 직업군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는 6.02±5.86, 7.09±5.93 7.90±5.61 여성의 경우 0.75±5.03, 5.22±6.11, 5.76±6.02 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수준 체질량지수 그리고 공복혈당과 같은 유의한 변수와 교호작용을 고려한 중희귀분석결과 희귀식의 최초의 값은 전문 사무직 판매서비스직 생산직 순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서로 다른 기울기의 희귀직선을 도출하였으며 체질량지수와 공복시 혈당의 생체지표를 보정하여 시행한 중희귀분석에서 Framingham risk score는 전문 사무직 판매서비스직 생산직의 순서였다 결론 사회경제적 계층을 대표하는 직업군에 따라서 뇌 심혈관질환의 유병률의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군별로 향후 심혈관질환에 이환될 위험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