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세계지도 제작에 반영된 19세기 일본의 울릉도ㆍ독도 인식

        이상균(Saang kyun Yi)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1

        조선의 울릉도와 우산도에 관한 지리정보는 18세기 초, 청나라에서 제작된 「황여전람도」가 프랑스로 전해졌을 때, 그 안에 포함되어 비로소 서구의 세계지도 제작에 반영되었다. 18세기 후반이후, 영국과 프랑스 등의 국가들이 한국의 동해상을 항해하면서 울릉도와 독도를 발견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기존의 정보와 탐험을 통해 새로발견된 정보가 지도상에 공존하기도 하고, Argonaut와 같은 가상의 섬이 지도상에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 연구는 세계지도 제작의 역사를 통하여 울릉도와 독도가 외부세계에 알려지는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19세기일본의 세계지도 제작 과정에 울릉도와 독도가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추적하였다. 19세기 중엽, 일본은 영국에서 제작된 세계지도를 일본식으로 모사하는 과정에서 큰 오류를 범하였다. 즉, 기존에 일본에서 인식했던 竹島(울릉도)와 松島(독도) 명칭을 서구인들이 만들어놓은 프레임(독도가 빠진 Argonaut와 Dagelet)에 무비판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松島(독도)는 다즐레(울릉도)에 비정되었다. 한편, 일본은 서구에서 제작된 지도를 통해 알게된 리앙쿠르 명칭을 한 동안 따라 쓰다가, 1904-5년 무렵, 지도상의 아르고노트를 울릉도 북쪽 연안으로 옮겨 그리면서, 아르고노트에 부여되었던 일본식 명칭(竹島)을 리앙쿠르 암 명칭에 오버랩시켜 오늘날까지 독도를 竹島로 부르고 있다.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bout Ulleungdo and Usando in Joseon came to be reflected in Western world cartography when it was contained in 「Huangyu quan lan tu」 made in Ching Dynasty and was introduced into France early in the eighteenth century. Since the late eighteenth century, such countries as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have sailed the East Sea of Korea and found Ulleungdo and Dokdo; consequently, both the existing information and the new one obtained through the exploration were contained in the maps, or an imaginary island, Argonaut, was found on the map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way Ulleungdo and Dokdo become known to the world by tracing the history of how world maps were produced in modern time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presentation of Ulleungdo and Dokdo in the world maps drawn by some Japanese cartographers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Japan made an enormous error in copying the world map made in the United Kingdom: the name, Matsusima(Dokdo), was replaced with Dagelet(Ulleungdo) when they uncritically placed the names, Dakeshima(Ulleungdo) and Matsusima(Dokdo), as recognized by the Japanese people, in the Western frame(Dagelet and Argonaut, with Dokdo omitted). Japan used the name, Liancourt, from the maps made in the West; then, in 1904 or 1905, they relocated Argonaut near the northern coast of Ulleungdo on the maps and overlapped the Japanese name, Dakeshima, which had been given to Argonaut, with the name of Liancourt rocks; since then, they have called Dokdo Dakeshima.

      • KCI등재

        프랑스 지리교육사 150년의 전통과 최근 동향, 그리고 전망

        이상균 ( Saang Kyun Yi ),권정화 ( Jung Hwa Kw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9 No.2

        프랑스는 국제적으로 지리 교과의 위상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교육과정 상의 지위를 인정받게 된 것은 1871년 이후로서, 1870년 보불전쟁에서 패배한 국가적 위기 상황을 맞이하여 프랑스의 지도층과 교육관료들이 앞장서서 위기극복을 위한 대처방안으로서 지리교육을 강화시켰다. 국가 사회적인 관심과 지원 속에 지리교육은 제도적으로 확고한 위상을 정립하게 되었으며, 학계와 교육계의 열정적인 노력으로 지리교과는 국가교육의 핵심적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프랑스의 지리 교육과정은 국토애를 통한 애국심 함양, 자국 중심의 국제 정세 파악이라는 교육 목적 하에서 지역지리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왔으며, 1960년대까지 이러한 경향이 지속되었다. 1970년대부터 학생들의 탐구 기능 습득을 강조하는 교육 철학이 도입되면서, 계통지리가 강화되고 지역지리 학습에서 기술적 방식을 탈피하여 설명의 논리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진행되어 왔다. 2008년 개정교육과정은 지역지리가 약화되고, 계통지리가 강화되었다는 점에서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지만, 지평확대 역전 모형과 나선형 교육과정은 프랑스 지리교육의 전통으로서 최근까지 교육내용 구성의 기본 형식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는 주지주의 교육철학과 교과서 중심의 교실수업이라는 전통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France is internationally known for the highest level of the geography education. Since 1871 geography education in France was firmly established on an institutional basis. In the situation of national crisis by the defeat in the Franco-Prussian War in 1870, the elite and educational officials took the lead in fostering geography education as an solution to overcome the crisis. Governmental and social support helped geography education secure an institutionally stable position, and passionate efforts by academic and educational circles enabled the subject of geography to secure a central position in national curriculum. In this context, school geography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regional framework, for educational purposes of fostering patriotism through territorial attachment and understanding international affairs from the French perspective, this trend lasted until the 1960s. Since the early 1970s, educational philosophy emphasizing the learning skills was introduced, systematic geography was strengthened, and regional geography was transformed from the description to explain. Revised curriculum in 2008 will bring out a big change, because the regional geography was weakened, and the systematic geography was strengthened more. However, until recently Inversion model of expanded horizons and the spiral curriculum have been maintained as French tradition of geography education. This is interpreted as due to educational tradition of intellectualism and the school culture of textbookcentered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