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문학> : 프로크루스테스의 초상: 로버트 프로스트 초기 시의 화자들

        이삼출 ( Sam Chool Lee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3 비교문화연구 Vol.31 No.-

        Robert Frost`s poetry has generally been considered fairly readable partly because of the simplicity or down-to-earth-ness of the messages that go along with the poet`s projected public image and the ``traditional`` forms he used Against the grain of such general perception, this study reads some of the early poems of Robert Frost to re-chanracterize the beginning of the poet`s career as a modernist attempt to challenge the dominant the dominant poetic conventions of the time: the genteel conventions. In reading the poems, this study focuses on frost`s strategic method of using the speaker or persona regarding the delivery of meanings. Those readers who would like to find the immediate presence of frost`s voice in the poems, fail to distinguish the speaker and the poet, readily accepting the face value of what the speaker tries to convey: those messages with liberal individualism, like self-reliance, autonomous self, work ethics, etc. Frost`s speakers, however, are rarely the mouthpiece of the poet himself. Rather, they are fictional characters who, while on the surface of the text appear to be hammering out a stable theme out of their everyday experience, under a heuristic scrutiny of the textual structure, turn out be undermining the logic or the rationality of the theme, which can be identified as a modernist textual strategy that challenges the traditional conventions regarding the stability of meaning in a poetic text.

      • KCI등재
      •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저항 : 흉내내기와 전이(轉移)

        이삼출(Sam chool Lee) 同德女子大學校 2015 人文科學硏究 Vol.23 No.-

        This thesis analyzes Shakespeare's The Taming of the Shrew to reveal how Shakespeare could maintain an aesthetic distance with the dominant patriarchal ideology by producing a text that debunks the ideological structure of the ideology through a case of psychoanalytic transition actualized with a strategy Luce Irigaray calls 'mimeticism.' The transition in the text first takes place when the characters deliberately employ mimetic strategies, reversing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But another meta-transition also happens when the text itself is regarded as a discourse produced by an analysand and the reader as an analyst. A text that seeks after a reversal against a dominant discourse is forced to adopt the structure of the symbolic order it tries to subvert. By doing this a subverting text can expose the unconscious of the target discourse without falling into the trap of substantialism. Shakespeare can never be said to be free from the feudalistic ideologies. he was well aware of the emerging new enlightenment ideologies. The Taming of the Shrew refuses to endorse any particular ideology. Thus, by presenting a female 'shrew' character who tries to subvert the patriarchal symbolic order, Shakespeare succeeds in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ociety through the use of a double strategy that absorbs the dominant ideology and at the same time subverts. 이 글은 세익스피어의 『말괄량이 길들이기』를 분석자와 피분석자의 위치가 역전되는 상호전이를 통해 지배적 위계질서가 전복되는 과정을 루스 이리거레이의 미메티시즘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이 같은 징후발견적 독법은 기존의 정전을 정신분석학적 시각에서 읽어내는 경제적인 방식이 될 것이다. 정신분석학에서 피분석자의 담론은 분석자로서의 독자를 전복시켜 분석가로서의 독자와 피분석 대상으로서의 텍스트의 위상 사이에 상호전이 과정을 발생시킨다. 이리거레이의 미메티시즘 개념은 전복을 원하는 담론은 자신이 전복시키고자하는 그 상징질서에 기생하지 않을 수 없다는 통찰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본질론의 함정에 빠지지 않으면서 배적 담론을 흉내내거나 모방함으로써 텍스트의 무의식을 드러내는 전략이라 볼 수 있다. 세익스피어가 중세적인 봉건제적 이념에 편입되어 있음은 부인할 수 없지만 부상하는 계몽주의적 휴머니즘과 봉건적 신분질서가 충돌하는 격동의 역사를 살았던 인물인 만큼, 그의 텍스트는 하나의 의미로 고정되기를 거부한다. 이런 거부의 전략이 말괄량이로 형상화된 여성주체가 보여주는 뒤집기 전략이라고 본다면, 세익스피어는 당대의 지배적 이념을 수용하면서도 일정한 정도 그것을 뒤집는 이중전략을 통해 자기 시대와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영시 수업에서의 해석과 번역의 문제

        이삼출 ( Lee Sam-chool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5 No.-

        한국 대학에서 영시에 대한 수요를 높이기 위해 실제 수업과정에서 학습자가 겪는 어려움을 확인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며, 텍스트 해석 과정에 개입되는 언어학적, 문화적, 문학적 변수들을 확인한다. 담론의 구성에서 내용의 의의에 이르기까지 시 텍스트는 산문을 포함하여 다른 담론을 판단하는데 유용한 본보기가 될 수 있다. 다양한 글을 읽는 것이 필수적인 영문과 학생이 시를 읽기 싫어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학습자가시를 읽으면서 실제로 미학적인 쾌락을 느끼고 구체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 수업의 환경에서 시 텍스트를 어떻게 번역하는가, 특히 오역이 어떻게 생산되는지를 확인하게 되면 학습자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교수자의 개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는 영어 문장의 언어적, 문화적 특성상 일차적 의미 혹은 축자적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대부분의 학습자들에게는 그 자체로 매우 복합적인 언어적, 문화적, 예술적 경험이 생성, 변용, 축적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오역을 일종의 문화번역의 경우로 간주하고 한국 대학 영시수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시 텍스트를 선정, 학습자들이 오역을 생산하는 기제와 그 기제의 원인을 규명한다. To provide a set of data with which instructors may boost the sagging demand for Anglo-American poetry classes, this thesis classifies the kinds of difficulties the students face in reading English poems. Asses to the classification is an analysis on the causes of the difficulties at different levels of the reading process, from the linguistic to the cultural. Arnoldian insight argues that poetry is the best of all forms of writing. Without an ample exposure to poetry, average English majors would barely sharpen the skills that they use to deal with other kinds of writing. To help ease the continuing need for a workable teaching model in English poetry reading classes, this thesis suggests focusing on the kinds of wrong translations produced by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 theory of cultural translation, any translation, even the wrong kind, is already a product of a very complicated process of interpretation that involves many cultural factors. With the analysis of these factors discovered in Korean college English reading classes, this thesis tries to explain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wrong translations are produced, since these inevitably lead to wrong interpretations of given poetic 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