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도서관발전을 위한 국가정책에 관한 연구(요약)

        이봉순,구자영,김효정,임명순,Lee, Bong-Sun,Gu, Ja-Yeong,Kim, Hyo-Jeong,Im, Myeong-Sun 한국도서관협회 1980 圖協月報 Vol.21 No.3

        우리 나라의 도서관사업은 본협회가 실질적으로 창립되어 활동하기 시작한 1956년부터라고 볼 수 있겠다. 그동안 모든 분야의 변화 및 발전과 더불어 우리 도서관도 괄목할 만큼 개선되고 발전되었다. 특히 최근에 이르러서는 근대화의 촉진으로 말미암아 정보산업사회가 되어 도서관봉사의 필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한 도서관운영기법이 선진외국의 경우 놀라우리만큼 현대화되었고, 우리도 나름대로 우리의 현실에 맞는 도서관발전을 도모키 위하여 끊임 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제 우리 도서관계도 초창기적 발전 단계를 벗어난 시점에 있으며, 이에 따라서 앞으로 전체도서관발전방향이 제시되고, 이에 의하여 계획적인 도서관 발전을 추진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본협회에서는 이 문제를 이미 지난 1975년부터 검토하기 시작하였고, 1978년에는 이를 구체화시켜 긴 안목에 선 도서관발전계획서를 작성키로 하여 그 기초자료를 준비하기에 이르렀다. 이 연구논문은 이러한 취지에서 1978년 본협회가 이봉순 부회장에게 의뢰하여 완성된 것이다. 이봉순 부회장은 협회의 의뢰를 받고 구자영(이대교수), 이효정(중대교수), 임명순(중대교수)등 연구팀을 구성하여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의 연구비를 받아 진행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이미 창립 20주년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학과 기념논문집(1979)에 발표된 것으로 199면에 달하는 장편의 연구논문이다. 이번에 본 월보에 이를 요약하여 게재하는 것은 도서관발전책에 관한 귀중한 연구자료를 널리 알림으로써 앞으로 확정될 우리 나라 도서관발전계획서 작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훌륭한 한국도서관발전계획서가 작성될 수 있도록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바라며, 새로운 의견이나 자료가 있으면 다수 제안하여 주시기 바란다.

      • KCI등재

        유아의 일반지능, 다중지능, 창의성과의 관계

        이봉순,이영환 한국아동권리학회 2007 아동과 권리 Vol.11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general intelligence, multiplex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he subjects were 220 children, 5 years old. KK-ABC, KK- MIDAS and TTCT were used to assess the children's general intelligence, multiple intelligence and creativity. According to this study: 1) Boys shows higher acquisition intelligence than girls. But girls' multiplex intelligences are higher than those of boys. In crea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irls and boys. 2)The second child is higher than the first child in the acquisition intelligence. In case of multiplex intellig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children's birth order. But the first child has higher creativity than the second child. Among sub-factors, the first child has higher originality level while the second has higher delicacy and openness levels. 3) Children's general Intelligence measured by K-ABC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creativity. Also all of the 8 sub-factors which consist of multiplex intelligence had positive corelation with creativity. 4) The influence of multiplex intelligence on children's creativity is larger than that of general intelligence. 유아의 창의성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유아의 성, 유아의 일반지능, 유아의 다중지능은 모두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지능 보다는 다중지능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며, 다중지능 중에서도 자연지능, 음악지능, 공간지능, 대인지능이 미치는 영향력이 다른 하위요인들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Ⅳ. 논의 및 결론

      • KCI등재

        {壇經}의 般若波羅蜜思想과 그 淵源

        이봉순 한국철학사연구회 2010 한국 철학논집 Vol.0 No.29

        이 논문의 목적은 {단경}에 나타난 반야바라밀사상의 연원을 밝히는 데 있다. 남종선의 실천행인 ① 無念⋅無相⋅無住 ② 一行三昧 ③ 坐禪 ④ 定慧一致의 네 가지 모두 반야바라밀의 실천행으로 종합되기 때문이다. 無念⋅無相⋅無住의 行은 말로 나타낼 수 없는 절대의 경지를 표현한 말로서, 이들이 바로 반야삼매이고 반야바라밀행이다. 일행삼매는 일상적인 모든 행위에서 항상 直心을 행하여 견성하는 것으로서, 견성의 내용을 반야바라밀의 실천으로 새롭게 전개한 것이다. 坐禪은 반야바라밀의 실천에 의한 돈오견성을 주장한 것으로서, 불성사상과 반야사상을 새롭게 종합한 것이다. 定慧一體는 자성의 본성 그 자체로서 體用의 이치를 두루 갖춘 見性의 뜻으로 통일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단경}의 반야바라밀사상은 {반야경}⋅{유마경}⋅{열반경} 및 {대품반야경}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러므로 {단경}의 반야바라밀사상은 반야사상과 불성사상에 그 연원을 두고 있으며, 이들 사상은 {단경}에서 종합되어 선불교의 출발점이 되었고, 동시에 선불교의 사상으로 체계화되어 중국의 선종사상을 완성하게 되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prajñāpāramitā thought in Platform-Sutra, because the practices such as No-thought(無念)⋅No-image(無相)⋅No-staying(無住), Samadhi for one act(一行三昧), Seating meditation(坐禪) and Non- distinction of calmness and wisdom(定慧一體) are consolidated into the practice of prajñāpāramitā. The practice of No-thought, No-image and No-staying means an absolute stage which cannot be described in words. It is another expression of prajñā-samadhi or practice of prajñā -pāramitā whose concepts originate from Diamond-Sūtra, Vimalakīrtinirdeśa-sūtra, Mahāparinibbāna-sūtra, and Mahāprajñā-pāramitā-Sūtra. Samadhi for one act is to have an insight into the original nature in everyday life, which is a new development of practicing prajñāpāramitā. Seating meditation is another form of expression of Sudden Enlightenment to see into one's original nature(頓悟見性) through practicing prajñāpāramitā. This can be said a new kind of mixture of Buddhadhātu thought and prajñāpāramitā thought. Therefore prajñāpāramitā thought in Platform Sutra comes from Buddhadhātu thought and prajñāpāramitā thought. Those two thoughts consolidated in Platform Sutra, made the starting point of Zen Buddhism. At the same time, they further continued to be systemized into the thought of Zen Buddhism and eventually into the conclusion of Zen sect of Chinese Buddhism.

      • 포스트모던시대 조형예술의 장소성과 환경

        이봉순,Lee, Bong-Soon 한국조형예술학회 2008 조형예술학연구 Vol.13 No.-

        Nature/Landscape is surrounding space in which we make living. It is considerably comprehensive tenn. but on the other hand, the site can be existence, experience, and certain circumstance with boundaries. Based on these places, through contemporary art criticism,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how art since 1960s, especially, site-specific art in three-dimensional space intervene in the environment. Artists of today put more value on the process and act of art making founded on the external, and they tend to create the characteristic of site or to indicate linguistic documentation. Moreover, a large-scale tendency of contemporary sculpture and 'occupation of specific site' seems to accede spatial conception from architecture. The core that recognizes these artworks is with body, that is to say, the space in which Self becomes the subject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work while moving around it. In particular, 'Site-specific Art (in situ)' sometimes determines the form inward or outward It also relates directly on viewer's five senses by looking, hearing, and feeling, touching, and interacting. For example, in Richard Serra's <Strike>, the viewer who moves around the work has the role to manipulate the movement of the work by perception. Works of In situ and works that planned for specific site suggest 'occupation of site' as of the function of the work These sites are ideal and special as well as being independent. Ultimately, it seems that the creative process of contemporary artists is to carry those intended form on the structure of perception. Furthermore, law of nature such as entropy, and acceptance of contingency helped organic structure of artwork become more abundant. For Robert Smithson, entropy suggests of reaching to a state of equilibriumin which everything is the same. This means that any core is justifiable and any rank is possible. Because the world without a core is a labyrinth of boundless exploration.

      • KCI등재

        『楞嚴經』의 보살도

        이봉순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5 No.-

        본고는 經題에서 이미 보살이 행해야 할 만법을 밝히고 있음을 표방하고 있는 능엄경 에 나타난 보살도를 고찰한 것이다. 경은 보살을 ‘깨달음을 얻기 전에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그 보살의 수행방편으로서 四種律儀 수지라는 自力的 수행법과 三寶의 가피력에 의지하는 능엄주 지송이라는 타력적 수행법을 들고 있다. 보살의 실천수행도로서는 25원통의 실천, 특히 관세음보살의 耳根圓通 실천과 사마타ㆍ삼마ㆍ선나의 선정실천을 주장함으로써 타력적인 보살신앙과 자력적인 보살수행을 서로 회통하고 있다. 보살의 수행계위로는 대소승의 모든 계위를 통틀어 가장 방대한 55위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능엄경 _보살도의 가장 큰 특징은 어려운 계율수지 및 修禪法과 쉬운 능엄주 지송 및 관음보살의 耳根圓通 실천을 회통시켜 대승보살의 실천수행 효과를 극대화한 것이라고 본다. Śūraṅgamasūtra(楞嚴經) is said to be the best Dhyānascripture which covers all the important Buddha Teachings-C’ien-t’ai(天台), Huayen(華嚴), Esoteric Buddhism(密敎) and Zen Buddhism(禪宗). In Śūraṅgamasūtra the bodhisattva is defined as a being who makes a great effort in order to save all the people before acquiring enlightenment. And it explains very systematically what the bodhisattvas have to do in the course of bodhisattvas’ practices. It insists that bodhisattvas should carry out four kinds of Vinaya(四種律儀), recitation of Śūraṅgama-samādhi-dhāraṇī(楞嚴呪), twenty five Won Tong(二十五圓通) and zen(śamatha, samāpata, dhyāna). E-Ken-Won -Tong(耳根圓通) by which Avalokitesvara enlightened is said to be the best method among twenty five Won Tong. Because hearing sense has the most sensibility among six sense organs. Śūraṅgamasūtra takes Śrāvaka-yāna(聲聞乘) and Boddhisattvayana(菩薩乘) into Eka-yāna(一乘), harmonizing and consolidating three vehicles(三乘). Therefore Śūraṅgamasūtra may fairy be called Dhyāna-scripture that penetrates Mahāyāna(大乘) and Hīnayāna(小乘), Exoteric Buddhism(顯敎) and Esoteric Buddhism(密敎). In the process of Bodhisattvas’ discipline, Śūraṅgamasūtra describes 55 stages including 42 stages of Avatamsaka sūtra(華嚴經). Śūraṅgamasūtra makes clear the origin of man and the world. It puts together difficult ascetic exercises and easy recitation of dhāraṇī, realizing the aim of Mahāyāna bodhisattvas perfectly-above to seek bodhi, below to save all(上求菩提, 下化衆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