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 연구

        이보라미(Lee, Bo-ra-mi),정희창(Jeong, Hui-chang)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8 No.-

        한국어 교육에서 한글 맞춤법 교육은 세 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첫째, 원리와 이론에 대한 학습을 구체적인 실제의 사례를 통해서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표기법의 원리를 이론적으로 학습하기보다는 표기의 원리를 비교할 수 있는 실제 사례를 통해 원리를 찾아가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한글 맞춤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국어학적 지식을 충분히 학습해야 한다. 한글 맞춤법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본적인 문법의 개념과 지식 없이 한글 맞춤법의 표기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셋째, 한글 맞춤법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구체화된 학습 모형에 따라 단계적으로 학습할 필요가 있다.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spelling education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it is effective to learn about principles and theories through specific practical examples. Rather than theoretically learning the principles of notation, it is necessary to look for principles through practical examples that can compare the principles of notation. Second, we should learn Korean language knowledge enough to understand Korean spelling.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notation of Hangeul spelling without the basic concept and knowledge of Hangeul spelling. Third, Korean spelling needs to be taught according to a specific learning model that can be effectively studied.

      • KCI등재

        상악 소수치 잔존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부분틀니 수복 증례

        이보라,김지환,Lee, Bo-Ra,Kim, Jee-Hw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2 No.2

        부분 무치악 환자는 고정성 보철, 가철성 국소의치,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로 수복될 수 있다. 그러나 소수 잔존치아만 남은 경우, 고정성 보철로는 수복이 어려우며, 국소의치 혹은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을 고려하게 된다. 이 경우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은 고정성 수복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충분한 개수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야 하며, 환자의 전신적, 국소적 여건이 합당해야 하고, 경제적 부담도 크다. 가철성 국소의치는 지대치에 의한 대칭적인 지지가 중요하며, 특히 중심선에 대해 편측으로 소수 치아만 남은 경우에는 지점선에 대해 지대치에 유해한 스트레스를 가하면서 지대치의 예후가 불량해진다. 이 경우,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의치의 유지 및 지지 요소로 활용하는 가철성보철물을 설계한다면 비용 대비 기능적이며 심미적인 보철 수복이 가능해진다. 본 두 증례는 상악 Kennedy Class I 부분 무치악 환자 중 편측으로 소수 잔존치가 전치에 국한하여 존재하는 경우로, 잔존치를 지대치로 사용하면서,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의치의 지지가 향상된 국소의치를 제작한 증례이다. Treatment options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are fixed partial denture,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implant 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 In case of a patient with a few remaining teeth,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implant supported fixed prosthesis are available. For implant fixed prothesis, enough implant fixtures are required and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local factors and economic status must be considered. When the condition of the abutments and the residual ridge is favorable and the prosthesis is well desig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can be an option. In removable partial denture, the bilateral support is important. If the teeth remain unilateral, harmful stress is put on the abutments by the fulcrum line. In this situation, strategic implantation and implant-retained or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s beneficial to the retention and support of the denture. And this can be cost-effective, functional and esthetic choice of treatment. This article describes the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of Maxillary Kennedy class I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In these two cases, the patients had a small number of teeth and they were restored by the combination of a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dental implants.

      • KCI등재
      • KCI등재

        자궁근종(子宮筋腫) 6례(例)에 대한 임상경과 보고

        이보라,임은미,박준식,Lee, Bo-Ra,Lim, Eun-Mee,Park, Jun-Sik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05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18 No.4

        Uterine myoma is benign tumor formed from muscular and connective tissues,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 tumors found in women's reproductive organs. Uterine myoma is the most common pelvic tumor and they are diagnosed in up to15 to 20% of women in pubertal period. Although myoma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a slowly growing tumor, in 20-40% of women at the age of 35 and more have uterine myoma of significant sizes with severe clinical symptoms. The most common symptoms include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low abdominal pressure sensation, hypermenorrhea and urinary symptoms. The treatment of uterine myoma is just observation, operation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We treated 6 outpatients who has uterine myoma and visited Kyungwon InCheon Oriental Hospital with Herb-medication and acupuncture. So we have gotten good result from them. After 6 outpatients had taken Guichulpazing-tang(歸朮破?湯), the symptoms were improved and the size of the uterine myoma was reduced significantly, It proves that oriental medical treatment is effective on the patients with uterine myoma, but continuous studies are needed.

      • KCI등재

        퇴비화 시설과 매립장에서 배양 가능한 공기중 미생물의 분포 및 특성

        이보라,차민주,정춘수,김종설,Lee, Bo-Ra,Cha, Min-Ju,Jeong, Choon-Soo,Kim, Jong-Seol 한국미생물학회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1

        Bioaerosols generated from composting facilities and landfills may create health risks for workers and nearby residents. To determine the levels of culturable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bioaerosols, samples were seasonally collected at a composting facility and a landfill in Ulsan, Korea with an impaction-type sampler. Concentrations of heterotrophic bacteria averaged (in $MPN/m^3$) $6.5{\times}10^3$ (range $1.5{\times}10^2-1.5{\times}10^4$) in the composting facility and $3.9{\times}10^3$ (range $6.0{\times}10^1-9.3{\times}10^3$) at the entrance of the facility. These concentrations were 460 and 280 times higher than those of reference sites. Coliform bacteria were detected both inside and entrance of the facility. On the landfill, heterotrophic bacterial concentrations averaged (in $MPN/m^3$) $4.9{\times}10^2$ (range $1.7{\times}10^2-1.0{\times}10^3$), while they averaged $3.7{\times}10^2$ (range $4.8{\times}10^1-1.3{\times}10^3$) at the parking lot of the landfill. These concentrations were 35 and 26 times higher than those of reference sites. When we isolated and tentatively identified heterotrophic bacteria, Pseudomonas luteol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bioaerosols from the composting facility, whereas the most abundant one in reference samples was Micrococcus sp. Average concentrations of airborne fungi were measured between $4.8{\times}10^2$ and $7.9{\times}10^2\;MPN/m^3$ depending on sites, which were 2.1-3.4 times higher compared to those of reference sites. While Cladosporium, Alternaria, and Penicillium were commonly identified fungal genera, genus Aspergillus was identified only in bioaerosols from the composting facility. 퇴비화 시설과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bioaerosol은 작업자 및 주민에게 건강상 위해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들 시설에서 공기 중 세균과 진균의 농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울산시에 위치한 퇴비화 시설과 매립장에서 계절별로 bioaerosol 시료를 포집하였다. 공기중 세균의 농도는 퇴비화 시설에서 평균 $6.5{\times}10^3\;(1.5{\times}10^2-1.5{\times}10^4)\;MPN/m^3$, 퇴비화 시설 출입구에서 평균 $3.9{\times}10^3\;(6.0{\times}10^1-9.3{\times}10^3)\;MPN/m^3$이었는데, 이는 대조군 지점보다 각각 460배와 280배 더 높은 수준이었다. 대장균군 세균은 퇴비화 시설과 출입구에서 모두 검출되었다. 매립장에서 공기중 세균 농도는 평균 $4.9{\times}10^2\;(1.7{\times}10^2-1.0{\times}10^3)\;MPN/m^3$이었고, 퇴비화 시설과 매립장에서 100 m 정도 떨어진 매립장 주차장에서는 평균 $3.7{\times}10^2\;(4.8{\times}10^1-1.3{\times}10^3)\;MPN/m^3$이었으며, 이는 대조군 지점에 비해 각각 35배와 26배 더 높은 수준이었다. 공기중 세균을 분리하여 잠정적으로 동정한 결과 퇴비화 시설에서는 Pseudomonas luteola, 대조군 지점에서는 Micrococcus sp.가 우점하였다. 채취 지점별 공기중 진균의 농도는 평균 $4.8{\times}10^2-7.9{\times}10^2\;MPN/m^3$이었으며, 대조군 지점에 비해 2.1-3.4배 더 높은 수준이었다. 공기중 진균의 경우 Cladosporium, Alternaria, Penicillium의 3속은 모든 지점에서 검출되었으며, Aspergillus 속은 퇴비화 시설의 bioaerosol에서만 확인되었다.

      •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제

        이보라(Lee, Bo-Ra)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10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4 No.1

        세계화 시대가 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제를 알아보고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다문화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00명이며,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 졌고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변량분석(ANOVA)과 t-분석(t-test),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기관유형과 교육경력, 교사의 교육수준, 다문화 교육에 관한 학습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목표의 인식정도를 알아본 결과 국공립 어린이집과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수준이 높게 나왔고 교사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교육에 관한 교사의 태도에는 경력이 많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에 대한 태도가 바람직하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교육에 관한 실제는 기관유형과 교사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공립유치원의 교사와 대학원 이상의 교육수준을 지닌 교사가 환경구성과 교육활동을 더 활발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현장에서 다문화 교육에 관한 활동을 잘 실시하는 경향이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and practic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regarding the type of settings, educational level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view of preschool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e, the educational career, the educational level of teachers, and whether he educated multicultural education. In investigating the goal of educatio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eachers of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 is high, and significant difference has been shown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of teachers. The teachers of more career and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 have more preferable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eacher's practic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different by the type of institute, the educational level of teachers. Third, If teachers understood more about education goal and doing right attitud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can prepare for educational environment, also show that they can trend to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네팔의 다차원적 빈곤

        이보라(Bo ra Lee),김교성(Kyo seong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네팔의 다차원적 빈곤의 실태를 분석하고 영향 요인을 규명하여, 빈곤감소를 위한 대안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있다. 다차원적 빈곤을 측정하기 위한 차원은 교육, 주거, 건강, 생활 등으로 구성하였고, 네팔생활수준조사 자료와 Alkire-Foster 방법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네팔의 절반 이상의 가구가 다차원적 빈곤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주거차원에서의 빈곤이 가장 심각하며, 생활차원, 교육차원, 건강차원의 순으로 빈곤 수준이 낮아지고 있다. 다차원적 빈곤과 차원별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지역(도시·지방), 지형(산간·언덕·평야), 지리(동부·중앙·서부·중서부·극서부) 등의 공간적 특성이며, 젠더, 혼인상태, 가구원 수, 카스트 등의 인구학적 특성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네팔의 빈곤 감소를 위해서는 다차원적 빈곤이라는 개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빈곤 상태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 정부와 민간단체 등이 네팔의 정부 및 지역사회와 긴밀하게 연대하여 공동의 목표를 성취해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alities and influential factors of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in Nepal. This analysis uses the Nepal living standard survey, Alkire-Foser methods, and the index that composes four dimensions such as education, housing, health, and living condition for measuring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As a result of analysis, more than half of households experienced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the poverty in housing dimension was appeared the most serious.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are geographic factors, for example, region(urban and rural), topography(mountains, hills, plains), and province(Eastern, Central, West, Midwest, and Extreme West).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marital status, number of family members, the Caste also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It is suggested to have more active support of vulnerable areas, and more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improvement of the various dimensions of life for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reduction in Nepal.

      • KCI등재

        제주도 내 ‘군사기지 유치’ 담론을 통해 본 평화만들기의 정치학

        이보라(Bo Ra Lee) 제주학회 2010 濟州島硏究 Vol.33 No.-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군사적 폭력과 평화의 개념이 해석되는 방식과 시각을 지역주민의 입장에서 문제제기 하기 위한 것이다. 그 동안 군사적 폭력(군사주의)에 대한 연구는 폭력 자체를 동원과 배제의 메커니즘, 국가주의, 남성중심성의 맥락에서 바라봄으로써 강력함, 권위, 오염 등으로 인한 피해를 중심으로 분석해왔다. 때문에 이에 대한 저항은 피해를 증명 하거나( 고통받는 주민 ), 피해자를 정치적 주체로 반등(反騰)시키는( 진정한 평화 ) 방식으로 접근되어 왔다. 또한 이를 통해 구축된 평화 의 개념은 본래 갖고 있었던 것을 잃었다는 맥락에서, 훼손시키지 않고 지키는 것(keeping)으로 의미화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에서의 폭력과 피해의 구도는 이미 주어진 것, 미리 결정된 것이었다. 사실상 이러한 분석은 한국사회에서의 군사적 폭력이라는 것이 독재정권, 징병제, 분단 등으로 인한 경험과 해석에 기반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었다. 하지만 제주도 바당 마을에서의 군사적 폭력은 공포나 회유가 아니라 좀 더 나은 삶 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군사기지(military base)는 혐오시설 이 아니라 발전시설 로서 의미화 되고 있었다. 이는 군사적 폭력이 적의 침략 을 위한 것이 아니라 먹고 사는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유치·작동되는 한국 국방의 변화된 구조로 인한 것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폭력은 ~이 아닌 군대 라는 언설을 통해 부정되고, 주민들의 필요는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작동되고 있었으며, 때문에 주민들 역시 보편과 원칙을 말하는 평화담론 보다는, 가장 지역화된(localized) 언어로 말하는 군사기지 건설 담론을 더욱 설득력 있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따라서 문사기지를 유치 하기 위해 다른 지역들과 경쟁하기도 하는 현재 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분석틀이 필요하며, 폭력의 개념과 평화의 개념 역시 과정적인 의미로서 (peace-making) 재정의·재구성 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바당 마을 주민들이 국가와 대면하게 되면서, 주민들은 군사기지 담론에 전제되어 있거나 그 담론이 작동되는 효과로서의 폭력을 감지하고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폭력에 대한 발견 을 통해, 제주도 바당 마을 주민들은 기지를 건설한다는 것 이 주민 자신이 살아온 그동안의 삶의 방식을 부정 혹은 극복하는 것임을 알아가게 되고, 이를 통해 국가의 소속양식과, 삶의 장소성(placeness)에 대한 질문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군사적 폭력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특히 2000년대 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상황성과, 평화라는 것 역시 주민들에게 내재(內在)된 것이 아니라 인식과 발견의 산물이라는 것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폭력은 특정한 시·공간에 따라 상황적으로(situationally) 작동되고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지금-이곳 에서 작동되는 폭력에 의해 해당지역 주민들의 신체와 땅-바다, 그리고 그들의 정체성이 어떻게 새롭게 정의되고 인식되어지는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한 과정을 본 논문에서 평화만들기(peace-making)의 정치학으로 의미화 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raise a question on the method and viewpoint that the concept of violence and peace is interpreted from the standpoint of local people. So far, studies on military violence (militarism) have generally focused on sufferings caused by power, authority, contamination, etc. viewing violence itself in the context of militarism, male chauvinism, and mechanism of mobilization and exclusion. Therefore struggles against violence have been narrowly assessed in the way of witnessing suffering(“victimized people ) or calling victims as political subjects ( true peace ). And the concept of peace established through these ways has become to mean only keeping, not spoiling something they originally have. However, the frame of violence and suffering from this point of view was a bit pre-given and per-determined. This kind of analysis has been possible since military violence in Korean society was based on experience originating from military dictatorship, conscription system,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etc. But military violence in Badang Village in Jeju island was being developed through the way of guaranteeing a better life , rather than using traditional carrot and stick, and military base was also being regarded as development facility , not as abominable facility . In order to understand this situation that Badang Village competed with other regions to attract military base, we needed non-conventional, new frame of analysis, and the concept of violence and peace had to be redefined and reconstructed as peace-making process. I intended to prove that military violence is not fixed and has been changed dramatically since 2000 and also peace isn t inherent, and rather the product of recognition and find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statement Present military is different from the one in the past that military personnel used to mention exactly reveals the character of violence functioning in Badang Village now. What happens in Badang is different from the past violence. So, violence is freshly revealed and recognized where past violence cannot be copied as violence is functioning situationally in the specific time and plac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lucidate how the local people s body, the land and sea, and their identity is redefined and recognized. That s the reason why we should take notice of the political context under the specific time and place, so to speak, the placeness, in speaking of violence.

      • KCI등재

        선박평형수관리협약의 시행상의 한계와 향후 과제

        이보라(Bo-Ra Lee),이윤철(Yun-Cheol Lee) 한국해사법학회 2018 해사법연구 Vol.30 No.1

        해양환경의 보호 및 보전에 관하여 해양법협약은 제 12장에 별도의 조항을 가지고 있으나 세부적인 규칙에 관한 내용보다는 일반적인 권리와 의무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규정되어 있다. 국제해사기구는 해상안전, 해양오염방지 등에 있어 사실상 (de facto)의 규범적 관할권을 가지고 있으며, 이 가운데 선박이 복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입하는 평형수가 다른 지역에서 배출될 경우 유해수 중생물 및 병원균의 이동과 유입을 유발하여 생물다양성의 보존과 친환경적인 이용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를 방지하고자 선박평형수관리협약을 채택하였다 이는 해양법협약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이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동 협약이 2004년 채택 이후 장기간 회원국의 노력 끝에 2017년 발효 되면서 궁극적으로 D-2 규칙에 따른 배출수 처리방식의 불안정성, 형식승인의 기준 변경에 따른 이해당사자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많은 국가들이 동 협약을 수용하지 않고 별도의 규정을 제시함으로써 선박 운항상의 통일된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환경협약 특성상 법률과 기술의 개발 사의의 상호연관성에 따른 협약의 불필요한 지연으로 인한 이해관계자의 피해방지 조치, 협약채택 이후 발효시기까지의 장기간의 시간적 간극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의 필요성, 항만국통제관의 통제능력 강화조치 및 선박평형수관리협약의 강행법규로서 지위확보의 필요성 등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Concerning the protection and conserv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1982 has separate provisions in Chapter 12, but it focuses on general rights and obligations rather than on detailed rules.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s has de facto normative jurisdiction over maritime safety and marine pollution prevention. Among them, in order to prevent the fear that the ballast water injected by ships for stability of ships may cause the movement and inflow of harmful aquatic organisms and pathogens and threaten the pre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use,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and Sediments has been adopt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specifically implementing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However, as the Convention entered into force in September 2017 after a long period of Member States efforts since the adoption of the Convention in 2004, it has identified problems in terms of implementation, e.g. instability of the effluent treatment in accordance with the D-2 rule, and increased burden on stakeholders due to changes in standards for type approval, non-unified duties on ship operation by presenting their own regulations without accepting the Convention from lots of countries. This paper proposes to take measures as the nature of environmental conventions, the prevention of stakeholder damage caused by the unnecessary delays of the Convention due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w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necessity of necessary measures for frying the long gap between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strengthened control capability of the port state control, and the necessity of the status of the convention as compulsory.

      • KCI등재

        수문생태모형 RHESSys의 평가: 두 복잡지형 유역에서의 모수화와 적용

        이보라 ( Bo Ra Lee ),강신규 ( Sin Kyu Kang ),김은숙 ( Eun Sook Kim ),황태희 ( Tae Hee Hwang ),임종환 ( Jong Hwan Lim ),김준 ( Joon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7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9 No.4

        전지구적인 생태시스템 안에서 탄소와 물의 흐름은 아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생태계 물질순환과정을 모사해 주는 모형들은 연구자들이 직접 측정하기 어려운 복잡한 생태계에서의 물질순환 과정들의 상호작용과 그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도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생태수문모형 RHESSys(Regional Hydro Ecological Simulation System)를 광릉시험림 유역에서 모수화한 후, 다른 지형 조건과 기후 및 식생을 가진 점봉산 강선리 유역에 적용함으로써 RHESSys모수화의 다유역으로의 확장가능성과 문제점 등을 조사하였다. RHESSys는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를 바탕으로 공간적인 탄소와 물 및 영양분의 흐름을 모사하는 생태수문모형이다. 모수화는 광릉시험림 유역의 1982-1999년간 일유량과 나이테 자료로 추정한 임목생장량을 사용하였다.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수리전도도에 관련된 중요 모수들과 임목 생장과 관련된 분배 모수들을 Monte-Carlo 접근법을 사용하여 최적화 하였다. 모형결과를 광릉연구지의 실측 토양수분과 비교해 본 결과 RHESSys는 토양수분을 다소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일변화를 유의하게 잘 모사하였으며, 임목생장량의 연변화를 잘 모사하였다. 광릉연구 지에서 개발한 모수를 점봉산 강선리 유역에 적용한 결과, 광릉과 마찬가지로 RHESSys는 토양수분을 다소 과소평가하나 여름철의 중요한 시계열 경향을 유의하게 잘 모사하였다. 또한 실측 공극률의 사용이 모형의 토양수분예측력에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강선리 유역의 임목생장량에 대해선 모형의 예측력이 높지 않았다. 수문과정 모수에 비해 식생성장 및 분배관련 모수의 경우 단일 유역의 모수화를 타 유역으로 확장하는 데에 상당한 불확실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유역의 임목생장 및 분배 특성을 반영하는 독립적인 모수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해 줄 최소한의 현장측정항목을 발굴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flux of carbon and water using an eco-hydrological model, Regional Hydro-Ecologic Simulation System (RHESSys). Our purposes were to develop a set of parameters optimized for a well-designed experimental watershed (Gwangneung Research Watershed, GN) and then, to test suitability of the parameters for predicting carbon and water fluxes of other watershed with different regimes of climate, topography, and vegetation structure (i.e Gangseonry Watershed in Mt. Jumbong, GS). Field datasets of stream flow, soil water content (SWC), and wood biomass product (WBP) were utilized for model parameterization and validation. After laborious parameterization processes, RHESSys was validated with the field observations from the GN watershed. The parameter set identified at the GN watershed was then applied to the GS watershed in Mt. Jumbong, which resulted in good agreement for SWC but poor predictability for WBP. Our study showed that RHESSys simulated reliable SWC at the GS by adjusting site-specific porosity only. In contrast, vegetation productivity would require more rigorous site-specific parameterization and hence,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identify primary field ecophysiological variables for enhancing model parameterization and application to multiple watersh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