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초중반 러시아 정교회의 한인을 포함한 알래스카 및 시베리아-극동지역 이민족 선교활동 연구(1823-1868) -인노켄티 베니아미노프(И.Вениаминов) 주교의선교활동을 중심으로-

        이병조 ( Byong Jo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4 슬라브연구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19세기, 1820-60년대 말 시기 동안에 러시아 정교회의 인노켄티 베니아미노프(И.Вениаминов, 1797-1879) 주교의 알래스카 및 시베리아-극동지역의 한인을 포함한 이민족 선교활동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베니아미노프 주교의 해당 지역 이민족 선교활동의 성격을 규명하고, 나아가 베니아미노프 주교의 이민족 선교활동에서 나타나는 재원조달체계를 파악해 보는데 있다. 필자는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우선, 베니아미노프 이민족 선교의 성격과 관련하여, 외적인 측면에서 베니아미노프 이민족 선교활동 또한 국가-정치적인 성격의 선교에서 크게 자유롭지 못하다. 하지만 선교 형식은 국가-정치적이었을 지라도 선교 내용에 있어서는 지극히 비국가-정치적 성격의 선교활동이었다고 여겨진다. 이는 이민족 선교활동에서 보여 준 베니아미노프의 순수함과 인간애, 그리고 헌신성과 토착화에 바탕을 둔 선교활동(이민족 언어로 성서, 복음서, 교리문답서 번역 및 보급, 정교신앙 교육 등)에서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다. 다음으로 베니아미노프의 선교활동에서 나타나는 재원조달체계 관련하여, 알래스카와 시베리아-극동지역에서의 선교활동에서 나타나는 재원조달체계에는 차이가 있었다. 알래스카에서는 사제의 봉급, 숙소 및 난방, 전기에 이르기까지 러·미회사에 대한 의존도가 절대적이었다. 하지만 시베리아-극동지역에서는 신성종무원(중앙)의 재정지원 외에 종무국(지방)이나 교회 및 교구 자체적으로 재정을 보충해 나가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양초 판매 등), 경우에 따라서는 교구민의 기부금까지도 투입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issionary work during the 19thcentury, from 1820 to the late 1860s, carried out by Bishop InnokentiVeniaminov(1797-1879)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for immigrants, including Koreans, in Alaska and Siberia and Far East areas. I want to ultimately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ssionary work for immigrants done by BishopVeniaminov in that particular region and furthermore, understand the financing system of the activity. I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First of all about the characteristics seen from the external side, his missionary was not much free from national and political missionary work. However, although the formality had both national and political purpose, the missionary itself did not have any of those purposes. It is clearly shown by the innocence and human love of the BishopVeniaminov and the missionary work(translating the Bible, the Gospels, the catechism into the language of the immigrants, propagation, orthodoxy education and etc) that was carried out based on devotion and naturalization. Moreover, the financial system in Alaska and the system in Siberia and Far East areas were different. In Alaska, the missionary team was absolutely dependent on the Russian-American company from the priests`` salary, accommodations to heating and electricity. On the other hand, in Siberia and Far East areas, except for getting a financial support for the Holy Governing Synod, the administrative office of religion and the church itself often autonomously managed to supplement the finances(by selling candles, etc). In some cases, even the parishioner donations were used.

      • KCI등재

        기록보존소 자료를 통해 본 소비에트 시기 최초의 한인 해군장교 (최 파벨 페트로비치)의 죽음과 스탈린 탄압의 비극

        이병조 ( Byong Jo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5 슬라브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소비에트 시기 최초의 한인 해군장교였던 최 파벨 페트로비치(최성학) 관련한 선행 연구에 대한 후속논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는 20세기 초 ``빨치산투쟁-스탈린 탄압- 숙청``으로 이어지는 최 파벨의 행적, 특히 죽음을 둘러싼 정황들을 재구성 및 재조명해 보는데 있다. 나아가 최 파벨이라는 한인 지식인 탄압의 실상 속에서 드러난 스탈린 정권의 전형적인 소수민족 탄압정책의 잔악성과 불법성의 한 단면을 부차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최 파벨 관련 러시아국립해군기록보존소의 자료들을 바탕으로, 최 파벨의 행적과 죽음을 둘러 싼 역사적 사실관계와 정황들을 미시사적인 시각을 넘어 위로부터라는 거시적인 시각에서도 바라보았다. 소비에트 시기 최초의 한인 해군장교였던 최 파벨은 극동지역 항일운동의 대부였던 최재형 (최 표트르 세묘노비치)의 차남이다. 극동지역에서 항일빨치산 투쟁의 경력을 갖고 있던 최 파벨은 해군장교가 되어 해군함대생활을 하며 바다를 누볐다. 그 과정에서 장교로서의 능력과 우수성을 발휘하며 출세가도를 달렸다. 하지만 그 또한 1930년대 초부터 불어닥치기 시작한 스탈린 소수민족 탄압의 광기를 피해가지 못했다. 소비에트 당국은 최 파벨을 늘 두 가지 시선에서 바라 보았다. 소비에트 당국은 1935년에는 최 파벨의 공산당 당적을 박탈하고, 이어 체포 및 심문을 했다. 해군당국은 최 파벨의 아버지 최재형의 과거 출신성분을 문제 삼았고, 최 파벨의 성격과 장교로서의 자질을 문제 삼았다. 체포와 심문이 반복되었고, 마침내 1938년에 크즐오르다에서 총살당했다. 최 파벨의 죽음은 스탈린 정권의 전형적인 소수민족 탄압정책의 잔악성과 불법성의 한 단면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1950년대 중반부터 스탈린 탄압희생자들의 명예회복과 복권을 위한 유가족들의 재심 소송이 시작되었다. 1993년 4월에「러시아 고려인의 명예회복에 관한 러시아연방 최고회의 결정」이 승인되었고, 이는 러시아연방 고려인들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살아남은 형제들에 의해 최 파벨의 명예 또한 회복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미활용 1차 사료들이 소개되고, 또 이 사료들을 통해 최 파벨의 행적과 죽음을 둘러싼 정황들이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되고 밝혀졌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의와 연구적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둘러 싼 역사적 사실관계와 정황들을 미시사적인 시각을 넘어 위로부터라는 거시적인 시각에서도 바라보았다. 소비에트 시기 최초의 한인 해군장교였던 최 파벨은 극동지역 항일운동의 대부였던 최재형 (최 표트르 세묘노비치)의 차남이다. 극동지역에서 항일빨치산 투쟁의 경력을 갖고 있던 최 파벨은 해군장교가 되어 해군함대생활을 하며 바다를 누볐다. 그 과정에서 장교로서의 능력과 우수성을 발휘하며 출세가도를 달렸다. 하지만 그 또한 1930년대 초부터 불어닥치기 시작한 스탈린 소수민족 탄압의 광기를 피해가지 못했다. 소비에트 당국은 최 파벨을 늘 두 가지 시선에서 바라 보았다. 소비에트 당국은 1935년에는 최 파벨의 공산당 당적을 박탈하고, 이어 체포 및 심문을 했다. 해군당국은 최 파벨의 아버지 최재형의 과거 출신성분을 문제 삼았고, 최 파벨의 성격과 장교로서의 자질을 문제 삼았다. 체포와 심문이 반복되었고, 마침내 1938년에 크즐오르다에서 총살당했다. 최 파벨의 죽음은 스탈린 정권의 전형적인 소수민족 탄압정책의 잔악성과 불법성의 한 단면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1950년대 중반부터 스탈린 탄압희생자들의 명예회복과 복권을 위한 유가족들의 재심 소송이 시작되었다. 1993년 4월에「러시아 고려인의 명예회복에 관한 러시아연방 최고회의 결정」이 승인되었고, 이는 러시아연방 고려인들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살아남은 형제들에 의해 최 파벨의 명예 또한 회복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미활용 1차 사료들이 소개되고, 또 이사료들을 통해 최 파벨의 행적과 죽음을 둘러싼 정황들이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되고 밝혀졌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의와 연구적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succession of the preceding study related to Choi Pavel Petrovich(Seon-Hak Choi), the first Korean Naval Officer in the Soviet Union. The ultimate aim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and reconsider the record of performances of Choi Pavel which, in the early 20th century, passed through the following phases : "Partisan struggle-Stalin``s terror-Purge" and especially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his death. Furtherm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aterally look into a cross section of cruelty and illegality of Stalin government``s typical repressive measure to minorities which was revealed among the reality of oppression to a Korean intellectual named Choi Pavel. For these purposes, on the basis of the data from the Russian State Naval Archive related to Choi Pavel, the present writer viewed his record of performances and historical facts and circumstances associated with his death not only from microscopic perspective but also in a broad one that starts from the top. Choi Pavel, the first Korean naval officer in the Soviet Union, was the second son of Jae-Hyung Choi(Choi Petr Semenovich) who was godfather of anti-Japanese movement in the Far East. Having had the experience taking part in the anti-Japanese partisan struggle, he was commissioned a naval officer to thread among the sea as a crew member of the fleet. In the process, Choi Pavel furthered his career demonstrating his excellency and capability as an officer. However, he was also one of those who failed to avoid the insanity of Stalin``s oppression of minorities which was brought about since early 1930s. The authorities of the Soviet Union always viewed Choi Pavel in two different ways. In 1935, the authorities arrested and interrogated him after expelling him from the Communist Party. Naval authorities questioned Choi Pavel``s personality and gift as an officer in addition to the class his father, Jae-Hyung Choi, belonged to in the past. Arrests and interrogations were repeated, and finally in 1938, he was shot in Kzyl-Orda. Choi Pavel``s death bears witness to a cross section of cruelty and illegality of Stalin government``s typical repressive measure to minorities. From the mid-1950s, bereaved families entered upon retrials to restore the honors of the victims of Stalin``s oppression and their reinstatements. "The Decision of the Russian Supreme Council on Rehabilitations of Goryeoins in Russia" was approved in April, 1993, and it brought a huge change to lives of Goryeoins residing in Russia. Choi Pavel``s honor was also restored thanks to his surviving brothers.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the largest significance and investigative value in the fact that existing unused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are introduced and circumstances of Choi Pavel``s performances and death are observed and revealed from a new perspective through the materials. 53)

      • KCI등재

        미래지향지향적 재외동포정책의 방향 ; 독립국가연합(CIS) 고려인사회 지원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

        이병조 ( Byong Jo Lee ) 한국민족연구원 2013 민족연구 Vol.0 No.5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primarily to diagnose and re-examine the support activities and achievements towards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CLS] Goryein society that has been practiced by the organizations affiliated with the Korean government along with other private organizations etc for over 20 years since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Furthermore, through this the ultimate goal is to create and execute realistic and sustainable support policy for the government institution. The writer examined two large parts: 1] problems with Goryein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management, 2] problems regarding Korean education and art culture activity support Regarding Goryein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management problem, the writer affer observing the support probiem suggests an alternative to the Goryein agricultural assistance in the Maritime Province of Russia and Kazakhstan and Kyrgyz Republic`s Goryein vinyl greenhouse. Also when it comes to the problem regarding the support of Korean education and art culture activity, the writer examined and provided alternative towards the support problem for the Korean education in culture center`s Korean courses and Arirang and Chilsung singing and dancing group provided in Ussuriysk and Artiom the Maritime Province of Russia. Also for the Central Asia the writer observed and discussed the alternatives to the Korean education problems in Uzbekistan and Kazakhstan as well as in Khabarovsk and Yakutsk in Russia.

      • KCI등재

        독립국가연합 고려인 공동체의 한민족 민속문화 전승 연구 -우즈베키스탄 타시켄트 주 고려인 콜호즈의 민속문화를 중심으로-

        안상경 ( Sang Kyong An ),이병조 ( Byong Jo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3 슬라브연구 Vol.29 No.1

        문화재청이 발주한 ‘2012년도 해외 전승 무형문화유산 학술조사’의 일환으로, 필자진은 동년 7월 11일부터 18일까지 우즈베키스탄 타시켄트 시와 타시켄트 주 4개의 콜호즈에 거주하고 있는 고려인을 대상으로 민속문화의 전승 양상을 현지 조사했다. 삶의 공간으로서 기후나 지리, 어떤 정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왜곡, 변질된 부분이 없지 않아 있었지만, 한민족의 원형적인 민속생활, 민속신앙, 민속예술, 민속놀이 등이 여전히 생명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민속생활에서 주목할 것은 탈(액운)을 방지하기 위해 한식에 집안 대소사의 일정을 정하고 있다는 점, 윤달의 금기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는데 윤달을 음력 6월(양력 7~8월)로 고정하여 인식하고 있다는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민속신앙에서 주목할 것은 축사(逐邪), 방토(액막이), 주술 형태의 민속신앙이 매우 광범위하게 전승되고 있다는 점, 무당(하락시)에 의한 신점(神占) 및 치병행위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민속예술에서 주목할 것은 1980년대까지 고려인 집거지에서 소인예술단이 활동함으로써 민속춤이나 창가가 활성화되었다는 점, 폴릿닫젤콜호즈에서는 청춘앙상블이 창가, 춤, 만담 등을 여전히 계승하고 있다는 점 등을 꼽을 수있다. 민속놀이에서 주목할 것은 세시명절에 따라, 즉 설, 단오, 추석 등을 기해 고려인 공동체에 의한 집단놀이가 전승되고 있다는 점, 20여 년 전에 단오를 회복했을 당시에 줄다리기나 씨름을 대대적으로 행했다는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집거지에서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제반 여건의 변화에 따라 한민족의 언어와 풍습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고려인 3~4세대는 대부분 민족적 심리와 감정만 유지하고 있다. 해외 한민족 문화유산의 재발견이라는 측면에서 고려인 공동체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속문화의 전수조사가 시급하다. 그 가치에 대한 제고와 함께 계승은 물론 보존을 위해 관주도의 관심과 지원이 수반되어야 한다. 나아가 디지털 환경에서 아카이빙하여 전시할 필요가 있다. 물리적인 공간과 시간을 초월하여 너도 나도 다 같은 한민족이라는 동질성을 회복할수 있을 것이다. As part of the ``2012 abroa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ademic investigation transmission``, it was order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o research the transmission aspects of folk culture on the same year since July 11th until 18th, subjecting Goryeo people(Goryein) living in Tashkent, capital of Uzbekistan and four kolkhoz in Tashkent Province. In the living environment, without a doubt elements of corruption and distortion exist within climate, geography, politics and social atmosphere however it is confirmed that the prototypical Korean folk culture, folk religion, folk games, folk art and furthermore still exert vitality. The most noteworthy facts about folk life are, in order to prevent mishaps (misfortune) Korean households plan all their schedules, and strictly comply with the taboos on leap months recognizing the leap month fixed as June in the lunar calendar (July and August in solar calendar). The most noteworthy facts about folk religion are congratulatory address, Bangto (exorcism), and deep faith in incantation which are extensively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also divination in Shaman (haraski) and curing illness to retain life. Also the most noteworthy facts about folk art until the 1980s is the fact that from Goryein residences to postmarked art companies, they actively participated to revitalize folk dance and traditional music; and in Politotdel Kolkhoz ``young`` ensembles still play traditional music, dance and storytelling. Lastly the most noteworthy facts about folk games are that it is usually played on Korean national holidays namely News Years, Dano (fifth day of May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Korean thanksgiving and so on, group games for the Goryein community are being passed down, and also more than 20 years ago when Dano was recovered mainly tug-a-war or wrestling were widely enjoyed. However Goryein dwellers in Uzbekistan under the changing conditions in politics, economics, society, culture and so on, the language and custom of the Korean people is slowly fading. The third and fourth generation Goryein people mainly maintain ethnic psychology and sentiments. Research is urgently needed regarding the folk culture which is transmitted in the Goryein community to rediscover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Of course, improvement and collective succession for the value needs attention and support in all areas for the research regarding permanent conservation. Through this, over transcending physical space and time, we will be able to recover the concept of homogeneity of you and I being part of the same Korean heritage.

      • KCI등재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 공동체의 한민족 민속문화 전승 연구

        안상경 ( Sang Kyong An ),이병조 ( Byong Jo Lee ) 한국민족연구원 2013 민족연구 Vol.0 No.56

        The Korean Russians(Goryein) of Yunhaju(Maritime Province of Russia) began after the death of Stalin. From the beginning of the 1990s until after the collapse of the former Soviet Union, they continued their existence after their remigration to ‘the base of their ancestors’, Yunhaju. The cultural identity or homogeneity of the Korean race continues on the basis of their existence because the language and lifestyle customs of native Koreans were accompanied by mass immigration and settlement. However, due to their history of ‘deportation to Central Asia followed by the remigration to Russia’, when comparing the folk culture that is being transmitted by Russian Koreans of Central Asia or Koreans of Russia Sakhalin, disconnection and modification is relatively broad. Through the results obtained by the field survey in terms of transmission, modification, disconnection and restoration, the summarized information is as follows. Ancient forms of Korean folk culture that is being precisely transmitted include fasting, prohibited behavior of mothers, ritual days etc. Ancient forms of modified Korean folk culture that is being transmitted include Lunar New Year`s Day, Dano, memorial services for ancestors, special dishes and food preservation, chil sung(七星) and sung ju(成主, 成造). Based on what was confirmed from the recent field research process, ancient forms of Korean folk culture that is disconnected, which of course its numbers may be large beyond description, include greetings on New Year`s Day, customs of the 15th of January by the lunar calendar, rituals for good farming, shamanistic beliefs etc. Acceptance of local Russian customs, as well as artificially restored ancient forms of Korean folk culture for its succession to continue include pregnancy charms, festival on Lunar New Year`s Day, Dano festival, traditional singing and dancing etc. Tracing back the various forms of transmission of Korean folk culture led by Korean Russians of Yunhaju, it is true that the span of its disconnection and modification is wide, but in return, its restoration is also at large. In order for Korean folk culture to be restored and succeeded, there is a need for persisting effort. Although the genuine will to maintain the identity of Korean Russians is conveyed by a small number of cultural artists, we are in a situation where we need continuous help. Looking directly at reality, now we should not only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Korean Russians are living far away, or the fact that they are treasuring their painful past. However, in an objective point of view, government-led support and interest are required for substantial understanding and systematic preservation of folk culture as well as its succession.

      • KCI등재후보

        러시아 아무르주의 한인사회와 정교회 선교활동(1872~1916) : 블라고슬로벤노예(Благословенное) 마을을 중심으로

        이병조 在外韓人學會 2009 在外韓人硏究 Vol.20 No.-

        러시아 세속당국과 정교회 지도부는 정교신앙과 학교교육을 통해서 아무르주 블라고슬로벤노예 마을(사만리) 한인들의 러시아화를 유도해내고자 했다. 한인교육의 성장 원동력은 세속당국 및 정교회 선교부의 적절한 활동과 교구교육을 받은 젊은 한인세대의 협조 속 에서 찾아볼 수가 있다. 또한 블라디보스톡 주교구 설립(1899), 그리고 그해 설립된 동방대학과 포드스타빈(G.V. Podstavin)의 한국학 연구도 한인의 기독교화 및 러시아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세속당국과 정교회의 블라고슬로벤노예 마을 한인의 기독교화 및 러시아화 정책은 가시적인 성과들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인 문제와 한계 속에서 수행되었음을 엿볼 수 있다. 우선은 20세기에 들어서까지 이어진 한인의 고립적인 조선식 생활방식의 유지를 들 수 있다. 또 하나는 정교신앙을 통한 한인들의 삶이 여전히 비기독교적인 상황에 머물러 있었다는 점이다. 그 외에도 한인들의 러시아화가 낮은 수준에 있었다는 점과 마지막으로 한인들의 행정적인 자치권한도 한인들의 기독교화 및 러시아화의 진행을 더디게 만들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20세기에 들어서까지 한인들의 만족스럽지 못한 내적인 기독교화 및 러시아화의 요인은 지방당국의 관심과 노력이 지속되지 못한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러시아 정부는 자신들의 발의로 이주시킨 한인들에 대해서조차 지속적인 관심과 충분한 지원을 하지 않았으며, 이는 결국 한인들의 낮은 러시아화라는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낳았다. 즉 러시아 정교회의 아무르주 한인선교 활동은 세속당국의 적은 관심과 한계 속에서 수행되어 왔으며, 그로 인해 한인들의 러시아화 상태 또한 마을의 형성배경에 비해 만족할 만한 수준 가운데 있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In the past, Blagoslovennoe in Amurian oblast' of Priamurian region was one of the model settlements established and designed by the Russian government which would cost 15,271 ruble to immigrate people. The authorities and Russian Orthodox Church were trying to russianize Koreans through Russian schooling and mission work in the long run. For this, the first cathedral was built in memory of Aleksander Nevski in September, 1871 and a school for Koreans was established in Blagoslovennoe, in May 1872. In the 20th century, a boy’s and a girl’s school were newly established and education for Koreans continued to thrive with the effort of the authorities and Russian Orthodox Church. With the authorities and Russian Orthodox Church’s efforts and cooperation of young generation of Korea resulted in such growth. Additionally, establishment of the Vladivostok main parish church in Siberia, 1899 helped the education for Koreans to gain further attention and support. And G.V. Podstavin’s study on the ways to develop the education for Koreans encouraged the Priamurian authorities to continue to support the russianizing education for Koreans. However, although the authorities and Russian Orthodox Church’s policy for mission and russianization for Koreans in Blagoslovennoe produced some visible results, there were still substantial matters and limitations to be solved. One of the problems was in the Korean way of life, which is isolated. Although almost 20 years had passed after Koreans moved into Blagoslovennoe, they still lived in the same way they used to in Korea and the Eastern Orthodox Church, which Koreans believed, made it hard to successfully Christianize Koreans. Also, the state of russianization of Koreans was at a low level and there was no resident priest until early of 1880’s(there were no resident priests not later than 1890’s). Lastly, Korean’s administrative autonomy hindered the russianization and mission for Koreans. The reason that russianization and mission for Koreans could not make success was resulted from the authorities and Russian Orthodox Church’s discontinuous concerns and insufficient efforts. Furthermore, the Anti-Korean policy conducted under the domination of P.F. Unterberger, who was the General-governor of Priamurian, had negative effects on the russianization and mission for Koreans. Considering the backgrounds of movement and settlement of Blagoslovennoe, the Russian government regarded it one of the best regions satisfies the required condition for assimilation and russianization. However, discontinuous concerns and insufficient support brought about unsatisfactory results. In other words, despite all the formative features, the Russian Orthodox Churches’ efforts for Christianize Koreans could not make a great success with the Priamurian authorities’ unsustained attention and considerable limi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