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先生禮說類編』과 성호 이익의 퇴계예학 계승

        이병유 퇴계학연구원 2023 退溪學報 Vol.153 No.-

        본 논문은 星湖 李瀷(1681~1763)이 퇴계예설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편찬한 『李先生禮說類編』을 학계에 처음 소개하는 글로서 『이선생예설유편』의 편찬 목적과 시기ㆍ前史 등을 파악한 후 『이선생예설유편』을 『退溪喪祭禮答問』과 비교 분석하여 이익의 퇴계예학 계승을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소결을 얻었다. 첫째 『이선생예설유편』은 퇴계예학의 완성도를 높이고 한층 더 고도화했다. 이익은 인물별로 묶여 있던 퇴계상제례답문』을 ‘주제별’로 재편했고, 『퇴계상제례답문』에 없는 서문ㆍ범례ㆍ인용서목ㆍ목차를 보충했으며, 부정확하거나 불필요한 정보와 예설을 걸러냄으로써 퇴계예설을 보다 정밀하게 완성했다. 둘째, 성호예학의 기준과 지향에는 『가례』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선생예설유편』은 『퇴계상제례답문』을 『가례』 체재를 기반으로 재편했다. 『퇴계상제례답문』에 ‘혼례ㆍ향례ㆍ방례’를 추가한 것이다. 또한 퇴계예설 취사에 있어서도 미세한 葬地의 결정 문제나 여묘살이, 불교 의례 등 『가례』에 없거나 금했던 예설은 싣지 않았다. 셋째, 성호예학의 퇴계예학 계승이 뚜렷하고 실증적으로 드러난다. 먼저 이익의 퇴계에 대한 존숭과 퇴계예학 계승 의지 및 인식이 매우 강하고 명확하다. 이익은 여러 저술에서 이황에 대한 존숭과 퇴계학 계승을 밝혔다. 또한 실제적인 이익의 家學과 예학의 전승을 거슬러 올라가면 ‘이서ㆍ이잠―이하진―정총산ㆍ허목ㆍ허후―한강―퇴계’의 계통이 객관적으로 인정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익의 퇴계예학 계승은 예학의 저술로 명확히 알 수 있다. 김장생의 疑禮問解 에 대해 이익은 그 의문점을 변석한다는 의미의 「疑禮問解辨疑」를 지었으나, 퇴계예학에 대해서는 그 예설을 분해하여 다시 주제별로 묶고 이를 고례와 가례 는 물론 선유의 예설과 일일이 대조하고 본인의 안설을 붙여 이선생예설유편 을 편찬했다. 즉 이선생예설유편 의 편찬 자체가 이익의 퇴계예학의 계승을 실제적으로 또한 가장 확실하게 증명하는 저작인 것이다.

      • KCI등재

        정약용의 『四禮家式』과 家禮 인식-『朱子家禮』와 비교를 중심으로-

        이병유 조선시대사학회 2017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3

        『사례가식』은 정약용의 유일한 행례서로서 관혼상제 四禮의 절차와 실행방법을 제시했으며, 「관례작의」․「혼례작의」(1810), 『상의절요』(1817), 『제례고정』(1808)으로 구성되었다. 『사례가식』의 편찬목적은 고례의 의식과 절차를 일상생활 속에 되살리는 것이었다. 『사례가식』과 『주자가례』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드러났다. 「관례작의」는 관례 시 宗子의 권한을 우선하지 않고 아버지를 관례의 주인으로 전제함으로써 관례를 家 단위에서 보다 용이하게 교정하고 수행하려 했다. 「혼례작의」는 『주자가례』가 생략했던 問名, 納吉, 請期를 포함해 六禮의 절차를 모두 지켰으며, 合∎∎禮와 共牢禮, 盥饋에 쓰는 음식의 종류와 가짓수, 진설 위치 등을 상세히 소개했다. 『상의절요』는 復, 殯, 明器 및 方相氏에서 비효율과 낭비, 근거 없는 구습 등을 용납하지 않았다. 또한 시신을 임시로 매장하는 成殯 이후에 비로소 神魂에게 祭를 올리는 여러 기구를 설치할 것과 임시 신주의 역할을 하는 銘重과 魂帛을 중복하여 설치하지 말 것 등 魂과 魄, 奠과 祭를 철저히 분리하여 인식하는 논리적 정합성과 일관성을 견지했다. 『제례고정』은 사대부의 봉사대수를 3대로 통일했으며, 강신의 핵심절차인 酹酒와 墓祭 시 后土神에게 올렸던 후토제를 인정하지 않았다. 제후국의 신하인 조선의 사대부가 4대를 봉사하는 것과 천자와 제후의 禮인 후토제를 행하는 것은 僭禮이기 때문이다. 또한 제사 시 신분별로 제찬의 종류는 물론, 그 가짓수와 제기의 크기 등을 고례에 의거해 매우 상세하게 상고하면서 신분에 합당한 禮의 준수를 강력히 주장했다. 『사례가식』에 나타난 정약용의 가례 인식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약용은 신분과 등급을 벗어나는 禮의 참월을 극도로 경계했다. 정약용은 사례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매우 세밀하면서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禮의 참람을 비판했다. 둘째, 정약용은 名을 강조함으로써 禮의 뜻[義]을 세우고, 禮의 文과 質의 부합을 추구했다. 정약용은 名과 文이 먼저 바루어지고 제대로 서야만 그에 따라 참례의 경계와 禮의 엄격한 변등이 구체적인 근거를 마련하게 된다고 보았다. 셋째, 정약용의 行事 위주의 禮 인식과 현실 중심의 禮 인식은 실제적인 행례의 변화로 나타났다. 정약용은 禮를 사람 속에 내재한 性이나 理와 같은 형이상학적 개념이 아니라, 몸소 실천해야 하는 일[事]이자 행위[爲]로 파악했다. 정약용의 유일한 행례서인 『사례가식』은 정약용의 예치 구상과 예치 메커니즘의 제 일선이자 마지막 단계에서 예치의 지향점으로 인도하는 안내자의 역할을 담당했으며, 다산예학의 이상에 실천적 근거와 효용을 제공했다. Sarye gasik (The Family Rules of the Four Rites) is the only book written by Jeong Yak-yong (1762-1836) on the rules to be observed when a family performed one of the four principal rites, coming-of-age ceremony,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memorial service. Consisting of the four parts, Gwallye jagui (Wine Offering at the Capping Ceremony, 1810), Hollye jagui (Wine Offering at the Wedding Ceremony, 1810), Sangui jeoryo (Essentials on the Funeral Ceremony, 1817) and Jerye gojeong (A Study on the Ancestral Memorial Ceremony, 1808), the book was aimed at the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family rites and ceremonies for the daily lives of the author’s contemporaries. A comparison of the book with Zhuzi Jiali (Family Rites of Zhu Xi, ca. 15th c.) in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differences. The first is that in the Gwally jagui, the author regarded that the coming-of-age ceremony for a young person should be hosted by his or her father rather than the male heir of the clan-head family, suggesting that a family ceremony should be treated as a family event rather than that for the entire clan the family belonged to. In the Hollye jagui, the author insisted that the entire process of six stages should be kept, including that of “name enquiry”, “delivery of auspicious date,” and “date enquiry”, which are allowed to be omitted in the Zhuzi’s book, and introduced details of the food, including its arrangement of food on the ceremony table, prepared for the events of “wine sharing” (hapgeun), “food sharing” (gongnoe) and “food offering” (gwangwe). In the Sangui jeoryo, Jeong Yak-yong criticized the inefficient, wasteful use of resources and bad customs related with the funeral ceremony, including the “invocation” (bok), “temporary burial” (yeom) and “burial goods” (myeonggi). He proposed that the facilities used for the funeral ceremony should be implemented only after the temporary burial and that the spirit banners and tablets should not be used redundantly, thus maintaining logical consistency in his perception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the human soul after death and the ceremonies honoring them. In the Jerye gojeong, the author asserted that the annual memorial services held for the ancestors should be limited to the three latest generations and did not allow the ritual of libation to invoke the spirit of the dead and that honoring the god of the earth and soil because he believed that it would be violation of order for the aristocrats of Joseon, subjects of a vassal state, to perform the rituals which had been allowed only to the suzerain and its vassals. He also insisted in the book that the rituals should be held to fit the social standing of the host in the amount of food offerings and the use of sacrificial vessels, providing detailed explanation based on old examples. The Jeong Yak-yong’s view of the family ceremonies contained in the book, Sarye gasik,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 warned his readers strongly against presumptuousness in the family ceremonies, going beyond the social standing and means of the host family, repeatedly and tenaciously stressing the impropriety of the excessive ceremonies by providing detailed examples. Second, Jeong Yak-yong tried to consolidate the “righteousness” (義) of the “rite” (禮) by stressing the importance of “justice” (名) and sought after the unity of “form” (文) and “content” (質) of the rite. He believed that the boundary of the presumptuousness in family rites could be clearly delineated only after the “justice” and “form” restore their order. Third, his conception of the rite based on actual practices and its perception based on reality resulted in the changes in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family ceremonies. Jeong Yak-yong understood the rite not as a certain metaphysical concept inherent in human beings such as “nature” (性) or “reason” (理) but as “occasi...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약용의 『사례가식四禮家式』을 통해 본 시속時俗ㆍ국제國制 인식

        이병유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1 다산학 Vol.- No.38

        This article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ontemporary customs and national systems of the era mentioned in Saryegasik , the only practice of ritual books written by Tasan Jeong Yak-yong, and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ritualistic responses of Jeong Yakyong’s perception of the customs of the era. Saryegasik consists of Gwallyejagui (『冠禮酌儀』), Hollyejagui (『婚 禮酌儀』), Sanguijeoryo (『喪儀節要』), Jeryegojeong (『祭禮考定』). The contemporary customs and national systems mentioned in Saryegasik total 92 times; 6 times(6.5%) in Gwallyejagui (『冠禮酌 儀』), 10 times(10.9%) in Hollyejagui (『婚禮酌儀』), 24 times(26.1%) in Sanguijeoryo(『喪儀節要』), 52 times(56.5%) in Jeryegojeong(『祭禮考定』). The responses of the comtemporary customs and national systems in Saryegasik are divided into 3 parts―explanation, acceptance and criticism[22 times(23.9%), 40 times(43.5%), and 30 times(32.6%) respectively]. For each ritual book, the largest number was 52 times(56.5%) of Jeryegojeong (『祭禮考定』) and for each response, “acceptance”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with 40 times(43.5 percent). The characteristic of Jeong Yak-yong’s perception of Saryegasik is, first, his strong will for the edification of customs and his compliance with the national systems. Jeong Yak-yong intended to analyze and edify the contemporary customs based on ancient practices, and adherence to the national system was considered the most basic measure of edifying customs. Second, he also presented ritualistic alternatives along with criticism of the contemporary customs. Thi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the method of exclusion from the text of courtesy, second, the method of correcting or compromising the contemporary customs, and finally replacing with the new text of courtesy.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dministrating ideal of ritual study of Tasan through Saryegasik is to achieve frugality and to clearly reveal social stratification of rites during the process of edifying customs. In other words, ‘edifying customs’, ‘frugality’, and ‘social stratification’ are the key elements that support Jeong Yak-yong’s ritual study of administration. Jeong Yak-yo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pliance with the national system” through Saryegasik (『四禮家式』) at the level of family rituals, and tried to complete the administration process through the study of rites by correcting and redesigning the national system with Gyeongse yupyo(『經世遺表』)at the level of national rituals. 이 글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유일한 행례서인 『사례가식四禮家式』에 언급된 시속과 국제를 조사ㆍ분석하고, 거기에서 드러난 정약용의 시속 인식의 특징과 예학적 대응을 밝힌 논문이다. 『사례가식』은 「관례작의」ㆍ「혼례작의」ㆍ「상의절요」ㆍ「제례고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례가식』에 언급된 시속과 국제는 총 92회로 「관례작의」 ㆍ「혼례작의」ㆍ「상의절요」ㆍ「제례고정」 각각 6회(6.5%), 10회(10.9%), 24회(26.1%), 52회(56.5%)로 파악된다. 시속과 국제에 대한 『사례가식』의 대응은 크게 ‘설명’ㆍ‘수용’ㆍ‘비판’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22회(23.9%), 40회(43.5%), 30회(32.6%)로 나타났다. 예서별로 보면 「제례고정」이 52회(56.5%)로 가장 많았고, 대응별로 보면 ‘수용’이 40회(43.5%)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표 생략, 논문 참고) 『사례가식』에 나타난 정약용의 시속 인식의 특징은 첫째, ‘교속矯俗에대한 강한 의지와 국제國制 준수’이다. 정약용은 고례를 기준으로 시속을 분석하고 바로잡고자 했다. 그리고 국제를 준수하는 것을 교속의 가장 기본적인 조치로 여겼다. 둘째, 정약용은 시속에 대한 비판과 함께그 예학적 대안도 함께 제시했다. 이는 사치와 과례를 경계하는 ‘절검’ 과 신분의 등급을 분별하는 ‘변등辨等’으로 압축할 수 있다. 시속에 대한 정약용의 예학적 대응은 약 3가지 유형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시속의내용을 ❶ 예문에서 배제하는 방법, ❷ 시속을 교정하거나 절충하여 제시하는 방법, ❸ 새로운 예문으로 대체하는 방법이다. 『사례가식』을 통해 알 수 있는 다산예학의 경세적 지향은 교속을 통하여 절검節儉을 이루고, 예禮의 변등도 분명히 밝히는 것이다. 즉 ‘교속, 절검, 변등’은 정약용의 경세예학을 지탱하는 핵심요소라고 할 수있으며, 정약용은 가례 차원에서 『사례가식』을 통해 ‘국제 준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방례 차원에서 『경세유표』를 통해 국제를 바루고 새롭게 고안함으로써 예학을 통한 경세를 완성하려 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이황과 이익의 상·제례 예설 비교

        이병유 한국사학사학회 2020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41

        This paper compares the theory of rites on funeral rites and ancestral rites of Yi Hwang and Yi Ik, and seeks its meaning in ritual histor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two Confucian scholars' theory of rites on funeral rites and ancestral rites, both Yi Hwang and Yi Ik focused on "the original meaning of penetrating rite" rather than on conventionality or inertia. This can be verified in “the theory of rites on funeral rites and ancestral rites focused on divine spirit[sinhon, 神魂] and ‘emphasizing the principles of the agnatic principle[jongbeop, 宗法].’ On the other hand, Yi Hwang and Yi Ik showed differences in ‘the approaching position and direction of rite.’ This is evident in ‘the ancestral services of four generations’ and ‘the attitude toward edifying customs.’ The theory of rites on funeral rites and ancestral rites of Yi Hwang and Yi Ik reveals a large trend of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id Joseon dynasty’s study of ritual, which features ‘establishment of legitimacy and righteousness,’ into the late Joseon dynasty’s ritual history, which were characterized by ‘multilateral change of rite according to circumstanc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이 논문은 이황과 이익의 상·제례 예설을 廬墓·返魂, 服制·時俗, 神 主·봉사대수, 宗法 인식을 중심으로 비교하고 그 예학사적 의미를 모색한글이다. 이황과 이익의 상·제례 예설의 同異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분 同異 이 황 이 익상례여묘 공통 비판 비판반혼 공통 주장 주장복제 차이 국휼·사상 엄히 구분 국휼·사상 엄히 구분 않음시속차이경향義理 원칙 저촉 : 비판義理 원칙 무관 : 허여時宜에 따라 矯俗 제례신주 공통 절대시 않음 절대시 않음봉사대수차이 4대 봉사 신분에 따른 봉사대수 준수종법인식공통경향원칙 강조(人情에 따른 예외 허여) 양면적(원칙 강조 속 혈연 중시) 두 巨儒의 상·제례 예설을 분석한 결과, 이황과 이익 모두 禮의 인습이나 관성보다 ‘禮를 관통하는 본연의 의미’에 집중했다. 이는 ‘神魂 중심의상·제례 예설’과 ‘종법의 원칙 강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이황과 이익은 ‘禮의 접근 위치와 방향’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4대 봉사’와 ‘矯俗에대한 태도’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 여묘·반혼·신주·종법에 대한 예설을 통해 이황-이익의 예설 계승 양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황과 이익의 정치적·사회경제적 격차와 가문의 위상은 ‘16세기 예교 담지자의 시대적 사명’과 ‘18세기 실세한 사족의 신분적변별’이라는 시대적 차이를 의미한다. 이황과 이익의 상·제례 예설은 장기지속의 예학사적 시각에서 볼 때 ‘정통과 의리의 확립’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중기 예학이 ‘時宜에 따른 다각적인 禮의 변화’를 모색했던 조선 후기 예학으로 轉化해가는 커다란 흐름을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7세기 초반 『경당일기』의 의례 기록과 그 특징

        이병유 한국국학진흥원 2022 국학연구 Vol.- No.47

        Gyeongdang Jang Heung-hyo (1564-1633), “Gyeongdang Diary”, and Andong Jang Clan are very good examples of understanding the ritual life of Yeongnam region including Andong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of Joseon. This paper attempted to more accurately and completely reveal the rituals of Joseon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by closely analyzing the entire ritual records shown in Jangheung Hyo's Gyeongdang Diary and comparing them with the theories on rites of Toegye. The records of the rituals for yeomyo(廬墓), banhon(返魂), gaejang(改葬) in “Gyeongdang Diary” were generally consistent wth the theory on rites of Toegye. However, in the case of the generations performing the ritual, the ritual of the in-laws, and the grave-side ritual, it was not consistent with the theory on rites of Toegye. In other words, the four-generation ancestral rites were kept, but it was not observed that the ritual heir performing the ancestral rite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