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벤처기업의 성장과 정책과제

        이병기(Byoungki Lee) 한국경제연구원 2002 규제연구 Vol.11 No.2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growth of venture businesses and suggest future policy tasks. Based on the theory of firm growth, this research focuses on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thos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growth of venture businesses in order to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geared towards the development of the venture industry. In addition, the Influences and Issues of short-term growth in the venture industry such as venture capital and KOSDAQ are studi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venture businesses, venture capital and KOSDAQ experienced rapid growth. Although venture businesses mushroomed, the Increase of venture businesses through the Venture Designation Policy is inherent with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newness' of venture business and advanced technology. Moreover, with venture capital grown rapidly, sweeping changes from the increased supply of venture capital in the form of loan to investment was observed. Although largely driven by government measures, the KOSDAQ market experienced rapid growth, which resulted m a venture bubble. Many problems have surfaced as well.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determinants of the growth of venture businesses, the education level of the founder and prior experience in setting up businesses do not carry any meaningful implication to the growth of venture business. The growth rate of venture businesses related to individual entrepreneurs, in areas such as national public research centers, private research centers, university professors, etc., appear to record faster growth than those related to companies. The rapid growth of venture businesses related to individual entrepreneurs seems to be achieved through state-of-the-art technology often backed by research and development. In addition, older venture businesses tend to record slower growth. Although having longer . experience may record higher growth rates, younger venture businesses appear to have higher potential for faster growth due to a proactive business management. The technological network activity of venture businesses positively influences growth. This m turn Implies that tapping into external resources through technological networks may be a valuable resource to venture businesses. High growth is recorded for venture business particularly m the field of industries With a high industry growth rate. Venture businesses in high-tech industries such as telecommunications are characterized by rapid growth rates. Finally empirical evidence does no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utilization of the government's venture support policy contributes to company growth.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follow the analyses of this study. First,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venture industry such as the Venture Designation Policy should be reevaluated towards being minimized. In fact, its elimination needs to be considered since the resource allocation function to venture businesses should be performed by venture capital markets, as well as KOSDAQ markets. Public agencies that have assumed the role of venture capital which require high expertise, and has high potential for inefficiencies. Therefore, direct investment by the pubic sector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 or provincial governments should be avoided. Incubation organization and technological networks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 growth of venture businesses. Venture businesses related to individual entrepreneurs exhibit faster growth than companies related venture enterprises. It is Judged that venture businesses related to individual entrepreneurs such as those related to national public research centers or universities are generally equipped with advanced technology. Educational programs providing knowledge on business management need to be strengthened to enable enhanced Convenience m setting up venture businesses related to national public research centers, private research centers, universities

      • 부실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구조조정 시장의 활성화

        이병기(Byoungki Lee) 한국경제연구원 2011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1 No.6

        1. 연구결과의 요약 본 보고서는 Caballero 등(2008)의 추정방법론을 일부 수정한 Fukuda and Nakamura(2010)의 새로운 부실기업 추정방법론을 이용하여 부실규모를 추정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주)의 외감 기업의 기업자료를 선정하여 1998년도 외환위기와 2008년도 금융위기를 포함하는 1995∼2009년(15년간)의 기간을 분석하였다. 또한 부실기업이 고용 및 투자 등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계량경제학적인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고 이것이 기업구조조정에 대해 갖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부실기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업구조조정 시스템과 기업구조조정 시장의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환위기 기간인 1997∼1998년 기간에 가장 많은 부실 기업이 나타나고 있는데, 1997년의 경우 전체 분석대상 기업 중35.2%가 부실기업으로 나타났으며, 금융위기의 시작 연도인 2008년도의 경우에도 부실기업은 23.1%로 높게 나타났다. 부실 기업의 비중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부실기업 중 약 88.6%가 중소기업이었으며, 대기업은 약 11.4%로 나타나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 부실의 정도가 더욱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중소기업 부실의 심화는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임을 보여준다. 둘째, 기업규모별로 나누어 부실기업과 정상기업의 재무상태를 분석하였다. 기업규모별 수익성의 측면에서 보면 대기업의 수익성보다도 중소기업의 수익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부실 중소기업의 수익성은 부실 대기업의 그것보다도 매우 낮은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대기업과 정상 중소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지만, 부실 대기업과 부실 중소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각각 1.2%, -5.1%로 부실 중소기업의 재무상태가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실 중소기업의 부채비율이 부실 대기업의 부채비율보다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95∼2009년 기간 중 부실 대기업의 부채비율은 평균 77.3%였으나 부실 중소기업의 부채비율은 95.9%로 나타났다. 아울러 중소기업의 은행차입금 비율은 대기업의 그것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실기업이 정상기업의 고용이나 투자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전체 기업표본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 부실기업이 투자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부실 중소기업이 정상 중소기업의 고용 및 투자를 억제하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 중소기업의 비중증가로 인해 당해 산업 내에서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정상 중소기업의 투자와 고용의 성장이 억제되고 있는데, 이는 부실 중소기업의 정상 중소기업 ‘발목잡기’ 현상이 사실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증거이다. 산업 내에 많은 부실기업이 다수 존재할 때 창업이 감소하고 정상기업이 하고 있는 사업을 어렵게 하여 고용과 투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자본생산성으로 측정된 생산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은행 차입금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본생산성이 낮은 기업의 경우에 은행차입금이 더 많이 증가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기업에 대한 은행의 대출 관련 정책에 여전히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중소기업에 대한 은행 대출 심사가 느슨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것이 중소기업 부실의 규모와 심도를 높인 원인이라고 판단된다. 결국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시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적 금융지원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기업의 수익성이 낮고 부실 기업의 규모가 큰 것은 중소기업의 수익창출 능력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근본적으로는 중소기업의 생산성향상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소기업부문에 대해서는 단순히 일시적인 금융지원이나 채무재조정 등의 조치보다는 좀 더 적극적인 구조조정 정책이 필요하다. 2. 연구결과의 정책적 함축성 실증분석결과에서 우리나라 기업의 부실규모는 크고 특히 중소기업의 부실 수준과 부실의 정도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윤율, 부채비율 등 중소기업의 재무적인 취약성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더구나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부실은 정상 중소기업의 투자와 고용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발목잡기’ 현상이 여전히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 기업의 부실 수준을 낮추고 부실의 정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기업구조조정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시장기구를 통한 상시적인 구조조정 방안에 대해 몇 가지 정책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In this study, the economic effects of the zombies on non-zombie firms’ behavior are analyzed through econometric methodology along with policy implications for corporate restructuring. The suggestions made here include the corporate restructuring system which facilitates efficient handling of zombie firms and boosting the corporate restructuring market in Korea. The results from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zombie firms was the greatest during the period between 1997-1998 when the Korean economy suffered from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out of the entire sample, 35.2% were zombie firms and year 2008 when another financial crisis began saw a high level of zombie firms accounting for 23.1%. On the whole, the por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in zombie firms was greater than that of large companies. Over the entire period, SMEs represents about 88.5% while the ratio of large companies stands at just around 12%. Second, when it comes to profitability by size of enterprises, SMEs had lower profitability than that of large companies. In particular, small and medium-sized zombie firms were much less profitable compared to their larger counterparts. The former have also remarkably higher debt ratio than the latter. Moreover, the ratio of short-term loan is much higher in SMEs compared to larger ones. Third, the analysis on the entire sample of companies produces little effect of zombie firms on investment and employment of non-zombie firms. However, small and medium-sized zombie firms have a marked effect on restricting employment and invest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non-zombie firm. In other words, when there are more zombies in the industry, a negative shock leads to a larger reduction in employment creation and reduction in investment carried out by the small and medium-sized non-zombies. Fourth, for large companies and SMEs, the effects of more productive ones in terms of capital productivity are negatively related to the loan from banks. This means firms with lower capital productivity a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ir loan from banks, implying the persistence of numerous problems in banks’ loan policy.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some policy measures for corporate restructuring through the market mechanism. To begin with, the Corporate Restructuring Promotion Act which was abolished at the end of 2010 needs to be reinstated. The act enacted in 2001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rporate restructuring in Korea, but was criticized for invasion of private autonomy or excessive limit on property right. Its rebirth as an organization for corporate restructuring is required after correcting and remedying these shortcomings. Second, efficient handling of bad debts of companies calls for formation of a market where trade of non-performing loans is possible, which paves way for competition and active trading of private non-performing loans. The infrastructure for supplying such non-performing loans needs to be reorganized for their trading. Third, Korea currently has a complicated regulatory system of private equity fund (PEF) with higher level of regulations compared to foreign rivals, so relaxing these regulations is necessary. There was an expansion in limit on borrowing the PEF for stabilizing corporate finance currently up to 200%, but this kind of restriction has to be lifted on a wider basis in the future. Fourth, restructuring of SMEs will have difficulty when specific method like debt rescheduling is exclusively adopted in achieving policy goals. Given the small scale of restructuring in case of SMEs, it is desirable to allow creditor to lead the process of corporate restructuring.

      • 우리나라 기업합병의 경제성과 분석

        이병기(Byoungki Lee) 한국경제연구원 2006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6-16 No.-

          This study statisticall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firms" performance after merger using 186 merging firm from 1987 to 2004. In this research, we closely looked at the economic performance changes made to the merging firms before and after the crisis. For the analysis, we observed the companies" profitability, the output growth and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growth. The analysis showed it clear that there has been significant improvement of post-merger performance after the financial crisis.<BR>  After the crisis, a lot of changes have been made in the laws and polices regarding the M&A in positive ways. The number of M&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crisis and the changes made on the policies relating to the M&A boosted the profitability and the TFP growth of merging firms.<BR>  First, we analyzed the profitability, growth rate and the productivity of merging firms during the period after the crisis and the period before the crisis. While the merging firms showed decreased profitability before the crisis, the merging firms after crisis showed increase in profitability. Also, it is clear that the merger made before the crisis did not show productivity improvement. However, after the crisis merging firms clearly showed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This indicates that merger of firms have played roles of primarily raising the efficiency during the post-merger period.<BR>  Secondly, M&A of non-chaebol and chaebol showed low improvement in profitability, output growth and productivity during the period before the crisis. Nevertheless, M&A of non-chaebol and chaebol firms turned out to be dramatically improved performance after the crisis. Especially the merger increased the performance of chaebol firms in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BR>  Thirdly, the merger within the same industry before the economic crisis did not show much of improvement in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but showed higher rates of output growth. Also, the merger between the different industries before the crisis showed reduced output growth rate and profitability. After the crisis, the merger within the same industry demonstrated performance improvement in productivity, output growth and profitability. However, no signs of increase in growth rate were seen. In addition, for the merging firms of between different industries, the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 increased. Based on the entire merger samples including both the pre-and post-crisis, elevated level of economic performance does not stand out. According to these samples, profitability and output growth rate during the post-merger period did no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but showed larger increase in TFP growth.<BR>  This big improvement in productivity is presumed to have been brought about by the Korean government"s flexible labour market management in merger and reductions of machinery and equipments. Considering that most of firms intended to improve the economic performance by eliminating the unwanted capacity and labor, the greatly improved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 after the crisis is not that surprising. Non-chaebol and chaebol firms displayed improved productivity after the merger, which led to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efficiency.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합병 후 경제적 성과변화를 수익성, 성장성, 생산성의 관점에서 통계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 분석결과를 통해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1987~2004년 기간의 186개 기업의 합병자료를 이용하여 합병 후 기업성과의 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업합병의 실질적인 이득은 장기간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단기 이벤트분석방법이 아니라 합병 전후 기간의 기업의 경제적 성과변화를 분석하였다. 우선 기업합병의 성과는 수익성, 성장성, 생산성 지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독립기업과 재벌기업의 합병, 이종합병과 동종합병을 구분하여 통계 검증하였다. 또한 이 같은 분석을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외환위기 이후 합병의 증가가 합병의 경제적인 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분석하였다.<BR>  분석결과 외환위기 이후 합병 후 성과개선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의 인수합병시장은 타율적이고 폐쇄적인 상태가 오랜 기간 지속되었다. 기업의 인수합병거래를 제한하는 여러 가지 법적·제도적인 제약이 오랜 기간 존치되어 왔기 때문이다. 외국기업의 국내기업 지분 장외취득은 불가능했고, 외국인투자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주식시장을 통한 투자만 가능하였다. 근로기준법으로 인해 외환위기 전에는 합병 후 고용조정은 거의 불가능했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기업합병과 관련해 많은 정책이 변경되었다.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인수합병시장은 시장친화적인 방식으로 나아갔고, 기업합병과 관련된 규제들이 대폭 완화되었다. 이에 따라 외환위기 이후에 기업합병이 매우 활발하게 증가하였고, 이러한 기업합병을 용이하게 하는 정책변화들과 그에 따른 기업합병의 증가가 합병의 효율성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BR>  우선 첫째로, 외환위기 이전에 이루어진 합병과 외환위기 이후에 이루어진 기업합병을 구분하여 경제적 성과를 분석한 결과, 외환위기 이전의 합병 후 수익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합병 후 수익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산성 측면에서도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외환위기 이전에는 합병 후 생산성이 증가하였다고 할 수 없으나 외환위기 이후에 이루어진 합병은 합병후 생산성이 뚜렷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나라 기업의 합병이 외환위기 이후 질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BR>  둘째로,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독립기업과 재벌기업의 합병 후 성과를 분석하였다. 외환위기 전에는 독립기업과 재벌기업의 합병 전후 수익성, 성장성, 생산성의 차이가 모두 통계적인 유의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환위기 이전에 발생한 기업합병은 생산성 개선조차 가져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기업과 재벌기업이 외환위기 이전에 행한 기업합병은 합병 후 경제적인 성과를 개선하는 데 실패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기간에 독립기업과 재벌기업의 경제적인 성과는 극적으로 변화되었다. 외환위기 이후 재벌기업의 수익성은 뚜렷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독립기업의 경우는 합병 후 수익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성장성은 독립기업과 재벌기업 모두에서 합병 후 통계적인 유의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독립기업과 재벌기업의 생산성은 모두 뚜렷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이후에 이루어진 재벌기업의 합병은 기업가치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전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BR>  셋째로, 동종합병과 이종합병은 외환위기 이전에도 다소의 성과 차이를 나타냈다. 다시 말해 외환위기 전에는 동종합병은 수익성, 생산성 개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장률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종합병의 경우, 외환위기 전에는 수익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성이 높아지거나 생산성이 개선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몇 가지 변화가 나타났다. 동종합병의 경우 합병 후 수익성과 생산성의 개선이 나타났고, 반면 성장률이 높아진다는 증거는 없었다. 외환위기 이후 이루어진 이종합병의 경우에도 수익성이 증가하고 생산성이 뚜렷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BR>  한편, 외환위기 전후 기간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표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BR>  첫째, 전체 합병기업을 전체기간에 대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합병 후 수익성, 성장성은 뚜렷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합병 후 생산성

      • 정부의 연구개발 보조가 민간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에 미치는 효과분석

        이병기(Byoungki Lee) 한국경제연구원 2004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4 No.-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government R&D investments on private firms' R&D investments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for the period 1995 to 1998. Economists have examined a variety of events for signs as to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R&D investments is on the balance complementary or substitut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R&D subsidies granted by the government have stimulated company-financed R&D expenditures. Second, it is noticeable that the coefficient on above-average government R&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ying that there is more R&D investments for private firms with above-average government R&D subsidy. Third, in high-tech and in rapidly growing industries, the more government R&D, the less productive is private R&D investment, implying that the government should allocate more resources in basic or primary research fields that are bound to result in more social benefit rather than participate in R&D investments in specific private sectors where it is more profitable to stimulate private R&D.

      • KCI등재

        외국인 직접투자의 생산성 파급효과 분석

        이병기(Byoungki Lee) 한국경제연구원 2002 규제연구 Vol.11 No.2

        This study examines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 of foreign-invested firms through empirical analyses using panel data on Korean manufacturing firms. Amid diverse Views concerning the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 of foreign-invested firms, this study reviews not only the spillover effect foreign-invested firms have had on productivity within an industry or region, but also examines the influence of a firm's lead in technological advancement, the country of origin of FDI, and company size has on the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pillover effect m productivity within an industry is found to b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ndustries with a high proportion of foreign investment, a bulk of the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 comes from technology transfers. Second, improvements in productivity is seen to b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irms that have a high foreign equity participation. This suggests that the productivity of foreign-invested firms improves as a result of an increase in foreign equity participation in a company. Third, the coefficient representing the spillover effect within a reg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 depending on the model the coefficient is at times negative, indicating that productivity improvement to the region may be minor. Fourth, productivity Improvement is found to be greater in firms where foreign investors are the majority shareholders. This is because as foreign equity participation in a firm increases, more technology is transferred to the domestic firm, enhancing the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 Fifth, improved productivity arising from direct investment from an investor of U.S. nationality was found to b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at from an investor of Japanese nationality showed negative. This indicates that U.S. investors have a greater influence in improving productivity m Korean industries and regions compared to their Japanese counterparts. Sixth, the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 is greater, the larger the size of the firm. The Korean government enhanced greatly national policy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after the financial crisis. However, for policy Improvement to result in actual growth m foreign direct investment, not only the policy environment, but also other surrounding business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have to become foreign-investor friendly. Moreover, such external conditions should ensure that increased foreign investment leads to effective technology transfers. We also addre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in relation to our empirical analysis, and further seek to identify ways to maximize such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s. Above all, in addition to continuously induc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what is of critical importance is putting m place measures that facilitate technology transfers. Making efforts to understand changes in other countries' foreign investment policies while improving Korea's laws and regulations relating to foreign investment is extremely important in promot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Promotion Act adopted after recent economic crisis, offers various incentives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Such incentives encouraging investors to invest m Korea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bringing more foreign capital into Korea. Nonetheless, to compete with other countries that have recently seen great increases in foreign investment, further measures such as lowering corporate income tax, exempting income tax for expatriates, and making training allowance paid to foreigners non-taxable should be considered. However, widely differing foreign investment incentives by region may actually deteriorate the spillover effect on productivity. For example, provincial governments compete to promote foreign investment by offering exemptions on provincial tax, reducing rent

      • KCI등재

        경제자유, 규제와 경제성장

        이병기(Byoungki Lee) 한국경제연구원 2008 규제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제도의 하나인 기업규제 및 경제자유와 경제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해리티지 경제자유지수와 세계은행의 기업규제지수의 특성을 소득수준별․ 지역별로 나누어 검토하고 기업환경 개선이 경제성장에 어떤 영향을 가져오는가를 실증분석하였다. 기업규제지수를 추가하여 추정한 결과 기업규제지수는 경제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경제자유지수는 경제성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실증분석 결과 나타났다. 이것은 경제성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자유를 증진시키고, 더욱 적극적으로 기업에 가해지는 경제규제를 폐지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을 말해 준다. 정부의 기업규제 개선과 경제자유 확대는 모두 경제성장의 중요한 결정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중요한 정책적인 함축성이 있으며, 경제성장정책을 설계할 때 기업규제의 개혁 내지 경제자유의 확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세계은행의 기업규제 지표나 해리티지의 경제자유지수를 이용하여 높은 경제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특정한 개혁정책 과제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경제성장 문헌에서 사용된 제도의 측정치는 문제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어떻게 교정할 것인가를 제도개혁의 방향을 알려주는 좋은 지표이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분석결과는 경제성장을 위해서 우리 정부가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기업규제를 기업친화적인 방식으로 개혁하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studies questions regarding the effect of economic freedom and business regulation on economic growth. A model is constructed with business regulations or economic freedom as a critical factor for economic growth, to estimate their effect on economic growth. The results indicate that economic freedom and government regulation of business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economic growth. Estimated coefficients of business regulation are negative with the growth rate of per capita GDP,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5% significance level. Greater economic freedom means higher growth rate of the economy measured by per capita GDP. The results are obtained by controlling initial per capita GDP, enrollment rate of secondary and primary schools, investment ratio, governmental consumption rate, law & order index, dummy variables across regions of the world. Tightened business regulations constrain economic growth while economic freedom contributes to economic growth,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is. This implies that increasing economic freedom or more active measure of eliminating economic regulations affecting companies makes it possible to promote economic growth. In terms of business regulations, the World Bank reports indicate that Korea should place emphasis on starting a business, labor regulations and administrative regulations in tax payments. By improving these conditions for doing business, economic growth is expected to accelerate.

      • 액티브 네트워크를 위한 액티브 노드 구조 설계

        이병기(Byoungki Lee),조국현(Kukhyun Cho)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Ⅲ

        액티브 네트워크는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즈된 응용이나 프로토콜을 망 내의 노드들에 동적으로 삽입하여 망 노드들이 새로운 사용자 요구나 서비스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액티브 네트워크는 패킷내에 새로운 응용이나 프로토콜에 대한 코드와 데이터를 캡슐화시켜 전송하는 액티브 패킷과 이러한 액티브패킷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액티브 노드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액티브 네트워크 구조와 구성 요소들에 대해 기술하고, 이를 통해 액티브 패킷의 구조와 수신된 액티브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액티브 노드의 구조를 제안한다.

      • 외국인투자자가 배당 및 R&D투자에 미치는 영향

        이병기(Byoungki Lee) 한국경제연구원 2006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6-12 No.-

          이 연구에서는 1990~2005년간의 390개 기업, 5,129개 관찰치를 가지고 배당의 결정요인뿐만 아니라 R&D투자의 변동요인을 함께 분석했다. 외환위기 이후 외국인투자자의 지분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일각에서는 외국인투자자가 높은 배당을 요구하고 이 같은 높은 배당요구가 실물투자뿐만 아니라 R&D투자까지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냐 하는 우려가 있었다. 만약 외국인투자자가 높은 배당을 요구하고 또 그것이 R&D투자를 위축시킨다면 외국인투자자의 증가는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BR>  이 연구는 기업의 R&D투자에 있어서 외국인투자자가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실증분석한 것이다. 우선 외국인지분율의 변화가 배당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외국인지분율의 변화가 R&D투자에는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주제에 대한 실증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연구결과를 얻고 있다.<BR>  첫째로, 외국인지분의 증가는 배당의 증가를 가져오는 역할을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R&D투자의 감소를 가져오지는 않는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배당함수를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외국인지분의 증가는 자본단위당 배당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이후 외국인투자자들에 의한 지분획득이 실제 기업의 배당증가 요구로 현실화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당의 증가는 한계적이라는 사실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외국인지분율의 추정계수는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나서 배당이 증가하기는 하지만 배당증가는 매우 적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은 R&D투자함수에 반영되고 있다. 전체표본을 가지고 R&D투자함수를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외국인지분율의 증가가 R&D투자의 위축을 초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부문별로 추정해 보아도 외국인지분율 증가가 R&D투자의 위축을 가져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BR>  둘째로, 대주주지분율 증가는 기업의 배당에 영향을 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배당모형에서 대주주지분율은 양의 계수를 나타내고 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거의 없다. 마찬가지로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R&D투자의 변동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보아도 R&D투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 부분적으로 대주주의 지분증가가 R&D투자지출의 감소를 가져온다는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대주주지분의 증가가 배당의 증감을 초래하는 것도 아니고 대주주지분의 증가로 R&D투자가 감소하는 것도 아님을 보여 주는 것이다.<BR>  셋째로, 재벌기업은 R&D투자자금상 제약을 받지 않고 있으나, 비재벌기업은 R&D투자자금의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대기업들은 현금흐름은 많지만 마땅한 투자대상을 찾지못해 내부유보되는 자금이 많다는 연구가 많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R&D투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내부유보된 자금을 성장동력을 찾는 데 과감히 투자할 수 있도록 투자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반면 비재벌기업은 자금제약을 받고 있는 상태로 이들에 대해서는 기술금융의 활성화 등 기술개발에 필요한 자금조달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BR>  넷째로, 비재벌 첨단산업의 경우 R&D투자에 있어 자금제약 상태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나라 첨단산업은 성장산업으로서 타 산업의 성장률보다 빠르고 R&D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부문이다. 이 같이 빠른 성장률 및 R&D투자 성장과 함께 이 산업의 특징상 높은 불확실성이 첨단산업 부문의 R&D투자자금에 제약을 가져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불확실성과 위험성이 높은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R&D투자의 자금제약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인 개선이 필요한 이유이다. 비재벌 첨단산업의 경우에 자금제약 해소를 위한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첨단산업은 전기 매출증가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긍정적인 장래 전망을 가능케 함으로써 기업의 R&D투자를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paper tries to analyse the model of R&D investment and dividends the variable of foreign ownership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ownership, dividend and investment in Korean firms during the period of 1990 to 2005. In this paper we estimate the empirical relation between foreign ownership, dividends, and R&D investment in Korean firms by applying th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 The basic framework we use is an Error Correction Model (ECM), which specifies a long-run or target level of the stock accumulated R&D, but which allows a flexible specification of the adjustment dynamics.<BR>  A summary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show that foreign owner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dividend. The higher foreign ownership is associatedwith a greater dividend payout. Second, firms face the financial constraints in their investment behavior. The sensitivity of cash flow on R&D investment is larger for non-chaebol and high technology firms than chaebol and low-technology firms. Third, the findings show that foreign ownership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R&D investment.

      • 한국 기업집단의 채무보증 : 현황과 개선방향

        이병기(Lee Byoungki) 한국경제연구원 1998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199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oss loan guarantee of Korean big business groups. The cross loan gnarantee is the practice that large firms under the same business group guarantee the debt of affiliated firm when the affiliated firms borrow from the bank. The present Fair Trade Act does not allow the cross loan guarantee ratio to be over 100 percent. The average cross loan guarantee ratio of the 30 big business groups was 342.4% in 1993, and 47.0% in 1997. The average cross loan guarantee ratio of 5 big business groups is lower than that of 6-30 big business groups. The regulation of the interest rate and the expansion of government policy loans were proved to be the important in spreading the cross loan guarantee. And this paper analyses the determinants of capital structure of the largest 30 big business groups. The cross loan guarantee and the corporate tax burde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capital structure of the 30 big business groups. The cross loan guarantee practices should be regulated through making the financial market functon well: Banks should increase loans on credit and improve their capacity of credit rating. Secondly, M&A market should be activated to decrease the cross loan guarant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