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신체활동 가치와 애로사항 설문지의 심리측정학적 특성

        이범진 ( Bom Jin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3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 가치와 애로사항 설문지(Physical Activity Values and Concerns Survey: PAVCS)의 심리측정학적 특성, 즉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재평가하는데 있다. 총 256명의 장애 자녀를 둔 미국 부모들이 설문조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이 중 176명의 데이터는 타당도 분석에 그리고 80명의 데이터는 신뢰도 분석에 각각 사용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Lee(2004)가 지적장애 자녀의 신체활동 가치와 애로사항에 대한 부모의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한 설문지의 영어 원본을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신체활동 가치 영역은 총 21개 문항으로 4점 중요도 척도에 의해 평가된 반면, 애로사항은 총 17개 문항으로 3점 심각성 척도에 의해 평가되었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등)를 SPSS 20.0과 AMOS 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뢰도는 재검사 신뢰도와 내적 일치도를 통해 평가되었다. 연구결과, PAVCS의 내용타당도는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해 신체활동 가치 5요인 20문항 그리고 애로사항 4요인 17문항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통해 신체활동 가치 5요인 18문항과 애로사항 4요인 15문항으로 구성된 최종 모형이 완성되었다. 부가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신체활동 가치와 애로사항의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모두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재검사 신뢰도 분석 결과에서도 모든 잠재변인의 1-2차 평균들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각 잠재변인 내 문항들의 Cronbach``s ?값 역시 적정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근거로, PAVCS는 장애인 신체활동가치와 애로사항에 대한 심리적 변인을 측정하는 데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유효한 조사도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ter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Physical Activity Values Concerns Survey (PAVCS). More specifically, the investigator attempted to re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256 total of American parents of childrent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m, the data by 176 parents categorized into the validity sample; whereas, 80 parents were included in the reliability sample. The original survey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physical activity values (21 items), concerns (17 items), and personal information. A series of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conducted using SPSS 15.0 and Amos 7.0.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urvey was approved based on the expert`s ratings on the importance for each item. Also, five factors and 20 items were extracted from physical activity values; whereas, four factors and 17 items were extracted from the concern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revealed that both physical activity values and concerns had the appropriate levels of convergent validity, as well as discriminant validity. In addition, the results of reliability showed that both physical activity values and concerns had relatively high degree of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These results imply that PAVCS can be a valid and reliable survey instrument to evaluate the physical activity values and concer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방과 후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가 지적장애 학생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이범진 ( Bom Jin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 후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가 지적장애 학생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인들 중 대학교와 연계한 방과 후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지적장애인 21명으로 하였다. 선별된 연구 참여자들은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연구설계에 의해 무작위로 실험(n=10) 혹은 통제집단(n=11)으로 나누어졌다.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특수학교와 대학교간의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지적장애인의 체력 향상과 운동기능향상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주 4회(매 60분)씩 16주간 지속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려된 변인들은 지적장애인의 지방관련 신체조성 구성요소, 즉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비만율, 내장지방량, 그리고 피하지방량이였으며, 다주파수 부위별 임피던스 측정도구인 X-Scan Plus II Body Composition Analysis (Jawon Medical Co. Ltd., 2006)에 의해 측정 및 평가되었다. 실험처치의 효과는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에 의해 분석되었다. 기술통계 분석결과, 실험처치 후, 실험집단 연구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값 모두 감소하였다. 대응표본 t 검정결과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에서는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그리고 내장지방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5), 체지방률, 복부비만율, 그리고 피하지방량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통제집단에서는 복부비만율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p>.05).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16주간의 방과 후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신체조성 특히 지방관련 구성요소들에 긍정적인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체육 및 특수체육 연구자, 교육정책 담당자, 학교 교직원 등은 방과 후 신체활동 프로그램, 특히 대학교와 연계한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효율성을 인식하여 지적장애 학생들의 신체활동참여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 및 지원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a 16 week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ID). Participants included 21 students with ID who had volunteerly registered for an after-school program. The selected participants were then divided into one of two groups (experimental vs. control). The age range of all participants was 12-32 years with the mean height of 160.700cm (SD=9.270).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16-week physical activity program (one hour lesson and 4 times a week for 16 weeks); whereas, the control group was received other extra curricular programs (music, arts, etc.). The variables considered in this study were weight, the amount of body fat, percent body fat, body mass index (BMI), waist-hip ratio(WHR), visceral fat, and subcutaneous fat and measured by the 2006 X-Scan Plus II Body Composition Analysis (Jawon Medical Co. Lt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 Results rel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that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ere found in weight (t=3.640, p=.005), the amount of body fat (t=2.311, p=.046), BMI (t=3.006, p=.015), and visceral fat (t=2.601, p=.029). 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ercent body fat (t=1.795, p=.106), WHR(t=2.196, p=.056), and subcutaneous fat (t=2.220, p=.054). For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all dependent variables (t=.626-2.074, p>.05). These results clearly showed the positive impact of the treatment on the body composition of participants, especially the fat-related components. It can be concluded that students with ID can benefit from participation in an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terms of body composition.

      • KCI등재

        장애 학생을 위한 건강관련 체력 검사도구의 동시타당도

        이범진 ( Bom Jin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Brockport Physical Fitness Test(BPFT)의 동시타당도를 평가하여 장애유형에 따른 적합한 현장검사 항목들을 선별하고자 하였다. 다단계집락표집 방법에 의해 지역 내 5개 특수학교로부터 선정된 지적장애(n=70), 시각장애(n=41), 그리고 청각장애(n=40) 학생들(평균 연령: 15.55-15.85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BPFT의 유산소 능력, 신체조성, 그리고 상체 근력 및 근지구력 검사 항목들의 동시타당도는 실험실 측정 기준치인 VO(2max), 체지방률, 그리고 1-RM 검사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평가된 반면, 기준치가 없는 몸통 및 복부 기능과 유연성 및 관절 가동범위는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평가되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장애유형과 상관없이 유산소 능력 항목들(1-mile 달리기/걷기, 20-m PACER)과 VO(2max), 그리고 신체조성 항목들(BMI, 피하지방 측정)과 체지방률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상체 근력 및 근지구력 항목들과 1-RM 검사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장애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지적장애 집단의 경우, 턱걸이, 벤치프레스, 팔펴고매달리기, 등척성팔굽혀펴기, 팔굽혀펴기, 그리고 악력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된 반면, 시각장애 집단에서는 벤치프레스, 팔굽혀펴기, 악력, 그리고 턱걸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한편, 청각장애 집단에서는 등척성팔굽혀펴기, 악력, 그리고 벤치프레스에서만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반면, 유연성에서는 모든 장애집단에서 실험실 측정치와 현장검사 항목들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윗몸앞으로굽히기와 back-saver sit & reach 검사 간의 높은 상관관계 계수 값은 두 항목들의 동시타당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BPFT는 우리나라 장애 학생들의 건강관련 체력 평가를 위한 현장검사 도구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결측값, 검사의 이해도 등으로 인해 예측치 못한 결과가 나타난 상체 근력 및 근지구력 그리고 유연성관련 현장검사 항목들의 동사타당도에 대해서는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current validity of Brockport Physical Fitness Test(BPFT) in Korean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tal of 151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intellectual disabilities(ID), visual impairment(VI), and hearing impairment(HI),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five local special schools, and the range of group mean age was 15.55-15.85 years. Twenty-one test items from the BPFT were selected and administered for 3-4 days in each school. For assessing the concurrent validity of aerobic capacity, body composition, upper-body strength and endurance items, and flexibility, standardized measures including VO(2max), % body fat, 1-RM test, and range of motion were also conducted. Results indicated that regardless of disability type, all aerobic capacity items(1-mile run/walk and 20-m PACER), as well as body composition items(BMI, skinfold measures)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VO(2max) and % body fat, respectively. In upper-body strength and endurance, results were somewhat different based upon disability type. The test items of ID found in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RM included pull-up, bench press, flexed arm hang, isometric push-up, push-up, and grip strength; whereas, the items of VI included bench press, push-up, grip strength, and pull-up. Meanwhile, in VI group, only isometric push-up, grip strength, and bench pres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Results also showed that in flexibility, no significant correlation existed between the standardized measure and field tests, but between sit & reach and back-saver sit & reach in all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the BPFT may be a valid field test instrument for Korean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심폐체력 분석: 장애유형별 다중비교

        이범진 ( Bom Jin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점증적 최대하 부하 검사(GXT)를 통해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심폐체력 수준을 장애유형별로 비교·분석하였다. B광역시의 5개 특수학교로부터 선정된 지적장애(n=58), 시각장애(n=28), 그리고 청각장애(n=31) 아동 및 청소년을 연령과 성별(13∼16세 남·여 vs. 17∼19세 남·여)로 구분하여 집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심폐체력 변인은 VO2max, RER, 그리고 VO2였으며, 모두 GXT를 적용한 가스호흡분석을 통해 각각 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운동부하 방식은 비활동적인 사람의 VO2max 측정에 용이한 Bruce 트레드밀 프로토콜을 적용하였으며, GXT 실행절차는 ACSM(2000)의 지침에 따라 실시하였다. 집단 간 평균 차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MANOVA 및 Univariate ANOVA에 의해 검증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는 Tukey`s HSD가 실시되었다. 13-16세 남자 집단의 MANOVA 결과에서는 장애유형별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Univariate ANOVA 및 사후검증 결과, VO2max와 RER에서는 지적장애 집단만이 시각 및 청각장애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VO2에서는 지적장애와 시각장애 모두 청각장애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동일 연령대 여자 집단의 MANOVA 결과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났지만 Univariate ANOVA와 사후검증 결과, 모든 변인들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난 것은 지적장애와 청각장애 집단뿐이었다. 한편, 17∼19세 집단에서는 예측치 못한 결과가 나타났다. 먼저 남자 집단의 MANOVA 결과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여자 집단 역시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났지만, Univariate ANOVA 및 사후검증에서의 다중비교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관련된 몇 가지 가능성 있는 원인들은 논의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13∼16세의 지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심폐체력은 시각 및 청각장애 또래보다 낮다. 그러나 17∼19세의 상대적으로 연령이 높은 청소년의 장애유형별 심폐체력 비교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ardiorespiratory fitness levels of youth with disabilities across three different types of disability. One-hundred seventeen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y(ID, n=58), visual impairment(VI, n=28), and hearing impairment(HI, n=31) were recruited from five local special schools for this study. The selected participants were first grouped into one of four groups based on age and gender(13-16 male & female vs. 17-19 male & female), and then each group was again divided into one of three sub-groups(ID vs. VI vs. HI).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e values of VO2max, RER, and VO2, and all of them were obtained by a treadmill GXT. A series of MANOVAs including Univariate ANOVA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ukey`s HSDs were used as a post-hoc analysis. Results on the male younger group(13-16 years) show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among the disability groups(ID, VI, & HI), and the means of the ID group were the lowest on all dependent variables. However, the results on the multiple comparisons of the disability groups were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pendent variables. Also, the female group at the same age range had similar results. Meanwhile, the MANOVA results related to the male older group(17-19 years) indicat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disability groups; whereas, significant differences did exist in the female group but no successful multiple comparison. In conclusion, youth with ID at the age of 13-16 years tend to have relatively lower levels of cardiorespiratory fitness than the peers with VI and HI. Limitations related to the sample size and measurement a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체간 안정화 운동과 여성노인의 기능체력 및 평형성

        신진형 ( Jin Hyung Shin ),이범진 ( Bom Jin Lee ),양정옥 ( Jeong Ok Yeng ),이중숙 ( Joong Sook Lee ),한동욱 ( Dong Wook Han ),오태영 ( Tae Young Oh ),배강호 ( Kang Ho Ba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6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기능체력과 평형성에 대하여 실내에서 편리하고 용이하게 참여할 수 있는 체간 안정화 운동이 복합운동만큼의 운동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여 체간 안정화 운동의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65세 이상 여성노인 20명을 대상으로 무선할당을 통해 A그룹 (n=10)과 B그룹(n=10)으로 나누어 체간 안정화 운동과 복합운동에 교차로 각각 6주간 12주 동안 참여하여 기능체력(Senior Fitness Test; SFT)와 평형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기능체력은 운동시기에 따른 효과가 하지근력, 상지근력, 하지유연성, 민첩성 및 동적평형성,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그룹의 운동효과와 운동시기에 따른 상호작용의 효과는 각각 심폐지구력과 민첩성 및 동적평형성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개안 시 평형성은 운동시기에 따른 효과가 ENV, REC, TLC, Total Length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폐안 시 평형성은 ENV, RMS, TLC, Total Length, Length/ENV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체간 안정화 운동과 복합운동에 참여하였을 때, 복합운동에 참여하였을 때에 운동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체간 안정화 운동 역시 복합운동만큼의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체간 안정화 운동의 장점은 시간, 장소, 비용적 제약이 없기 때문에, 체간 안정화 운동의 가치를 판단하여 향후 노인 운동프로그램의 권장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changes of the senior fitness test (SFT) and balance as participating in two types of exercise. Twenty elderly women over 65 years of age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either a core exercise or complex exercise group randomly. For the first 6 weeks, the participants in the core exercise group performed trunk stabilization; whereas, the other group performed traditional complex exercise. For the remaining 6 weeks, the intervention for two groups was reversed. Results of the SFT revealed that all variables, without hands behind the back,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groups. Also, the results related to balance showed that envelope area, total length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group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was found in the other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a core exercise focusing on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may be as much effective as a traditional complex exercise in terms of functional fitness and balance. Furthermore, given the fact that core exercise is easy and costless, it can be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for the elderly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