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자율주행시대 도로첨단화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연구

        이백진,남궁문,김도현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지 Vol.40 No.4

        Autonomous vehicles (AVs) are believed to bring many positive changes to the transportation field. Various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 effect of introducing AVs, but a few are on smart road infrastructure which is a key factor to improve road safety and road network performance in response to AVs. Accordingly, the paper aims to measure customers’ willingness-to-pay (WTP) to develop smart road infrastructure. In the paper, an internet-based surve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spondents’ WTP, perceptions for AV and others. Survival models with latent variables were developed to estimate WTP. Latent variables were adopted to reflect individuals’ perceptions, that are perceived concerns and benefits about AV. Som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bout 44.8 percent of the respondents have a positive intention to pay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road infrastructure in response to AVs. Among the types of roads, the need of expressway was the highest. Secondly, the frequency of using expressway, annual driving distance, household income, and location of residence area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r individual’s WTP. In addition, latent variables of individuals’ concerns and convenience about AVs were significant. Lastly, the average WTP was estimated at about 80.38 (thousand won/year). The average WTP was different about 10 (thousand won/year) b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자발적 자가용 이용 저감의 의사결정과정 분석 연구

        이백진,김준기,이춘용,Lee, Backjin,Kim, Joon-Ki,Yi, Choonyong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2

        최근 지구환경 보호를 위한 도시지역의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은 중요한 이슈이며, 특히 도시교통에 있어 자가용 이용 저감을 통한 배출량 감소를 위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교통정책 중 대표적인 것이 교통수요관리(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TDM)기법이며 혼잡통행료 부과, 유류세 등 규제를 통해 자가용 이용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반면 사회심리학이론에 바탕한 모빌리티 매니지먼트(Mobility Management; MM)기법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자발적 자가용 이용저감을 유도하며, 의사결정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심리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다. TDM기법이 자가용 이용저감에 일정부분 기여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자가용 이용의 최종 판단주체인 개인의 의식전환을 통한 자발적 교통행동변화를 유도하는 노력은 미흡하였다. MM기법의 유효성에 대해서는 기존 해외 연구에서 논의된 바가 있으나 아직까지 자발적 행동변화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명시적 분석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심리학이론에 바탕을 둔 MM기법의 중요성과 국내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자발적인 자가용 이용저감 행동변화에 대한 의사결정과정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사회심리학적 접근방법론의 하나인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을 통해 개인의 의사결정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심리적 요인(예, 환경의식, 개인규범 등) 등이 개인들의 자가용 이용 저감에 유효한 영향이 있으며, 규제 중심의 자가용 이용저감 기법뿐만 아니라 MM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논증하였다. To relieve Green-house Gas Emission is the key issue in urban area. Urban transport policies have focused on the reduction of private car use. The most common of these is Travel Demand Management(e.g., congestion charge, environmental tax, etc.) that forces individuals to reduce their private car use. An alternative way is Mobility Management(MM) that induces individuals to voluntarily change their car use through communications. MM is founded on social psychology theory and focuses on individuals' decision making processes to change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on private car use. Although some researchers have reported the relevance of MM approach, still few researches have explicitly studied on individuals' decision making processes. Therefore, the aims of the paper are to analyz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individuals and to provide the basis of introducing MM approach in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is applied for the analysis of individuals' decision making process. A empirical study shows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erception/attitude on global environment or individual norms impact significantly to reduce private car use and accordingly the relevance of introducing MM approach instead of imposing regulations or expanding transport facilities.

      • KCI등재

        아시안하이웨이 6번 노선의 국제여객 교통수단선택에 관한 연구

        이백진,이세홍,이윤석,이덕환,Lee, Back Jin,Lee, Se Hong,Lee, Yun Seok,Lee, Deok Hwan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4

        본 연구는 남북한간 교류협력 증진과 국제협력사업 활성화에 따라 향후 동북아 차원에서 연계가 예상되는 아시안하이웨이 6번노선(간성-선봉)의 이용을 가정하고, 현존하지 않는 북한 육로망 연계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국제여객수송 행태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SP(Stated Preference), RP(Revealed Preference) 자료를 기반으로 다항로짓(ML)과 네스티드로짓(NL) 모형을 구축하였다. NL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현재 한중(동북부), 한러(극동러시아)간 국제여객수송 대부분이 육상로 단절로 인해 항공을 통해 이루어지나, AH6노선이 구축될 경우에는 약 90%이상이 육상운송으로 전환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여객수송거리가 길어질수록(903~1,631km) 국제철도의 수단분담률은 62.8%에서 66.1%로 증가하고, 이 때 도로수송은 29.6%에서 21.9%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항공수송은 육상수송과는 달리 수송 거리대별 증감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약 10% 수준의 수단분담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By promoting the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and the improvement of advanced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Asian Highway plan was expected to make considerable economical effect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This study focuses on a part of AH6 route (i.e., South Korea-North Korea-China-Far East Russia) and aims to analyze the behavioral change of international passenger transpor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y assuming the non-existent North Korea land transport network connectivity. The study was performed using two main methods. First, a stated preference survey was performed to derive the actual modal share of each travel mode. Second, a disaggregate analysis was performed to develop possible mode-choice models for international passenger travel and find out the suitable cho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odel estimation, it is found that over 90% of the international passenger transport would be converted to land transport (rail+highway). In addition, international railroad modal share rate would be increased from 62.8% to 66.1% and international bus would be decreased from 29.6% to 21.9% as the distance lengthened (903km~1,631km).

      • KCI등재

        주거입지 선호의식 분석: 주거입지 요소별 한계수준과 가구특성별 격차를 중심으로

        이백진,서민호,김혜란,정일호 국토연구원 2012 국토연구 Vol.74 No.-

        Enhancing the linkage between housing and transportation policies is necessary to put a premium on the quality and the consumer’s preference rather than the quantitative expansion in providing housing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An important issue in here is to investigate consumer’s preference more explicitly and in deeper detail. The paper aims to explicit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ansportation related factors on residential location choice and to analyze the heterogeneity of consumer’s preference. The paper newly introduces the concept of critical levels of housing price and commuter time, representing the maximum value that consumer can take underlying residential location into consideration. Stated preference(SP) survey was performed to collect respondents’ preferences on residential locations. Som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A result of developing survival models showed that critical levels of housing price and commute tim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The explanatory power of residential location choice models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incorporating critical levels of commuter time and household heterogeneity. 주택정책과 교통정책의 연계성 강화는 기존 시설물 공급의 양적 확대에서 질적 개선과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중요한 과제는 주택소비자의 주거입지 선호와 교통요소들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주거입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입지 요소들의 한계수준(critical level) 개념을 새롭게 제시하고, 이를 고려한 주거입지 선택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가구특성에 따른 한계수준과 주거입지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한계수준은 주거입지 요소(예: 주택가격과 통근시간)들에 따라 주택소비자가 해당 주거입지를 구입을 고려할 수 있는 최대값을 의미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주거입지에 대한 선호의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존모형을 통해 한계수준을 분석한 결과 가구특성(소득계층, 주택소유유형, 생애주기)에 따라 주택가격과 통근시간에 대한 한계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거입지 선호모형 구축결과 한계 통근시간을 고려함으로써 기존 모형의 설명력을 유의하게 개선함을 알 수 있었고, 가구특성별 주거입지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골고루 잘사는 균형발전

        이백진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7 No.-

        지방도시들은 대도시에 비해 인구감소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데, 2013년 대비 2040년 인구감소지역은 52.9%로 대부분 지방도시에 집중되고 있다(차미숙 등, 2015). 지방도시들의 인구감소는 사회기반시설 수요 감소, 신규 시설의 공급 문제가 발생하고, 이는 다시 지방경제의 축소로 이어지는 악순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65세 이상 고령화 비율 증가, 근로 취업인구 감소, 이에 따른 지방산업 악화 등으로 세수감소와 재정자립도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이다. 본 주제발표에서는 이러한 지방도시들의 지역활성화를 위한 교통의 역할과 과제에 대해서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