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상담이 문제음주자 가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미형 ( Mi Hyoung Lee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00 정신간호학회지 Vol.9 No.3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음주문제 인식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가족 중 모두 남편의 술 문제로 집단모임에 참여한 부인이 7명, 여동생의 문제로 참석한 대상자가 1명이었다. 대상자들이 본 연구자가 운영하는 알코올상담센터에서 면담 후 자의로 참여한 대상자였다. 그리고 문제음주자가 정신병원 외래나 정신병원에 입원하기 전에 집단상담에 참석한 경우이다. 또한 나이는 평균 38.6세로 본 연구자가 94년 정신병원에 가족 상담을 실시할 때의 문제음주자 가족 집단상담에 참여한 가족의 대부분이 40-50대인 경험을 한바, 정신병원에서 집단상담에 참여한 가족의 연령보다는 낮은 경향이 있고 이는 지역사회에서 가족 집단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정신 병원을 방문하는 부담을 덜 가질 수 있고, 보다 덜 심각할 때 집단상담에 참여하는 것이 음주문제로 더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가족문제를 예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음주 후의 문제를 보면 이미 가정의 갈등, 경제적인 문제, 직장 문제를 동반할 수 있는 문제를 일으키는 것에 대해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직장인 대상으로 문제음주 행위를 조사한 이미형 등 연구(2000) 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는 문제음주자가 음주문제로 직장을 잃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는 직장인 지원프로그램(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 보급이 필요하다. 2. 집단상담 참석과정 중의 가족내의 변화 대상자들은 집단상담에 참여하면서 자신이 변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이 개인마다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상자의 기본 욕구에 초점을 맞추어 실천할 수 있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김인자 연구(1994)의 현실요법의 접근법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집단상담에 참여한 가족의 변화된 행동에 의해 가족의 변화가 있음은 체계이론의 치료적 효과라 볼 수 있으며 이는 양정남(1992) 연구에서의 주장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들의 변화가 공동의존의 치료적 변화 과정에서 문제음주자의 행동을 탓하기보다 가족인 자신들의 문제도 있었음을 받아들이고 수용하고 자신들의 행동 중 잘못된 행동을 중지하고 변화함으로써 문제 음주자를 포함한 가족의 변화를 볼 수 있는 것은 Dulfano(1982), 양정남(1992)연구 및 인하대독성연구소(1997)에서 언급하고 있는 공동의존의 치료적 과정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경우, 가족의 응집력이 높고 가족을 중시하는 문화이므로, 문제음주로 인해 가족해체가 일어나기 전에 가족상담을 받게 하는 것이 가족 전체의 회복을 돕는데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자의 경험으로 실제 가족이 지역사회에서 집단상담에 참여하면서 동료들의 지지와 격려를 통하여 가족내의 문제음주자 치료과정에는 더 많은 협심자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고, 알코올 중독이 비난의 대상이 아니라 병이라는 인식이 이들의 적개심을 많이 줄일 수 있음을 느꼈다. 이미 자녀가 청소년기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정신증상이 나타나는 사례 7)의 경우 문제음주 문제가 해결되어도 또 다른 자녀 문제를 접근해야 함을 느낄 때 문제음주 가족이 자녀가 어렸을 때 접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음주 가족이 도움을 청할 수 있는 곳이 아직 정신병원 수준이어서, 이미 정신병원에 알코올 문제로 찾아갈 경우자녀 문제, 가정의 위기, 경제적 손실 등이 심각한 수준의 경우가 많아 문제음주 가족이 지역사회에서 꾸준히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3. 정신건강의 변화 대상자에게서 나타난 정신건강을 알 수 있는 정신 증상 점수를 보면 신체화의 점수는57.00, 강박증은 54.13, 대인 예민성 48.25, 우울은 58.5, 불안 점수는 57.12, 적대감 점수는 56.50, 공포불안 점수는 56.62, 편집증 점수는 50.87, 정신증의 점수는 52.62로 높은 정신증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입원한 알코올중독자 대상 연구(이미형, 1993)의 신체화 47.0, 강박증 48.3, 대인 예민성 45.5, 우울 45.9, 불안 47.2, 적대감 46.7, 공포불안 48.6, 편집증 45.4, 정신증 48.4 및 음주운전자 대상 연구(이미형, 1998)의 신체화 47.7, 강박증 45.6, 우울 45.1, 불안 47.1, 적대감 48, 공포불안 48.8, 편집증 47.3, 정신증 49.04보다 높게 나타났고, 직장인 문제음주자 대상 연구(이미형 등, 2000)에서 나타난 신체화 47.28, 강박성 46.85, 대인예민성 48.14, 우울 45.42, 불안 48.85, 적대감 45.00, 공포불안 46.29, 편집증 44.85, 정신증 46.86의 점수와 비교해볼 때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Jacob 등(1981), 정기일과 연병길(1982) 및 노인숙(1998) 연구에서 문제음주자 가족의 정신증상을 나타내는 보고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연구자가 집단상담을 시작할 때 대상자들은 문제음주자에게 심한 배반감 등으로 적개심과 불안, 우울감을 쉽게 표현하고 신체적인 증상 표현을 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는데, 이는 Jacob 등(1981)에서 알코올중독자와 배우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음주 중에 적개심과 분노의 주기가 증가한다고 주장하는 것과 일치한다. 본 연구대상자에 대한 집단상담을 통해 대상자의 정신건강 정도의 인식과 가시적인 행동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문제음주자에게 간접적인 치료적 효과를 나타내서 가족의 행위가 바뀌고 결과적으로 이 행위가 가족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 변화를 통해 정신건강이 집단상담 전보다 신체화, 강박증,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및 정신증의 점수가 낮아졌고 전체 심도지수 3가지 모두 낮게 변화하였음은 집단상담을 통하여 대상자의 정신증상이 호전되어 정신건강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group therapy on the mental health for alcoholic families. The study subjects were purposive sample of 8 families receiving group therapy once a week for six months from June, 1999 to May, 2000. The contents of group therapy were the share of their experiences, exchange of ideas dealing with alcoholics and empathizing each other. Finally the researcher interviewed and helped their plan to overcome internal conflicts and crisis. Two methods were applied to measure the effects of group therapy. One was the application of Symptom Check List-90-Revision and the other one was the narrative recording and observation during counseling. The study finding were as follow: The scores of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Psychocitism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eatment at 0.1 level. The behaviors and communication skills of dealing with family member`s alcoholic problem were also remarkably improv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oup therapy is effective in the improving mental health for alcoholic families. So it suggests that this group therapy could be mor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promoting mental health alcoholic families in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삶의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이미옥 ( Lee Mi Ok ),이은진 ( Lee Eun Jin ),이미형 ( Lee Mi Hyoung ) 한국정신간호학회 2021 정신간호학회지 Vol.3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life in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Methods: This study use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approach.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shared living houses or rehabilitation facilities. Subjects had received treatment for mental illnes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from June 2019 to September 2019. Results: Three themes of the meaning of life were identified; 1. discovering their own power to keep away from a shaky life, 2. expanding into a safe relationship, and 3. developing towards a more valuable life. Conclusion: The meaning of life for subjects who experienced mental illness was that they felt helpless in the process of endless mental illness, but they realized the value of accepting the disease and living their daily lives and tried to restore close relationships with people and live the life they desired.

      • KCI등재후보

        정신질환의 회복[Recovery] 개념분석

        여기동,송근숙,이미형,Yeu, Ki-Dong,Bernstein, Kun-Sook,Lee, Mi-Hyoung 한국가정간호학회 2012 가정간호학회지 Vol.1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recovery in relation to those living with mental illness and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to the definition, perspectives, and paradigm of recovery in phenomenon, as a conceptual knowledge.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efine the concept of recovery from a mental illness by using key words, "recovery", "mental health and illness", "concept analysis" and "recovery-oriented nursing", and searching the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PubMed, Cochrane library and RISS4U database. Concept analysis of recovery was done, by using the Walker and Avant's framework of concept analysis. Results: Attributes of recovery for those living with mental illness included regain, life reconstruction, hope, adjustment, and health. Antecedents of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included instilling hope, recovery vision, belief, peer support, recovery-oriented services, empowerment, personal accountability, education, human rights and culture. The consequences, as meanings of recovery included self-esteem, hopeful life, positive adjustment, and healthy life. Conclusion: Concept of recovery is important for a nurse to understand when caring for a person living with mental illness. This concept of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may apply to future studies to develop a recovery-oriented nursing intervention.

      • KCI등재

        차상위 계층 우울 독거노인 삶의 경험: 현상학적 연구

        김재은(Jae-Eun Kim),이미형(Mi-Hyoung Lee),이채원(Chai-Won Lee),이상은(Sang-Eun Lee),박시현(Si-Hyun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연구의 목적은 차상위 계층 우울 독거노인 삶의 경험을 통하여 삶의 의미를 파악하고 어떠한 삶을 살아가는지 본질적 구조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 A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65세 이상 노인으로, 한국형 노인우울척도(KGDS) 9점 이상, 현재 독거생활 1년 이상 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없는 차상위 계층 8명이다. 연구방법은 개인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2018년 5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Colaizzi 분석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48개의 주제와 19개의 주제모음,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이 차상위 계층 우울 독거노인으로 살아가는 경험은 ‘도움 없이 살수 없는 초라한 삶’, ‘몸과 마음이 병든 삶’, ‘자립하고 싶은 삶’, ‘감사하는 삶’, ‘내면의 평화가 있는 삶’,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삶’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차상위 계층 우울 독거노인을 위한 지역사회의 정서적 지지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국가적인 차원의 다양한 복지 정책을 위한 근거 자료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life in near-poor elderly living alone and experiencing depression. We focused on their lived experiences so that we could understand the essential structure of what kind of life they live. The eligible population included those aged 65 or older, showing 9 points or higher in the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currently living alone for more than 1 year, having no problems of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nationally defined as a near-poor group. A purposive sample of 8 seniors enrolled in s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ere recruited.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suggested by Colaizzi was used. Data was collected from May 2018 to October 2019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6 categories, including 48 themes and 19 theme clusters, were drawn from the data: "a shabby life that cannot live without help", "a life where the body and mind are sick", "a life that wants to be self-reliant", "a life of gratitude", "a life with inner peace", and "a life that needed institutional support."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evidence for developing suitable emotional support programs for the near-poor elderly living alone and to enact various welfare laws and policies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과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윤주 ( Youn Ju Lee ),이미형 ( Mi Hyoung Lee ),( Kunsook Bernstein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3 정신간호학회지 Vol.22 No.2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nurse` bullying experi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identify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Methods: One hundred sixty-one graduate students working as nurses were recrui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PASW 18.0. Results: Results show that 23.0% of the nurses interviewed had experienced bullying in the workplace within the last six months and 19.4% had been bullied during the entire employment period. Bullying perpetrators included nurses (52.9%), physicians (23.0%), and patients (17.8%). Bully nurses consisted of senior nurses (63.0%), managers or supervisors (29.6%), colleagues (3.7%), and junior nurses (3.7%). Job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orkplace bullying (r=.20, p=.012) and job stress (r=.37, p<.001).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were job stress, age, and bullying in total career and these factors accounted for 21.0% of the variance. Conclusion: Job stress and bullying significantly influence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prevent workplace bullying.

      • KCI등재

        가정폭력을 겪은 알코올 중독자 배우자의 외상 후 성장

        최정민 ( Choi Jong Min ),이미형 ( Lee Mi Hyoung ),이은진 ( Lee Eun Jin ),박시현 ( Park Sihyun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20 정신간호학회지 Vol.29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experiences of post-traumatic growth among spouses of alcoholics. Methods: This study used narrative inquiry. The participants were three middle-aged women who had suffered domestic violence from their husbands, the latter of whom had been diagnosed with alcohol use disorders.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were conducted twice from June to July 2019. Results: The participants reappraised the intrusive symptoms and negative feelings caused by their husbands' drinking problems and domestic violence, and they deliberately repeated reflective pondering through cognitive and emotional flexibility.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from actively explored support resources led them to choose a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Their views of themselv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hilosophical views that had collapsed due to trauma were reconstructed, thus attaining self-transformation. Conclusio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mong spouses of alcoholics was affected by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the means of support. Using an emotional-focused coping strategy to accommodate negative emotional response from trauma as well as helping deal with the emotions themselves are important for driving growth motiv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growth is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narratives and integrating them into life stories, thereby giving meaning to li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