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일보특간』 ‘유년서사물’ 연구

        이미정 ( Lee¸ Mijeo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40 No.-

        이 논문에서는 『조선일보특간』 에 수록된 유년서사물의 등장배경과 현황을 살펴보았다. 『조선일보특간』 의 유년서사물 등장 배경으로 『조선일보』가 1929년 주최한 ‘생활개신운동’을 들 수 있다. 이 유년서사물 꼭지에는 당시 유치원 보모들이 요청한 국내창작물이 가장 많았으며, 외국번안동화, 우화, 옛이야기 등도 함께 실렸다. 국내창작물에는 위생 등의 바른 생활습관을 강조하거나 천진함을 보여 주는 작품이 다수였다. 우화에서는 미덕과 관계된 ‘교훈’을 전달하고 있었다. 옛이야기에서는 쥐, 절구, 도깨비와 같은 흥미로운 소재를 다루었고 새로쓰기를 시도하기도 하였다. 『조선일보특간』의 유년서사물은 교육적 ‘독물’의 색채가 강했다는 점과 더불어 우리 정서에 맞는 우리 작품을 창작하는데 중심을 두고 있었음을 특성으로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the childhood narratives published in the “Joseon Ilbo Special Edition” “Joseon Ilbo Children’s Page Woorichage.” The background of childhood narratives in the Joseon Ilbo Special Edition includes the ‘Living Improvement Campaign’ hosted by the Joseon Ilbo in 1929. The childhood narratives published the stories created in Korea in accordance with requests from nursery school teachers at that time. Translated versions of foreign fairy tales and old stories were also published. Most creative works from Korea were emphasizing living habits, including hygiene, or describing the innocence of children. Fables gave moral lessons by emphasizing related virtues. Old stories selected the interesting subjects including rats, large mortars or goblins and some writers tried to create new stories. It was found that childhood narratives in the “Joseon Ilbo Special Edition” “Joseon Ilbo Children’s Page Woorichage.” were characterized by showing strong educational purposes focusing on the creation of Korean stories suitable to Korean emotions.

      • KCI등재

        아미노 결합 정지상 HPLC 컬럼을 이용한 마 껍질의 allantoin 함량 분석

        이미정,김자민,김훈성,한동엽,Lee, Mijeong,Kim, Ja Min,Kim, Hunseong,Hahn, Dongyup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6 No.4

        마에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식용 및 약용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allantoin은 대표적인 마의 2차 대사산물로서 의약품 및 기능성 화장품 제조에도 활용되는 고부가가치 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미노 결합 정지상 HPLC 컬럼을 이용하여 마의 속과 껍질의 allantoin 함량을 분석하였다. Allantoin 표준용액의 검량선의 결정계수(R<sup>2</sup>)값은 0.9999로 높은 직진성을 보였으며,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0229 mg/mL 및 0.0694 mg/mL로 설정되었다. 마 속과 껍질의 건조중량 기준 allantoin 함량은 각각 3.09±0.02 mg/g, 3.91±0.11 mg/g으로 속보다 껍질에 더 많은 allantoin이 함유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농업부산물인 마껍질이 새로운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Yam (Dioscorea japonica) is widely utilized as food and a pharmaceutical ingredient as it contains a variety of valuable constituents. Allantoin is one of the bioactive components in yam that is used in pharmaceutical and cosmetic indust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allantoin content of yam flesh and peel by HPLC analytical method using an amino bonded-phase column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HPLC analytical methods. The allantoin contents of yam flesh and peel were 3.09±0.025 and 3.91±0.11 mg/g (dry weigh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yam peel has higher allantoin content than yam flesh, and that the discarded yam peel could be used as a source for high value-added functional materials.

      • 성폭력·가정폭력 남성피해자지원현황 및 정책과제

        이미정(Mijeong Lee),정수연(Soo-Yeon Jung),양혜린(Hye-lin Y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성폭력·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체계는 개선되었지만 다수 피해자인 여성에 특화되어 남성 피해자가 접근하기 어렵다. 이들에 대한 이해 부족 및 지원체계의 미비로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 성폭력·가정폭력 피해자 관련 기존 통계자료 및 기사 검토, 가정폭력 실태조사 자료 분석, 남성 피해자 심층면접,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면접 및 설문조사를 통해 남성폭력 피해자의 특성, 피해 경험 및 특성, 지원 욕구를 검토하고 남성 피해자 지원과 관련된 문제점을 분석하려고 한다. 자료 분석을 토대로 남성 폭력피해자를 위한 포괄적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남성 폭력피해자 실태, 특성, 지원 관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기존 조사통계와 범죄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남성 피해자 발생 규모를 파악하고, 언론보도 자료를 분석하여 남성 젠더폭력 피해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둘째, 2016년 전국 가정폭력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피해여부, 성별로 집단을 구분하여 피해발생 관련 사회적 변인을 살펴보고 남성 가정폭력 피해의 원인을 규명하려고 하였다. 셋째, 남성 가정폭력 피해자와 성폭력 피해자 각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넷째, 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남성 피해자 지원과 관련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다섯째,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관련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외국 연구가 남성폭력 피해에 대한 이해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되었다. 3. 연구의 범위 및 한계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폭력피해자 지원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과제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남성 폭력피해와 관련된 기존 자료는 범죄통계나 실태조사에서 제시된 남성 피해 규모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관련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정책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본 연구는 남성 폭력피해자 지원에 대한 초기 연구로, 자료 수집과 관련된 제한과 어려움으로 인해 전반적 현황을 파악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한계로 인하여 본 연구의 정책 제안에서는 남성피해자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지원체계 재정립과 같이 근본적인 이슈를 다루고 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해당 주제에 대한 후속연구가 축적되어 남성 피해자 지원에 큰 진전이 있기를 바란다. Ⅱ. 성폭력·가정폭력 남성피해자에 대한 기존 연구 1. 성폭력·가정폭력 남성피해자에 대한 기존 연구 가. 성폭력 남성피해자 2016년 전국 성폭력 실태조사 에 따르면 신체적 성폭력 피해를 당한 남성은 1.2%, 성희롱 피해는 0.8%로 나타났다(황정임 외, 2016:37). 2016년도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동향분석 을 보면, 남자 아동·청소년 강제추행 피해는 전체 강제추행의 7.3%이고, 음란물 제작은 9.8%이다(송효진 외, 2016:34). 2004년 군대내 성폭력 실태조사 에 의하면 남성간 성폭력 직접 피해 경험 비율은 15.4%, 가해 경험 7.2%, 목격 경험 24.7%로 나타났다(권인숙 외, 2004:47). 2016년 군 성폭력에 대한 연구는 남군 역시 성폭력 피해 위험에 노출되어 있지만 지원 사각지대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이미정 외, 2016:21). The support system for victims of sexual violence/domestic violence has been greatly improved in Korea, but because the system is specialized for the mostly female victims, accessing services is difficult for male victims.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male victims, and the support system is inadequate and cannot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want to suggest measures to build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for male victims. The content of this research is the following. First, we examine the existing research about victims of sexual violence/domestic violence from Korea and other countries. Second, we can grasp the scale of male victimization through existing research statistics and crime statistics, and we examine dimensions of male victimization by analyzing data from the mass media. Third,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2016 Nationwide Survey of Domestic Violence, we examined social variables related to occurrences of victimization and investigated causes of domestic violence against males. Fourth, we analyzed cases of sexual violence against males who were at least 19 years old through interviews with victims. Fifth, we analyzed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at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victim support agencies nationwide. Finall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97 professionals at victim support agencies to analyze their experiences of supporting male victims, their awareness about male victims, and the current status of support for victi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 propose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The proposals are divided into greatly improving awareness about male victims, improving services for supporting male victims of violence, and improving the support system for male victims of violence.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social awareness about male victims. Males can also be faced with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and they can suffer as much as females because of their victimization, receiving injuries and suffering pain. In addition, when they are faced with victimization, they should be able to request help and support. Furthermore, a societal bond of sympathy should be formed about the point that male victims also have to be actively supported. This kind of content should be included in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awareness of male victims. When comparing crime statistics with statistics from surveys, the rate of male victims is lower in crime statistics because there is a lower tendency for males to report to the police. The tendency of males to conceal their victimization by violence increases the possibility that they will be victimized again. The first step in solving the problem of violence against males is exposing the reality of the victimization. To this end, we have to acknowledge the possibility of violence against males and the time of the occurrence, and they have to be actively guided to request help.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actively publicize support services targeted at male victims.

      • 군대내 성폭력 피해자 보호의 문제와 개선방안 연구

        이미정(Mijeong Lee),정수연(Soo-yeon Jung),권인숙(In-sook Gwon)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언론에 보도된 일련의 군대내 성폭력 사건들의 사회적 파장이 크고 군대내 성폭력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자, 국방부는 군 성폭력 근절에 매우 적극적인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군대내 성폭력 예방 및 근절과 관련하여 많은 정책들이 최근 쏟아져 나왔지만, 이것이 일선 부대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은 향후 장기적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군대내 성폭력 피해자 보호의 문제에 초점을 두고 우리나라 성폭력예방 및 방지 관련 정책과 선진국 사례를 검토하고, 전역병사, 전역장교 정책담당자, 성고충전문상담관, 성폭력예방 전문가 면담을 통해 군대내 성폭력 피해 신고와 피해자 보호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2. 연구방법 군대내 성폭력 피해자 지원 현황과 관련된 심층적 자료 수집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전역병사 대상으로 인터뷰 실시, 둘째, 전역장교 대상으로 인터뷰 실시, 셋째, 성고충전문상담관 대상으로 인터뷰 실시, 넷째, 성폭력 예방교육 강사 및 피해자 지원 전문가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군대내 성폭력 피해자 보호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군대내 성폭력 문제 대응에 대한 미국의 사례를 논의하는 포럼을 개최하였다. Ⅱ. 군대내 성폭력에 대한 기존 논의 1. 군대내 성폭력에 대한 기존 연구 검토 가. 군대내 성폭력 문제의 이슈화 군대의 역사가 오래되었지만 군대내 성폭력이 이슈화된 것의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군대라는 특수한 조직 맥락에서 발생하는 성폭력의 특성과 현황을 검토하는 차원에서 우리나라와 외국 자료 및 연구를 참고하면서, 군대내 성폭력에 대한 논의를 소개하였다. 민진(2011)은 군대 조직문화의 특성으로 집단주의, 위계적 권위주의, 전투적 사고, 폐쇄주의를 지적하는데, 이러한 조직의 특성으로 군대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이 묵인될 가능성이 높다(윤민재, 2007). 미국의 경우도 성희롱에 대한 법, 불관용 정책 등 다양한 군 정책에도 불구하고 군대내 성폭력의 극히 일부만 신고 되는데, 이러한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 것 같다고 보고 있다(Scott and Philpott, 2014:3). 나. 군대내 성폭력 발생 실태 첫째, 여군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 실태조사로는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수행한 안상수 외(2012), 이종호 외(2014), 이경환 외(2014)의 연구가 있다. 이들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를 정리하면, 성폭력 피해 경험률은 적게는 6.3%에서 많게는 19%로 나타났고, 피해 목격 경험률은 27.3%에서 41.3%까지 나타나, 성희롱 발생 정도가 여군 군복무 생활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병사 간 성폭력의 경우 군이라는 특수한 환경 내에서 남성 사이 발생하는 성폭력 문제로 가혹행위의 일부이기도 하다. 우리사회의 성 통념상 활발하게 다루어진 연구영역은 아니며 상당수의 연구물들이 병사들의 인권 차원에서 다루어져 왔다. 권인숙 외(2004) 연구는 군 당국이 아닌 외부에서 실시한 첫 번째 실태조사로서 의미를 가진다. 조사는 현역군인과 제대 3년 이내 예비역 671명을 대상 설문조사와 가해자, 피해자, 전문가, 활동가 등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는데 피해경험률 15.4%, 가해 경험률 7.2%, 목격 경험률 24.7%로 보고하였다(권인숙 외, 2004:47). 셋째, 최근 5년간 군 성범죄 발생 건수는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범죄 발생 건수의 증가가 사건 발생의 증가로 인한 것인지 피해 신고의 증가로 인한 것인지 알 수는 없다. 넷째, 미국 내 육군사관학교 3곳의 5,220명 간부 및 장교후보생 대상으로 한 성폭력 조사에 의하면, 지난 1년간 원치 않은 성적인 관심, 성희롱, 원치 않는 성적 접촉, 성적 강제, 강간 피해를 경함한 비율은 여성 86%, 남성 42%로 나타났다(Snyder et al., 2012). 2012년 미국방부 조사에 의하면 약 26,000명의 남녀군인이 성폭력 피해를 당했는데, 보고된 것은 3,374건에 불과하다(US Commission on Civil Rights, 2013). 다. 성폭력에 대한 정책적 대응 군대내 성폭력 사건에 대응하기 위해서 2004년 미국방부는 성폭력피해자보호 Task Force를 구성하였고 이들을 통해 관련 문제에 보다 강력하고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이후 ‘성폭력예방 및 대응을 위한 합동 Task Force’를 구성하였다. 이 조직은 2005년 ‘성폭력 예방 및 대응국(Sexual Assault Prevention and Response Office, SAPRO)’으로 전환되는데, SAPRO는 미국 군대내 성폭력 사건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성폭력 근절을 책임지고 관련 활동을 감독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군대내 성폭력 근절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접근은 강력한 예방 조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blem of protection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and to seek ways to improve it. It is an important policy task to raise the reporting rate of sexual violence incidents in the military and establish a system that raises the quality of victim grievance counseling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victim support. For these reasons, we collected research data as follows. We collected policies on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and prevention policy in Korea, as well as related policy cases from foreign countries. Through interviews with soldiers who have been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persons in charge of policy, sexual violence grievance counselors, and sexual violence prevention specialists, we examined problem points of reporting sexual violence within the military and the protection of victims. From the research, the following are policy recommendations related to victim reporting of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First, the awareness of military authorities, who think negatively about the exposure that occurs through reporting of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should change. Confidentiality for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and support services have to be strengthened. Second, the method of evaluation for commanders and troops should change in relation to the prevention and eradication of sexual violence. It is worth reviewing whether the commander takes prompt and appropriate action to protect victims and attackers when an incident of sexual violence occurs, in order to give distinguished units that are selected extra points and find measures for awarding creative efforts related to prevention. Third, we recommend the introduction of restricted reporting, which is used in the United States in relation to reporting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The advantage of limited reporting is that through contact with medical and counseling services, relevant evidence can quickly be obtained, which can be used later as important evidence in criminal justice investigations if the victim agrees. Fourth, the military authorities need to implement inspection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 points of grievance system management related to transmitting grievances from victims of sexual violence, and seek improvement. The following are policy suggestion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and protection of victims. First, the expansion of a specialized personnel for sexual violence, such as gender equality officers.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services to members of the militar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ale of the labor force of the counselors with expertise in barracks life, including counselors with expertise in sexual violence grievances and gender equality officers. Secondly, improvement of support for soldiers whose blind spot is help for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code of conduct, active preventive measures are demanded regarding actions related to sexual harassment, including prohibition of inappropriate physical contact. Third, providing education and counseling to improve commander awareness. It is necessary to support a budget to convene separate education that targets the opinion-leader level. Fourth, strengthening educa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human rights of sexual minorities is needed. Military authorities will have to make efforts to ensure that education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the Human Rights of Sexual Minorities”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Defense Military Administration Directive (No. 1932) is stably proceeded.

      • KCI등재

        방정환 번역 동화에 나타난 ‘독창적 반복’ ― 「왕자와 제비」와 「털보장사」를 중심으로

        이미정 ( Lee Mijeo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22 동화와 번역 Vol.43 No.-

        이 논문에서는 방정환의 번역동화 「왕자와 제비」와 「털보장사」를 조지 스타이너의 해석학적 운동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뢰의 단계에서는 아동문예잡지 『킨노후네』와『신역회입모범가정문고』와 같은 매체에 대한 신뢰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삽화가 오카모토 키이치에 대한 신뢰도 확인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불쌍한 일’과 ‘봄’에 대한 공격과 침탈이 크게 나타났다. 「왕자와 제비」에서는 불쌍한 처지에 놓인 사람들이 생생하게 묘사되었고, 「털보장사」에서는 작품에 나온 봄에 더욱 큰 상징성을 부여하였다. 결합 단계를 살펴보면 「왕자와 제비」에서는 자국화 전략이 「털보장사」에서는 자국화와 이국화 전략 모두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보상 단계에서는 오스카 와일드의 원작이 갖고 있는 본질적 가치, 기독교 사회주의를 주목하게 된다. 방정환 번역은 원작을 ‘이해하는 것이 곧 번역’이라는 조지 스타이너의 주장에 부합하는 측면이 크다. 이는 곧 독창적 번역이 어떻게 가능한 지를 보여 주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rince and the Swallow and The Hairy Mighty, which are the literary works for children, and they are analyzed by applying George Steiner's analytical movement. In the stage of trust, it was judged that the trust is highly solidified in media such as the children's literary magazine Kinohune and Mohankateibunko, as a result, In addition, the confidence in the illustrator, Kiichi Okamoto, is also confirmed. In the next stage, the attacks and invasion of “poor things” and “spring” are significant. characters in poor situations are vividly depicted In The Prince and the Swallow, and they gave greater symbolism to the spring when they appeared in The hairy mighty. Looking at the combining stage, it can be seen that the nationalization strategy in The Prince and the Swallow was used in both the nationalization and foreignization strategies in The Hairy Mighty. In the final step of compensation, we pay attention to the essential value of Oscar Wilde's original work, Christian socialism. The translation of Bang Jeonghwan's literary works is largely in line with George Steiner's claim that the original work is “translation that is understood.” This shows how his literary works are creatively translated.

      • KCI등재

        일제강점기 동요작가 윤극영 초기 활동 연구 : 색동회와 다리아회를 중심으로

        이미정(Lee Mij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이 논문의 목적은 윤극영의 초기 활동 특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색동회와 다리아회의 결성 과정과 특징 등을 살펴보았다. 색동회는 1923년 만들어진 아동문화운동단체이다. 윤극영은 색동회의 창립 회원이었다. 1925년 윤극영은우리나라 최초의 동요보급단체 다리아회를 조직했다. 방정환과 윤극영, 정순철 등처럼 우리 아동문학의 핵심 인물들이 활동했던 색동회의 기본 방향은 아동과 민족이었다. 윤극영은 색동회의 기본 이념을 다리아회를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있었다. 다리아회는 약 일 년여라는 짧은 기간 동안 활동했다. 그러나 우리 동요를 보급하고 창가극을 공연하는 등의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예술 활동을 통해 ‘민족 독립’의 의지를 전달하는 소년회로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이와 같이 다리아회는 색동회의 이념을 실천한 ‘실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는 곧 윤극영의 초기 활동의 특징이‘민족’과 ‘아동 중심 사상’에 있었다는 근거가 된다. 그의 초기 특징을 출발점으로 삼아 그의 작품 세계를 더욱 적극적으로 연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곧 우리 동요사의 한 부분을 복원하는 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Yoon Kuk-young’s initial activities. To this end,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the Saekdonghoe and Dariahoe were examined. Saekdonghoe is a children’s cultural movement organization established in 1923. Yoon Kuk-young was a founding member of the Saekdong Association. In 1925, Yoon Kuk-young organized the Dariahoe, Korea s first children’s song distribution organization. Like Bang Jeong-hwan, Yoon Kuk-young, and Jeong Soon-cheol, the basic directions of the Saek donghoe, where key figures in our children’s literature were active, were children and people. Yoon Kuk-young was realizing the basic ideology of Saekdonghoe in detail through the Dariahoe. The Dariahoe was active for a short period of about a year. However, it has achieved meaningful results such as distributing Korean children s songs such as New Year’s Day and Bandal and performing singing play. He also actively worked as a juvenile association that conveys the will of ‘national independence’ through artistic activities. As such, the Dariahoe was playing the role of ‘actual’ that practiced the ideology of Saekdonghoe. This is the basis for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Yoon Kuk-young’s initial activities were in ‘ethnic’ and ‘child-centered ideas’. Efforts should be made to more actively study the world of his work using his early characteristics as a starting point. This is because it is also the restoration of a part of our children’s song history.

      • KCI등재

        사이버성폭력과 규제

        이미정(Lee Mijeo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 No.10

        인터넷의 확산으로 사이버공간에서 자유로운 정보 제공과 접근이 용이해지고 다양한 형태의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었다. 인터넷을 통한 의사교류의 긍정적인 측면 뒤에는 불법적이거나 유해한 정보의 확산이라는 부정적 측면도 공존한다. 사이버공간에서 특정인이나 불특정 다수를 성적으로 괴롭히는 행위를 사이버성폭력으로 규정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것의 정도, 피해, 사려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사이버성폭력은 상대가 원치 않는 성적인 언어나 이미지로 상대에게 불쾌감이나 위압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말한다. 성과 관련된 표현으로 인한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서 규제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다. 사이버 성폭력에 대한 규제로는 법을 통하거나 준행정기관을 통한 규제가 있고 인터넷 업체나 민간영역을 통한 자율규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규제를 검토하면서 사이버 성폭력 감소를 위해서는 어떠한 방식의 규제가 더 효율적인가를 검토하려고 하였다. 사이버성폭력은 오프라인에서와는 달리 문자나 영상 등의 표현을 통해 상대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다. 이것에 대한 규제는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 권리인 표현의 자유 보장이라는 문제와 충돌하게 된다. 미국의 사려를 들면서, 사이버 성폭력에 대한 규제가 어떻게 표현의 자유를 규제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표현의 자유 보장과 매체로서의 인터넷의 특성을 고려할 때, 사이버 성폭력에 대한 규제로는 자율규제가 타율규제보다 바람직하다고 결론짓고 있다. Along with the expansion of internet networks, communication in the cyberspace has become freer and easier than ever before. Despite the bright side, it also contains the dark side such as the spread of unlawful and indecent information. In this paper, I discussed the definition of the on-line sexual harassment, the extent, examples. On-line sexual harassment is defined as an act making someone feel unpleasant or threatened through sex-related words and images. With the rising number of victims from the on-line sexual harassment, the need for regulation has increased. Two kinds of regulations are discussed; the regulation through law and the regulation through the efforts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In this paper, I examined which approach is more efficient for reducing the on-line sexual harassment. Unlike in the off-line, the offense on the on-line is done through words and image rather than action.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offense, regulation of on-line sexual harassment is faced with the issue of limiting the freedom of speech, the fundamental right of the citizen. In reviewing the cases in the States, we observed how Americans perceive the regulation in conflict with the freedom of speech. Considering the nature of internet communication and the freedom of speech, I think the regulations through the efforts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and users are more effective than through laws.

      • KCI등재

        정신지체인 직업재활관련 종사자간의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미정(Mijeong L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07 職業再活硏究 Vol.17 No.2

        장애가 점차 중증ㆍ중복화 되면서 장애인의 직업재활은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과정보다는 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맞는 서비스의 제공과 장기적인 훈련과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부분이 관련 기관간 연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직업재활과 관련된 교육ㆍ복지ㆍ노동 분야 간의 연계는 좀처럼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게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지체장애인의 직업재활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관련 기관간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설문지에 의한 우편조사 방법으로 조사대상은 정신지체인의 직업재활과 관련된 교육ㆍ복지ㆍ노동 분야에 종사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했다. 조사기관은 총 392개 기관이었으며 조사기간은 2006년 9월 13일부터 10월 10일까지로 회수율은 33.0%였다. 조사내용은 선행연구에서 제기되었던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조직의 태도, 취업지원 담당자의 수, 연계에 관한 학습시간의 수, 연계 전담자의 유무, 연계장소의 유무, 관련 전문직에 관한 학습경험, 근무경험과 연계정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설문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t검정,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 분산분석, X2을 실시한 결과, 연계에 대한 조직의 태도, 취업지원 담당자의 수, 근무경력, 졸업 후 연계에 관한 학습시간, 관련 전문직에 관한 졸업 전ㆍ후의 학습경험, 연계장소의 설치, 연계전담자의 배치가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연계정도를 종속변수로 한 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계에 대한 조직의 태도, 취업지원자의 수, 졸업 후 직업관련 전문직에 관한 학습경험, 졸업 후 연계에 관한 학습시간, 연계장소 유무, 연계 전담자 유무, 성별, 연령, 근무경력이 연계정도의 38.7%를 설명되었다. 한편 노동 분야가 교육 분야나 복지 분야 보다 연계정도, 취업지원 담당자의 수, 근무경력. 졸업 후 연계에 관한 학습시간, 연계 전담자의 배치 부분에서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As disabilities become more severe and duplicate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require long-term training and tailored to each life cycl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ompared to fragmented and short-term training. To achieve the purpose, the linkage between related agencies is critical prior condition for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outcomes. However, despite of its importance, service coordination between education, social welfare, and labor has not been acti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gree of agency coordination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especially in the field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 of the study consisted of professional devoted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within education, social welfare, and labor fields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rvey was mail out to 392 service agenc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3 of 2006 to October 10 and the return rate was 33.0%. Th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ANOVA were used for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variables such as the agency attitudes, number of vocational-related professionals. in-service raining, number of hours on training for agency linkage, field experiences during pre and after college education, availability of service coordination opportunities and assigned an expert charged with the operation were related to results. Especially, amount of service linkage as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agency s attitudes toward service coordination, a number of employment applicants, field experiences after college education, number of hours on training for agency linkage, availability of coordination office and expert, gender, age and career explained 38.7% of the degree of professional coordination.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 field of labor was among the lowest in regards to the agency coordination, experts on employment assistance, work history, number of hours on training on agency coordination after college graduation, number of vocational-related professionals, and location for coordination office compared to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fields.

      • KCI등재

        인적자본으로서 여성교육의 의미

        이미정(Mijeong Lee) 한국인구학회 1997 한국인구학 Vol.20 No.2

        한국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대한 교육의 미약한 효과는 한국여성 교육의 인적자본(human capacity)으로서 의미에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오늘날 인적자본으로서 교육의 의미는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여성의 취업에 대한 열망이나 여성인력이 낭비되고 있다는 사회의 지적은 여성 스스로나 일반민들에게 교육이 인적자본으로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교육은 인적지본으로서 기능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하는 것 같다 여성의 교육이 인적자본 차원에서 어느 정도 의미가 있는가를 검토하려고 할 때, 여성의 노동시장참여 가능성과 함께 여성이 일할 경우에 나타나는 경제적 보상의 정도를 고려해야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한국여성의 노동시장참여에 대한 교육효과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했을 경우에는 임금에 대한 교육효과는 명백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그러나 위의 두 경우를 함께 고려해서 여성 전생애에 걸쳐 나타난 경제적 보상에 대한 교육효과를 검토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198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비농업부문에서 여성경제활동의 변화가 거의 없었던 점을 염두에 두면서 본 연구에서는 횡단적 자료를 이용해 여성 전생애에 걸쳐 교육의 인적자원으로서의 의미를 검토해 보려고 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노동시장참여에 대한 교육효과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여성이 일하는 기간은 아주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임금에 대한 교육효과는 젊은 여성에게서는 잘 나타나는 펀이었지만 나이 든 여성의 경우에는 미미한 편이었다. 젊은 여성의 경우 임금에 대한 교육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만, 그들의 취업기간은 극히 짧고 노동시장참여에 대한 교육효과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인적자본으로서 교육의 의미는 작은 펀이라고 할 수 있다. Educational effect on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has been known to be small in Korea. Then, the meaning of women's education as human capital needs to be questioned. Both the increasing desire for working among women and the criticism to under-utilization of women's education in the labor market reflect that women's education is surely perceived as human capital. However, women's education does not seem to function well as human capital in the labor marke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is pointed out that educational effect on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is weak but the effect on earnings is evident. There were few attempts to evaluate economic returns to women's education over the life-cycle analyzing both working and non-working women. Considering that the economic behaviors of women in nonagricultural sector have changed little until the mid-1980s, I tried to examine the meaning of education as human capital over the women's life cycle using cross-sectional data. This study shows that the educational effect on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does not exist and the working period is very short. Although the educational effect on earnings among working women is clearly shown, it tends to limited to younger women. Despite the educational effect on earnings among younger women, the meaning of education as human capital among Korean women does not hold well due to short working period and the low participation of the educated in the labor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