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산지역의 위험ㆍ유해물질 유출사고 가상시나리오 개발

        이문진(M.-j. Lee),윤이(Y. Yoon),최종욱(J. W. Choi),이승환(S. H.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7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위험ㆍ유해물질 해상물동량이 전체 물동량의 18%이상 차지하고 있고, 매년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어 이로 인한 대형유출사고의 위험이 증대되고 있다 위험ㆍ유해물질은 독성ㆍ유해성이 있어 사고 발생시는 인체 및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일부물질은 짧은 시간에 넓은 지역까지 오염이 확대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험ㆍ유해물질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고로 인한 영향을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마련하여 비상시 대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해역의 위험평가 및 취약성분석을 통해 위험ㆍ유해물질 유출사고를 가정한 사고시나리오를 마련하고 사고로 인한 피해를 예측한 다음, 해당 사고를 수습하기 위해 조치해야 할 사항을 단계별로 작성, 제시하였다. 위험ㆍ유해물질 가상사고 선정시에는 발생가능성과 피해영향범위를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해역에서의 위험ㆍ유해물질 운송현황과 물리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자일렌을 사고물질로 선정하였고, 부산 해역의 자일렌 물동량인 약 1,000톤을 사고발생시의 유출량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1982년부터 2007년까지 약 25년동안 부산해역에서 발생한 10톤 규모이상의 해양오염사고 현황을 분석하고, 사고발생시 예상되는 피해규모 등을 고려하여 감천항에서 충돌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해역의 해ㆍ기상조건은 사고가 발생한 시점인 2007년 10월 19일 오전의 해ㆍ기상상태를 적용하여 풍속은 4m/s, 풍향은 남서풍, 기온은 20℃로 하였다. 가상사고의 피해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기확산 및 해양확산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기확산 결과에서는 사고지점으로부터 영도대교 방향으로 약 2㎞~7㎞까지 인체에 유해한 정도의 자이렌 증기확산이 예상되었다. 한편, 해양확산 평가 결과 사고발생 1시간이 경과한 후부터는 유출된 자일렌이 해안에 부착하기 시작하였으며, 8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유출 자일렌의 대부분이 해안에 부착되었다. 따라서, 현장 대응시는 자일렌의 피해확산범위에 포함되는 감천항과 영도대교, 부산항 인근의 주민과 근로자의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져야 하며, 감천항ㆍ부산항의 선박 입항을 통제하고 신속하게 확산방지용 펜스를 전장하여 자일렌의 해안부착을 최소화 해야 한다. 또한, 자일렌은 노출시 구토ㆍ구역 및 피부자극을 일으키는 유독성물질로 호흡기 피부 등을 통해 인체에 노출되므로 현장 대응요원과 방제요원은 개인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해수 및 대기모니터링을 통해 오염지역과 방제범위를 결정하고 자일렌의 회수ㆍ처리에 필요한 조치를 단계별로 시행해야 하며, 사고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고지역의 사후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 유류 및 위험유해물질(HNS) 해양오염사고 국가 방제체제 구축방안

        이문진(M. -j.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7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우리나라는 1995년 발생한 씨프린스로 사고를 계기로 유류에 의한 해양오염사고에 대비한 국가 방제체제를 구축하고, 국가방제기본계획과 지역방제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운영중에 있다. 최근 HNS 해상 물동량 증가와 HNS-OPRC 의정서 가입 등으로 기름 뿐만 아니라 HNS 해양오염사고에도 대비ㆍ대응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방제체제 구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가 방제체제의 적절성과 효용성을 진단하기 위해 국가방제능력 확보 목표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HNS 사고에도 대응할 수 있는 방제체제 구축방안을 국가 대응능력 확보방안을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1994년부터 2005년까지 12년 동안 발생한 해양오염사고 위험평가와 사고 자료의 결손을 보완하기 위해 통항선박 규모 분석을 병행하여 최대 가능 유출량으로 유류 60,000톤과 HNS 21,000톤을 산정하였다. 국가 방제능력 목표는 방제전략 기본방침에 따라 유출량의 1/3은 해상에서, 1/3은 해안에 부착한 후, 1/3은 증발 등으로 소멸하는 것으로 하고 해상 수거 계획량은 3일 이내로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 유류의 최대가능 유출량 대비 방제능력 목표는 20,000톤, 일일 해상방제능력 목표는 6,666톤으로, HNS는 최대가능 유출량 대비 방제능력 목표는 7,000톤, 일일 해상방제능력 목표는 2.333톤으로 판단하였다. 국가 사고 대응능력 확보방안으로 국가 방제능력의 실행력 확보를 위해 해역별 위험평가를 통해 최대가능 유출량과 방제능력 목표를 산정한 후 유류는 48시간, HNS는 24시간 범위내에서 상호지원 가능한 해역별 조합을 통해 국가 방제능력 요구량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방제자원을 재배치하도록 제안하였다. 유회수기, 오일펜스, 회수유 저장탱크 등 각종 방제자원의 확보기준과 국가 방제능력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국가 방제목표의 재평가를 통한 보완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HNS 사고에도 대응이 가능하도록 현행 방제자원 재질과 기준을 재정비해야 하며 현장 대응요원 보호와 임무수행에 필요한 개인보호장비, 모니터링 장비, 회수 및 처리 장비를 단계적으로 확충하고 해양오염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통합방제정보지원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 침몰 유조선 경신호 위험성 분석 연구

        최혁진(H.J.Choi),오상우(S.W.Oh),이승국(S.G.Lee),김선동(S.D.Kim),이승현(S.H.Lee),이문진(M.J.Lee),변성훈(S.H.Byun),강원수(W.S.Kang),장석(S.Jang)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6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

        유조선 경신호는 1988년 포항 대보등대 3.5마일 해상에 침몰하였다. 침몰후 현재까지도 간헐적으로 잔존유가 유출되고 있어 선체내부에 남아 있는 잔존유의 추가 유출에 따른 해양오염사고 발생에 대한 위험성이 재기되고 있다 침몰선체로부터 잔존유 추가 유출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6년 5월 무인잠수정과 잔존유 시료채취장치 등 첨단 장비를 이용하여 경신호를 조사한 결과 선체 주변에는 이미 많은 장애물로 덮여 있으며, 잔존유 시료를 채취한 결과 탱크 내부에는 약 300㎘ 이상의 기름이 남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부식 등의 요인으로 잔존유 유출시 기상상태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1988 사고 당시와 같은 기상상태가 재현된다면 유출된 기름은 포항, 영덕 등 인근 해안가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The oil tanker, Kyung Shin had sunken in the East Sea, 3.5 mile from Daebo light house of Pohang, Korea in 1988. Because the remained oil of the sunken tanker has been leaking slightly nowadays, it can be a dangerous marine pollutant. For the inspection of additional oil leakage and its possibility, the sunken ship, Kyung Shin was surveyed by using the ROV and oil sampling system in May, 2006. As a result of survey, there are numbers of obstructions on the tanker's bod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the precedent salvage report, more than 300㎘ oil could be remained by estimation. If same weather condition is reappeared, spilled oil can stick to the coast near Pohang and Yeongdeok.

      • 해양심층수 자원ㆍ환경 관리시스템의 구축방향

        김현주(H.J. Kim),정동호(D.H. Jung),문덕수(D.S. Moon),이문진(M.J.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6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

        동해는 지구환경을 가름할 ‘작은 대앙’으로써 주목받고 있으며, 그 변화가 주변국가의 환경과 산업, 생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동해에서 생물생산, 해상운송, 공간이용 등의 호혜를 누려 왔던 주변국가 주민들은 해양수자원 등의 새로운 이용을 도모함에 있어서 신중하고, 합리적인 방향을 모색해 나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즉, 해양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개발 및 관리의 체계화가 주변 국가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할 뿐 아니라 관련 국가간 협력에 의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동해의 개발 및 관리를 위한 관측 및 조사가 많은 산학연 기관에 의해 광역 또는 지역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중, 해상, 공중에서의 입체적인 관측 조사가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자료는 일부 통합 또는 개별적으로 활용되어 환경파악, 진단 및 예측에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한 수단은 대부분 기반 구축부터 운영까지 많은 예산이 요구되어 부족한 실정이며, 대부분 재정 투자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어 한계가 많은 실정이다. 이로부터 동해 환경의 관측 조사 체계화 및 자료 통합화를 전제로 기존의 동해 환경모니터링 시스템에 추가하여 활용할 수 있는 해양심층수 개발기반의 구축 및 보완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주변국가간 이를 공유하고 교류하는 시스템 구축을 통해 해양수자원(해양심층수)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sustainable use of ocean resources such as marine livings, transportation, space, seawater etc. is essential objectives for the everlastingness of mankind.. Development to get resources from ocean may have affected natural ecosystem not only positively but also negatively. To minimize harmful effect of ocean development It is required that integrated management of resources and environment based on observation, prediction and mitigation efforts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to ocean development. The East sea has been engaged as 'Mini-Ocean' which can preview the change of Ocean and its affects to global ecosystem. In this point, many observation programs by surrounding nations have been conducted for decades. These observations are done and doing fragmentary by the Eulerian or the Lagrangian methods by many organizations. On the other hand, we use ocean resources from the East Sea to get food, space, water, minerals etc. To utilize these resources could stably be realized by systematic observation and interactive networking of ocean resources and ecosystem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preview the possibility of using development base as management base from the case of deep ocean water application program. Because deep ocean water, as one of the seawater resources, is an industrial resource besides marine environment, we can expand management system through extending development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