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루마니아어 음운 현상에 관한 통시적 연구

        이문수(Mun-Suh Lee)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0 동유럽발칸학 Vol.2 No.2

        This article aims at a diachronic study on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Romanian, which is derived directly from Latin, therefore regarded as a Eastern Romance Language. However, some scholars once claimed that Romanian would have been reffered to as a mixed language, in consideration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lation between the Latin and non-Latin elements in the language. Modern Romanian is written in a wholly Romanised alphabet system with three diacritics. As we can see from this research on the evolution of the Romanian phonology, Romanian more or less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system of Latin,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Balkan Latin, which had a different evolution from the normal Westernstream. For example only in Romanian exist two special vowel symbols, namely ?/?/ and ?=?/?/, which did not exist in Latin. We do not know the time of their formation or the route of their derivation exactly. Above all, regarding phonem /?/, we can only speculate that it would have been derived from the substratum of in south eastern part of Europe, that is, Thraco-Dakish. The reason for this speculation is that the vowel phoneme also exists in the so called Balkan Sprachbund, namely, Albanian and Bulgarian. Thus we can consider it as a heritage from the common language spoken by the ancestors of the peoples who speak these languages at present. The phoneme ?/?/ usually appears as a non-stressed variant of the Latin a/a/(ex.: Lat. casa > Rm. cas?) but also appears in stressed syllables in case the syllables are closed by nasals(ex.: Lat. juram?ntum > Rm. jur?m?nt). As far as the consonantal system is concerned, the symbol k is a comparative rarity, which is not a regular letter in Romanian It is used only for international terms such as kilogram, kilometru etc. The voiceless velar plosive is represented by c(ex.: cas?/kas?/). However this phoneme changes to the post alveolar affricate /?/ before the front vowels(ex.: cer/?er/). The voiceless velar plosive is represented by the diagraph ch before the front vowels(ex.: ochi/oki/). The voiced velar plosive g/?/ shows similar distributions. Among the consonant symbols, ?/?/ and ?/?/ exist only in Romanian, which are in general derived from the Latin s and t before the front vowels. In addition it will be worthy to mention the glottal fricative h/?/, which was originally aspirate in Clasic Latin and began to disappear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ex.: ne homo > nehemo > nemo) and then lost completely in the initial position in Vulgar Latin(ex.: habeo > abeo). It is usually agreed that the glottal fricative in Romanian was reintroduced by the influence of the neighboring languages, especially the slavonic languages. Notice that this symbol appears generally in Slavonic-based words(ex.: duh, hran? etc.). In a word as already mentioned above, Romanian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evolution from Latin to Romance languages,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ue to the geographical circumstance of Balkan Latin

      • KCI등재

        어원론 연구에 관한 소고

        이문수(Lee, Mun-Suh)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2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Etymology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with reference to Romance Languages. We can see the first relatively detailed discussion of the etymological problems in the Dialog<Kratylos> of Platon in which he showed an interest in the origin of the names of human beings, of animals or of things. At that time Etymology was the science of researching <the true meaning>. This kind of tradition for the etymological study was succeeded by the Roman Grammarian Varro through the Grecian Scholars of late Stoa School, above all Chrysipos. In the Medieval epoch the ancient etymological concept was not basically changed . It is not going too far to say that the modern Etymology began with the appearance of the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From about 1900 onward Romance Linguistics became the field in which new methods were adopted under the dominant influence of Indo-European studies. For the etymologists of this generation Etymology means no more than the earliest form and meaning of a word, regardless of whether any statements is made abou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word. Henceforth, it was governed by new principles. Firstly, the importance of word-blends is recognized with increased awareness. Secondly, Onomatopoeia is reinstated as a reputable source of linguistic creations. Thirdly, the appearance of linguistic geography, which is treated as a universal method for finding out the real truth of word-history, was influential in the research. The notion of Etymology becomes ambiguous: the old type, phonological, so-called <étymologieorigine> contrasts with the modern, semantic, <étymologie-histoire du mot>. In the light of these developments it is clear that today Etymology in the Indo-European Languages embraces two essentially different questions. One is the original form as well a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Indo-European Prototype. The other is its subsequent history down to a point indicated by the documentation of the cognate language concerned. Etymology in the modern sense is biography of the word; its origin would be nothing but a point of departure for further research. Therefore for ideal etymological research we need further examination not only of phonological, semantical but also of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form in consideration of both sides, namely internal and external facts of language. 성)라는 두 단어가 합쳐진 것으로 어원론의 원의는 ‘참된 어의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플 라톤은 일찍이 사물의 명칭과 그 의미의 개연성에 관하여 의문을 제기한 바 있으며, 그 후 어원연구에 관한 관 심은 크리시포스(Chrysippos) 등과 같은 고대 그리스의 후기 스토아학파를 거쳐 고대 로마제국의 학자들에 의 해 계승되어졌다. 고대 로마제국의 라틴어 문법학자였던 바로(Varro)는 어원론을 ‘단어들이 왜 그리고 어디서 온 것인지’를 연구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와 같이 서양에서는 이미 고대 그리스 및 로마시대에 낱말의 기원 에 관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그 당시 학자들은 어원 분석이나 의미 변화에 있어서 그것을 정확히 규명 하지는 못했다. 중세의 어원론은 고대 그리스, 로마시대의 이론을 거의 그대로 계승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어원연구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19세기 역사-비교언어학의 연구방법이 확 립되면서 어원연구도 규칙적인 음운변화에 관심을 집중시키게 된다. 19세기 말 의미론이 과학적 학문으로 발전 하기 시작하면서 어원론에도 낱말의 의미를 다시 중요시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언어지리학 연구에 의해서 크게 확산되었다. 또한 당시의 실증주의적인 학문연구 방법에 입각하여 문헌상의 충분한 증거자료를 제시하는 방법론적인 영향을 받아 어원연구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즉, 전통적 음운 변화 법칙에 입각해서 그 기원 을 찾고자하는 기원 어원론〉에서 의미 변화에 의해서 낱말의 변화 과정을 강조하는 〈낱말의 역사 어원론〉 으로 바뀐 것이다. 20세기 초에는 한 때 어원연구에 있어서 음성적인 면과 의미적인 면이 대립하였으나 1 차 세계 대전 이후 그러한 대립에 관한 무모한 논쟁이 사라졌으며 〈언어 내적〉 사실과 〈언어 외적〉 사실을 고려하여 음운론적, 의미론적 자료뿐만 아니라 형태 통사론적인 면도 엄밀히 검토해야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되었다.

      •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연구

        이문수(Lee, Mun-Suh)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1

        루마니아어는 언어계보학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인도․유럽어족의 한 가지인 이탤릭어군 중에서도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로망스어의 일종으로서 언어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자면 그 중에서도 이탈리아어와 함께 동 로망스어권에 속해 있는 언어이다. 한편 루마니아어는 사용되고 있는 지리적인 면을 고려하자면 소위 발칸 로망스어의 한 부류로 볼 수 있다.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는 기본적으로 라틴어의 자음체계를 계승하고 있지만 지역적인 특성 상 여타 로망스어들과는 다소 상이한 면을 보이고 있다. 한 예로서 이미 고전 라틴어 시대부터 사용이 위축되기 시작하여 민중들의 언어였던 속 라틴어에 서는 완전히 사라졌으므로 현대 로망스어들에선 그 모습이 사라졌거나 문자로는 표기되더라도 묵음이 되어서 음가의 기능을 잃어버린 고전 라틴어의 성문 마찰음 h/ɦ/ 이 오늘날 루마니아어에만 유독존재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루마니아어에서 이 성문 마찰음이 대부분 슬라브어를 비롯한 발칸지역 주변의 외래어들로부터 차용된 어휘들(예: duh, hrană 등)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 음이 발칸 라틴어에서도 사라졌다가 고대 루마니아인들이 슬라브 민족을 비롯하여 주변의 타 민족들의 언어로부터 차용한 것이라는 의견이 중론이다. 또한 라틴어에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타 로망스어들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유독 루마니아어에서만 나타나고 있는 자음들 ş/ʃ/ 및 ţ/ʦ/ 는 각기 라틴어의 치찰음 s 와 치․파열음 t 가 전설 모음 앞에서 구개음화 된 것이다(예: 라틴어 sīc> 루어 şi; 라틴어 tĕnere > 루어 ţine 등). 그밖에도 라틴어에선 존재하지 않았던 치경 파찰음/ʧ/ 와 /ʤ/ 또한 각기 라틴어의 유․무성 연구개 파열음들(g/ɡ/, c/k/)이 전설 모음들 앞에서 구개음화 된것들로서 루마니아어와 함께 속해 있는 소위 동 로망스어권의 이탈 리아어와 공유하고 있는 특성 중의 하나로 간주된다(예: 라틴어 gĕlu/gelu/ > 루어 ger/ʤer/, 이어 gelo/ʤelo/; 라틴어 caelum/kælum/ > 루어 cer/ʧer/, 이어 cielo/ʧielo/ 등).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는 라틴어에 근간을 두고 있으나 지역적인 여건상 기층어 및 상층어적인 요인 등으로 인하여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면서 소위 발칸 로망스어로서의 면모를 지니게 되었다. This article aims at a diachronic study on the consonant system of the Romanian language, one of the Romance languages, which are developed by a gradual transformation from the spoken Vugar Latin. As we can see from this research on the evolutuion of the Romanian consonant system, Romanian more or less maintains the basic consonant system of Latin,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Balkan Latin, which had a different evolution from the normal Westernstream. As far as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Latin concerned, it had a rather small number of consonants in comparison with the vowel system. Besides the glottal fricative h/ɦ/, which was originally aspirate in Clasic Latin began to disappear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ex.: ne homo > nehemo > nemo) and then lost completely in the initial position in Vulgar Latin(ex.: habeo > abeo). The finals -m, -s, -t of Classical Latin were eliminated in Vulgar Latin(ex.: murum > muro; formosus > formoso; cantat > canta et.). As far as the Romanian consonant system is concerned, the symbol k is a comparative rarity, which is not a regular letter in Romanian as in Latin. It is used only for international terms such as kilogram, kilometru etc. The voiceless velar plosive is represented by c(ex.: casă/kasǝ/). However this phoneme is changed to the alveolar affricate /ʧ/ before the front vowels(ex.: cer/ʧer/). The voiceless velar plosive is represented by the diagraph ch before the front vowels(ex.: ochi/oki/). The voiced velar plosive g/ɡ/ shows similar distributions as the voiceless. Among the consonant symbols, ş/ʃ/ and ţ/ʦ/ exist only in Romanian, which are in general derived from the Latin s and t before the front vowels(ex.: Lat. sīc > Rom. şi; Lat. tĕnere > Rom. ţine etc.). As already stated above, the glottal fricative h/ɦ/ of Classical Latin was lost completely in the initial position in Vulgar Latin. Therefore, the symbol h either disappeared in the Romance languages or is used alphabetically for the loan words but has no more sound, that is mute. Among the Romance languages, Romanian is only the language which uses the glottal fricative as phoneme. We can consider that the aspirate of Classical Latin was also lost in Romanian and then reintroduced by the influence of the neighboring languages, especially the Slavonic languages. Notice that this symbol appears generally in Slavonic based words(ex.: duh, hrană etc.). In addition, the Latin consonant cluster -ct/kt/-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was changed into -pt- in Romanian, that is, the velar plosive /k/ became bilabial /p/(ex.: Lat. coxa/koksa/ > Rom. coapsă/koapsǝ/). Another example for the labialisation is the changing of Latin făctŭm to Romanian fapt. Thus in Romanian is popular the labialisation which is regarded as the influence of the substratum. In conclusion, the Romanian consonant system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evolution from Latin to the Romance laguages,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ue to the geographical circumstance of Balkan Romance.

      • KCI등재

        루마니아어의 최초기 문헌에 대한 연구

        이문수(Lee, Mun-Suh)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루마니아어는 언어계보학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고대 로마인들의 언어였던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소위 로망스어군에 속해 있는 언어이므로 오늘날 자매 언어들인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과 마찬가지로 로마문자로 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루마니아어로 써진 현존하는 최고의 문헌은 1521년에 루마니아의 큼풀룽(Câmpulung) 지역의 한 지주귀족 출신인 ‘네아크슈’(Neacşu)라는 사람이 트란실바니아 지방의 브라쇼브(Braşov) 시장인 ‘하네스 벤크너’(Hannes Benkner)에게 당시 터키인들이 다뉴브 강을 도하하여 루마니아 공국들을 침범하려 한다는 기별을 알리기 위해 쓴 서신이다. 그밖에도 16세기 중후반경에 필사본으로 된 보로네츠 필사본(Codicele Voroneţean)과 스케이아 시편(Psaltirea Scheiană), 보로네츠 시편(PsaltireaVoroneţeană) 및 흐루무자키 시편(Psaltirea Hurmuzachi) 등과 같은 종교적인 문헌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아울러 이 즈음하여 루마니아에 인쇄술이 도입되면서 출판물들이 속출하기 시작한다. A.D. 842년에 작성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초기 프랑스어로 된 문헌인 스트라스부르그 서약(Serment de Strasburg)은 차치하더라도 여타 로망스어들에서는 현존하는 초기 문헌들이 늦어도 11~12세기에 써진 것에 비해 루마니아어로 된 초기 문헌들의 출현이 상당히 늦은 편일뿐만 아니라 이마저 키릴문자로 표기되어 있다는 사실이 주목할 만한 점이다. 이와 같이 루마니아어로 된 초기 문헌들이 여타 로망스어의 문헌들과 비교해 상당히 늦은 것과 키릴문자로 표기되어 있는 것은 중세 당시 이 지역의 복잡한 정치‧사회‧문화적인 상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무엇보다도 루마니아인의 선조들이 라틴어계통의 고유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애당초 문자를 사용하지 못했었다는 점과 훗날 슬라브인들이 대거 이 지역으로 이주해와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함으로써 927년 슬라브 교회가 그리스 정교회로부터 독립하게 되었고 그 후 루마니아교회가 1020년경 슬라브 교회에 속하게 됨으로써 이 지역 일대에선 고대 교회슬라브어어 가 예배의식의 정식 언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는 점과 아울러 루마니아인들이 공식적으로 문자를 처음 사용한 것은 13세기 말경 키릴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라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14세기 중후반에 발라키아 및 몰다비아 두 루마니아 공국들이 형성되었으나 당시 내적으로는 농민들의 권리주장이 팽배해짐에 따른 사회적인 동요와 외적으로는 오스만 터키제국의 서진정책에 대항하여 투쟁할 수밖에 없었지만 이런 과정에서 트란실바니아 지방에서부터 서서히 루마니아인들의 자주적이고 민족적인 인식이 싹트게 되었고 그 결과물로 16세기 초부터 루마니아어로 된 문헌들이 속출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루마니아어에서 로마문자가 정식으로 도입된 시기는 18세기 중후반부터 루마니아의 트란실바니아학파에 의해서 주도된 루마니아의 민족주의운동의 일환으로 당시까지 루마니아어를 비롯하여 발칸지역 일대의 언어들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왔던 키릴문자의 문제점이 제기된 후 1859년 몰다비아(현재 몰도바)와 발라키아(현재 문테니아) 공국이 연합된 이듬해인 1860년에 몰도바 지방과 문테니아 지방에서 로마문자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데서 비롯된다. This article aims at a study on the earliest documents of Romanian. Nowadays nobody can deny the fact that from the viewpoint of linguistic genealogy, Romanian is one of Romance languages which are derived from Vulgar Latin. Today Romanian is written in a wholly Romanised alphabet with three diacritics. However, the Cyrillic writing system was introduced into the area occupied by the modern Romanian language when Old Church Slavonic became the medium for religious texts. Because of the absence of direct contact between Romanian and Latin after the Roman evacuation in the year 275, it was inevitable that the names of Romanian people and places appeared sporadically written in Cyrillic script in Old Church Slavonic texts from the thirteenth century. The earliest extant Romanian texts date from the beginning of sixteenth century. It is the letter written in the Cyrillic writing system by a boyar named ‘Neacşu’ from Câmpulung in the year 1521 destined to the mayor of Braşov, called ‘Hanes Benkner’. The contents of the letter is to give an account of the affair that the Osman Turks contrived an invasion upon the Romanian principalities crossing the Danube. Even though we set apart the oldest extant text among the Romance languages, namely ‘Serment de Strasburg’ which was written in the year 842, the earliest extant Romanian text was made about 5 centuries later than the earliest texts of the other sister Romance languages, such as ‘Chanson de Roland’, ‘Indovinello Veronese’, Cantico delle Creature, Cantar de Mio Cid, Cantiga de Ribeirinha etc.. The reason, why the earliest extant text of Romanian came out so later than the ones of other sister languages and why it was written in the Cyrillic alphabet system, can be speculated to be caused by the complicated political and socio-cultural situations of this area at that time. In addition to this letter, the religious texts such as ‘Codicele Voroneţean’, ‘Psaltirea Scheiană’, ‘Psaltirea Voroneţeană’, ‘Psaltirea Hurmuzachi’ etc. appeared in the second half of the sixteenth century and moreover from about this time on, the typography being introduced in Romania from Venice via Serbia, many religious translations began to be published in Romania. It should be also mentioned that it was the late eighteenth century scholars of the Transylvanian School who made an attempt to replace the Cyrillic orthography with the Roman one for the first time in Romania. Nevertheless, the replacement of the Cyrillic system by the Roman one could be realized after the union of the principalitie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 KCI등재

        속(俗) 라틴어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문수(Lee Mun-Suh)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3 동유럽발칸연구 Vol.11 No.2

        고대 로마제국의 귀족사회에서 문어체로 사용됐던 고전라틴어와는 달리 속라틴어는 민중 들에 의해 구어체로만 사용됐던 언어였으므로 연구할만한 자료가 충분치 못하여 오랫동안 그 정체를 밝혀낼 수가 없었으나 19세기로 접어들면서 역사․비교언어학적인 연구가 활성화 되면서 인도-유럽어족에 속해 있는 언어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됐다. 로망스어들이 고대 로 마시대에 민중들의 언어로부터 유래한 것이라는 사실을 규명하여 명실상부하게 로망스언어 학의 효시로 인정받고 있는 디츠(Diez, F.)가 1836년부터 1843년에 이르기까지 3권에 걸쳐 저술한 로망스어들의 비교 문법서인 ‘Grammatik der romanischen Sprachen'를 출판함으로 써 라틴어 및 로망스제어에 관한 연구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됐다. 그 후 대략 2세기 동안 유럽의 수많은 석학들에 의해 속라틴어 관한 연구가 심층적으로 진행돼 왔다. 그 중에 서도 코세리우(Coseriu, E.)나 탈리아비니(Tagliavini, C.) 같은 학자들은 속라틴어의 정체 및 특성들을 정확하게 파헤침으로써 라틴어의 발달과정뿐만 아니라, 라틴어로부터 로망스제 어들까지의 진화과정을 통시적으로 연구하는데 시금석을 마련해 놓았다. 본고에선 속라틴어 의 특성을 음성․음운론적인 면과 형태․통사론적 및 어휘론적인 관점에서 고전라틴어와 비 교하여 차이점들을 부각시키고, 필요할 경우엔 현대 로망스어들에서의 예시를 들어주어, 속 라틴어와 로망스제어들 간의 유대관계를 입증하고자 시도했다. This article aims at a diachronic study on the phonological and morpho-syntactic as well as lexical characteristics of Vulgar Latin. Here we are involved in a terminology, with broad historical and chronological complications. Of course, we can find also in Classical Latin itself such expressions as sermo rusticus(country language) or sermo plbeius(plebeian language) or sermo cotidianus(everyday language). But Vulgar Latin will be partial synonym for Popular Latin or Folk Latin contrastint to Classical Latin. We accept the fact that Romance languages are developed by a gradual transformation from the spoken Latin, namely Vulgar Latin, not from the written Classical Latin. It means that Vulgar Latin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Classical Latin. Actually there are many Romance words, of which suitable forms are not found in Classical Latin. Thanks to the linguists of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in the 19th century, above all, the originator of Romance Linguistics, Friedrich Diez who defined in his in the years 1836 to 1843 publishedGrammatik der romanischen Sprachen' in 3 vols that the Romance languages are derived from so-called Vugar Latin. During the 20th century, many great linguists, such as Calo Tagliavini and Eugenio Coseriu examined it closely. Coseriu especially made it clear in his article called Das sogenannte Vulgärlatein und die ersten Diffenzierungen in der Roamnia'. Coseriu has the opinion that Vulgar Latin had not monotonous form but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the social stratum and provincial dialects etc. As far as the Characteristics of Vulgar Latin concerned, at first in point of phonology Classical Latin had a comparatively large number of vowels, considering the differences of quantity(ā, ă, ē, ĕ, ī, ĭ, ō, ŏ, ū, ŭ), on the other hands it had a rather small number of consonants. In Vulgar Latin collapsed the quantitative vowel system of Classical Latin, that means it did not exist differences of duration, namely long or short and the timbre played an important role, that is, it mattered the differences of quality, open or closed of vowels(ę-ẹ, ǫ-ọ). Among the consonants system the aspired fricative h was going to disappear and the finals -m, -s, -t were eliminated. In point of morpho-syntax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e neuter nouns of Classical Latin did not be found in Vulgar Latin and also in Romance languages with the exception of Romanian. In Classical Latin nouns are clearly identified as such by the fact that the ending indicates number, gender and case. That is the reason why it lent itself to freedom of word order and therefore tended to minimize the role of syntax. For example, in English, Peter sees Paul.is almost only correct word order but in Classical Latin there were six possible arrangements: Petrus videt Paulum.; Petrus Paulum videt.; Paulum Petrus videt.; Paulum videt Paulus.; Videt Paulum Paulus.; Videt Paulus Paulum. In Vulgar Latin it was not possible to use six arrangements more because as above mentioned the finals -m as well as -s were eliminated and could not distinguish the subject from the object any more. In point of lexicology it should be mentioned about semantic shifting such as equus - caballus, agnati - cognati, ignis - focus etc.

      • KCI등재

        루마니아어 정서법의 상징적 의미 : 1994년 개정된 정서법을 중심으로

        이문수(Mun-Suh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8 No.1

        언어계보학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루마니아어는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언어들의 그룹인 로망스어군에 속해 있는 언어로서 지리적인 여건상 발칸 로망스어로 구분되고 있다. 발칸 로망스어들 중에서 유일하게 일개의 국어로서 생존하고 있는 루마니아어는 일부 독특한 음소들 및 구별자질들(ă, â, î, ş, ţ 등)을 제외하곤 전반적으로 라틴어의 자모체계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현행 정서법 상에서 루마니아어의 모음체계는 8개의 모음들(a, ă, â, e, i, î, o, u)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음 â 와 î 는 동일한 음가(/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소로는 7개의 모음소들(a/a/, ă/ǝ/, â=î/ɨ/, e/e/, i/i/, o/o/, u/u/)을 지니고 있으며 9개(âi, ea, ia, ie, io, eo, oa, ua, uă)의 이중모음들 및 4개(eoa, eau, iau, iai)의 삼중모음들로 구성되어 있다. 루마니아어의 자음체계는 모두 19개(b, c, d, f, g, h, j, l, m, n, p, r, s, ş, t, ţ, v, x, z)의 자음들과 외래어들의 표기를 위한 4개의 자음들(k, q, w, 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음 c 와 g 는 뒤에 오는 모음이 중설 및 후설음(a, ă, â, î, o, u)일 경우엔 연구개 파열음(/k/, /ɡ/)이 되며, 뒤에 오는 모음이 전설음(e, i)일 경우엔 치경 파찰음(/ʧ/, /ʤ/)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루마니아어는 두개의 반모음들(/w/, /j/)을 제외하면, 모두 20개의 자음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루마니아어의 자모가 키릴문자에서 현행의 로마문자로 대체된 것은 1860년경에 몰도바지방과 문테니아지방(일명: 발라키아)에서 공식적으로 로마문자가 도입되었으므로 현대 루마니아어 정서법의 전통은 여타 로망스어들에 비해 비교적 짧은 편이다. 루마니아어에 로마문자가 처음으로 도입될 당시엔 라틴어나 여타 로망스어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일부 음소들을 표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키릴문자가 사용되었으며 나머지 음소들은 로마문자로 표기함으로써 키릴문자와 로마문자가 병용되는 과도기를 거친 후 이어서 1867/69년과 1881년, 1895년, 1904년, 1932년, 1954년 및 1965년에 잇따른 정서법의 개혁을 통하여 루마니아어의 정서법이 그 윤각을 드러내게 되었다. 루마니아 학술원은 1993년 3월 8일자로 기존 루마니아어의 정서법을 또다시 개정하여 중설 고모음 â 와 î 의 역할을 구별할 것을 결의하였고 의회의 동의를 거쳐 1994년 1월 1일 자로 새로운 정서법을 적용하고 있다. 즉 정서법이 개정되기 이전에는 라틴어휘 romanus 로부터 유래된 루마니아어휘 român 및 그로부터 파생된 România, românesc 등과 같은 루마니아의 국호나 국민 등을 일컫는 어휘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던 â 모음을 루마니아어의 모든 어휘에서 어중음은 â 로 그리고 어두 및 어말음은 î 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하였다. 그밖에도 새로 개정된 정서법에선 a fi(~이다, ~이 있다) 동사의 직설법 현재 시제의 기존 인칭변화형들인 sînt, eşti, este, sîntem, sînteţi, sînt 등을 각기 sunt, eşti, este, suntem, sunteţi, sunt 등으로 바꾸었다. 부언하자면 a fi 동사의 현재시제 인칭변화형에 한하여 어중음 ȋ 를 u 로 표기하도록 정하였다. 새로 개정된 정서법 상에서 관건이 되고 있는 상기된 두 가지 경우들, 즉 하나는 a fi 동사의 직설법 현재 인칭변화형에서의 î 가 u 로(예: sînt>sunt), 또 다른 하나는 모든 어휘상의 어중음 î 가 â 로의 변화(예:cînta>cânta)에서 모두 해당되고 있는 것은 오늘날까지도 그 기원에 대하여 논란이 되고 있는 중설 고모음 î 이다. 이와 같이 루마니아어의 정서법이 최근까지도 끊임없이 개정되고 있는 것은 18세기 후반부터 트란실바니아 학파에 의해 주동되었던 루마니아의 민족주의 운동의 일환으로서 루마니아어의 라틴성 복고운동의 연장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Romanian is one of Romance Languages derived via Vulgar Latin, namely Spoken Latin, from the Italic branch of Indo-European. Even though the linguistic structure of Romanian became different from that of Latin under the influence of the language of the natives, so called substratum in the Balkan Area, as well as of the neighboring languages, particularly the Slavic languages, one can say that in the phonological and morpho-syntactic aspects, Romanian generally preserves most of the features of Latin. The modern Romanian consonant system has 19 consonants(b, c, d, f, g, h, j, l, m, n, p, r, s, ş, t, ţ, v, x, z) and 4 consonant symbols(k, q, w, y) for the international terms. And the modern Romanian language has 8 vowels (a, ă, â, e, i, î, o, u). However, since the vowels â and î are phonetically realized equally as /ɨ/, the Romanian vowel system is composed of 7 vowel phonemes (a/a/, ă/ǝ/, â=î/ɨ/, e/e/, i/i/, o/o/, u/u/) in consequence. As stated above, the modern Romanian vowel system has two peculiar vowel symbols which did not exist in Latin, namely ă/ǝ/ and â=î/ɨ/. These two phonemes should be viewed as being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either from the Balkan substratum or from the Slavic languages. In general, the phoneme ă/ǝ/ can be considered as being influenced from the substratum, in view of the existence of this phoneme in the other languages of Balkan such as ъ/ə/ in Bulgarian, ë/ə/ in Albanian etc. As far as the Romanian orthography is concerned, the Cyrillic alphabet system was introduced in Romanian when Old Church Slavonic became the medium for religious texts from the late thirteenth century in the Balkan area. However, nowadays, Romanian is wholly written in a romanized alphabet with three diacritics. We can speculate that there would be two factors which led to the adoption of the Roman writing system in Romanian. The first one would be the growing national awareness of the Romanian peoples that had been increased by their contact with the Western Romance world. The second one would lie in the practical problem of adapting the Cyrillic system to match the phonemes which are introduced into Romanian with Romance loans from the Western, especially from French. It was the Transylvanian School of the late eighteenth century and of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at made an attempt to replace the Cyrillic orthography with the Roman one for the first time in Romania. Since then, the Romanian orthography system has been still changed even up to the recent times. For example, in 1994, the Romanian Academy decided to reform the Romanian orthography concerning the high middle vowel â=î/ɨ in the word-medial positions. That is, the Romanian high vowel î/ɨ/ has been used before the reform even in the word-medial positions such as cînta, rămîne, etc. with the exception of the word român and its derivations. However, according to the reformed orthographic system in 1994, the intermediate high vowel î should be changed to â such as cânta, rămâne etc. In addition, the indicative present conjugation forms of the verb a fi were before the reform 1. sînt, 2. eşti, 3. este, 4. sîntem, 5. şînteţi, 6. sînt etc. Nowadays it should be written with the vowel u instead of î , for example, sunt, eşti, este, suntem, şunteţi, sunt etc. The recently reformed Romanian orthography should be considered as an extension of the reromanizing or latinizing tendency of Romanian which was made on a large scale by the scholars of the Transylvanian School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in Romania.

      • KCI등재후보

        루마니아어의 모음체계에 대한 통시적 연구

        이문수(Lee, Mun-Suh)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5 동유럽발칸연구 Vol.15 No.1

        언어계보적인 면에서 로망스어군에 속해 있는 루마니아어는 오늘날 세 가지의 구별자질(diacritics)과 더불어 완벽한 로마문자로 표기되고 있으며 음성·음운론적이나 형태·통사론적인 면에서도 라틴어 및 여타 로망스어들과 상당한 공통점들을 지니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발칸 로망스어 중에서 유일하게 생존하고 있는 루마니아어가 발칸 라틴어의 특성으로 인하여 여타 로망스어들과는 다소 상이한 음운 변화 과정을 겪게 된 것을 제외하곤 대부분 라틴어의 음운구조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현대 루마니아어의 모음체계는 8개의 모음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음 â와Î 는 동일한 음가(/i/)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소로는 7개의 모음소들(a/a/, ã/ə/, ã=Î/i/, e/e, i/i/ o/o/ u/u/)을 지니고 있다.루마니아어의 모음들 중에는 라틴어나 여타 로망스어들에선 찾아볼 수 없는 두 개의 중설 모음들CaJ d/. a=피)이 존재하고 있다. 이 두 모음소들의 유래나 도입 시기 등에 관하여 아직도 루마니아의 언어학자들 간에도 남동유럽지역의 기층어 중의 하나인 트라코-다키아어의 영향에 기인한다는 학설과 상층어인 슬라브어의 영향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라는 주장 등으로 의견이 분분하다. 루마니아어의 â/ə 모음은 대개 라틴어 강세음절의 어중모음 a 가 비자음 (m, n) 앞에서나(예: 라틴 어 juramêntum > 루어 jurãmânt), 비 강세음절의 어말음일 경우에(예: 라틴어 casa> 루어 casâ) 나타나며, 어두음일 경우엔 매우 드물기는 하지만 구어체에서(예: ãsta. ãla 등) 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들 중에 특히 모음소 /ə/는 루마니아어 외에도 소위 발칸 언어 연합(the Balkan linguistic union) 에 속해 있는 알바니아어 및 불가리아어에서도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과, 더 나아가서 이 두 음소들이 지니고 있는 음운론적인 기능 및 진화 과정 등을 고려해 보면, 루마니아어의 ald/ 모음은 이 지역의 기층어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그 시기는 루마니아어의 이중모음 ea 및 oa 가 출현했던 6 세기 이후로 추측된다. 루마니아어의 중설 고모음 â=î/i/은 라틴어 폐음절의 a 모음이 비자음들(m , n) 앞에 위치할 경우에 나타나고 있으며(예: 라틴어 lana( 양모) > 루어 lana). a 모음이 어두에서는, 즉 개음절일 경우엔 비자음들 앞에서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예: 라틴어 annus( 해,년) > 루어 an). 반면에 루마니아어에서 이보다 후에 슬라브어나 기타 비 라틴계 언어들로부터 차용된 어휘에선 폐음절의 a 모음이 비자 음들 앞에서도 변하지 않고 그대로 존재하고 있다(예: 고대슬라브어 rana> 루어 rana) 따라서 루마니아어의 /i/ 모음소가 도입된 시기는 고대 루마니아인들이 슬라브 민족들과 접촉하여 그들로부터 언어적인 영향을 받기 이전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라틴어나 여타 로망스어들에선 찾아볼 수 없으며 루마니아어에만 유독 존재하고 있는 이 두 모음들의 경로는 발칸 및 남동유럽지역의 기층어로부터 기인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그 도입 시기는 루마니아어의 이중모음인 oa 와 ea 등이 출현한 6세기 이후에서 루마니아어에 슬라브어의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한 8세기 사이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diachronic study of the vowel system of the Romanian Language. Romanian more or less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system of Latin. except for som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Balkan Latin. which had a different evolution from the normal stream of Vulgar Latin. Classical Latin had a comparatively large number of vowels due to the maintenance of vowel quantity(a, ã. ê, é. î. í. õ, ô. u. û). while in Vulgar Latin collapsed the quantitative vowel system of Classical Latin. In other words. the vowel length contrast (long vowel vs. short vowel) did not exist in Vulgar Latin and thus the timbre. namely. the differences of quality (openness of vowels e.g., e vs. β Q vs. 0) cam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Vulgar Latin. The Vowel System of Western Romance Languages is derived from that of Vulgar Latin in which the Classical Latin’s short u became closed Q, while in Balkan Latin it became u. For example, the Classical Latin word fûrea became forea in Vulgar Latin from which are derived Italian forea, Spanish horea, Portuguese forea etc. By contrast. the same vowel u became u in Balkan Latin from which becomes furea in Romanian. Modern Romanian has 8 vowels(a, ã, â, e. i. î, o, u). However, the vowels a and i are pronounced equally as Iii so the Romanian Vowel System is composed of 7 vowel phonemes( a/a/, ã/ə/, ã=î/i/, e/e/. I/i/. o/o/, u/u/) . As stated above. in Romanian exist two special vowel symbols. namely â/ə/ and â=Î/i/, which were not in Latin. The time of their formation or the route of their derivation are still controversial in the field of Romanian Linguistics. Above all, regarding the phoneme /d/, I speculate that it would have been derived from Thraco-Dakish, the substratum of the south eastern part of Europe. The reason for this speculation is that the phoneme also exists in the so-called the Balkan linguistic union, namely, Albanian(ë) and Bulgarian(0). Thus, it may be argued that it is inherited from the common language spoken by the ancestors of the peoples who speak these languages at present. The phoneme a/d/ usually appears as a unstressed variant of the Latin a/a/(e.g., Lat. casa > Rm. casa) but also appears in stressed syllables closed by nasals(e.g., Lat. juramentum> Rm. juramant). With regard to the Romanian high vowel a=i/i/, the Latin a/a/ appears as â=î/i/ in closed syllables immediately followed by nasals(m, n) in Romanian. For example, Latin a in lana becomes a (e.g., lana) and the Latin word campus becomes camp in Romanian. However, in the loan words from Slavonic Languages a remains as a as in rana. In conclusion, Romanian maintains the basic phonological evolution from Latin to Romance languages, except for some phonological features produced under the geographical influence of Balkan Latin. The modern Romanian Vowel System has two vowel symbols, namely ã/ə/ and a=î/i/, which did not exist in Latin. It should be viewed that these two phonemes are generated as the result of the influence from the Balkan Substratum. In addition, the dating of their appearance in Romanian would be in the period between AD 6 when the Romanian diphthongs oa and ea are formed and AD. 8 when Slavonic languages have an influence on Old Romanian.

      • 루마니아어의 라틴성

        이문수(Lee, Mun-Suh)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2

        로마제국이 AD. 107년 대략 오늘날 루마니아 영토에 해당하는 고대 다키아 왕국을 정복하여 제국의 관할 행정지방으로 편제시킨지 불과 200여 년도 경과하지 않은 275년에 게르만종족인 고트족에게 넘겨주기까지 비교적 짧은 기간이긴 하지만 이 지역에서의 로마문화 및 라틴어의 보급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집약적이었다는 사실을 오늘날 루마니아어를 통해서 잘 입증해주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지역은 그 후 지리적인 여건상 비잔틴 문화권에 속하게 되었고 또한 얼마 안 있어 슬라브 문화권과의 밀접한 관계로 인하여 정상적인 라틴 문화의 발달과정의 주류에 동참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여타 로망스어들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게 되었다. 하지만 루마니아어의 음성․ 음운적인 면과 문법적인 구조는 라틴어적인 요소를 거의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각 로망스어마다 다소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은 그 지역의 토착민들의 언어적인 요소, 즉 기층어적인 요소가 라틴어적인 요소와의 융화 과정에서 라틴어로부터 로망스어로의 변화가 불가피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휘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루마니아어의 전체 어휘에 존재하고 있는 비(非) 라틴적인 요소, 특히 슬라브어원의 어휘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상당하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다른 각도에서 볼 때 루마니아어휘 중 일상생활 회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어휘만을 놓고 통계를 내 보면 라틴어원의 어휘가 60%가 넘으며 더군다나 인간의 신체부위를 지칭하는 어휘 약 100개를 조사해본 결과 90개 이상이 라틴어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언어가 어떤 언어계보에 속해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그 언어의 음성․음운적인 면이나 문법적인 구조를 조사하는 것이 급선무이며 더 나아가서 어휘적인 면, 특히 일상생 활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를 일차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일반적 이다. 따라서 종합적인 관점에서 보건 데 루마니아어에 존재하고 있는 라틴적인 요소들이 여타 로망스어들과는 다소 차이는 있지만 루마니아어의 근간이 되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Nowadays nobody can deny the fact that Romanian is one of Romance Languages which are derived from Vulgar Latin, namely Spoken Latin, whose structure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Classic Latin. Each one of these Romance languages has own characteristics due to the several reasons, first of all, to the language of the natives, in our case, so called Dacian(or Traco-Dacian).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phonological and morpho-syntactic as well as lex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tinity in the Romanian Language. Generally one can say that from the viewpoint of the phonological and morpho-syntactic aspects, Romanian preserves most of all the features of Latin. Of course, there should be differences among the languages. For example we already know that the Spanish words, ocho, noche, leche etc. or the Italian words otto, notte, latte or the Romanian wordsopt, noapte, lapte have the same Latin origin, namely octo, nocte, lact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Romanian it is confirmed that the Latin consonant cluster -ct/kt/-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of has been changed into -pt-, that is, the velar plosive /k/ became bilabial /p/. For another instance, in Romanian is popular the so called labialisation which is regarded as the influence of the substratum. The Romanian word coapsă/koapsǝ/ is derived from the Latin word coxa/koksa/. Also Romanian has two special vowel symbols, namely ă/ǝ/ and â=î/ɨ/, which Latin does not have. We can not exactly trace the dating of their formation or the route of their derivation. Besides, there is so called ioticisation in Romanian, which is pronounced e/ie/ instead of e/e/ for the limited words. For example, personal pronouns eu(in English I), el(he), ea(she) are pronouced as /ieu/, /iel/, /iea/. Concerning the morpho-syntactic characteristics of Romanian, one has to point out the fact that Romanian has some character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Romance languages; there is neutral in addition to masculine and feminine. Above all, the definite article is used as enclitic. For example, 『the man』 in English is 『omul』 in Romanian which is derived from Latin 『ille homo』. However, concerning the lexical aspect, one points out that Romanian has so many heterogeneous elements. Especially slavic elements can be found in all of the Romanian grammatical categories. For instance, in Romanian one says 『da』 for 『yes』. And they use the slavic induced form 『a iubi』 for 『to love』, which is probably the most emotional word of human being.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cent statistics, more than 90% of one hundred words of human body in Romanian are originated from Latin. We may conclude that Romanian phonology and morpho-syntactics generally preserve Latin elements, but it's vocabulary has many heterogeneous features.

      • KCI등재

        광의의 루마니아어 방언 연구

        이문수(Mun-Suh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8 동유럽발칸연구 Vol.21 No.1

        광의의 루마니아어 방언들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즉 하나는 다뉴브 강 이북지역에 존재하는 북다뉴브 방언과 다른 하나는 다뉴브 강을 경계로 하여 그 이남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남다뉴브 방언이다. 북다뉴브 방언에는 현재 루마니아영토와 몰다비아 공화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코루마니아어 및 현재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한 조그만 반도인 이스트리아의 일부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스트로루마니아어를 들 수 있다. 남다뉴브 방언으론 다코루마니아어를 제외하곤 방언들 중에서 사용인구가 가장 많은 방언으로서 일명 마케도루마니아어로도 불려지고 있는 아루마니아어가 있으며 다른 하나는 그리스와 마케도니아의 접경지대에 놓여 있는 메글렌지역, 특히 살로니카의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되고 있는 메글레노루마니아어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 광의의 루마니아어 방언들은 상당부분 공통적인 요소들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들이 분리되기 이전에는 발칸지역 일대에서 단일적인 언어인 루마니아어 공통조어가 사용되었다는 의견이 중론이다. 다코루마니아어는 현재 주로 루마니아의 영토에서 국어로 사용되고 있는 언어로서 광의의 루마니아어 방언들 중에서 유일하게 문어체를 사용하고 있다. 아루마니아어는 다뉴브 강 이남의 발칸반도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지만 주로 그리스의 북부지방과 마케도니아 및 알바니아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아루마니아어의 발음상 두드러진 특성으론 접두사 a의 사용을 들 수 있다. 메글레노루마니아어는 그리스와 마케도니아의 메글렌 지역 중에서도 특히 살로니카의 북부지방에서 구사되고 있으며 상당부분 아루마니아어와 유사한 면 을 보이고 있다. 이스트로루마니아어는 크로아티아의 이스트리아반도내의 Muntele Mare(이탈리아어 Monte Maggiore, 크로아티아어 Uĉka Gora) 산을 경계로 북쪽에 위치한 Cicearie(크로아티아어 Ĉićarija) 지역 중에서도 오늘날 주로 Susńeviţa(이탈리아어 Frascati) 와 Noselo(이탈리아어 Villanova) 등지에서만 구사되고 있으며, 이스트로루마니아어를 구사하는 인구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This article aims at a diachronic study on the Romanian varieties which is regarded as a fundamental problem for the evolution of Romanian. From the viewpoint of dialectology, the Romanian language, which is now spoken in the Repuclic of Romania, is considered as a kind of variety, Daco-Romanian, so named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Roman province of Dacia. However, there exist more three Romanian varieties like Aromanian(also called Macedo-Romanian), Megleno-Romanian and Istro-Romanian which are used in the outside of Romanian territory. All of these four varieties have the same common origin called by some Romanian scholars with the terms such as the primitive Romanian, the primitive common Romanian, the proto Romanian, the common Romanian etc. Under such historical and linguistic circumstances at that time, the common Romanian as a kind of Balkan Romance must have been spoken over a vast teritory north and south of the Danube. Due to the invasion of the Slavic peoples in the Balkans and Carpathians area, the population which spoke the common Romanian language split into two main branches, namely the North-Danubian(Daco-Romanian and Istro-Romanian) and the South-Danubian(Aromanian and Megleno-Romanian). Mass dislocation took place southwards in the beginning of the 9th century to the Pindus Mountains and Thessaly. These are the Aromanians and Megleno -Romanians whom the Greeks called ‘kutsvlahi’ and the Serbians ‘tsintsari’ etc. In this respect one can agree with the Romanian linguist Capidan and Puşcariu who asserted that the South-Danubian groups separated between the 9th and 10th century from their northern sisters after the crystallization of common Romanian but before the Hungarian influence in Romanian because the South-Danubian Romanian dialects do not contain any elements of Hungarian origin. As far as Istro-Romanian is concerned, it is usually agreed that the Istro-Romanians began to separate around the 13th century from their brothers, the Daco-Romanians a little later than South-Danubian brothers. In a word, one can define that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guistic aspects, all of the four Romanian varieties preserve most of the features of the common Romanian with some elements influenced and borrowed from the languages of Balkan areas with which they came into contact in the course of many centuries.

      • 발칸 로망스어의 특성

        이문수(Mun-Suh Lee) 한국동유럽발칸학회 1999 동유럽발칸학 Vol.1 No.-

        This article aims at the diachronic studies on the phonological and morpho-syntactic characteristics of Balkanromance languages, which comprise two language. One is the easternmost branch of the Romance Languages Family, namely Romanian. The other is Dalmatian, which was spoken until the end of fifteenth century on the coastal areas of what is now Croatia and on the offshore. It is in a number of ways structurally intermediate between Italo- and Balkanromance languages. Roamnian itself is divided into four principal varieties: 1. Daco-Romanian, so named because of being associated with the Roman Province of Dacia, on the north bank of the lower Danube, 2. Arumanian , spoken in nothern Greese, Albania and Macedonia, which is also called Macedo-Romanian, 3. Megleno-Romanian, spoken in a small area to the north of Salonika and 4. Istro-Romanian, spoken around Ucka Gora, not far from Rijeka in the Istrian peninsula of Croatia. All of the four varieties have a common origin. Their initial split, which was caused by the slavic invasion, dates from the second half of the first millenium. Modern Romance languages are without doubt derived directly from Vulgar Latin ,whose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Clasic latin, which was totally lost at the end of the sixth centurγ with the collapse of Roman Empire. From the viewpoint of Romance linguistics, the whole Romania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the Western Romania, which comprises Galloromance and Iberoromance. The other is the Eastern Romania that includes Italoromance and Balkanromance. Romanian and Dalmatianon belong to the Balkanromance, which was isolated early from the mainstream Romance evolution. Therefore, on the one hand, it was influenced easily by the neighbouring heterogeneous languages and, on the other hand, it preserves the archaic Latin features, namely Balkanlatin features. In lparticular Dalamtian shows conservatism to the extent that it preserves the features of Clasic Latin such as the archaic latin comparative form 'major > mauro’, while the other Romance languages use the periphrastic form with adverbs derived from Latin 'plus' or ’magis' , which came into being later in Vulgar Latin. Dalmatian also shows innovations which we can see in the so-called cetural Romance languages such as Italian and French. In a word, Dalmatian has two-sided characteristics, namely extremely conservative and innovative ones. In this respect, it can be regarded that Dalmatian played the bridging role between Italoromance and Balkanro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