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 리텔링(re-telling)을 통한 창조적 글쓰기와 인문학적 성찰-건국대학교의 `창조적 사고와 표현`을 중심으로-

        이명희 ( Yi Myou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6 No.-

        본고는 건국대학교 교양필수 과목인 `창조적 사고와 표현`에서 학생들이 모둠 발표로 수행한 고전 리텔링(re-telling)과 글쓰기가 인문학적 성찰을 견인하고 있음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고전 개작을 다양한 방법-애니메이션, 연극(가면극), 역할극, 영화(실제로 동영상으로 스토리를 제작-으로 발표를 하기에, 본고에서는 다시 쓰기, 고쳐 쓰기, 패러디를 포함한 개념인 리텔링으로 명명하였다. 따라서 리텔링이란 고전을 창의적으로 읽고 새로운 매체를 활용하여 표현하는 글쓰기의 전(全) 행위의 총칭이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소통을 경험하며 창조적 사고와 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것이 다른 전공 및 교양과목 글쓰기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밝혔다. 강의 발전을 위한 피드백 자료 설문에 총 123명이 응하였다. `이 글쓰기 수업이 다른 수업의 글쓰기에 도움이 되었는가?` 라는 질문에 114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대답했고, 9명은 아니라고 대답 했다. 그러나 `이 수업이 실제 창조적 사고와 표현에 도움이 되었는가?` 라는 질문에는 절대적으로 122명이 `그렇다`고 대답했다. `어떤 과제가 가장 그렇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37%(2위)가 그룹 활동을 통한 고전 리텔링이라고 하였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원 간에는 자신과 의견이 다른 사람의 생각을 어떻게 수렴과 합의가 리텔링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었으며, 둘째, 다른 조의 발표를 통해서는 `창의성`에 대한 다른 시각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개인이 혼자 상상력을 통해 만족하는 형태가 창의성이 아니라 공감된 창의성이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작업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셋째, 창의적 사고로 인해 창조적 글쓰기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그룹 활동을 통한 리텔링은 인문학적 성찰을 견인한다고 볼 수 있으며, 창조적 사고와 글쓰기에 긍정적 효과를 준다고 본다. This article aims at defining that the re-telling of a classic and writing which the students presented as a group activity in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on` that is the liberal arts education requirements of KonKuk University has been guiding to humanistic reflection. We found that the students adapted a classic with various ways such as animation, a play(masque), role play and a film(produced the story with video), so this paper called it as re-telling that includes re-writing, re-scripting and parody. Therefore, the re-telling is a generic term for writing which one reads creatively a classic and expresses it with a new media. This study found that the students have been experiencing communication in this course and it has been influencing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on, and that this also has the positive effect on writing of other majors and the liberal arts. Total 123peoples have answered to survey for development of a lecture. 114peoples have responded as `yes` to the question of which the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on` class was of help to writing of other classes, 9peoples have responded as `no`. 122peoples have absolutely responded as `yes` to the question of which this class was of help to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on. 37% of them(No.2) have responded as re-telling of a classic through a group activity for the question of which task is the best for it. The reason why is as follows : First, how the members can accept other`s thinking that is different with him and agree with each other was of help to activate the re-telling, second, they have been had a different perspective for `creativity` by the presentation of other group. They found it is not a creativity that individual can satisfy alone through creativity, but it is a meaningful work that the emphasized creativity can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ird, it is in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creative writing due to creative thinking.

      • KCI등재후보

        창조적 시 읽기를 통한 내적 고백의 글쓰기

        이명희 ( Yi Myou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21 No.-

        `창조적 사고와 표현`은 글쓰기 수업 중 가장 다양한 문학 및 예술 텍스트를 창조적으로 재해석, 재창조할 수 있는 시간이다. 이는 대학 이전의 교육을 통해 문학 및 예술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전제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대학생들이 시 읽기를 통해 실제 그들의 고백이 자신들을 소개하는 글쓰기에 어떻게 투사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때, 시 읽기의 단계를 4단계로 분류하여, `감정이입/공감/위안->자아성찰/반성->자아실현/목표->미적체험`의 과정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각각의 감정 상태는 다음 단계로 이행되거나, 각 단계에 그칠 수 있다고 보았다. 총 53명의 학생들의 시 읽기 시제를 살펴 본 결과 시 읽기의 첫 번째 단계인 공감과 위안으로서의 시 읽기는 다양한 점수대의 학생들로서 가장 많은 인원 (18명/53)을 차지하였다. 이는 시(詩)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바, 가독성이 좋은 시, 쉽게 이해되는 시가 많은 학생이 선호하는 시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대학교육 중 인문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조차 고등학교에서 배운 시들을 재독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는 교양 및 인문학부에서 보다 통섭적인 수업이 이루어진다면, 교양교육으로서의 글쓰기는 보다 진일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자아성찰과 자아실현으로서의 시 읽기는 창의적 시 읽기가 요구되는 단계이다. 이때 선택된 시 텍스트는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 혹은 개인과 세계간의 관계를 고민하는 시들이 선정되었다. 자아성찰은 보다 사회적 관심으로 시작된다. 자아성찰과 자아실현으로서의 시읽기는 대학수업에서 주어지는 과제 역시 인문과 교양과목에서 활용될 수 있는 예이다. 아울러, 취업과 진학을 앞둔 학생들에게는 내적고백형식을 통한 자기소개서와 진학계획서 글쓰기에 접목될 수 있다. 공감과 위안의 시 읽기 과정에 속한 학생들의 학업성취결과는 평균 76점< 자아성찰 및 반성적 시 읽기 73점 < 자아실현으로서의 시 읽기는 80.7점 < 미적체험으로서의 시 읽기는 81점으로 나타났다. 물론 학업성취도가 자아실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나, 이들이 학생임을 감안했을 때 일정 부분 타당하다고 본다. 각 단계의 시 읽기는 모두 내면고백을 통해 산문적 글쓰기로 연동되며 자연스럽게 진행되었다. 또한 자기소개서는 시 읽기를 경험하였을 때가 보다 창조적인 인생관을 표현할 수 있었다. The `creative thinking & expression`, among writing classes, provides the students with time for reinterpreting and recreating literature and artistic text which is the most various field. Because, the course is based on literature and art during pre-uni education. This research discusses about how university students project their confession on their writings through reading poem. The steps for reading poem has been classified into four steps : empathy/sympathy/consolation -> self examination/ reflection -> self realization/ target -> esthetisches erlebnis. And it has been assumed that each step can be transferred to the next step or be stopped. Fifty three students` poem reading habit have been examined and the most students (18/53), consists of students from various score range, have been affiliated to the first step which is empathy in total. This indicates a problem in education on poem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prefer easy-reading and easy-understanding poems. Even the university students who study the humanities reperuse the poems which they have learnt in high school. This, fortunately, implies that more comprehensive education in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refinement course can lead to advancement in education for writing. In turn, reading of poem as self reflection and realization step requires more creativity. The poems for this step have been selected from the ones which deal with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 to person, person to society and person to the world. Self reflection starts from a more social perspective. Reading of poem as self reflection and realization can be seen as a good example of utilization of reading of poem in humanities and refinement courses. In addition, the reading of poem through internal confession can be used for guiding students for writing self introduction letter and study plan. During the empathy and sympathy step, the average academic aptitude of students were 76 points< 73 points for self reflection and examination step< 80.7 points for self realization< 81 points for esthetisches erlebni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urse, does not represent the whole state of self realization but some extent regarding they are still students. Each step of poem reading has been processed interlocking to prosaic writing through internal confession. Further, this sort of education enables students to be more creative to present their view point of life filling in their letter of self introducing.

      • KCI등재

        자율적 시 읽기를 통한 시 정신의 함양 -대학교양교육으로서의 시 읽기를 중심으로-

        이명희 ( Myoung Hee Yi ) 겨레어문학회 2013 겨레어문학 Vol.50 No.-

        본 연구의 본질은 교양교육뿐만이 아니라, 학문을 공부하는데 있어, 교육자부터 교육의 목적을 상기하고 실천하며, 기존의 교수법에 대한 성찰, 목적에 부합하는 교수자의 역할을 재고해 보는데 있다. 1장에서 자율적 시 읽기가 불가능한 한국의 교육상황에 대해 문제를 제기 하였다. 문제풀이를 통해 분석되는 시의 편린들은 주제, 형식, 시적 장치를 통해 학습자에게 균일하게 전달된다.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시 읽기가 필요하며, 자율적 시 작품의 선택과 시 읽기는 학습으로서의 시 읽기에서 체득하지 못했던 시적 언어를 통해 시 정신에 도달하게 된다. 2장에서는 자율적 시 읽기의 필요성과 시 교육의 의의 살펴보았다. 시는 다른 고전이나 문학작품과 비교해 작품을 생활 속에서 단시간 내에 기승전결을 읽을 수 있으면서도, 개인에게 주는 지적, 감성적, 철학적 자극이 강하기 때문이다. 시는 시인의 의도, 혹은 의도와 상관없이 시는 짧고 해석의 자율성이 높은 만큼 개인 혹은 사회에 객관적, 이성적 합의보다는 주관적, 감성적 합의에 기댄 왜곡된 가치관이나 세계관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3장에서는 ``교양교육으로서의 시정신의 의의``를 통해 시는 타자에 대한 질문과 답을 찾는 치열한 시 정신을 구현하는 과정이며, 독자는 시를 읽으며 시인의 질문에 대한 답을 함께 찾거나, 그들의 질문을 재고(再考)하게 한다. 다시 말해, 전공자의 시각이 아닌 교양인의 철학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세계에 대한 관심은 다양한 삶을 다르게 이야기하고 있는 시를 통해 배우게 된다. 교양과정에서는 이러한 시 정신을 읽어내려는 노력은 교수자와의 협력에 의해 가능함을 4장에서 ‘자율적 시 읽기와 시 정신 함양의 실제 사례’를 예로 들어 살펴보았다. The essenc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the existing teaching method and to reconsider a role of the teacher that accords with a purpose of education, while the teacher at the first recalls the aims of education and practices not only for a liberal education but also for the learning. In the 1st chapter,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condition of education in Korea that is impossible to have autonomous reading poetry. The portions of poetry that are analyzed by problem solution can be delivered to a learner by a subject, a form and a poetic device. Autonomous and creative reading poetry is necessary for a liberal education in a University, and to select autonomically a poem and to read can be reached to the soul of poetry by a poetic language that couldn`t learn in reading poetry as a learner. In the 2nd chapter, it examined the needs for autonomous reading poetry and the meaning of education of poetry. While poetry can be red four steps of a work in composition within a brief time in life comparing with other classics and a literary work, it has a strong intellectual, emotional and philosophical stimulation for an individual. Due to what poetry are short and have higher autonomic of comprehension depending on the poet`s design, or regardless of his design, it can make distorted values or a contorted view of the world that lean on the subjective and emotional agreement rather than the rational agreement in an individual or society. In the 3rd chapter, with ``the meaning of the soul of poetry as a liberal education``, it showed that as poetry are the process of realization of the soul of poetry which finds a question for others and an answer, it makes a reader find an answer for a question of a poet while reading a poem, or reconsider their questions. In other words, one may learn an interest in the world that can be viewed on side of philosophy by a cultured person, not a specialist, through poetry that talks differently various life. In the 4th chapter, it has examined that ,during the liberal art course, such effort that tries to read the soul of poetry is possible to be built by cooperating with a teacher, as presenting an example of ``a real case for autonomous reading poetry and cultivation of the soul of poetry``.

      • KCI등재

        하종오 시에 나타난 다문화 현상의 양상 - 인식의 태도(態度)와 성찰의 시각(視角)을 중심으로

        이명희 ( Yi Myou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6 No.-

        본고는 아시아 여성의 이주와 결혼으로 이어지는 아시아 여성의 디아스포라(Diaspora) 문제를 한국 현대 시인으로서 사실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하종오의 시세계를 통해 살펴보고 앞서 제시한 문제점을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199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한국 내 아시아 여성이주인구의 증가로 인해 한국사회는 `다문화 가정`과 `다문화사회`라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되면서 아시아 이주여성이 하위주체(Subaltern)가 아닌 온전한 여성으로 어떻게 정체성을 확립하는지를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살펴본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한국의 경제발전이 아시아 이주여성의 결혼과 무관하지 않으며, 그 과정에서 하위주체로 자리매김 되었던 그들의 정체성 회복과 건강한 모성 획득을 통해 다문화 가정과 사회의 문제점의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 내 노동시장에 유입된 결혼한 이주여성에 대한 차별적 시선은 다름 아닌 결벽증적인 순혈주의를 고집하는 역사적 체험에서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의 인정과 공존을 위해서는 먼저 한국인의 정체성 인식에 대한 그간의 태도의 반성이 필요하며, 다문화 공존 경험의 부재에서 기인하였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들의 존재론적 다름을 다양성으로 인지하고 이를 위해, 사회, 문화, 행정적으로 존엄성을 갖고 그들이 우리와 함께 존립할 수 있도록 이주자와 한국인, 그리고 행정자의 노력이 삼위일체 해야한다. 외국인정책본부의 정체성에 관한 인식은 한국적인 것을 중심부에 두고 타자의 문화를 수용하고자 하는 방침으로 보인다. 하종오는 다문화현상과 이에 관한 문제를 객관적으로 태도를 유지함으로써 성찰과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의 시를 통해 아시아 이주여성과 이주 노동자 및 제 2세의 다문화 가정의 현실을 직시하는 것은 그간 아시아 여성이주자나 다문화 가정을 온정주의로 바라보는 미온적 대안에서 벗어나 온전한 공존을 모색하려는 관점이다. 그의 시에 나타난 아시아 이주여성의 정체성과 현실을 크게 불편한 주체의 불온한 응시와 하위주체(Subaltern)의 침묵과 하위주체의 주체적 시선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We should be human beings first, after then should be citizens, I think.”(Civil Disobedience, Henry David Thoreau) The quotation from Henry David Thoreau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 in the multi-culture coexistence era. In order to be a mature citizen, individuals should be mature first. It leads to develop the country and citizens together. Multi-culture is not referred that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 solve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a territory. When there is understanding and respect of other countries` characteristics and identities, multi-culture coexist. Coexistence without respect and consideration conceives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Since Korea experienced colonial period, the division of Korea after the Korean War and industrialization, Korea has stuck to pure blood tradition for unification. For the unification, economic development and national unity have been given priority to any other problems. Therefore, they have not had enoug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harmony life with various races and cultures in the territory. The economic gap between South and North is too big, so North Korean defectors are included in Asian immigrant workers. In the process of solving multi-cultural problems, it is possible to discover a clue to restore the homogeneity. The Korean government and people should be the unification. Acknowledged this problem, this study has looked into `multi-cultural` phenomena and symptoms in Korean modernpoetry. Particularly, it shows literary figuration of marriage immigrant women`s life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From Ha Jong-O`s poetry, identity of Korea due to its traditional pure blood custom was examined to recognize discrimination to difference. Ha Jong-O is a poet who focuses on Kosian issues. In his collection of poems, `Asian-Koreans`, human rights of Asian women and sadness of diaspora are main subjects.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looked into relevance between the increase of Asian women population since 1990 in Korea and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process, it is symbolized that how the identity of Asian immigrant women is established as a woman not as a subaltern. In this paper, we examined with literature genre. The study could benefit to find a specific solution and to understand the relevance between Asian economic development and marriages of Asian immigrant women. Besides, the identities of marriage immigrant woman in Korea and Korean pure blood tradition are caused by historic experience not ideology for discrimination.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at immigrants and Koreans make an effort together in order to coexist. They should recognize difference as diversity to have social, cultural and administrative dignity. After all, there should be equal relationship as a supranational and global citizen. Literature has the answer. We can find a solution for problems, which could not be solved by history or politic, in literature. Because it has wisdom of ancestors. That is the virtue of literature.

      • KCI등재

        일반논문 :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고전 속 여성 신화의 전복적 양상 -김혜순, 김승희, 문정희 시인을 중심으로-

        이명희 ( Myoung Hee Yi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2

        문화가 시작된 이래로 인간은``존속과 야망``의 서사에서 공존과 평화의 담론으로 회귀하고 있다.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고 남성과 여성이 공존하는 생태적 조화를 견인하는 서사들이 21세기의 키워드가 되는 것은 마땅하다. 따라서 신화적 상상력은 시원의 생태적 담론을 견지하며 세계와 인간, 인간과 인간이 조화하며 살아가는 이야기로 견인된다. 그간 한국 여성신화 속의 여성들은 전승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수성과 사회적 배경을 간과하고 무속신의 대표로 폄하되어 평가되었으며, 대부분의 서사에서 희생을 강요당한 모습으로 그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신들은 다양하고도 주체적인 방식으로 운명에 대응하고 있다.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대지는 한국 문학의 주요한 메타포로 작용한다. 한국의 여성신화는 대지신의 본령인 생산, 즉 생리와 출산을 남성적 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기록되었다. 따라서 현대 여성시인의 시세계에는 한국의 설화와 신화를 전복적으로 수용하고 배치한다. 김혜순, 김승희, 문정희는 고전의 여성신화를 여성적 관점에서 서사를 재배열하고 있다. 이들의 시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전복시키고, 치유의 서사를 지향한다. 따라서 본고는 현대 여성 시에 나타난 여성 신화가 어떻게 전복되어 신화적 상상력을 담지하고 있는가를 살필 것이다. 또한, 신화 속 여성의 서사를 수용하고 있는 여성시인들이 준열한 자기반성과 도전을 통해 치유와 화합의 세계를 모색하고 있음에 주목할 것이며, 수용과정 중에서 서사의 전복양상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필 것이다. 이들은 전복적이고 반성적인 어조로 여성들의 삶을 재구성하였는데, 특히 출산을 통한 여성과 모성의 이미지에 집중하고 있다. 그 이유는 타자화 되어 버린 여성의 몸이 남성적 권력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식민화된 여성의 몸의 주체성을 회복 하는 길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들의 시는 강요된 모성신화의 허구를 탈식민주의적 관점으로 환기시키고 있다. Mythic imagination is the original research method that can study humans and nature, man and the world as well as ecological discourse that can restore modern humans into healthy culture of origin. Since the beginning of culture, humans have been returning to discourse of coexistence and peace from the narration of survival and ambition. It is no doubt that the narrations leading the ecological balance where men and women coexist and nature and humans coexist become the keywords of the 21st century. Therefore, the research on ``mythic imagination and narration`` can be an opportunity to study on the basi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erms that it has the same way with on ``mythic imagination`` of each country including East Asia where Korea belongs. The poems in which mythic imagination is revealed among poems that appear in modern women poetry are based on or modified from tales and myths of Korea. Points of sameness that appeared in these works are that allegory of mythic imagination is similar or the same as the one found in Asian literature. Among these, mythic imagination of Bango and Seowangmo of China and Amenoumez, Izanagi of Japan along with Mago, Barigongju, Arang, Mt. Seongmo myth, Jacheongbi of Korea is related to original images of women poetry. For this, I try to focus on the poetry worlds of Kim, Hye-soon, Kim, Seung-hui and Moon, Jeong-hui, who are the representative poets of feminist sight. Kim, Hye-soon is fully exposed to the story of myth baridegi or Danggeum baby and grandma Mago. Land which is important in an agricultural society acts as the main metaphor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original critical method on Kim, Hye-soon, Kim, Seung-hui and Moon, Jeong-hui who will be discussed in this paper, we can review the basis of the imagination deeply rooted in Korea women`s consciousness and this shows contemporariness and seriousness. This study becomes a good opportunity to introduce the myths of Korea,a along with feminist sight of Korean modern women poets. Therefore, this study, ``Mythic imagination and narration expressed in modern women poetry`` will be an opportunity to weave weft and warp of imagination understand the East Asian Culture in the narrow sense along with enhancement of Korean mythic imagination.

      • KCI등재

        월북 작곡가 김순남의 노랫말로 전유된 시세계의 의의 - 문학치료의 탐색을 위하여

        이명희 ( Yi Myou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4 No.-

        한국에서의 해방공간(1946~1950)에서의 음악과 시의 상호텍스성(intertextuality)을 내재한 영향력 있는 음악가와 시는 과연 무엇이었을까. 시대적 아픔과 트라우마를 치료하기 위해 시에 곡을 붙여 분열되고 상실된 서사를 치유하는 것이야말로 해방공간에서의 문학치료가 관심을 기울여야 할 영역이기도 하다. 이는 해방공간에서 노래로 불린 시들을 살펴봄으로써 해방공간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미치는 개인의 서사로부터 집단적·사회적·국가적 트라우마 서사를 건강하게 회복시키는 작업일 것이다. 김순남은 근현대사에서 가장 두각을 나타냈으나 우리역사에서 잊혀진 월북 천재음악가로 2017년은 그가 탄생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김순남은 이제 시문학에서도 살펴보아야 할 의미 있는 월북 작곡가임에 분명하다. 왜냐하면 그의 음악세계가 해방공간을 고스란히 음계로 담아내고 있다는 점, 그 음계가 시인의 시세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의 노랫말을 통해 음악과 시의 상호성의 연구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김순남은 월북 시인들의 시를 가지고 작곡하였다. 본고는 1948년 4월 15일 아문각에서 발행된 김순남의 가곡 중 월북시인과 김소월의 시세계를 통하여 노래로 전치된 시의 문학치료(literary therapy)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1. 김북원의 「철공소」, 박노춘의 「탱자」를 삶의 리얼리티를 실사를 뽑듯이 나열하였으며, 2. 오장환의 「양」, 박노춘의 「탱자」는 자연에서 그 제재를 취했지만 옴짝달싹 할 수없는 갑갑한 현실과 자유로운 자연의 순리를 대조적으로 드러내고 있어 작곡가의 비극적 정조를 깊이 드러내고 있다. 3. 김소월의 「산유화」와 「진달래꽃」을 통해서 당대의 민족정서를 고양시켜 정체성 회복을 촉구하는 의도로 시와 노래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작곡가가 어떤 가사를 선택했다는 것은 그가 가진 정서와 가치관을 듣는 사람에게 전이시키고, 또한 유추할 수 있게 가늠한다. 우리에게 정치적 이유로 금지되어야하는 문학이나 예술작품이 있다는 것은 아직 우리 사회 전반에 정서적, 가치관적 상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흔은 편견을 낳고, 그 편견은 또 다른 상처를 낳는다. 반대로, 해금이 된다는 것은 한 사회가 어떠한 부분이 치료가 되었거나, 되어가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작품의 예술적 가치와 창작자의 개인적 평가가 온전히 분리될 수는 없으며, 냉정한 인물 평가와 작품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은 거시적 문학치료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 텍스트와 멜로디의 상호텍스트성이 문학치료에 시너지를 가져오는 것처럼, 두 창작물에 대한 감상과 이해가 시대에 대한 역사적 성찰, 창작자에 대한 입체적 성찰과 이해로 심화될 수 있다. 성찰과 이를 바탕으로 한 작품들의 감상이 문학 치료적 관점에서 창작자들에게 영향을 받은 관련된 모든 사람들과 격정에 반세기 동안 누적된 우리 사회의 정서적, 가치관적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What was the influential music and poetry that embodied the intertextuality of music and poetry during the liberation space (1946-1950) in Korea? In order to recover from trauma and pain caused by the Korean liberation space and time of need,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application of literary therapy, which is an area of healing poetry that has been forgotten over time. This study aimed to restore the collective, social, and national trauma narratives from the individual accounts of those in the liberation space by reviewing poems that are created through songs of that era. Kim Soon Nam, the musical geniu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distinguished himself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but has since been forgotten. It is indisputable that Kim Soon Nam is a meaningful figure within the poetry genre who needs to be studied further. What sets him apart from his contemporaries is that his musical world reflects the liberation space through its notes―that is, his notes are based on the poetic works of defected poets and lyricists, and his lyrics helped advance research of the harmony and reciprocation of music and poetry. Kim Soon Nam composed his music using the poems of those who defected to North Korea. This paper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literary therapy from poetry transformed through the lyrics of the defected poets, specifically in the lyric poem “Lullaby,” a song by Kim Soon Nam. Through the composers` careful and deliberate selection of lyrics, it is possible to convey and also analogize their emotions and values to the listener. The fact that there are literary and artistic works that are prohibited for political reasons shows that there yet remain emotional and ethical scars prevalent in our society. These scars produce prejudice, and such prejudice breeds other wounds. On the other hand, the fact that Haegeum is happening (the release of forbidden literature from North Korea), is proof that the society is healed or is in the process of being healed. The artistic value of the works and the personal evaluation of their creators cannot be completely separated, and the simultaneous evaluation of a non-biased individual and the evaluation of work can be a starting point for macro literary therapy. Just as the intertextuality of text and melody brings synergy to literary therapy, the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two creations can be deepened by the historical reflection of the age and a three-dimensional reflec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reator. Through reflection and appreciation during the examination of literary works, and by considering the emotions accumulated over half a century of the passion of creators and those influenced by those creators, literary therapy, as well as value oriented therapy can occur simultaneously.

      • KCI등재

        현대시 읽기를 통한 문학적 상상력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명희(Yi, Myoung-He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80 No.-

        이 연구는 적극적 시 읽기의 과정에서 시 창작자와 독자 사이에 공감대가 형성된 경우,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자기 효능감에 도달하게 되며, 시적 상상력은 시 내용에 적극적으로 개입되어 자기비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대학생의 시 읽기를 통해 분석하였다. 문학은 독자의 문학적 상상력과 개별적 경험이 넘나들며 공감의 과정을 넘어 새로운 깨달음의 순간을 이끌어내는 장르이다. 학생들은 원전의 시를 재독하며 미래와 연관 지어 현재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인지하게 된다. 이때 문학적 상상력이 자신의 문제에서 세계의 문제로 확장될 때, 자신의 문제와 관련된 글쓰기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는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이 잘 드러난 시와 글을 성찰과 발견, 비전적 공감의 ‘자기 효능감’으로 나누어 시적 상상력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독자의 정서적 주체의 상상력이 높을수록 자기 효능감이 높은것으로 드러났다. 시 읽기는 독자가 망각하고 있던 자신을 일깨워 거울앞에 세워 자신의 내면을 읽는 정서적 추체험의 과정이다. 시 읽기가 불편하거나 익숙하지 않은 대학생들에게 자신과 문학을 개연적으로 생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의 문제를 대입하는 문학적 상상력이 필요하고 또 문학을 이해하는 데 용이한 방법이다. 정서적 공감이 쉬운 시들일수록 독자에게 틈입하여 공감은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독자는 시어와 시 전체의 의미, 혹은 시가 지향하는 메타포적 의미를 추론하여 성찰과 발견, 나아가 비전적 공감을 통한 ‘자기 효능감’을 경험할 수 있다. 더불어 인생과 세계의 문제를 다루는 문학의 장에 한층 다가서는 긍정적 시의 본질에 다가서게 된다. This paper reviews about the impact of literary imagination on “self-efficacy.” via poem reading. It posits, using actual student essays, that readers reach “self-efficacy” via literary imagination when the poet helps readers form empathy through the process of poem-reading. Self-vision may be influenced when readers are proactively involved the context of a poem. Literature, including the poetry genre, is a field which can anchor readers’ enlightenment. Even those who are beyond empathy may find links between literary imagination and their own experience. To achieve enlightenment, readers must synthesize their thoughts through a process of deep immersion in empathy, consolation, and reflection. This progression is necessary to form a reader’s identity. Students must repeat the process when rereading the original poem. This allows recognition and objective analysis of current issues, and their connections to the future. Eventually, the gap between literature and reality vanishes. In this way, reading a poem allows for understanding of more than the poem itself. Rather, a circle of imagination can be drawn which includes more than an individual reader. It encompasses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well as the community. Such readings transform texts to active, subjective mirrors of one"s life (moving beyond reading a text merely to get answers for a test). Therefore, when literary imagination expands from one"s personal issues to universal issues, the writing itself reflects “self-efficacy.” Chapter 3 analyzes seven essays by students which clearly reflect “self-efficacy.” All seven essays agree with the context of the poem selected by the students. Each clearly demonstrates the process of empathy → reinterpretation of context → establishment of self-vision. The analysis discusses two separate poetic imaginations. One is a “self-efficacy” focused on individual enlightenment and discovery. The other focuses on visionary empathy. The process indicates that “self-efficacy” marks are higher when subjective imagination is high.

      • KCI등재후보

        시 창작 원리로서의 윤리의식

        이명희(Yi Myoung He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통일인문학 Vol.50 No.-

        2010년 제 63회 칸 국제 영화제에서 각본상을 수상한 이창동 감독의 〈시〉는 인간의 죄와 고통, 용서의 문제를 〈밀양〉에 이어 치밀하게 조명하고 있다. 영화 〈시〉는 시의 본질과 효용이 무엇인지를 주인공 미자의 시 창자과정을 통해 시론을 보여준다. 그간 시의 효용론은 목적시냐 순수시냐의 이분법적으로 양분화 되어 시의 본질에 대한 물음으로 귀결되었다. 이는 문학과 예술의 본질과도 무관하지 않다. 시의 효용론은 궁극적으로 시가 인간에게 왜 필요한지를 묻는 것으로, 독자에게 심리적, 정서적 효과와 영향, 나아가서 시와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고민하는 태도이다. 이런 입장에서 영화〈시〉는 시를 쓰는 주인공 미자를 자기윤리의식과 사회적 문제의 갈등지점에 배치하고, 시를 쓰는 과정을 통해 이를 해결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본고에서 지칭하는 ‘윤리의식’은 다수의 행복을 지지하는 공동체주의적 배려의식을 의미한다. 영화 〈시〉는 공동체주의에 공헌하려는 개인윤리와 사회윤리 사이의 갈등을 통해, 개인의 선(善)과 공동의 선(善)이 합일되어가는 과정이 문학의 창작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아네스의 노래」는 최선을 다해 살았던 두 여자의 희망의 전언이다. 최선을 다해 이기심을 밀어내고, 희진을 만나고 싶었던 미자의 시 창작 과정은 진실의 여정이다. 즉 타자와 진정한 자신의 고통을 마주함으로써, 미자는 시인의 눈을 갖게 되었고, 시적현실과 삶이 분리되지 않았음을 깨닫게 된다. 따라서 시 창작의 원리로서의 윤리의식은 개인의 윤리의식과 사회적 윤리의식의 거리를 좁히면서 탄생하게 된다. The 〈Poetry〉 directed by Lee chang-dong, which won Best Original Screenplay in the 63th Canne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s carefully focusing on the matter of the people’s sin, suffering and forgiveness following the film, 〈the Secret Sunshine〉. The film 〈Poetry〉 presents what the nature and effectiveness of poetry is by poetics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of poetry of MiJa who is the heroine. Meanwhile, the utility theory of poetry was divided into what is the purpose poetry or the pure poetry as a dichotomy and was concluded to the question about the nature of poetry. This is related with the nature of literature and art. As the utility theory of poetry is that asks us why human being needs poetry, as well as it gives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ffect and influence to the reader, furthermore, it is the attitude that considers poetry and the social function and role. In this position, the film 〈Poetry〉 places the heroine, Mija who is writing a poem, to the conflict point between her owns ethics and social issues, and then it presents the scene that is solving the problem by the process of writing a poem. The ‘ethics’ pointed out by this study means a communitarianistic consideration which supports happiness of the number. The film 〈Poetry〉 represents that the process of unifying personal virtue with common virtue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reation of literature through the conflict between the personal ethics and the social ethics which tries to contribute towards communitarianistic. [A song of Agnes] is the last hope for the two women who had done their best to live. The process of creating poetry is the path of truth for meeting Huijin by pushing out egoistic mind as best she can. Namely, as the pain of her true self faced others, finally, Mija had the poems-eye, realizing that life is not divided from the poetic reality. Therefore, as the creative principle of poetry, the ethics was born by making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 personal ethics and the social ethics.

      • KCI등재

        생태인문학을 활용한 자기서사 치유 및 평생교육의 가능성 -실버 인문학 강독모임을 중심으로-

        이명희 ( Yi Myou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2 No.-

        본고는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융합적 비전을 통해 실천인문학을 모색하기 위해 8개월 140시간(총22주) 동안 진행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평생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생태인문학의 진행을 위해 남산과 같이 생태공간의 탐방이 용이하여 접근성을 고려한 강독공간인 카페를 만들고 실험적으로 생태인문학에 관심 있는 수강생을 모집 후 다양한 강독과 강연을 병행한 후 내용과 관련된 지역을 탐방하여 설명과 야외수업을 융합하여 실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이는 지역사회와 연관된 커뮤니티나 지역기관을 교육의 장으로 이용할 경우 교육자의 접근성의 편이성으로 수업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심약한 실버세대들에게는 심신활동을 병행하기에 우울증을 비롯한 정서의 함양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생태인문학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자아성찰을 비롯하여 현실적 문제의 해결의지를 고취시키며 당면한 현실문제에서 나타나는 불통의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를 제공하여 자녀와의 관계성 회복에 도움이 된다. 더불어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균형 잡힌 수업과 함께 스스로가 학습 참여의지를 북돋을 수 있도록 강독함으로써 평생교육의 중요성을 스스로가 인지하게 된다는 점에서 잠재력을 타진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활동과 접목시킨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평생교육으로써의 발전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article seeks possib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based on a program that continued every other weeks for 8 months and 140 hours (22 weeks) exploring practical approaches to humanities through the converging view points of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For better flow of ecological humanities education courses, we used a cafe considering the place`s accessibility, and visits to ecological spaces such as Mt. Namsan. After recruiting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ecological humanities, we also educated them with various lectures and texts and visited related places, which was a base for the research. The senior generation, after living much of their lives, often tries to communicate with contemporary people by learning new information and taking time for introspection. Often brave members of the elderly generation came to register for classes for these reasons. This being so, humanities for the senior generation has high potential for developing into "practical humanities" that resembles reality and real life problems. Ecological humanities classes for the elderly include mental and physical activities, that can be effective for building up emotions and preventing mental illnesses such as depression. Moreover, students who took ecological humanities class demonstrated an enthusiastic attitude and the will to solve real-life problems that they faced everyday, which ultimately led to self-examination. Realizing that humans and nature have the same problems also showe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recovery. With this, we examined self-epic and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Apart from humanities, ecological humanities points to a positive future for the practice of humanities, as students by themselves ca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by experiencing the logic of natural science. For the next few years, we can expect high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converged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코로나’시대의 『페스트』 읽기를 통한 생태 문해력의 확장과 인문학의 의무

        이명희(Yi, Myoung He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5 No.-

        본고는 뉴노멀(New Normal) 시대를 맞이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래했음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생태 문해력과 인문학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앞으로의 인문학은 기존의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벗어나 사회적 관여(Engagement)와 윤리 감수성(Ethics)이 대두되는 시기로 접어들었다. 이에 1장에서는 ‘코로나19’ 시대를 맞이하여 인문학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불안과 공포의 코로나 시대에야말로 실천적 성찰과 통찰이 절실하기에 인문학의 시작은 현실을 직시하는 데서부터 출발할 수 있음을 피력하였다. 이때 다원적 시각이 내재된 인문학은 사람들에게 성찰과 공감을 이끌었다. 3장에서는 ‘코로나19’ 시대에 다원적 인문학으로서의 ‘생태인문학’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건국대학교 ‘창조적사고와표현’ 수업에서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페스트〉 작품을 읽고 이를 코로나와 그들의 전공을 바탕으로 뉴노멀의 실천 방안을 모색하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작품을 통해 개인의 삶과 공동체의 삶이 분리될 수 없음을 인지하였다. 질병의 시대에도 ‘연대’만이 살 길이라는 것을 작품을 통해 미래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언택트 세상에서 마주하는 개인과 공동체간의 연대에 관한 심층적 고민이야말로 인문학이 지녀야 할 다원적 시선임을 공감하였다. 4장과 5장에서는 생태적 감수성과 생태문해력의 필요성을 통해 인문학의 확장과 의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 이후의 인문학은 인류가 공유할 수 있는 통합할 진리와 기준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여야 한다. 또, 오늘날 인문학은 철학, 문학, 예술을 포괄하는 표현인문학에서 과학까지 모두 포함하는 통합인문학이어야 하기에 이제부터 인문학은 학문의 벽을 허무는 일을 과제로 남겨두고 있다. This study acknowledges the advent of a new paradigm in the wake of the new normal era and explores the need for ecological literacy in humanities. Current humanities have moved away from the existing capitalist system and have entered a period in which social engagement and ethical sensitivity are emerging. Chapter 1 of the paper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humanities in the era of COVID-19. Chapter 2 states that the beginning of humanities starts from confronting reality, as practical reflections and insights are desperately required in the anxious and fearful COVID-19 era. The pluralistic view inherent in the humanities attracts introspection and empathy from people. Chapter 3 discusses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humanities" as pluralistic humanities in the COVID-19 era. To this end,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read the book The Plague in a Konkuk University class called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ng." They then sought implementation measures in the new normal of the COVID-19 era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majors. Thus, through the book,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could not separate their individual and community lives. They were able to simulate the future conditions and ascertain that "solidarity" is the only way to survive in the pandemic era. Students agreed that in-depth attention to the solidarity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the intact environment is the pluralistic view that humanities should hold. Chapters 4 and 5 examine the expansion and duty of humanities through the need for ecological sensitivity and literacy. Post-COVID-19 humanities should present truths and standards of integration that mankind can share. In addition, today"s humanities must aim to integrate expressive humanities, such as philosophy, literature, art, and science, and undertake the task of breaking down the barriers of the study of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