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젠더화된 교육정책 : 해방 이후 학교 교육의 군사화를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Militarization of School Education since 1945 in South Korea

        이명실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5 아시아여성연구 Vol.4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 학교교육이 어떻게 젠더를 생산 · 재생산해 갔는가를 구체적 교육정책의 전개과정을 통해 고찰하는데 있다. 이는 현재 우리가 '관행'이나 '전례'이기 때문에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의식의 형성에 해방 이후 학교교육이 크게 영향을 주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교사와 '여'학생에게 가해지는 성차별적 언설들이 '관례'나 '관행'이라는 이유로 합리화되는 배경에는, 학교교육이 탈섹슈얼리티적 성격을 지녔다는 신념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실제 교과서의 삽화, 내용 기술, 교사와 교육정책 담당자의 인식 속에 나타나는 성역할을 기존의 사회의식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었으며, 결국 '학교교육의 탈섹슈얼리티성'은 환상이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둘째, 해방이후의 사회불안을 해소하고 남과 북의 이념적 대립이라는 위기를 극복해야 했던 한국사회에서 국가안보 이데올로기, 반공 이데올로기는 사회구성원에게 핵심적 가치로 인정받았다. 국가안보와 반공을 통한 학교교육의 군사화는 외부의 적으로부터 사회와 국가를 보호하는 기능 뿐 아니라, 기존의 가부장적 사회 질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도 담당하고 있었다. 그 구체적 정책이 학도호국단의 설치와 국민윤리교육의 강화를 통해 나타났고, 이것이 학생들의 자유로운 의식 형성을 저해하는 핵심 요소였음을 명백히 하였다. 셋째, 학교교육의 군사화 과정에서 기존의 가부장적 사회의식은 교과서뿐만 아니라 실습을 통해 더욱 강화되었다. 생활관 교육은 전통적 여성상을 학생들에게 내면화시킴으로써, 학생들이 기존의 사회의식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 연구의 의의는 해방 이후 전개된 교육정책이 기존의 가부장적 사회의식을 더욱 강화, 고착화시키는데 일조했음을 명확히 했다는 데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앞으로 지향해야 할 여성에 관련된 교육정책이 성 중립적인 관점을 지향할 것인가, 아니면 급진적 페미니스트의 주장대로 여성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를 묻는 또 다른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Focusing on specific developmental process of educational policy since 1945 in South Korea, this research examines how school education produced and reproduced gender. This researchstarts from a point of view that the formation of current social consciousness considered as natural through 'customs' and 'conventions' is greatly influenced by school education since 1945. The summary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 considered that in the backdrop of sexual discriminatory discourses against female teacheres and students rationalized as 'customs' or 'usual practices', there exists a firm belief that school education has a de-sexualized characteristic. But gender roles described in pictures and writings of school textbooks and expressed in the mind of teachers and educational policy managers were mere reflections of the established social consciousness. Thus I made a point that 'de-sexu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was an illusion. Second, in Korean socienty faced with stabilizing social unrest since 1945 and overcome the crisis of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national security ideology and anti-communist ideology were conceived as main valuses to social members. national security and militarization of school education functioned not only to protect society and nation against foreign enemies, but also to maintain a male dominant social order. In this paper I observed the specific development of the gendered educational policy with two examples; national security ideolog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tudents Defense Corp. and anti-communist ideology consolidated htrough national-ethic education. Finally,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militarizational process of school education reinforced patriarch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internalization of traditional image of women through 'traditional propriety education' led people to believe existing social consciousness is natural. As a result this research apprehended the reality of gendered educational policy since 1945 in South Korea. This paper would be a starting point for other research questioning whether the future educational policy related to gender should be gender-free or following radical feminists' assertion should emphasize gender.

      • KCI등재

        개화기 · 일제강점기 비제도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 With a Focus on the Korean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이명실 韓國敎育史學會 2006 한국교육사학 Vol.28 No.1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review research done since 1990 on non-formal education during the Korean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To this end, I technically defined the category of non-formal education. I also collected papers from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the Society for the History of Education. Finally, I analyzed the papers about the present condition, the tendency of subjects studied, and the issues related to non-formal education. Quantitatively, I demonstrate that compared to other realms of study less research has been done on non-formal education in the Korean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I also demonstrate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types of contents and the amounts these studies have been viewed compared with previous papers. Especial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Doctoral dissertations. This shows a positive prospect for research on non-formal education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subject tendency of the papers is characterized as follows: 1) Papers on the social enlightenment and the formation of the social education system. 2) Papers on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evening classes, village classes, and other classes. 3) Papers on social education bodies such as enlightenment bodies or religious bodies. 4) Papers on movements and policies of social education in rural communities. 5) Papers on the institutions and policies for korean socialization such as libraries and museums. Through my examination of the tendency of subjects, I concluded the following: First, this research shows a tendency to overcome the viewpoints of previous studies that educational events of the Korean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were decided under transcendental cognition. Second, it demonstrates that there was a tendency for filling in the blank of the educational events in the Korean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Finally, this research shows an attempt to look at the origin of present educational problems in the educational event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메이지 시기 기독교계 학교의 위기와 그들의 선택

        이명실 한국교육사학회 2007 한국교육사학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메이지 시기 일본 정부가 기독교계 학교를 단속하기 위해 공포했던 사립학교령과 문부성 훈령 12호의 실체와 이에 대해 각 교파의 기독교계 학교가 취했던 대응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의 전파와 이를 수용했던 계층의 특성, 일본 기독교계 학교의 특징, 그리고 일본 정부의 사립학교령과 문부성 훈령12호의 공포와 그에 대한 기독교계 학교의 대응 양상 등을 살펴본다.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일본 기독교 및 기독교계 학교의 특징을 파악하고 일본 교육정책의 성격을 규명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더불어 근대 이후 한국과 일본에 있어서 기독교계 학교의 성립과 전개 과정을 비교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며, 1910년 이후 일본 정부가 조선총독부를 통해 시행했던 식민지 교육정책, 특히 종교교육정책을 더욱 깊이 구명하기 위한 기반연구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educational policy, especially the policy of the nongovernmental schools.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read of Christianity and the classes that accepted it. I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mission schools and the contents and effects of the Imperial command against nongovernmental schools and the Kunrei(訓令) twelfth number that the Meiji-government proclaimed to control the mission schools. Finally, I demonstrated the crisis of mission schools and their countermove against the policy of the Meiji-government. On the analysis, the results appeared as follows: a) Meiji-government's approval to the spread of Christianity was made not by choice but by necessity. Therefore, the political leaders had negative perspectives of the Christianity. However, the elites and the messes had positive understandings of the Christianity because of the free atmosphere, the chance of English learning, and the western lifestyles; b) Although most mission schools were directly managed by the missions, there were also some mission schools that introduced only Christian spirit. Furthermore, more than half of the mission schools was the girl's mission schools.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mission schools was due to learn English and western lifestyles. As the mission schools were faced with the crisis that forced them to choose the question of maintenance or abolition, such characteristics of the mission schools had an effect on waives of Christianity's claim; c) Meiji-government proclaimed the Imperial command against nongovernmental schools and the Kunrei(訓令) twelfth number forbidden of religious educ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mission schools had to choose what they had to keep up with the religious education or not. However, regardless of their choice, it was said the purpose of the Meiji-government had accomplished because the mission schools could not be free from the contro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icall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educational policy through the analyses of the Japanese Christianity and Japanese mission school's state. This study will help examin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ission schools in the modern era of Korea and Japan. This study also will offer the key points to examine the colonial educational policy of the government general in Joseon.

      • KCI등재
      • KCI등재

        자격시험 정보지 『수험계』에 관한 일 고찰 : 조선인 합격자의 체험기 분석을 중심으로

        이명실 한국일본교육학회 2022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7 No.3

        본 논문에서는 1920년부터 1944년까지 일본에서 발행되었던 잡지 『수험계』의 분석을 통해 식민지체제라는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의 욕망 실현이 가지는 의미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수험문총’, ‘모의논문’, ‘합격체험기’라는 지면에 투고되었던 조선인들의 글을 분석해, 조선인들이 시험이라는 장치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그리고 『수험계』의 편집방침이 그들의 식민지체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명히 한다. 더불어 해방 이후 그들의 삶에 경로에 관해 추적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식민지라는 상황 속에서 조선인들이 많이 도전했던 시험은 조선보통문관시험 및 조선변호사시험이었다. 물론 소수의 사례이지만 고등문관시험이나 전문학교검정시험에 도전했던 경우도 있었다. 이는 그들의 최종 학력과 무관하지 않았다. 둘째, 『수험계』의 투고자들 대부분은 경제적 혜택을 누리지 못한 자들로, 체험기는 독학과 고학의 양상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었다. 즉, 이 잡지의 내용은 독자들에게 ‘성공신화’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성공이 개인의 노력에 달려있음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자격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은 사회적・경제적 안정을 획득할 수 있었지만, 합격 이후 행보는 다양했다.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을 직시하면서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지켜나간 사람도 있었지만, 1945년 이후에도 ‘단절’이나 ‘청산’의 과정 없이 일제강점기의 사회적 지위를 그대로 누렸던 사람도 있었다. 특히, 후자의 경우가 다수를 차지했다는 점은 역사적으로 확인된 바로, 현재까지도 ‘일제잔재의 청산’이 회자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 KCI등재

        ‘도야’ 개념의 수용에 관한 일 고찰

        이명실 한국교육사학회 2017 한국교육사학 Vol.39 No.4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acceptance and spread process of the concept ‘Dōya’ that has been known as the basic concept or term of Pedagogy. After the Gabo Educational Reform(1895), the modern educational theories,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concepts or terminology, which were accepted in modern schools, were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western pedagogy. But, they were introduced through China or Japan. Because Korea did not have the conditions to introduce and stabilize them in modern times. After Meiji period, Geman ‘Bildung’ was translated in to ‘Dōya’ in Japan and was used in educational materials as a basic concept of Pedagogy.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Dōya’ was preached into Chosen at that time through the Japanese professors or the educational materials of the Keijō Imperial University and Keijō Teacher’s College. Through this process, ‘Dōya’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n academic circles since 1945, and is still widely accepted in terms of Pedagogy. Not only does the historical concept represent the facts outside of the language, it becomes an element of consciousness and behaviour itself. Figuring out how the terms or concepts of Pedagogy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period has come to the present is to ask the validity of the current use and to create a new meaning of the concept. 오랜 기간 동안 당연한 것으로 사용되어 왔던 교육학 관련 용어나 개념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현재에까지 이르렀는가를 파악하는 작업은 현재적 사용의 타당성을 묻는 것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개념의 창출을 추동하는 작업이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논문에서는 교육학의 기본 개념 혹은 용어라고 알려진 ‘도야’가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에게 수용되었는지를 추적해 보기로 한다. 갑오개혁 이후 한국에서는 근대적 교육제도의 구축과 함께 근대적 학교가 설립되었는데, 거기서 가르치는 근대적 교육이론이나 방법, 그리고 개념이나 용어는 서구교육학의 성과에 근거를 둔 것이 많았다. 당시 서구교육학의 성과를 주체적으로 도입하고 정착시킬 수 있는 여건이 빈약했던 우리 상황 속에서, 학교교육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많은 부분들은 미국이나 유럽, 그리고 일본을 통해 들어왔다. ‘도야’는 독일어 Bildung의 번역어로, 1870년 전후 일본에서 처음 사용된 이래 메이기시기를 거치면서 일본의 교육학 교재에 등장하였고, 일제강점기의 경성제국대학이나 경성사범학교의 일본인 교수 및 그들이 사용한 교육학 교재를 통해 식민지 조선의 학생들에게 교육학의 기본 개념으로 전파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한국에 도입된 ‘도야’는 해방 후 한국 교육학계에 수용되었고, 지금까지도 교육학 용어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 KCI등재후보

        서당의 의미 재고를 위한 시론

        이명실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2022 횡단인문학 Vol.10 No.1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전통적 교육기관으로 알려진 서당의 이미지가 근대 이후 어떻게 변용되고 확정되어 갔는지를 분명히 하면서, 서당의 의미 재규정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는데 있다. 흔히 서당은 향교나 성균관으로 진학하기 위한 준비교육기관이며 초등단계의 교육시설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렇게 서당을 규정하는 방식은 근대 이후 만들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i)조선시대 서당이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운영되었다는 연구 성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등교육기관이나 준비교육기관으로서의 이미지가 널리 유포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는 ii)일제강점기 전후 일본인 교육관료 및 식민지 당국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iii)해방 이후 뚜렷한 검증의 과정 없이 그대로 답습되어 왔음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서당의 의미를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을 공론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해방된 지 70여년이 지난 현재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식민지시대의 교육적 유산이 어떤 방식으로 그 명맥을 유지해 왔는지를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what kind of transformation in the image of Seodang, known as a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has undergone since modern times. Often, Seodang is a preparatory education facility for advancing to Hyanggyo and Seongkyunkwan, and is known as a facility that provides elementary education.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is image were not originally like this, but were created after modern times. To prove thi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eaning of Seodang has spread to academic circles based on the writings published so far, and analyzes the images of Seodang recognized by Japanese education officials and colonial authorities before and after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process, the meaning of Seodang, which has been widely distributed in academia so far, became clear. And this image was created by Japanese education officials or colonial authorities before and after Japanese colonial era, and continued to be used without a critical review since 1945. This paper will not only contribute to publicizing the need to redefine the meaning of Seodang, but will als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ow the educational legacy of the Colonial era that still exists more than 70 years after 194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