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RP 시스템 導入이 利益調整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實證硏究

        이명곤(Lee Myung Gon),배기수(Bae Khee Su) 한국산업경영학회 2005 經營硏究 Vol.20 No.2

        본 연구는 ERP 시스템의 도입을 통하여 경영자의 이익조정이 감소되는 지를 분석하였다. 이익조정은 CFO 모형, Rangan 모형, 시계열 수정 Jones 모형 및 횡단면 수정 Jones 모형에 의해 계산한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하였다. 시점별 ERP 시스템 도입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에 대해 paired t-검증과 Wilcoxon-부호순위 검증을 한 결과 도입 후 1년도에 있어서 Rangan 모형에서 산출한 재량적 발생액이 ERP 시스템 도입년도 보다 1%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음의 차이를 보여, 경영자가 이익을 증가시킨 조정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입 후 2년도에 있어서는 횡단면 수정 Jones 모형에서 산출한 재량적 발생액이 1%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양익 차이를 보여, 경영자가 이익을 감소시킨 조정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익조정의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세혜택, 부채비율, 유상증자여부를 통제변수로 한 후 ERP 변수를 실험변수로 하여 재량적 발생액 즉, DA가 양인 경우와 DA가 음인 경우 각각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DAl가 양인 경우 ERP 변수의 회귀계수는 CFO 모형과 Rangan 모형에서 5% 유의수준에서 유의적인 음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DA가 음인 경우에서는 횡단면 수정 Jones 모형과 CFO 모형에서 10% 유의수준에서 유의적인 양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ERP 시스템이 경영자의 회계정보 조정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ERP 시스템이 경영자의 재량권 남용에 의한 이익조정을 감소시킴으로써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한국공인회계사회에서 시작한 ERPP 직무연수는 ERPP 시스템 운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향상시켜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연구는 ERP 시스템 도입성과를 경영성과 측면에서만 분석하여 주로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와 달리 본 연구는 ERP 시스템 도입이 회계정보의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회계정보이용자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선행연구에서 지적되어온 바와 같이 이익조정 측정의 정확성에 대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다양한 재량적 발생액 측정 모형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empirically whether the implementation of an ERP system limits the scope of manipulation of financial data by managers and whether this, in turn, effectively reduces manipulation of earnings. As for the stage of empirical analysis, the process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establishment of research hypotheses, elaboration of a test model,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variables, selection of sample companies, empir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result. In the regression analysis, discretionary accruals is a dependent variable providing measures of earnings manipulation. To measure discretionary accruals, we resorted to the CFO model, the Rangan model, the modified time-series Jones model and the cross-sectional adaptation of the Jones model. For the regression analysis, ERP variable is a test variable. In addition to the test variable, tax benefit, debt-to-equity ratio and increase of capital are chosen as control variables because these variables are likely to affect the direction of discretionary accruals. The analysis in the case of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shows that the research hypothesis is supported under the Rangan model and the CFO model at the 5% significance level.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in the case of negative discretionary accruals shows that the research hypothesis is partly supported under the CFO model and modified cross-sectional Jones model at the 10% significance level. In other word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amounts of discretionary accruals is observed after the introduction of an ERP system. In conclusion,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result attained by this study is that in order to create a transparent climate in the korean business world, practical tools such as ERP system are no less important than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and that firms may be rightfully encouraged to adopt ERP systems.

      • KCI등재

        추상미술 속의 `정신적인 것(le spirituel)`과 `창작행위` 그리고 아름다움에 대한 질문

        이명곤 ( Lee Myung-go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5

        현대예술의 특징 중 하나는 추상성이며, 추상예술에서 부각되는 것은 예술가의 `창조행위`와 `작가정신`이다. 왜냐하면 자연적인 대상을 모방하거나 재현하지 않고 완전히 새로운 대상을 제시한다는 것에서 `창조`의 의미가 주어지고, 구체적인 감각적 외관을 파괴한다는 것은 정신적인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구체성의 결여라는 추상화의 특성은 추상화로 하여금 `공상`이나 `허상`과 구분되게 하는 무엇을 요청하게 하는데, 이는 보이는 것 이면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것`, 즉 `본질적인 무엇`이다. 이는 곧 화가의 `내적 필연성`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내적인 실재` 혹은 `정신적인 실재`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추상화란 눈에 보이지 않는 화가의 `정신적인 실재`를 동기로 하여 `보이지 않는 것`의 `외관화하기(visualisation)`라고 부를 수 있으며, `존재(존재자)에 대한 계시`라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런데 보다 정신적으로 된다는 것은 보다 감각성으로부터 멀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미적작품의 구현`이라는 예술의 일반적인 사명 중의 하나를 도외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창조적 행위`를 완전히 도외시 하거나, `미적작품의 구현`을 완전히 무시한 것, 그 어느 것도 엄밀히 말해서 예술작품이라고 할 수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현대예술의 중요한 하나의 과제는 `추상성`이라는 현대시대에 적합한 `아름다움`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산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추상미술에 있어서의 `미적 구현에 대한 질문`은 현대미학과 예술철학의 중요한 하나의 과제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is abstractness, and what stands out in abstract art is the “creative act” and “artistic spirit” of the artist. This is because the meaning of “creation” is demonstrated in the presentation of a totally new object without imitating or reproducing a natural object, and the destruction of the specific sensory appearance is used to express the spiritual. Conversely, the characteristic of abstract painting, the lack of the concrete, calls for something that distinguishes abstract painting from “fantasy” or “illusion”; which is “invisible”, that is, “what is essential.” This is formed by the “inner necessity” of the painter, and it can be called the “inner reality” or “spiritual reality.” Therefore, abstract painting can be called “visualization of invisible” with the spiritual reality of painter as motivation, and it can also be called “revelation of being(existence)`. But being more spiritual means that one is farther away from sensibility, and this results in the dismissal of one of the general missions of art, the “implementation of aesthetic works.” Anything that totally ignores the “creative act” or completely ignores “the realization of aesthetic work” cannot be said to be a work of art, strictly speaking. Therefore,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modern art is to produce a new concept of “beauty” suitable for the modern age called “abstractness.” Likewise, “a question about aesthetic implementation” in abstract art is an important task of modern aesthetics and art philosophy.

      • KCI등재

        연구논문 : 키르케고르의 실존주의 예술관과 이념으로서의 “미학적(美學的) 실재(實在)”

        이명곤 ( Myung Gon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3 No.-

        실존주의자인 키르케고르에게 예술이란 본질적으로 실존적인 그 무엇이다. 따라서 고전예술에서 불멸의 무엇으로 고려되고 있는 ‘주제’는 사실상 예술에 있어서는 비-본질적인 것으로 간주하며, 본질적인 것은 오히려 ‘심미적인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 일체의 자연에 대한 언어적 해석은 무용한 것이며, 자연이 인간에게 제공하는 것은 순수하게 심미적인 그 무엇이다. 이러한 사유가 가능한 것은 중세 이후 감성이 이성에 대립하는 하나의 독자적인 원리로 자리 잡았다고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감성의 독자적인 원리는 ‘감성에 대한 학’이라는 미학(Aesthetica)의 이념과도 일치하며, 또한 ‘미학적(美學的) 실재(實在)’라는 개념을 형성하게 하는 단초가 된다. 미학적 실재는 예술가의 실존이 대상과 가지는 교감에서 주어지는 창조된 것으로 작품을 작품답게 하는 그 무엇이다. 이는 모든 예술이 지향하는 ‘이념’으로 이해된다. 키르케고르의 예술론에서 중요한 점은 모든 진정한 예술은 그 자체 ‘특정 종류의 영원성’을 내포하고 있는데, 이는 ‘시간의 한 중간에 입회하고 있는 영원성’으로서 심미적 차원에서 현존하고 있는 ‘존재자체’ 혹은 ‘절대자의 현존’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의 의미가 가장 심오하게 나타나는 곳이 바로 이러한 심미적 지평에서 마주하는 ‘절대적 현존’이다. 특히 인상주의 화가들의 삶에서 가장 부각되고 있는 이러한 절대적 대면은 예술가로 하여금 ‘진정한 삶’을 마주한다는 실존적인 느낌을 주는 것으로서 ‘피안을 위한 예술’의 정의에 부합하는 것이다. 비록 심미적 실존의 지평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영원성이 잠정적이고 한시적인 영원성이기는 하지만 ‘구원된 느낌’을 가질 수 있다는 의미에서 진정한 영혼의 휴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키르케고르의 예술관이 가지는 의의는 심미적 실존의 지평에서도 예술이라는 형식을 통해서 거의 종교적인 지평의 차원에로 도약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는 것이다. In the thought of the existentialist Kierkegaard, art is something that fundamentally exists. Therefore, the leitmotifs which were considered immortal in the classical arts, in reality, are regarded as non-fundamental, and in contrary, the fundamental ones ``the aesthetic things``. In his viewpoint, the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the nature is meaningless, and what the nature manifests to man are purely the aesthetic things. This idea is comprehensible since he thinks that the sensibility from the late Middle Ages have gained the position of a special principle standing against the rationality. That principle of sensibility coincides with the idea of aesthetics (Aesthetica) - means the study of sensibility, furthermore it is considered the beginning of the concept of ``aesthetic reality``. The aesthetic reality means something makes the artistic work worthy of the name of ``work`` which is created from the communion with the subject. This is regarded as an ``idea`` at which all arts aim. The main point in Kierkegaard``s thought on art is that all the so-called ``true arts`` themselves connote ``a special kind of eternality``; it can be called ``the Being Itself``, or ``the existence of the Absolute``, which exists from the aesthetic aspect as ``the eternality entering a middle of time``. The most abstruse point in the meaning of art is the very ``absolute existence`` with which we confront from the aesthetic area. Especially, the meeting with that absolute existence, which is the most emphasized in the life of impressionist artists, is consistent with the definition of ``art for the sake of the kingdom of Heaven`` as the one that arouses in the artists the existent feeling about confronting the ``true life``. Though that eternality which emerges from the realm of aesthetic existence is somewhat tentative and temporary, but it provides the true rest for the soul-in the meaning that it can inspire the ``feeling of redemption``. The significance of that viewpoint on art of Kierkegaard lies in the fact that it can nearly leap to the religious realm through the form of art right in the realm of the aesthetic existence.

      • KCI등재

        루이 라벨의 ‘존재에 대한 체험’과 ‘철학적 지혜’의 의미

        이명곤(Lee, Myung Go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4

        철학사에서 ‘존재’에 대한 탐구는 형이상학의 중심 되는 주제였다. 근대 이후 철학은 이러한 존재에 대한 탐구를 소홀히 하였고, 루이 라벨의 철학은 존재에 대한 관심을 프랑스 철학사 안에 다시 도입하고 있다. 그의 존재론의 장점은 존재에 대한 주제를 통해 인간의 심오한 본질을 밝히고자 하는 데에 있다. 그는 인간의 삶이 시간성의 개념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파악하면서, 이로부터 인간의 정신이 영원성과 관계하고 있음을 도출해 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영원성을 파악하고, 영원성을 휘어잡고자 하는 인간의 노력이 ‘예술에 대한 체험’과 ‘종교적인 체험’에서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예술의 순수성은 ‘사물들의 순수성’ 즉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파악하고, 종교는 인간의 실존을 ‘절대적인 지평’으로 들어 올린다. 이는 곧 세계와 존재자들의 지반이요, 모든 삶의 근원이 되는 ‘존재자체’에 참여하는 행위로 가장 실존적인 행위이다. 이러한 존재자체와의 관계성에서 모든 존재하는 것의 진정한 모습 즉 ‘존재의 진리’를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파악하고 이를 실행하는 것은 곧 인간정신의 몫이며, 또한 매순간 이를 감행할 수 있는 것이 곧 ‘정신의 자유’이다. 인간으로 하여금 이러한 삶의 근원에로 나아갈 수 있게 하는 ‘용기’를 라벨은 ‘지혜’라고 부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혜는 매우 역동적인 것이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고전적인 의미의 ‘지혜’가 한층 ‘현대적인 의미’를 가지고 다시 부활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그리하여 그의 존재에 대한 철학은 ‘영원의 철학’의 한 범형(凡形)이 되고 있다.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research of “being” was one of the central subject. Since the modern age, philosophy has neglected this research of “being”; Louis Lavelle’s philosophy has reintroduced the interest of “being” in the history of French philosophy. The advantage of his ontology is its unveiling of the profound essence of the human being through the theme of “being.” Lavelle knows that human life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time, from which it derives the relationship with the eternal nature of the human spirit, and he recognizes that the human effort to grasp eternity appears in the “artistic experience” and “religious experience”. The purity of art is to find out “just the way” of things, and religion is to lift human beings as the “absolute horizon.” The purity of art and religion are the most existential acts as an act of participation to being itself, which is composed of the world and beings and is the source of all life. In these relationships with “being itself”, the true appearance of all things that exist, or the truth of being, will be revealed. Knowing and run it is left to the human spirit; in addition, it can be ventured that every moment it is the freedom of spirit. Louis Lavelle calls “wisdom” the courage that allows to take man in to the source of human life. Therefore, this wisdom is very dynamic. His concept is understood to have revived the classic meaning of “wisdom” with more “modern meaning”, and thus, his “philosophy of being” has become an example of a “philosophy of eternity.”

      • KCI등재
      • KCI등재

        아씨시의 성녀 글라라의 "가난"과 "관상"의 정신에 관한 철학적 조명

        이명곤 ( Myung Gon Lee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15 지중해지역연구 Vol.17 No.3

        The mystic means one who wrote mystical poetry or mystical works from the mystic experiences in religious life. The life and spirit of the mystic often presenting to philosophers new perspectives on the world and on man, give new inspiration to understand the world and man. The life and spirit of the medieval mystic, Clara of Assisi is summed up in two words ‘absolute poverty’ and ‘contemplation’. Absolute povertymeans the no possession of property which is ‘renunciation of religion’ ‘the prohibition of private property’ and ‘renunciation of honor or social power’. This spirit of poverty is itself a value for the religious life and it becomes a necessary condition for contemplation. The contemplation is an eminent act of the human soul which perceives the presence of God in all things existent. And the contemplation is ultimately union with God oriented. The soul of a mystic who has annihilated any worldly thing and is filled with God’s presence, is able to perceive the deepest value and high level. The act of contemplation is an act of the most noble and high level. Since this act of contemplation is no possession of propert oriented but realize better value to be, it coincides with the spirit of Eric Fromm who insists the life of being in opposition to the life of the possession. The life and spirit of Clara of Assisi is an example of the new man which is presented by Eric Fromm.

      • KCI등재

        연구논문 : 불성실공시가 감사시간과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이명곤 ( Myung Gon Lee ),장석진 ( Seok Jin Chang ),박희진 ( Hee Jin Park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저널 Vol.2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인이 감사대상회사의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여부를 고려하여 감사투입시간 및 감사보수를 결정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기업에 대하여 감사인이 추가적인 감사시간을 투입하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추가적인 감사보수를 청구하는지를 분석한다.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다는 것은 경영자가 불순한 의도를 가지고 자본시장의 참여자들에게 왜곡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중요한 정보를 은폐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감사인의 입장에서 감사대상회사가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었다는 것은 경영자가 불순한 의도를 가지고 재무제표를 작성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즉, 감사인 입장에서 감사대상회사의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여부는 감사대상회사의 감사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기업이 상장된 거래소시장에 따라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여부와 감사시간간의 관련성이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경우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여부에 따라 감사시간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보였으나.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경우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여부에 따라 오히려 감사시간이 감소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불성실공시법인의 지정횟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감사보수는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여부와 양(+)의 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독립변수를 불성실공시법인 지정횟수 또는 누적벌점으로 변경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감사보수와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감사인은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을 감사위험으로 인식하고 추가적인 감사노력을 투입하며 이에 대한 보상을 청구하지만,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감사인은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여부로 인해 증가된 감사위험에 대한 보상만을 청구하고 그에 부합하는 추가적인 감사시간을 투입하지 않는다고 요약할 수 있다. 선행연구들이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에 대한 자본시장의 반응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둔 반면, 본 연구는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여부가 감사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불성실공시로 인하여 기업이 부담해야 하는 기회비용이 타인자본비용의 증가, 정보의 유용성 저하 등과 같은 자본시장 관점에서의 비용뿐만 아니라 감사위험의 증대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도 존재한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공헌점을 가진다. 특히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불성실공시법인의 감사인이 적절한 감사시간을 투입하지 못하고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감사인, 감사대상회사, 감독기관 등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auditors consider the designation as an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hereinafter UDC) of the company being audited in determining the audit hours and audit fees. Specifically, this study will analyze whether auditors put in additional audit hours for companies designated as UDC and as a result charge additional audit fees. To be designated as an UDC means that the company executive have provided false information or concealed important information to the participants of the capital market with impure intention. Therefore, from the standpoint of auditors, a company designated as an UDC means there is high possibility the company executive prepared financial statements with ulterior motive. In other words. Designation as an UDC for auditors can be an influential factor in audit risk. The analysis results shows difference in relation between designation as an UDC and audit hours according to the exchange market the company is listed in, Specifically, audit hours are shown to increase for UDC designated companies listed in the KOSPI stock market, while on the contrary, audit hours actually decrease for UDC designated companies listed in the KOSDAQ stock market. The same results are found in the analysis when the number of designation times as UDC in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other hand, audit fees show a positive relevance to the designation as UDC. In addition, positive relevance with audit fees is found in the analysis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the number of designation times as UDC or cumulative penalty points. That is, this can be summarized as the auditor of companies listed in the KOSPI stock market recognizes the designation as UDC as an audit risk and charge additional fee by putting in extra audit hours, but auditors of companies listed in the KOSDAQ market charge additional fee for the audit risk resulting from designation as UDC while not putting in any additional audit hours. Whil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analyzing the responses in the capital market concerning UDC,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as it analyzes the influential factors of audit risk that results from UDC. In addition, this study makes a new contribution as it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corporate opportunity cost due to designation as UDC not only cause costs in the perspective of the capital market such as the cost if debt capital,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etc., but also additional costs followed by increase in audit risk. In particular,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auditors are not putting in appropriate audit hours for companies designated as UDC in the KOSDAQ market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auditors, client firms and supervisory institutions.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과 도덕적 의식에 대한 고찰

        이명곤(Myung Gon Lee)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3 인간연구 Vol.0 No.25

        토마스 아퀴나스의 도덕철학에서 ‘양심’의 개념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심 용어이다. 토마스 아퀴나스가 사용하는 라틴어 용어 중 양심과 관련된 용어로서는 ‘synderesis’와 ‘conscientia’인데, 현재 이 두 용어에 대한 한국어 번역사용이 정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연구자들에 따라서 두 용어를 ‘신데레시스와 양심’ 혹은 ‘근원 양심과 양심’ 혹은 ‘양심과 도덕적 의식’ 등으로 서로 다르게 번역하고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한국어 번역은 단순히 용어의 번역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이 두 용어가 지징하는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다른 이해를 유발하며 나아가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양심’에 대한 개념과 매우 다른 의미로서 양심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기 때문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에 있어서 양심의 개념 그 자체가 왜곡되고 있기도 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오해들을 불식하고 보다 정확한 토미즘의 양심의 개념을 도출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원전에서 사용되는 개념들을 분석하여 분명한 개념정리를 한 뒤 이에 따른 정확한 한국어 번역을 제시하고자 논하고 있다. 먼저 오류를 범하고 있는 국내의 두 논문들을 본석하면서 이 논문들이 잘못된 용어의 번역으로 인하여 어떻게 모순된 진술을 하게 되는지 그리고 일반적인 한국어의 개념과 매우 동떨어진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나아가 두 논문이 서로 반대되는 진술들을 하게 되는지를 밝힌 뒤, 토마스 아퀴나스의 원전에서 사용하는 개념들을 분석하고 있다. 토마스 아퀴나스가 『진리론』에서 사용하고 있는 ‘synderesis’는 모든 인간이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는 도덕판단의 제일원리로서 단순히 선악을 판단하는 능력뿐 아니라, 선천적으로 善을 지향하고 나아가 선을 행하도록 부추기는 내적인 힘처럼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에 적합한 한국어 용어는 당연히 ‘양심’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synderesis’의 선천성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논증을 분석하고 있는데, 이는 양심이 모든 인간에게 공히 주어져 있는 보편적인 원리임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conscientia’는 ‘synderesis’의 빛을 수용하여 구체적인 현실 안에서 이를 적용하는 기능을 하는 것인데, 이러한 적용의 과정에서 도덕적인 것과 무관한 추론의 능력, 반드시 알아야 할 법적인 지식들 이외 여타 학문적인 결과들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고, 또한 이 모든 것들을 고려한 ‘종합적 판단의 능력’처럼 고려되고 있다. 한국어 사용에서 이러한 역할을 하는 주체는 ‘양심’이 아니라 ‘도덕적인 의식’이다. 따라서 ‘synderesis’와 ‘conscientia’는 당연히 ‘양심’과 ‘도덕적 의식’으로 번역되어야 마땅하다. 그리고 이 두 용어가 이렇게 번역되어야 할 다른 근거는 ‘synderesis’는 오류에 빠질 수 없지만, ‘conscientia’는 오류에 빠질 수 있다는 사유에서인데, 한국어 용어에서 ‘良心’이란 ‘밝은 마음’ 혹은 ‘선한 마음’이라는 뜻인데, ‘conscientia’를 ‘양심’으로 번역하게 되면, ‘오류에 빠진 밝은 마음’ 혹은 ‘오류에 빠진 선한 마음’이라는 모순된 의미가 된다. 그리고 토마스 아퀴나스는 ‘mala conscientia’라는 개념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역시 ‘나쁜 양심’ 혹은 ‘나쁜 밝은 마음’이라는 모순된 개념이 된다. 따라서 모든 상황을 고려할 때, ‘conscientia’를 ‘도덕적 의식’으로 번역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진리인식을 위한 원리’로서의 시몬느 베이유의 ‘사랑의 개념’에 관한 고찰

        이명곤(Lee, Myung-gon)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2 No.-

        시몬느 베이유에게 있어서 사랑(l’amour)의 개념은 윤리・도덕적 행위 이전에 ‘인식의 원리’ 혹은 ‘진리인식의 원리’처럼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그녀가 사랑의 삶으로 불림 받은 신비가로서의 삶과 무관하지 않다. 사랑이 인식의 원리인 것은 실재를 최상으로 인식하게 되는 사태가 대상에 대한 사랑을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진정한 실재(réalité)에 대한 인식이란 ‘최고의 주의집중’을 통해 ‘실재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곧 사랑의 힘이다. 따라서 사랑은 실재를 밝혀주는 빛처럼 고려된다. 사랑은 항상 사랑하는 대상의 선과 올바름을 지향하는 것이기에 윤리・도덕적 지평에서 역시 진리추구의 원리가 된다. 따라서 사랑이 없이는 진리에 대한 추구가 불가능하고, 진리에 대한 추구가 없다면 사랑은 공허하게 된다. 그리고 보다 진리에 가까이 갈수록 사랑은 보다 참되고 순수한 사랑이 된다. 이렇게 진리와 사랑은 비례적인 관계에 있다. 이러한 베이유의 사유는 탐구 대상에 대한 사랑이 부재하는 현대의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견지하게 하며, 항상 보다 더 세계의 근원적인 존재, 신성한 존재에 가까이 다가가도록 하는 신비주의적 사랑을 추구하게 한다. For Simone Weil, the concept of love (l’amour) is considered as a ‘principle of knowledge’ or ‘principle of truth recognition’ before ethical and moral action. This fact has to do with her life as a mystic, in which she called her life of love. Love is the principle of cognition because it is through love for the object that reality is best known. Recognition of réalité means ‘direct contact with reality’ through ‘highest concentration of attention’, so it is the power of love that makes this possible. Thus, love is considered as a light that illuminates reality. Since love always aims for the good and rightness of the object it loves, it also becomes the principle of the pursuit of truth in the ethical and moral horizons. Therefore, without love, the pursuit of truth is impossible, and without the pursuit of truth, love is empty. And the closer one gets to the truth, the more true and pure love becomes. In this way, truth and love exist in a proportional relationship. Such philosophy keeps the critical thinking about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absence of love for the subject of inquiry, and pursues mystical love that brings us closer to the divine existence, the fundamental existence of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