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깔데론의 『포위당한 교회』에 나타난 종교 간 갈등 양상 연구

        이만희 ( Lee Manhee ) 한국스페인어문학회(구 한국서어서문학회) 2021 스페인어문학 Vol.- No.99

        Pedro Calderón de la Barca exposed internal conflicts between the four religious groups that formed the anti-Catholic alliance, which led to the conversion of the attack from the Catholic Church to the Protestant, thus naturally highlighting Catholic orthodoxy. After failing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ological attacks by the Reformation camps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the Catholic Church dramatically embodies its response to the Protestant forces with confidence and composure in the 17th century. The play was designed to gain ethical legitimacy by adding to the issue of looting and slaughtering of the city of Tirlemont in Flanders in the year when the work was written. Calderón's The Besieged Church is a sacramental act that appeared at the height of the Counter-Reformation of the Catholic Church during the Baroque period, representing a combative character based on doctrinal controversy.

      • KCI등재

        고전 신화와 성서의 융합 - 성체극에 나타난 깔데론의 입장을 중심으로

        이만희 ( Lee Manhee ) 한국스페인어문학회(구 한국서어서문학회) 2018 스페인어문학 Vol.0 No.88

        Pedro Calderon de la Barca's mythological sacramental act is a drama genre in which the heroes of the Greek Roman mythology are transformed into Catholic saints to embody the mystery of Christ's Eucharist. The mythical figures, accepted by Calderon, were reborn as fresh heroines in the Catholic Religious Theater. It helped the audience in the 17th century to understand Catholic doctrine in a fresh and novel way. Combining the ideas of pagan classical myths with biblical stories, his Baroque sacramental acts acquired expressive power in response to the spirit of the Counter-Reformation. They say that Baroque is a fusion of medieval sky and Renaissance' land. Calderon's mythological sacramental acts appropriately show the essence of the fusion of these two disparate visions. In the 17th century Spanish Catholic literature, Calderon's works were examples of the resurrection of the two contrasting worlds: the ancient Greek pagan culture of the Aryans and the Jewish Christian tradition of the Semites. The metamorphosis of Greek mythology in his sacramental acts demonstrates not only a return to the tradition of the medieval church, but also a literary phenomenon that captures the culmination of Catholic Reformation literature.

      • KCI등재

        칼데론의 성체극 <포위당한 교회>에 나타난 신구교의 이미지 : A Study of the Images of Protestants and Catholic Church in Calderon s Sacramental Act, The Besieged Church

        이만희(Lee, Manh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2 외국문학연구 Vol.- No.85

        칼데론의 초기 성체극 <포위당한 교회>는 신구교의 갈등이 유혈 전쟁으로 비화한 시대의 작품으로서, 작가는 작품에서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종교적, 신학적으로 악마화함으로써 신교 진영에 대한 스페인 관객들의 적대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칼데론은 스페인이 이끄는 가톨릭 연합국의 승전을 기원하면서 스페인 국민의 지지를 이끌어 낼 뿐만 아니라 가톨릭 신앙으로 무장하는 종교적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작가는 작품을 통하여 국가 간 종교전쟁으로 옮겨 붙은 30년 전쟁의 와중에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정치적, 군사적 적이요 신학적, 종교적 원수로 설정하고 이를 주입하는 대중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0년 전쟁이 가톨릭교회의 편에서 절대악으로 상정된 프로테스탄트 세력에 대한 성전(聖戰)을 치르고 있다는 시각을 관객들에게 고지한 것이다. 반면, 칼데론은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갖가지 부정적 이미지는 다른 종교 그룹과 ‘프로테스탄트’ 본인의 입으로 규정하게 만들고, 가톨릭교회는 이전투구에서 빠져나와 ‘보편적인 빛’으로서 고고한 지위를 유지하도록 설정하였다. 작가는 대중 친화적인 성체극 장르를 통하여 가톨릭교회와 프로테스탄트에게 각각 절대선과 절대악의 이미지를 구축하여 극단화된 반종교개혁의 이데올로기를 구현하고 있다. Calderon de la Barca s early sacramental act, The Besieged Church, was a work of an era in which Counter-Reformation evolved into a bloody war. The author demonized Protestant churches religiously and theologically through this drama so that the Spanish audience might increase hostility toward the warring Protestant nations. Wishing for victory for the Catholic League led by Spain, the work was staged not only to draw support from the Spanish people but also to achieve a religious effect of strengthening the audience s Catholic faith. It was a work that informed the audience that the Thirty Years War was a holy war against Protestant forces, which were tabled as absolute evil. The Besieged Church can be established as an example of propaganda literature aimed at promoting the ideology of extreme Counter-Reform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 KCI등재

        반세스 칸다모의 성체극과 사르수엘라

        이만희(Lee, Manh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5

        17세기 스페인 성체극은 고전 비극에서 코로스가 가졌던 음악적인 효과를 차용하였는데, 세기 말로 가면서 극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증가하였다. 17세기 중반에 당대 최고의 성체극 작가였던 칼데론 델 라 바르카가 사르수엘라라는 음악극을 창조하면서 바로크 시대 연극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 높아져 갔다. 반세스 칸다모는 자신의 성체극 『운명의 여신의 신탁』에 오락극에 사용되었던 사르수엘라라는 장르를 적용하고 있다. 이 시대의 사르수엘라 역시 성체극처럼 단막극 형식이었고, 성체극은 본격적인 음악극으로 변신하기 훨씬 전부터 동 시대 다른 연극 장르에 비해 음악적 요소를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칸다모의 성체극에는 고전적인 합창의 형태로부터 시작해서 독창, 이중창, 삼중창 등 여러 가지 조합의 성악적 연출이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성부 또는 가수들의 조합으로 노래부르게 함으로써 보다 풍성한 음악적 효과를 꾀하고 있는 것이다. 이 밖에도 칸다모는 배우로 하여금 노래와 대화를 섞어가며 대사를 전달하게 하는가하면, 앞 사람의 노래를 다른 배우가 메아리로 받아 일부분을 반복하여 노래하는 형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하고 있다. 게다가 배우들의 노래를 반주하는 차원을 넘어 악기들만의 연주로 이루어진 장면을 구성하기도 하고, 지진과 천재지변을 음향으로 재현할 정도로 음악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칸다모는 이전의 성체극들보다 훨씬 더 감성적이고 역동적인 바로크 성체극을 연출하고 있는 것이다. 칸다모는 세기 말에 이르러 코로스를 비롯한 음악적 요소를 확대해 가던 성체극이라는 종교극에 사르수엘라가 가진 음악적 형식을 도입하여, 사르수엘라 성격의 성체극, 즉 음악극적 성체극 형식을 창조한 것이다. 칸다모는 오락극과 종교극이라고 하는 성격 면에서 이질적인 두 가지 연극 양식을 하나의 형식에 통일시켜 음악극적 성체극이라는 장르를 탄생시킨 실험가였다. The 17th century Sacramental act borrowed the musical effect of Greek tragedies, which was taken more and more important toward the end of the century. With the monumental creation of Zarzuela by Calderon de la Barca in mid-17th century, music became one of the main factors of Baroque theater. In terms of music, Francisco Bances Candamo"s Sacramental Act took Zarzuela, a genre commonly used for entertaining shows, and applied it to a religious play, all of which demonstrates the Act had improved compared to the genre in its peak. It"s worth noting that Zarzuela back in this age took form of one-act play, just as Sacramental act, and the Sacramental act had already been adapting more musical factors into the genre than any other theatrical genres in the contemporary periods. You can see various use of vocal performance such as a solo, duet and trio, as well as the conventional chorus in Francisco Bances Candamo"s Sacramental Act. While delivering the same message, it aimed at richer and more powerful musical effect by using different voices and singers. Moreover, Candamo had the actors to both sing and dialogue, and had one actor sing and another repeat certain part of a song. Sometimes he did not use voices at all, directing a scene only with music realized with instruments, including earthquake and natural disaster sound effects. Through all of these above, Bances Candamo interpreted even more emotional and dynamic Baroque Sacramental Act than the previous ones. Francisco Bances Candamo was an adventurer in the sense that he brought the two disparate forms of drama, entertaining and religious dramas, into harmony and one drama, and created the genre called musical sacramental act. 17세기 스페인 성체극은 고전 비극에서 코로스가 가졌던 음악적인 효과를 차용하였는데, 세기 말로 가면서 극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증가하였다. 17세기 중반에 당대 최고의 성체극 작가였던 칼데론 델 라 바르카가 사르수엘라라는 음악극을 창조하면서 바로크 시대 연극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 높아져 갔다. 반세스 칸다모는 자신의 성체극 『운명의 여신의 신탁』에 오락극에 사용되었던 사르수엘라라는 장르를 적용하고 있다. 이 시대의 사르수엘라 역시 성체극처럼 단막극 형식이었고, 성체극은 본격적인 음악극으로 변신하기 훨씬 전부터 동 시대 다른 연극 장르에 비해 음악적 요소를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칸다모의 성체극에는 고전적인 합창의 형태로부터 시작해서 독창, 이중창, 삼중창 등 여러 가지 조합의 성악적 연출이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성부 또는 가수들의 조합으로 노래부르게 함으로써 보다 풍성한 음악적 효과를 꾀하고 있는 것이다. 이 밖에도 칸다모는 배우로 하여금 노래와 대화를 섞어가며 대사를 전달하게 하는가하면, 앞 사람의 노래를 다른 배우가 메아리로 받아 일부분을 반복하여 노래하는 형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하고 있다. 게다가 배우들의 노래를 반주하는 차원을 넘어 악기들만의 연주로 이루어진 장면을 구성하기도 하고, 지진과 천재지변을 음향으로 재현할 정도로 음악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칸다모는 이전의 성체극들보다 훨씬 더 감성적이고 역동적인 바로크 성체극을 연출하고 있는 것이다. 칸다모는 세기 말에 이르러 코로스를 비롯한 음악적 요소를 확대해 가던 성체극이라는 종교극에 사르수엘라가 가진 음악적 형식을 도입하여, 사르수엘라 성격의 성체극, 즉 음악극적 성체극 형식을 창조한 것이다. 칸다모는 오락극과 종교극이라고 하는 성격 면에서 이질적인 두 가지 연극 양식을 하나의 형식에 통일시켜 음악극적 성체극이라는 장르를 탄생시킨 실험가였다. The 17th century Sacramental act borrowed the musical effect of Greek tragedies, which was taken more and more important toward the end of the century. With the monumental creation of Zarzuela by Calderon de la Barca in mid-17th century, music became one of the main factors of Baroque theater. In terms of music, Francisco Bances Candamo"s Sacramental Act took Zarzuela, a genre commonly used for entertaining shows, and applied it to a religious play, all of which demonstrates the Act had improved compared to the genre in its peak. It"s worth noting that Zarzuela back in this age took form of one-act play, just as Sacramental act, and the Sacramental act had already been adapting more musical factors into the genre than any other theatrical genres in the contemporary periods. You can see various use of vocal performance such as a solo, duet and trio, as well as the conventional chorus in Francisco Bances Candamo"s Sacramental Act. While delivering the same message, it aimed at richer and more powerful musical effect by using different voices and singers. Moreover, Candamo had the actors to both sing and dialogue, and had one actor sing and another repeat certain part of a song. Sometimes he did not use voices at all, directing a scene only with music realized with instruments, including earthquake and natural disaster sound effects. Through all of these above, Bances Candamo interpreted even more emotional and dynamic Baroque Sacramental Act than the previous ones. Francisco Bances Candamo was an adventurer in the sense that he brought the two disparate forms of drama, entertaining and religious dramas, into harmony and one drama, and created the genre called musical sacramental act.

      • KCI등재

        스페인 17세기 비 성직자의 아르스 모리엔디 연구

        이만희(Lee, Manh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3

        미겔 데 마냐라 Miguel de Mañara가 집필한 『진실에 대한 담론 Discurso de la verdad』(1679)은 중세 말기 흑사병이 유행하던 유럽에서 태동한 ‘아르스 모리엔디 ars moriendi’의 발전적 형태이다. 이 장르는 임종을 맞이하는 병자로 하여금 성공적으로 천국에 들어가도록 돕기 위한 임종 안내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장르적 특성 상, 대부분의 저자가 성직자들인데 반해, 미겔 데 마냐라는 평신도 였기 때문에 성직자들의 교조적인 작품과는 달리, 형식과 내용면에서 자유로운 작품을 쓸 수 있었다. 마냐라의 작품은 선한 삶과 좋은 죽음이라는 장르의 주제를 성직자들의 작품들과 공유하면서도, 중세 아르스 모리엔디의 유산으로서 병자의 구체적 임종 절차를 세밀히 다루지도 않았으며, 성사와 같은 교회의 제도를 따라 사는 것이 좋은 죽음을 가져오는 선한 삶이라는 이데올로기적 교훈과도 다른 가르침을 제시하고 있다. 성직자들의 작품이 신학적이면서 교회 제도적인 측면을 다루는데 집중하였음에 비해, 마냐라의 작품은 16세기 에라스무스의 비판을 연상시키는 교회와 성직자 비판으로까지 나아가고 있다. 저자의 이러한 신분적 조건 외에도, 작품이 출판된 1679년이란 시간적인 조건도 작품의 이질성의 원인이 되는데, 이때는 바야흐로 스페인 바로크가 저물어가고 새로운 시대정신이 잉태되고 있던 시간이었다. 마냐라의 작품에서 성직자들의 비판과 함께 철학자들에 대한 비판이 동시에 제기된 점을 볼 때, 17세기 말 스페인 전통사회와 가톨릭교회가 경계하던 대상은 이제 종교개혁가들에게서 인본주의적인 철학자들로 바뀌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아울러 교회에 대한 비판이 계몽주의 시대 인본주의 철학의 영역으로 연결되지 못한 점은, 스페인 가톨릭 전통주의의 저력인 동시에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Miguel de Mañara’s work Discurso de la verdad(1679) is the developed form of ‘ars moriendi’. It first started in Europe, where the Black Death spread at the end of the Middle Ages. The genre can be considered as a rule book that provided dying patients with ways to enter heaven. Given the peculiarities of the genre, most authors were priests, while Miguel de Mañara was a layman, which led to his artistic distinctiveness including less restricted style and content, different from the priest’s doctrinaire works. The work of Miguel de Mañara shared the theme of the good life and the good death with other clerical artists. However, he didn’t elaborate on the detailed process of the death of a patient, the inheritance of ars moriendi in the Middle Ages. And neither did he give the same ideological lesson that the good life of living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church, such as sacraments, led to the good death. While the priests were theological and focusing on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church, Mañara’s work resembles the 16<sup>th</sup> century Erasmus criticism on the church and priests. Aside from his social class, the time 1679 when the work was published differentiates it from others. It was when Baroque of Spain was coming to an end to give way to the spirit of the new time. The fact that Mañara raised a critical voice against both priests and philosophers indicates that the traditional Spanish society and the Catholic church at the end of the 17<sup>th</sup> century started to keep an eye on the humanist philosophers, not the religious reformers any longer. Also, that the criticism against the church wasn’t successfully introduced to the humanist philosophy at the Age of Enlightenment points to both the strengths and the limits of Spanish Catholic traditionalism.

      • KCI등재

        스페인 바로크 문학 축제 연구

        이만희(Lee, Manh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1

        스페인 바로크 시대 문학의 장을 공공의 공간으로 확장시킨 문학 축제로 후스타와 함께 특별 아카데미아가 있었다. 특별 아카데미아는 공적 공간에서 정기 아카데미아의 회원들과 초대한 청중들이 모인 자리에서 제시된 시제로 시를 지어 낭송하고 비평가에 의해 공개적으로 평가받는 문학 축제의 일종이었다. 수상자를 선정하고 시상식까지 있었던 후스타와는 달리, 아카데미아는 일반적으로 개회사, 시 발표, 비평, 음악 순으로 진행되었다. 후스타가 종교 축제의 일부분으로서 종교적 목적을 고양하기 위해 개최되었다면, 대부분의 특별 아카데미아는 왕가의 기념일이나 귀족들의 혼사와 같은 세속적인 행사를 기념하기 위하여 열렸다. 후스타가 일반 대중들에게까지 문학의 옷을 입은 종교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제공한 것과는 달리, 아카데미아는 소수의 귀족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태생적으로 귀족들과 소수 문인들의 회합이었던 정기 아카데미아의 외연의 확장이란 점에서, 스페인 상류사회 인사들을 주축으로 하는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축제였다. 축제를 개최한 장소도 후스타처럼 수도원이나 성당과 같이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쉬운 공간이 아니라, 왕궁이나 부왕궁, 또는 의사당과 같이 주로 고급 엘리트들이 드나들던 곳이었다. 아카데미아에서 시를 발표할 수 있는 자격 요건 또한 매우 보수적이었으며, 청중으로 참석하는 데에도 그 기준이 엄격했다. 사회 하층민이나 육체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배제하는 등 엘리트주의적 경향을 띠었다. 후스타가 종교적 주제를 바탕으로 일반 대중에게까지 반종교개혁의 이상을 교육시키는 공개적ㆍ서민적ㆍ종교적 축제의 성격을 띠었다면, 특별 아카데미아는 소수 귀족계층을 주 대상으로 삼아 상류 사회의 사회적 이슈나 세속적 기념일을 기념하는 폐쇄적?귀족적?세속적 성격을 띠는 문학 축제였다. 이 두 가지 문학 축제의 흐름은 각각 성과 속을 아우르면서 스페인 바로크 문학의 비옥한 문학적 토양이 되었다. Along with Joust, Special Academy is a literary festival which expands literary space of Spanish Baroque era to public space. Special Academy is a kind of literary festival in which people compose and recite poems about themes presented in front of periodic academy"s members and invited audience and are publicly criticized by critics in public places. Unlike Joust in which a winner is selected and even a prize is awarded, the academy is generally hosted in order of opening address, poem reciting, criticism and music. Joust is held in order to edify religious purpose as a part of a religious festival. In contrast, Special Academy takes place to celebrate national anniversaries or worldly events. While Joust actively offers religious values embodied in literature even to the public, academy holds importance only for a minority of nobles. In that academy is originated from a meeting of periodical academy which consists of nobles and a minority of writers, it is a relatively closed festival which is held for Spanish gentility. Unlike the venue of Joust such as abbey and cathedral, that of Special Academy is not the place where general public can easily approach but the place where high elites come in and out like royal palace, viceroyal palace and assembly hall. Joust is characterized as a public, ordinary and religious festival, designed to educate the public on Counter-Reformation ideal based on religious theme. In contrast, Special Academy is a literary festival which includes closed, aristocratic and worldly features, celebrating social issues in high society or worldly anniversaries for the sake of a minority of aristocratic classes. Covering religious and worldly theme, the flow of the two literary festivals lays the foundation of fertile ground for Spanish Baroque literature. 스페인 바로크 시대 문학의 장을 공공의 공간으로 확장시킨 문학 축제로 후스타와 함께 특별 아카데미아가 있었다. 특별 아카데미아는 공적 공간에서 정기 아카데미아의 회원들과 초대한 청중들이 모인 자리에서 제시된 시제로 시를 지어 낭송하고 비평가에 의해 공개적으로 평가받는 문학 축제의 일종이었다. 수상자를 선정하고 시상식까지 있었던 후스타와는 달리, 아카데미아는 일반적으로 개회사, 시 발표, 비평, 음악 순으로 진행되었다. 후스타가 종교 축제의 일부분으로서 종교적 목적을 고양하기 위해 개최되었다면, 대부분의 특별 아카데미아는 왕가의 기념일이나 귀족들의 혼사와 같은 세속적인 행사를 기념하기 위하여 열렸다. 후스타가 일반 대중들에게까지 문학의 옷을 입은 종교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제공한 것과는 달리, 아카데미아는 소수의 귀족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태생적으로 귀족들과 소수 문인들의 회합이었던 정기 아카데미아의 외연의 확장이란 점에서, 스페인 상류사회 인사들을 주축으로 하는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축제였다. 축제를 개최한 장소도 후스타처럼 수도원이나 성당과 같이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쉬운 공간이 아니라, 왕궁이나 부왕궁, 또는 의사당과 같이 주로 고급 엘리트들이 드나들던 곳이었다. 아카데미아에서 시를 발표할 수 있는 자격 요건 또한 매우 보수적이었으며, 청중으로 참석하는 데에도 그 기준이 엄격했다. 사회 하층민이나 육체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배제하는 등 엘리트주의적 경향을 띠었다. 후스타가 종교적 주제를 바탕으로 일반 대중에게까지 반종교개혁의 이상을 교육시키는 공개적ㆍ서민적ㆍ종교적 축제의 성격을 띠었다면, 특별 아카데미아는 소수 귀족계층을 주 대상으로 삼아 상류 사회의 사회적 이슈나 세속적 기념일을 기념하는 폐쇄적?귀족적?세속적 성격을 띠는 문학 축제였다. 이 두 가지 문학 축제의 흐름은 각각 성과 속을 아우르면서 스페인 바로크 문학의 비옥한 문학적 토양이 되었다. Along with Joust, Special Academy is a literary festival which expands literary space of Spanish Baroque era to public space. Special Academy is a kind of literary festival in which people compose and recite poems about themes presented in front of periodic academy"s members and invited audience and are publicly criticized by critics in public places. Unlike Joust in which a winner is selected and even a prize is awarded, the academy is generally hosted in order of opening address, poem reciting, criticism and music. Joust is held in order to edify religious purpose as a part of a religious festival. In contrast, Special Academy takes place to celebrate national anniversaries or worldly events. While Joust actively offers religious values embodied in literature even to the public, academy holds importance only for a minority of nobles. In that academy is originated from a meeting of periodical academy which consists of nobles and a minority of writers, it is a relatively closed festival which is held for Spanish gentility. Unlike the venue of Joust such as abbey and cathedral, that of Special Academy is not the place where general public can easily approach but the place where high elites come in and out like royal palace, viceroyal palace and assembly hall. Joust is characterized as a public, ordinary and religious festival, designed to educate the public on Counter-Reformation ideal based on religious theme. In contrast, Special Academy is a literary festival which includes closed, aristocratic and worldly features, celebrating social issues in high society or worldly anniversaries for the sake of a minority of aristocratic classes. Covering religious and worldly theme, the flow of the two literary festivals lays the foundation of fertile ground for Spanish Baroque literature.

      • KCI등재

        칼데론 델 라 바르카의 성체극과 신화 - 『거룩한 이아손 El divino Jasón』을 중심으로

        이만희 ( Lee Manhee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3 No.-

        프로테스탄트 진영의 종교개혁에 대항하여 가톨릭교회의 반종교개혁운동이 본격화되는 것은 트렌토 공의회의 결정들이 공표된 이후이다. 공의회는 성화상 논쟁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면서 교회가 신자들에게 그림을 비롯한 다양한 방법으로 효율적인 교리 교육을 실행하라고 결정하였다. 이때 미신적이고 이교적인 요소들이 미술의 소재로 사용되는 것을 금지시켰다. 다소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공의회의 결정은 이후 여러 신학자들에 의해 구체화 되었는데, 교육용 소재로 그리스 로마 신화와 같은 이교적 요소들을 엄격히 배제시켰다. 페드로 칼데론 델 라 바르카의 초기 성체극 『거룩한 이아손』은 작가가 고전 신화의 인물을 그리스도교의 알레고리로 사용한 첫 번째 작품이다. 칼데론의 성체극은 제목에서부터 고전 신화의 영웅들이 거리낌 없이 등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칼데론이 공의회가 금지한 이교적 소재를 가장 반종교개혁적인 장르인 성체극에서 가져다 쓴 이유를 고찰한다. 작가는 관객들에게 이미 익숙한 종교극에 고전 신화의 영웅이라는 신선한 소재를 사용하여 새로운 표현력을 불어넣고자 하였다. 작품 외적으로는 17세기에 들어서면서 가톨릭 세계가 안정기에 접어들게 되자 소재의 측면에서 종교개혁 진영의 직접적인 공격에 연연하지 않게 되었다. 종교개혁 진영으로부터 성상 숭배 논쟁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였던 16세기 후반부와 달리, 17세기 들어 가톨릭교회가 종교적인 자신감을 가지게 되면서 예술 작품의 표현 방법에 관대해졌다. 그 목적이 공의회가 제시한대로 구원의 신비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경우라면 작품의 소재로 이교적인 요소까지도 폭넓게 허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트렌토 공의회의 결정을 가장 엄격하게 따라야 했던 성체극도 고전 신화라는 이교적 소재들에 대한 금기가 풀어지자 소재 차원에서 자유로워지게 되었던 것이다. 가톨릭교회의 자신감과 여유가 칼데론과 같은 작가들에게 실험적인 시도를 할 수 있도록 표현의 자유를 제공하였고, 결국 성체극 장르가 화려하고 풍성한 바로크 표현 방식을 얻게 되는 길을 열어주었다. It was just after the decisions of the Trent Council were announced that the Counter-Reformation of the Catholic Church was in full swing against the Protestant Reformation. Determining its attitude about the iconoclastic controversy, the Council decided that the Catholic Church should conduct effective doctrine education to the believers in various ways including painting. Meanwhile some abstract decisions of the Council were later shaped concretely by several theologians, pagan elements, such as the Greek and Roman myths, were strictly prohibited as educational materials. Pedro Calderon de la Barca's early sacramental act The divine Jason is the first work in which the writer used mythical figures as Christian allegories. The author filled the characters on the side of the good with mythical heroes while the biblical figures were on the side of evil like the Prince of Darkness. The sacramental act was a typical propaganda literary genre of the Counter-Reformation movement used to educate the decisions of the Trent Council to the public. This paper focuses on why Calderon’s sacramental act used the pagan materials prohibited by the Council. The playwriter tried to achieve new expressiveness by introducing pagan characters to a type of drama familiar to the audience. The reason for this acceptance was that unlike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when the Catholic Church reacted sensitively to the attacks of the Protestant Churches on the iconoclastic controversy, the Church, in the 17th century, had restored confidence and had entered a period of stability. If the sacramental act effectively delivered the mystery of the Catholic Church's salvation, the pagan elements like Greek Roman myths would be allowed to be used as work materials. This confidence of the Catholic Church in the 17th century opened the golden age of the Spanish Baroque theater and lead to something free, fresh, splendid and emotional.

      • KCI등재

        로페 데 베가의 코메디아와 음악

        이만희(Lee, Manh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3

        로페 데 베가는 자신의 성체극과는 달리 대부분의 코메디아에서 음악적인 요소를 도입하지 않았는데,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빈도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코메디아는 장르의 속성 상 성체극과 달리 관객을 교육해야 하는 부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던 세속극이었고, 주로 관객들에게 오락적 재미를 제공하려고 했던 연극이었다. 즉, 성체극은 노래에 치중한 음악극이라 볼 수 있는 반면, 코메디아는 노래보다는 대사를 통한 스토리 전개에 방점을 둔 장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로페 데 베가가 코메디아와 함께 성체극을 다수 창작했다는 것을 고려하면, 성체극이 가진 음악적 요소를 코메디아에 적용해보고자 하는 그의 시도는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로페는 자신의 코메디아 중에서 오락적인 성격이 강한 작품 이외에, 관객들을 계도할 목적성을 띤 역사극에서는 음악을 소극적으로나마 활용하였다. 즉, 국가적 이상을 노래하는 작품들에서 부분적으로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는 노래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밖의 용도로 음악이 사용될 때는 작가의 창작곡이 아니라 해당 장면이 요구하는 당시 사회 풍속과 관련된 노래를 그대로 차용하여 삽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로페 데 베가의 코메디아에서 음악은 서양 연극의 흐름 속에서 고대 그리스 희극을 구성했던 코로스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그러나 그리스 희극이 수행했던 신랄한 정치 비판적 기능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체제 옹호 또는 찬양 기능에 머물고 있다. 이것은 국왕 직속 기관이었던 종교재판소의 서슬이 시퍼렇던 반종교 개혁 기 스페인의 정치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고 하겠다. It is rarely seen that Lope introduces the musical factor in his Comedias, limited to a very small number of times even if so. Comedia’s purpose rarely lay in educating the people, unlike the religious acts, but rather in entertaining them. That is, the Sacramental Act can be differentiated from Comedia in the dominant role of music, while Comedia is a genre marked by the development of stories through dialogues rather than songs. Still, his attempt to apply the musical factor of the Act to Comedia was only logical given his multiple pieces of Acts, as well as Comedias. Excluding the Comedias focusing on entertainment, Lope selectively and carefully adopted music in some of the historical plays which had a purpose to enlighten the audience. In other words, he used songs that served an educational purpose in the works that involved adoration of national ideals. Used for other purposes, music was generally directly borrowed from then relevant songs, rather than taking the form of a new creation by a composer. Music in Lope de Vega’s Comedias inherits the tradition of the chorus that constituted the ancient Greek plays through the course of the Western drama. Instead of functioning as a means for scathing political criticism, however, it was used to advocate for or praise the existing system. This is not irrelevant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Spain at the time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Counter Reformation of the Inquisition under the immediate control of the king. 로페 데 베가는 자신의 성체극과는 달리 대부분의 코메디아에서 음악적인 요소를 도입하지 않았는데,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빈도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코메디아는 장르의 속성 상 성체극과 달리 관객을 교육해야 하는 부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던 세속극이었고, 주로 관객들에게 오락적 재미를 제공하려고 했던 연극이었다. 즉, 성체극은 노래에 치중한 음악극이라 볼 수 있는 반면, 코메디아는 노래보다는 대사를 통한 스토리 전개에 방점을 둔 장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로페 데 베가가 코메디아와 함께 성체극을 다수 창작했다는 것을 고려하면, 성체극이 가진 음악적 요소를 코메디아에 적용해보고자 하는 그의 시도는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로페는 자신의 코메디아 중에서 오락적인 성격이 강한 작품 이외에, 관객들을 계도할 목적성을 띤 역사극에서는 음악을 소극적으로나마 활용하였다. 즉, 국가적 이상을 노래하는 작품들에서 부분적으로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는 노래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밖의 용도로 음악이 사용될 때는 작가의 창작곡이 아니라 해당 장면이 요구하는 당시 사회 풍속과 관련된 노래를 그대로 차용하여 삽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로페 데 베가의 코메디아에서 음악은 서양 연극의 흐름 속에서 고대 그리스 희극을 구성했던 코로스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그러나 그리스 희극이 수행했던 신랄한 정치 비판적 기능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체제 옹호 또는 찬양 기능에 머물고 있다. 이것은 국왕 직속 기관이었던 종교재판소의 서슬이 시퍼렇던 반종교 개혁 기 스페인의 정치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고 하겠다. It is rarely seen that Lope introduces the musical factor in his Comedias, limited to a very small number of times even if so. Comedia’s purpose rarely lay in educating the people, unlike the religious acts, but rather in entertaining them. That is, the Sacramental Act can be differentiated from Comedia in the dominant role of music, while Comedia is a genre marked by the development of stories through dialogues rather than songs. Still, his attempt to apply the musical factor of the Act to Comedia was only logical given his multiple pieces of Acts, as well as Comedias. Excluding the Comedias focusing on entertainment, Lope selectively and carefully adopted music in some of the historical plays which had a purpose to enlighten the audience. In other words, he used songs that served an educational purpose in the works that involved adoration of national ideals. Used for other purposes, music was generally directly borrowed from then relevant songs, rather than taking the form of a new creation by a composer. Music in Lope de Vega’s Comedias inherits the tradition of the chorus that constituted the ancient Greek plays through the course of the Western drama. Instead of functioning as a means for scathing political criticism, however, it was used to advocate for or praise the existing system. This is not irrelevant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Spain at the time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Counter Reformation of the Inquisition under the immediate control of the king.

      • KCI등재

        반종교개혁과 고전 신화 -소르 후아나 이네스 델 라 크루스의 성체극 『거룩한 나르키소스』를 중심으로-

        이만희(Lee, Manh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8 외국문학연구 Vol.- No.71

        소르 후아나 이네스 델 라 크루스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가톨릭 종교극에 변용함으로써 새롭고 신선한 표현력을 확보하였다. 동시에 성체극의 종교적 목적이었던 가톨릭교회의 메시지를 관객들에게 교육하는 장르 본연의 기능에 충실할 수 있었 다. 이교적인 고전 신화의 주제들을 사용하면서도 매우 가톨릭적이면서 반종교개혁적인 드라마를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것은 소르 후아나의 성체극의 아이러니이다. 이런 연극적 시도는 내용면에서 성체극 장르에 익숙해있던 당시의 관객들에 게 놀람의 감정과 고급스러운 귀족 취향의 즐거움을 제공하였다. 소르 후아나는 신화적인 요소들을 성서의 이야기와 혼합하여 관객들이 그의 성체극을 새롭고 낯선 시선으로 바라보도록 만들었다. 작가는 관객들이 이교도의 영웅들이 어떻게 그리스도교의 성자들로 변형되는지 알기 위해 자신의 성체극에 몰입하도록 만들었다. 소르 후아나가 살았던 시대, 즉 17세기 후반은 가톨릭교회가 지난 세기 종교개혁 진영과의 충돌과 갈등의 후유증에서 벗어나 자신감을 회복한 시기와 맞물 린다. 가톨릭교회는 트렌토 공의회 이후 공의회의 결정을 예술 현장에 직접적이면서 철저하게 반영하고 엄격한 잣대로 검열하였던 태도에서 많이 벗어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교회의 가르침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본질적인 목적에 충실하다 면 그 소재나 표현 방식에 대해 상당한 자유를 작가들에게 허용하였던 것이다. 소르 후아나는 성체극의 형식에 이교적인 고전 신화의 주제를 접합하여 화려하고 귀족적이면서 감성적인 바로크적 표현력을 작품 속에서 구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 Sor Juana transformed classical myths into a Catholic religious play, gaining new and fresh expression in her sacramental act The Divine Narcissus. Sor Juana’s The Divine Narcissus managed to produce a “Catholic” and Counter-Reformation drama while combining the themes of pagan classical mythology with biblical stories. Sor Juana incorporated pagan myth and the Bible into her play in order to show her audience a new and unfamiliar view of her sacramental act.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coincided with the period when the Catholic church recovered its confidence after clashes and conflicts with Protestant churches. Consequently, in Spain the Catholic church allowed writers considerable degree of freedom in content and manner of expression. In this spiritual atmosphere, Sor Juana contributed to Baroque expression through her creation of a splendid, aristocratic, and emotionally dynamic play.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발원지 자동 추적 모델 연구

        이만희(Manhee Lee),정상길(Sangkil Jung),권윤주(Youngjoo Kwon),김국한(Kookhan Kim),변옥환(Okhwan Byeon)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A

        최근 인터넷을 통하여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은 전 세계 웹 사이트들에 큰 피해를 입히면서 세계적인 문제로 부상되었다. 현재 이에 대한 대책으로 방화벽이나 침입 탐지 시스템을 이용하지만, 전 세계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는 이 공격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데는 적합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격 트래픽의 송신자 주소를 임의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공격의 발원지를 추적할 수 없는 기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발원지 자동 추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