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념의 위계수준과 심리적 본질주의 : 기본수준 그리고 속성간 상관관계

        이루리,신현정 심리과학연구소 2005 심리과학연구 Vol.4 No.-

        본 연구는 개념 위계상에서 기본 수준과 심리적 본질주의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본수준은 위계 내에서 가장 응집적인 수준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심리적 본질주의는 사람들은 실제로 대상이 본질을 갖고 있는지에 상관없이 마치 자연물이 어떠한 본질을 갖고 있는 것처럼 생각하고 행동한다는 것을 말한다. 만약 대상이 본질을 갖고 있다면 이것은 직접적으로 지각될 수 없으므로 사람들은 표면 특질을 가지고 추론하여야 한다. 따라서 속성끼리는 어떤 상관을 갖게 되며 이러한 상관의 강도는 가장 응집적인 수준인 기본수준에서 가장 높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관관계와 강도를 속성 a에 대한 단순확률 P(a)와 어떤 속성이 주어졌을 때의 속성 a에 대한 조건확률 P(a|b) 비의 전체 합이라고 조직적으로 정의하였다. 참가자들은 상위수준, 기본수준, 하위수준의 각 속성들에 대해 단순확률과 조건확률을 추정하였다. 기본수준에서 각 속성들의 상관강도는 가장 높았으므로 결과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은 논의에 언급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quantitatively verify a relationship between basic level in the conceptual hierarchy and the view of psychological essentialism. The basic level has been known as the most coherent level. The psychological essentialism argues that people think about and act to natural objects as if they have any essence(s) regardless of whether they really have the essences or not. And if people really assume that the external attributes are originated from the essences, they perceive correlated structures among the external attributes and the correlational strength should be the strongest in the basic level because the basic level is psychologically basic. In this study, correlational strength among the attributes in a concept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a sum of ratio between a simple probability of as attribute(P(a)) and a conditional probability of that attribute given another attribute(P(a|b)). Participants estimated the simple probabilities and the conditional probabilities of the attributes relevant to superordinate basic and, subordinate level natural concep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al strength among the attributes is the strongest in basic level concepts and those of superordinate and subordinate level concepts are indifferent.

      • KCI등재

        시조에 대한 학습자의 심미적 체험 가능성 연구 -<오우가>를 중심으로-

        이루리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7

        목적 : 이 글은 심미적 체험으로서의 시조 감상 교육의 가능성을 밝혀 고전시가 감상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에 있다. 방법: 미학에서의 심미적 체험 논의와 예술교육에서 논의되는 심미적 체험 교육 논의를 바탕으로 심미적 체험의 개념과 심미적 체험 교육의 원리를 탐구하고, 맥신 그린과 미켈 뒤프렌의 논의를 재구성하여 시조의 심미적 체험 교육 과정을 구성하였다. 결과 : 심미적 체험의 과정은 창작 체험을 통한 시조 언어의 질감 인식, 작품 주시를 통한 감각물의 출현, 상상력을 활용한 작품 세계의 표상, 반성 활동과 감정적 인식을 통한 심미적 체험의 자기화로 구성된다. 결론 : 심미적 체험은 인지적․정의적 작용이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일어난다. 심미적 체험에서 ‘감각’, ‘상상력’, ‘감정’의 작용은 학습자의 체험이 명료하고 깊이를 지니도록 도와 시조를 심미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학습자의 지평을 확장하는 ‘자기인식적’ 체험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possibility of Si-jo appreciation education as an aesthetic experience, and to emphasize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classical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Method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it is based on the study of aesthetic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education discussed in art, the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and principles of aesthetic experience education were explored. Maxine Green’s study and Mikel Dufrenne’s study were reconstructed to form an aesthetic experience curriculum for Si-jo. Results: The aesthetic experience process consists of recognizing the texture of the Si-jo language through writing a poetry, the emergence of sensations through the eyes of works, the representation of the world of works using imagination, and the magnetization of aesthetic experiences through reflective activities. Conclusion: Aesthetic experiences occur amid close interaction between cognitive and definitive actions, and the actions of "sense," "imagination," and "emotion" help learners' experiences to be clear and deep, allowing students to experience Si-jo aesthetically.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self-aware' experience that expands the horizon of learners.

      • KCI등재

        경험재의 브랜드명에 대한 지각적 유창성과 소비자 반응: 감각추구성향의 조절효과

        이루리,고민정,손영우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20 연세경영연구 Vol.57 No.3

        An experience good offers sensational and experiential amusement during its consumption. However, since experience goods are intangible, consumers have difficulties to evaluate the value and quality of a product (brand) in advance. Consumers build their attitudes toward an experience good by product (brand) names and other visual elements that are provided by marketers. However, although stimulating consumers with such various marketing tools is important, there are only few studies that focus on the issue. Therefore, this research hypothesizes that perceptual fluency of a brand name positively affects consumer liking of the brand. It also examines the role of sensation seeking as an important moderator on consumer attitude. High sensation seekers tend to have high preference on novel experiences, so are assumed to lead to higher levels of liking nevertheless the level of perceptual fluency of a brand name is low. The results show that high perceptual fluency of a brand name leads to higher liking for the brand, whil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erceptual fluency and sensational seeking behavior is not significant. However, when sensation seeking propensity is separate into the two sub-dimensions, one of the dimensions (i.e., boredom susceptibility/disinhibition) takes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This study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경험재는 소비과정에 얻는 감각적, 경험적 즐거움이 목적인 제품을 의미하며 경험재에서는사전 자극이 제품에 대한 반응을 형성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경험재의 대표적사전 자극인 브랜드명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큼에도 불구하고이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험재 중에서도 소비자들의 관심과이용 빈도가 높은 영화를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고, 영화의 브랜드명인 영화 제목에 대한지각적 유창성이 높고 낮음에 따라 영화에 대한 호감도에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험을 통해알아보았다. 또한, 경험재 소비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소비자 특성 변수로 감각추구성향을제시하고, 이러한 감각추구성향에 따라 지각적 유창성이 호감도에 미치는 효과가 어떻게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브랜드명의 지각적 유창성은 브랜드 호감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지각적유창성과 소비자의 감각추구성향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비자의 감각추구성향을 하위 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을 때, 권태민감/탈제지성향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권태민감/탈제지성향이 낮은 소비자들은 브랜드명의 지각적 유창성이 높을 때 더 높은 브랜드 호감도를 보였지만, 해당 성향이높은 소비자들은 지각적 유창성에 관계없이 비슷한 호감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경험재에중요한 사전자극의 지각적 유창성과 이와 관련된 중요한 소비자 특성인 감각추구성향을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예술로서 시조 체험 교육 연구를 위한 시론 -들뢰즈의 예술론을 바탕으로-

        이루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2 국어교육연구 Vol.49 No.-

        This paper attempted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Sijo experience education as an art form based on Gills Deleuze's art theory. First, John Dewey’s and Maurice Merleau-Ponty's art theories we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Deleuze's art theory. The educational value of Deleuze's art theory was also derived. Deleuze's art theory is significant because it reveal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rt experience as “sensory thinking,” provides supplementary measures for constructivist education by acknowledging the involuntary nature of thought, and regards the “body” as a fundamental way of thinking, fostering appreciation for the learner's body. When learners accidentally encounter Sijo, it becomes an artistic symbol that promotes involuntary thinking. The Sijo experience is the learner’s sensory thought process “to become a textual body.” The expansion of percepts and the generation of affects in the process of "becoming" are instances of "de-territorialization," which generates new sensations. Hence, learners can achieve educational growth through the "re-territorialization" process, which explicitly illuminates thought and generates sensations. 본고는 들뢰즈의 예술론을 바탕으로 예술로서 시조 체험 교육의 가능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먼저 들뢰즈의 예술론에 입각하여 듀이와 메를로-퐁티의 예술론을 살피고 들뢰즈 예술론의 교육적 가치를 도출하였다. 듀이는 미적 체험을 ‘하나의 경험’으로 정의하며, 심미적 질성, 질성적 사고, 직접적 감각을 미적 체험을 이루는 요소로 설명한다. 메를로-퐁티는 ‘보이는 것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미적 체험으로 보았으며 그 요소로 감각적 관념, 몸의 자기반성, 지각을 언급한다. 들뢰즈는 미적 체험을 ‘감각의 사유에 의한 차이의 생성’으로 정의하며 감각, 감각의 사유, ‘신체-되기’를 미적 체험의 요소로 논한다. 들뢰즈의 예술론은 예술 체험의 고유한 특성을 ‘감각의 사유’로 명확히 밝혔다는 점, 사유의 비자발성에 주목하여 구성주의 교육의 보완책을 제공한다는 점, ‘신체’를 근원적 사유방식으로서 주목하여 학습자의 몸을 감상의 중심에 가져오고 동적인 교실 수업으로 이행할 수 있다는 점, 새로운 감각의 생성을 통해 학습자의 주관적 한계를 넘어서는 도약적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시조와 학습자의 우연한 마주침이 실재적으로 일어날 때 시조는 비자발적 사유를 촉진하는 예술적 기호를 발산한다. 시조 체험은 학습자의 ‘텍스트 신체-되기’를 통한 감각의 사유 과정이다. ‘-되기’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지각의 확장과 정서의 생성은 새로운 감각의 생성으로 ‘탈영토화’의 과정이며, 감각의 사유와 감각의 생성을 명시적으로 조명해보는 ‘재영토화’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교육적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 KCI등재

        여대생의 건강체력과 비만에 대한 물과 커피 섭취량과의 관계

        이루리,고유선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health and obesity according to water and coffee intake. The study subject is 900 female college students. Physical fitness factors measured in this study were physical strength(grip strength, back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sit-up), Flexibility(Sit & reach)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harvard step). The factors of body composition (intracellular fluid, extracellular fluid, protein, mineral, body water content, muscle mass, lean body mass, body fat mass) and obesity (BMI, body fat percentage, abdominal fat percentage, obesity) were measured with the Inbody equipment. SPSS program was used for all data analysis. Group differences were verified by two-way ANOVA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water and coffee intake on health and obesity. Therefore, the difference of the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each independent variable was verifi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water intake and coffee intak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composition (intracellular fluid, protein, minerals, body water, muscle mass and lean body mass). Water drinking group more than 7 cups had significantly higher body composition than the 1-4 cups water drinking group. In the case of coffee, the body composition of the 3 cup intak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e intake group. Obe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e intake and 1-2 cup intake groups. Based on the study results, water intake was not related to obesity, but coffee was related. For further studies, it would be better to consider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drinking various beverages such as water and coffee and that would be used to suggest a desirable way of water intake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better health. 본 연구는 여대생 900명을 대상으로 물 섭취량과 커피 섭취량에 따른 건강체력 및 비만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측정은 건강체력요인 체력에 근력(악력, 배근력),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유연 성(앉아앞으로굽히기) 심폐지구력(하버드스텝)을 측정하였고, 체성분 측정기기 Inbody를 이용하여 신체조 성(세포내액, 세포외액, 단백질, 무기질, 체수분량, 근육량, 제지방량, 체지방량)과 비만(BMI,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비만도)의 각 항목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를 이용하여 이원변량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강체력과 비만에 대한 물과 커피 섭취량 집단 간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각독립변인 별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체력요인 중 체력요인은 물과 커피 섭취량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신체조성(세포내액, 단백질, 무기질, 체수분량, 근육량, 제지방량)에서 물 7잔 이상 섭취 집단이 1∼4잔 섭취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커피는 3∼4잔 섭취 집단이 미섭취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비만요인의 경우 물 섭취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커피의 경우 비만도에서 3∼4잔 섭취 집단이 미섭취 집단에 비하여 비만도가 높게 나타나, 커피는 물과 달리 비만과 관련이 있음을 알았다. 차후 물과 커피와 같은 다양한 음료 섭취에 대한 성별, 연령대별 차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진다면 보다 나은 건강을 위한 개인별 특성에 따른 수분 섭취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소공인 CEO의 개인적 자질과 지식경영 실천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루리,이소영,Lee, Ru-Ri,Lee, So-Young 한국벤처혁신학회 2020 벤처혁신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성공적인 경영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소공인 CEO의 특성을 파악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지식경영의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여 지식경영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소공인이 성공적인 경영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소공인CEO의 대인유연성과 스트레스 내성이 직접적으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에 더 나아가 도전정신과 글로벌 역량이 지식경영을 매개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고자 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을 도출하고, 소공인 CEO를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소공인의 글로벌 역량이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소공인의 스트레스 내성이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소공인의 도전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지식경영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소공인의 대인 유연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지식경영에 의해 부분 매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술 집약형의 소공인 업체가 적은자원을 투입하고도 스스로 활성화가 가능한 지식생태계를 구축하여 경영의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풍부한 지식경영의 노하우를 보유한 소공인이 지적자산의 가치를 이해하고, 이렇게 얻어진 지식을 어떻게 보다 효과적으로 시장가치로 전환 할 수 있을지 고민하며, 그 것이 성공적인 기업성과를 창출하는데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지식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식경영에 기술을 통합하는 최선의 방법과 소공인 CEO가 지식경영에서 얻어진 경험, 직감, 신념 등의 가치가 성공적으로 경쟁 우위를 확보하거나 유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어떻게 탄생할 것인가를 주목하고 인식하여 의지를 다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When we assume the transition to a knowledge management society, what factors should be differentially added to the characteristics of CEOs of small enterprises to enhance management performance? This can be done by measuring the core competence of the CEO who is an importance asset of the small firm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four inquirie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re competence of the CEO, the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performance of the firms. First, we test the influence of the core competence of CEO o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we explore the effects of CEO characteristics on the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performance of the firm. Third, we test whether knowledge management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EO which is a parameter,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firm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Fourth, for the sake of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EO of the small firms, we conduct t-test or multiple comparison to find ou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eans of the main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ork experience, and entrepreneurship. The academic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O, which influence the business performance:the global competence, challenge spirit, interpersonal flexibility and stress tolerance, in connection with the knowledge management of small firms. The prac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test whether CEOs can demonstrate successful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rather than measuring business performanc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profit and loss statements in this era of uncertainty.

      • KCI등재

        소비자 반응 및 이용특성에 따른 가격민감도에 관한 연구: PSM 기법의 활용

        이루리,김동훈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9 마케팅관리연구 Vol.24 No.3

        With the rapid proliferation of products as well as various forms of product information in the marketplace, the importance of price and the resulting value for money has been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sumer responses to prices in a service industry and how they are influenced by moderating factors such as consumer satisfaction, emotional responses during consumption, prior product knowledge, and the type of value(utilitarian or hedonic) the consumer seeks from the product. We apply the Price Sensitivity Measurement(PSM) technique in measuring consumer price sensitivity. The results show lower price sensitivity for customers who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service product,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more frequently, had a relatively high level of prior product knowledge, and perceived the service product to have a utilitarian value. The study provides both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소비자들의 정보력이 증대하고 시장에서 대안들이 다양해지면서 기업들 간의 가격경쟁도치열해졌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가격민감도도 증가하고 있으며, 구매의사결정에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가격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중, 비교적 최근에 주목을 받았거나 아직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요인들에 초점을 두고 이들에 따라 소비자의 가격에 대한 반응이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소비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혹은 이용하고 난 후에 나타내는 반응변수로서 만족도와 소비정서를 제시하며, 소비자의 이용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로서 제품에 대한 지식수준 및 가치인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의 가격민감도 차이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PSM 기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만족도가 높고, 긍정감성의 경험빈도가 높으며, 제품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제품에 대해 실용적 가치를 인식할 때 상대적으로 가격민감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문적⋅관리적으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