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래혁(Lee, RaeHyuck),장혜림(Chang, Hae-L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9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6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의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다문화청소년패널 5차년도 원자료로부터 1,265명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Macro Process for SPSS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자녀의 성취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모의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자녀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탄력성은 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 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의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자아탄력성에 의한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를 고취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the child’s ego resilience in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on the child’s achievement motivation. For this purpose, in a sample of 1,265 children from the raw data of the 5th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constr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Process macro for SPS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ternal acculturative stress negatively influenced the child’s achievement motivation. Seco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mediated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on the child’s achievement motivation. Third, a child’s ego resilience did not mediate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on the child’s achievement motivation. Fourth,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the child’s ego resilience perfectly dual-mediated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on the child’s achievement motivation.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학대와 학업중단 후 비행의 관계에서 미래지향적 사고의 중재효과

        이래혁 ( Raehyuck Lee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학대와 학업중단 후 비행의 관계에서 미래지향적 사고의 중재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의해 구축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의 원자료로부터 선별한 733명을 대상으로 일련의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학대는 학업중단 후 비행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는 부모학대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미래지향적 사고의 수준의 높을수록 부모학대가 비행에 미치는 정적 영향의 정도가 감소하였다. 결론 및 제언: 주요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 문제를 완화 및 예방하기 위한 개입의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uture- oriented thinking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maltreatment and delinquency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Using a sample of 733 adolescents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constr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current study conducts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parental maltreatment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delinquency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future-oriented thinking mode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maltreatment and delinquency. Specifically, when the level of future-oriented thinking becomes higher, the positive influence of parental maltreatment on delinquency becomes weaker.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ntervention ways to reduce and prevent delinquency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 KCI등재

        한국의 아동수당제도 도입이 아동가구의 소비에 미친 영향

        이래혁(Lee, RaeHyuck),남재현(Nam, Jaehyu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3

        본 연구는 2018년에 도입된 아동수당제도가 아동가구의 소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과 2019년 가계동향조사 연간 지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중차이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수급 아동 가구와 비수급 아동 가구의 소비 지출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수당의 수급은 아동가구의 주류/담배 소비와 보건 관련 소비를 감소시키는 반면, 교육 관련 소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수를 한 명인 가구와 두 명 이상인 가구로 구분하여 하위집단 분석을 수행한 결과, 수급 아동이 한 명인 경우에만 아동수당의 효과가 발견되었다. 소득수준에 따른 하위집단 분석결과, 저소득층 집단에서는 아동수당의 보건 관련 소비 감소 효과만을 보인 반면, 중고소득층 집단에서는 주류/담배 및 보건 관련 소비 감소와 교육 관련 소비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아동수당 제도의 경제적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child allowance that was introduced in 2018 on the consumption in households with children. For the analysis, we used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HIES) data for the 2017 and 2019 and employed a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to compare the consumption expenditures between recipients and non-recipients. The analyses revealed that the universal child allowance contributed to reducing the expenditures on alcohol and tobacco and health-related expenditures while increasing education-related expenditures in households with children.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child allowance was noticeable only for households with one child; this wa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bgroup analysis that divided the number of children into households with one child and those with two or more children. Furthermore, an additional subgroup analysis by income level showed that among the low-income group, child allowance was associated with only a decrease only in health-related expenditures, whereas among the middle/high income groups, it was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alcohol, tobacco, and health-related expenditures, and an increase in education-related expenditure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various aspects of the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the universal child allowance system.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래혁(RaeHyuck Lee),이재경(Jaekyo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사회복지 실천 함의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해놓은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의 원자료 중 일부를 활용하여 PROCESS macro 분석 방법을 통해 진로장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직 · 간접적 영향을 검증하였다. 먼저, 분석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는 스마트폰 중독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은 진로장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으나 자아존중감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은 진로장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하고 있었다. 즉, 진로장애는 자아존중감을 낮췄고, 낮아진 자아존중감은 우울을 증가시켰으며, 증가된 우울은 최종적으로 스마트폰 중독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개입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Using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questions by analyzing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career barrier on smart-phone addiction with the PROCESS macro method.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out-of-school adolescents’ career barrie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smart-phone addiction. Also,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mediated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 on smart-phone addiction, but out-of-school adolescents’ self-esteem did not mediate the influence. However, out-of-school adolescents’ self-esteem and depression dual-mediated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 on smart-phone addiction. The level of career barrier decreased the level of self-esteem, and in turn in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and finally increased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strategies to address the smart-phone addi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청소년 자녀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래혁 ( Rae-hyuck Lee ),이재경 ( Jae-kyoung Lee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22 한국가족복지학 Vol.27 No.2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anxiety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daily stress. Methods: Data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 2020 were utilized, along with SPSS Process macro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anxiety. Result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anxiety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Next, adolescents’ daily stress fu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anxiety. Experiencing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increased levels of daily stress and, in turn, increased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anxiet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tect and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midst of a disaster.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의 조절효과

        이래혁(Lee, Raehyuck),오채민(Oh, Chaemin),채황석(Chae, Hwangseok)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제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자료에서 선별된 한 명 이상의 외국인 부모를 둔 다문화가정 청소년 956명을 대상으로 중다 회귀 및 위계적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높은 우울감 및 자살행동 수준을 보여주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사이의 부정적 관계를 행복감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우울감 및 자살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행복감이 낮은 경우 더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한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해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및 행복감과 같은 정서적 자원 강화를 위한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happiness on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on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on a sample of 956 adolescents living with at least one foreign-born parent from the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aily stress negatively influenced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daily stres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ikelihoods of being depressed and having suicidal behavior. Second, happiness moderated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on mental health. The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daily stress and depression and between daily stress and suicidal behavior were more pronounced for adolescents whose levels of happiness were low.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d with discussing strategies to cope with daily stress and to promote emotional assets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코로나19 불안과 스트레스의 관련 요인: 인구학적 특성 및 거주지역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래혁(RaeHyuc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6

        본 연구는 코로나19 불안과 스트레스의 관련 요인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 A지역에서 실시된 지역사회 복지욕구 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81명의 응답자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 36.9%가 코로나19 불안을 경험하였고, 51.5%가 코로나19 스트레스의 정도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 분석의 결과, 여성인 경우, 청년이나 노년에 비해 중장년인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 자가가 아닌 경우, 거주지역 만족도가 낮을수록 코로나19 불안을 경험할 위험성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노년에 비해 청년이거나 중장년인 경우, 자가가 아닌 경우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높은 범주에 속할 위험성이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사람들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전략에 대해 다양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COVID-19 anxiety and stress. For the purpose,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raw data of the community needs assessment performed in A region located in Asan, Chungnam.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with a sample of 281 respondents showed that 36.9% experienced COVID-19 anxiety and 51.5% reported high levels of COVID-19 stress. Second, a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being women, being the middle-aged people compared with the young people or the old-aged people, being those without spouses, being those without their own house, and lower levels of neighborhood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experiencing COVID-19 anxiety. Third, a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being the middle-aged people or the young people compared with the old-aged people and being those without their own hous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high levels of COVID-19 stress. Based on the results, diverse suggestions were discussed to reduce people’s anxiety and stress in the midst of COVID-19.

      • KCI등재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관련요인: 2018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이래혁(RaeHyuck Lee),장혜림(Hae-Lim Chang),이재경(Jaekyoung Lee) 한국보건사회학회 2019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1

        본 연구는 돈내기 게임 경험이 있는 학교 및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관련요인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건강증진 모형(ecological health promotion model)을 기반으로 2018년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이차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조사시점 기준 지난 3개월 동안 돈내기 게임을 경험한 학교 청소년 5,080명과 학교 밖 청소년 510명 이었고, 문제도박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도박문제 심각성 척도를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 및 문제 수준의 도박을 경험한 학교 청소년은 22.3%, 학교 밖 청소년은 50.4%였다. 둘째, 이와 같은 문제도박 수준과 관련된 요인은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 간에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학교 및 학교 밖 청소년 모두에게서 공통적으로 문제도박 수준과 관련된 요인은 성별, 부모 동거 여부, 용돈 수준, 가족 간 대화 수준, 주변 도박자 유무, 예방교육 경험 여부였다. 반면, 주변 도박장 유무와 도박문제 인식 수준은 학교 청소년의 문제도박 수준과 학교 밖 기관 유형은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문제도박 예방 및 개입에 필요한 실천적·정책적 전략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problem gambling among school and out-of-school adolescents who experienced betting games. For the purpose, based on the ecological health promotion model, this study conducted secondary data analyses by utilizing the raw data of the 2018 Survey on Youth Gambling Problems. The analytic samples of this study were 5,080 school and 510 out-of-school adolescents, respectively, who experienced betting games during the last three months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urvey, and the Gambling Problems Severity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problem gambling.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2.3% of school adolescents and 50.4% of out-of-school adolescents experienced at-risk or problem gambling. Seco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roblem gambling differed between school and out-of-school adolescents. Factors associated with levels of problem gambling consistently for both school and out-of-school adolescents were gender, whether to live with parents, average amounts of allowance, levels of family communication, whether to live in a neighborhood with gamblers, and whether to receive education to prevent gambling problems. However, whereas whether to live in a neighborhood with gambling places and levels of perceiving gambling problems were associated with levels of problem gambling for school adolescents, the type of supporting institutions was associated with levels of problem gambling for out-of-school adolescen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e and policy strategies to deal with and prevent problem gambling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래혁 ( Lee Raehyuck ),장혜림 ( Chang Hae-lim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1 학교사회복지 Vol.- No.53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에서 조사 당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 733명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 for SPSS의 모델 4와 14를 활용하여 부모방임이 우울을 통해 게임중독에 미치는 직·간접 영향과 우울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확인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은 게임중독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부모방임의 수준이 높을수록 게임중독의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우울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부모방임의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의 수준이 증가하였고, 증가된 우울은 게임중독의 수준을 증가시켰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성별이 부모방임이 우울을 통해 게임중독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방임이 우울을 통해 게임중독에 미치는 부정적 간접효과가 여자에 비해 남자에게서 두드러졌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 문제를 해결 및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al neglect on game addi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through depression. For the purpose, using a sample of 733 adolescents who were out of school at the point of the survey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constr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is study utilized the Models 4 and 14 of the PROCESS macro for SPSS for analyzing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parental neglect on game addiction through depression and for analyz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through depression, respectively. The main results foun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parental neglect positively influenced game addiction. Levels of parental neglec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levels of game addiction.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parental neglect on game addiction. Levels of parental neglect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in turn, increased levels of game addiction.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gender moderated the influence of parental neglect on game addiction through depression. The negative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neglect on game addiction through depression was more pronounced for male adolescents than for female adolescen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diverse strategies to address and prevent game addi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