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식별되는 자: 위치기반기술, 원격성과 감시의 문제, 그리고 비-장소(non-place)

        이두갑(Yi, Doogab) 한국과학기술학회 2016 과학기술학연구 Vol.16 No.2

        이 글의 목적은 사회과학에서의 “공간적 전환”(spatial turn)이라는 새로운 흐름에 기반하여 근대사회에서의 공간적 배치와 감시에 관한 논의의 일환으로 21세기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LBS) 기술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위치기반기술을 원거리 식별, 추적, 감시를 통해 시-공간에 대한 관리와 제어를 가능하게 해주는 원격성 기술의 발전이라는 맥락에 위치시켰다. 조정과 감시의 기술로서 LBS를 분석하기 위해 본 논문은 이 기술의 구조를 LBS 시스템의 사용자와 위치정보 서비스, 그리고 시스템 내에서의 정보의 흐름에 따라 규명했다. 이어 LBS 기술의 법적, 사회적 영향, 특히 LBS 기술에 의해 ‘식별되는 자’의 법적 지위와 감시의 문제를 분석했으며, 특히 미국과 한국의 주요 LBS 사례를 중심으로 프라이버시(privacy)를 둘러싼 이론적이고 공공정책적인 이슈들에 대해 논의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실제, 오프라인 삶의 광범위한 영역들이 컴퓨터 매개를 통해 일어나는 이 시대에 LBS가 어떻게 “식별되는 자”의 위치정보를 매개로 “생활의 모든 순간”에 대한 추적과 감시를 수행하며 감시 자본주의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론으로 본 논문은 LBS를 통해 식별, 감시, 제어되는 개인 주체와 이들이 위치해 있는 공간의 특징을 분석하여, LBS가 비-장소라는 새로운 공간을 생산하며 유사한 정체성을 지닌 ‘식별되는 자’를 생산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This essay examines the recent proliferation of location-based services (LBS) within the context the expansion of the technologies of remote identification, monitoring, and tracking. Following the spatial turn in the social sciences, this essay aims to analyze LBS as a surveillance technology that can re-shape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its users and their identity. The analytic focus of this essay is on LBS within the glob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it utilizes key LBS examples in the US and South Korea. First, as a way to discuss the technical possibilities of LBS for spatial coordination and surveillance, this essay investigates its technical architecture in terms of information flow. It then discusses the issue of privacy in LBS by analyzing some of its key legal and regulatory issues. The combination of the glob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with location-related technologies has enabled LBS companies to expand the scope of surveillance over the ever-increasing computer-mediated activities, prompting heated discussions over whether LBS is capturing ʻEvery Moment in Your Life.ʼ This essa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n how location technologies have provided a key platform for the rise of surveillance capitalism through the creation of what Marc Augé called a ʻnon-place,ʼ a place where the identified self is constituted by LBS.

      • KCI등재후보

        유전자와 생명의 사유화, 그리고 반공유재의 비극

        이두갑(Yi Doogab) 한국과학기술학회 2012 과학기술학연구 Vol.12 No.1

        이 글은 BRCA1과 BRCA2 두 인간유전자에 관련된 특허들에 대한 최근의 소송에서 제기된 인간유전자 특허의 여러 경제적, 법률적, 그리고 윤리적 쟁점들을 분석한다. 기존의 인간유전자 특허관련 연구들이 이의 법률적 논리와 윤리적 정당성에 대한 규범적인(normative)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면, 이 글은 BRCA 관련 특허소송에의 기저에는 반공유재의 비극(the tragedy of the anticommons)이라 불리는 지적재산권과 경제혁신, 공공의 이익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존재하고 있음을 보일 것이다. 첫 부분에서는 2001년 미 특허청의 인간유전자 특허에 대한 정책의 형성과정에 대한 역사적인 분석을, 다음으로는 생명과학에서 지적재산권의 확대를 가져온 여러 경제적 가정들과 제도적 변화, 그리고 법적 판결들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소개할 것이다. 지적재산권의 한계와 생명의 사유화에 대한 비판을 통해서 BRCA 소송은 지적재산권의 정의와 그 범주, 그리고 이의 소유권을 둘러싼 논쟁이 공공의 이익, 과학과 의학 공동체의 창조적 지적활동과 환자들의 인권과 윤리의 문제가 복잡다단하게 얽혀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ACLU)’s recent legal challenge on patents held by Myriad Genetics on two genes (BRCA1 and BRCA2) associated with a high risk of breast and ovarian cancer. Instead of analyzing the ACLU’s objections to the BRCA patents in terms of its legal technicalities and normative ethical principles, this paper seeks to situate this legal case in the broader historical context of the shifting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ownership,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public interest in academic sciences. This paper first briefly chronicles a series of scientific developments and key legal decisions involving patenting of life forms, including genetically engineered micro-organisms animals and biological materials of human origins like cell cultures and genes, that led to the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USPTO)’s official guidelines on human gene patenting in 2001. At another level, this paper analyzes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life sciences in terms of shifting economic and legal assumptions about public knowledge and its role for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70s. I then show how these economic, legal, and ethical ideas that linked private ownership and the public interest have been challenged from the 1990s, calling for revisions in intellectual property laws regarding a wide array of life forms. The tragedy of the anticommons in human gene patenting, according to ACLU, has severely undermined creative scientific activities, medical innovations, access to health care and rights to life among cancer patient groups. ACLU’s objection to human gene patenting on several US-constitutional grounds in turn suggests issues regarding intellectual property are critically linked to vital issues pertinent to the creative communities in arts and sciences, such as free exchange of ideas, censorship and monopoly, and free expression and piracy etc.

      • KCI등재

        한국 서양과학사 연구와 교육, 그 관계 맺기의 정체성: 『한국과학사학회지』 분석을 중심으로

        이두갑 ( Yi Doogab ) 한국과학사학회 2020 한국과학사학회지 Vol.42 No.3

        This article surveys some of the key works in the history of western science in South Korea, mainly focusing on the articles and review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 It intends to commemorate the 6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History of Science in 1960, to reflect on some of the shifting scholarly trends featured in The Korean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 and to discuss a few fruitful scholarly avenues for historians of western science in South Korea. Written from a perspective of a Korean historian of ‘western’ science, it further considers some of the meaningful engagements with a wider community of science studies scholars in South Korea and beyond.

      • KCI등재

        중독의 신경 과학과 자유 의지, 그리고 법적 책임: 한국 담배 소송에서의 금연과 중독

        이두갑 ( Yi Doogab ) 한국과학사학회 2019 한국과학사학회지 Vol.41 No.3

        In 1999, Gum-Ja Bae, inspired by a successful wave of American tobacco litigations in the 1990s, filed a civil lawsuit against KT&G Corporation, a state-sanctioned monopoly for tobacco and ginseng products.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Korean tobacco litigation by looking at the trans-Pacific circulation of biomedical knowledge and legal strategies. It focuses on the question of addiction, individual choice, and legal responsibility in Korean tobacco litigation, analyzing how the neuroscience of addiction was mobilized for the co-construction of medical knowledge and legal responsibility. The Korean plaintiffs claimed that the neuroscience of addiction― the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process of mood alterations, tolerance, and withdrawal symptoms―pointed to the loss of control in nicotine use, placing the burden of responsibility squarely on the tobacco industry. The Korean tobacco industry, however, underscored that nicotine did not cause intoxication that would hamper smokers’ ability to act rationally with respect to risks associated with cigarettes. The Korean tobacco industry thus mobilized the multinational tobacco industry’s construction of the notion of quitting that stigmatized smokers as weak, irrational, and addictive individuals. In the end, the South Korean court exempted the Korean tobacco industry from responsibility, amplifying the defendant’s stigmatization of smokers and their responsibility of risk-taking.

      • KCI등재후보

        한국 담배소송에서의 위험과 책임

        박진영(Park, Jinyoung),이두갑(Yi, Doogab) 한국과학기술학회 2015 과학기술학연구 Vol.15 No.2

        20세기 중반 이후, 거대과학기술 시스템과 대량생산 체제의 발달에 수반되어 방사능, 공해, 새로운 합성물질 및 제조물 등 후기 근대적 위험(late modern risk)에 노출된 다수의 피해자들이 나타났다. 이들이 제기한 환경 · 공해소송 및 제조물 책임 소송에서 과학적 인과관계 규명과 법적 책임 판단은 과학기술과 법 영역에서 가장 첨예한 논쟁의 대상으로 부상했다. 이 글은 한국 담배소송에서 후기 근대적 위험에 대응하고자 나타났던 여러 과학기술적, 법적 도구들이 어떻게 적극적으로 사용되며 흡연과 폐암의 인과관계에 대한 새로운 법적 판단을 이끌어 내었는지 분석했다. 한국 법정에서 역학과 위험사회 질병의 정의를 둘러싼 첨예한 논쟁이 벌어졌으며, 인과관계 논쟁의 ‘해결’ 과정에서 법적 규범, 책임 및 과학적 증거에 대한 후기 근대적 재해석의 틀이 마련되었던 것이다. 결론으로 위험사회에서의 피해와 법적 정의 구현에 대한 새로운 합의 도출 과정에서 과학기술과 법의 상호작용과 그 변화에 대한 이해가 핵심적이었으며, 이러한 이해가 후기 근대적 환경 · 공해소송과 제조물 소송에 대한 과학기술학적 분석에 유용할 것이라 제안한다. Toxic tort case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the 1970s, as large technological system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and chemical factories, or mass-produced, high-tech products, had exposed citizens and consumers to dangerous substances. It was, however, difficult to establish causal connection between exposure and the alleged harms in many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roduct liability cases under the framework of tort law conception of causation and responsibility. Science and law was called upon to resolve such "late modern" legal cases where true causes are hard to find, where no single explanatory factor is sufficient for explaining diseases like cancer. This article examines how plaintiffs in the Korean tobacco litigation mobilized such late modern tools in science and law, such as epidemiology and the allocation of the burden of proof, in the context of the global circulation of science and law. It further shows how a set of the scientific theories and legal arguments developed in order to cope with late modern risk played a central role in establishing a causation between smoking and cancer in 2011. This article suggests that STS scholars can fruitfully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science and law as a way to understand and engage with social and legal issues engendered by late modern risk.

      • KCI등재

        법정에서 “비흡연자” 대표하기 : 한 · 미간접흡연 소송 비교와 혐연권, 환경권, 그리고 중독 문제

        김인(In Kim),이두갑(Doogab Yi) 한국과학기술학회 2022 과학기술학연구 Vol.22 No.1

        본 논문은 한국의 “비흡연자”가 어떻게 자신의 법적 권리를 구성하는지를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어떻게 간접흡연으로 인한 폐해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묻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이라는 서로 다른 법체계에서 어떻게 사회운동과 법적 전략, 그리고 과학지식이 영향을 미치며 비흡연자 권리가 형성되는지를 각국의 간접흡연 소송들을 비교하며 살펴본다. 우선 혐연권의 모호한 기본권성에 대한 논쟁이 있었던 한국과 달리, 환경권에 호소한 미국의 비흡연자들이 성공적인 소송들을 제기할 수 있었던 요인들을 논의한다. 비흡연자의 법적 권리구성에 대한 맥락적이고 비교적인 본 논문의 분석은 사회운동이 법적 지식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간접흡연의 법리적 쟁점을 인과관계에서 중독의 문제로 전환하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촉구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어떻게 지식의 생산 주체와 대상, 그리고 전문가 집단과 서로 다른 법리가 흡연자, 혐연자라는 법적 범주를 생산하여 차별적으로 사회집단의 권리와 의무를 분배하는지를 지적함으로써 과학기술과 사회정의에 대한 논의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South Korea’s non-smokers represented their legal rights through litigations within the context of the rising global public health movement against transnational tobacco companies in the 1990s. It also contrasts the ways in which Korean non-smokers asserted their legal rights with those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highlight how different legal systems and social movements influenced the representation of non-smokers’ legal rights. It highlights how the proactiv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rights, both in terms of standing and in terms of causation, led to the representation of nonsmokers as proactive agents in the US. This article ends with a discussion with how notions like addiction and environmental disability can help provide legal means for Korean non-smokers to better assert their rights.

      • KCI등재

        법정에 선 대기오염의 “화학적 인프라” : 서울 대기오염 소송(2007∼2014)을 중심으로

        김주희(Joohui Kim),이두갑(Doogab Yi) 한국환경사회학회 2020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4 No.2

        2007년 2월,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서울의 시민들과 녹색연합은 대한민국과 서울시, 자동차 회사들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의 주요 청구 취지는 크게 두 가지였다. 첫째, 피고들은 서울에서 세계보건기구의 권고기준을 초과하는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둘째, 피고들은 원고들이 대기오염으로 인해 입은 피해를 배상해야 한다. 2010년 서울중앙지방법원과 서울고등법원의 판결을 거쳐 2014년 대법원 판결로 마무리되었던 이 소송에서 재판부는 세 차례 모두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 본 논문은 서울 대기오염 소송이 서울의 화학적 인프라(chemical infrastructure)를 법정에 세움으로써 환경정의를 구현하고자 했던 시도라고 보고, 소송의 세 가지 핵심 쟁점을 둘러싼 논쟁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세 가지 쟁점은 원고들이 그들의 피해를 입증하기 위해 제시한 세 단계의 인과관계, 즉 자동차에서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었으며, 그 물질이 원고들에게 도달하였고, 이에 호흡기 질환이 발생했다는 주장과 각각 관련된 것들이다. 첫째, 도로망의 형성이나 자동차 배출가스 문제를 중심으로 서울의 화학적 인프라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해 어떤 논쟁이 있었는지를 살펴본다. 둘째, 원고들이 서울의 대기오염에 노출되었음을 주장하기 위해 제시한 면오염과 도로변 오염을 둘러싼 논쟁을 통해, 피고들의 주장과 재판부의 판결에 깔려 있는 화학적 전체론(chemical holism)의 경향을 짚어본다. 셋째,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원고들이 직접 대기오염을 감지하여 증언한 내용들에 대한 논쟁을 살펴봄으로써, 원고들의 피해가 서울의 인구집단 전체가 맞닥뜨린 화학적 인프라의 문제가 아니라 개인적이고 개별적인 차원의 문제로 여겨지게 되는 과정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환경오염의 영향이 공간적으로 광범위할뿐만 아니라 시간적으로 지연되어 나타날 때 화학적 인프라라는 개념은 유용한 분석틀이 될 수 있으며, 환경오염으로 인한 느린 폭력(slow violence)을 개인들이 직접 몸으로 감지한 내용은 화학적 인프라에 대한 대안적 지식으로서 법적 책임을 묻는 새로운 실천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In 2007, the Green Korea United, together with several Seoul residents, filed a lawsuit against seven Korean auto manufacturer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Korean State.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hemical infrastructure of air pollution in Seoul emerged as a central framework through which the plaintiffs ascertained legal responsibility for their alleged damage caused by air pollution. The plaintiffs charted three major causal relations that would demonstrate the defendants’ conduct and the plaintiffs’ harm under the framework of chemical infrastructure. First, we will analyze how the plaintiffs discussed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chemical infrastructure of air pollution in Seoul with respect to the growth of the auto industry and policies regrading transportation and emission control. Second, we will discuss the premise of chemical holism underlying the entire lawsuit by analyzing the controversy over area pollution and roadside pollution, a geography of risk mapped by the plaintiff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ir harm and automobile emission. We then examine how the plaintiffs tried to claim their attuned bodily sensing of air pollution as an evidence of the chemical infrastructure of air pollution faced by the entire population of Seoul. It was, however, impossible to re-imagine legal responsibility for air pollution at the Korean court, where conventional methods of quantitatively measuring air pollution and mechanically tracking air pollutants took strong hold. This paper ends with a discussion as to some of the scientific and legal difficulties to represent the health damages caused by the chemical infrastructure of air pollution in Se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