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예술학의 새로운 연구방법론 모색: 문화연구와의 만남을 통하여

        이동연 ( Dong Yeun Lee ) 세계음악학회 2010 음악과 문화 Vol.22 No.-

        How does the theoretical practice possible when Korean arts theory meets cultural studies? Encountering of Korean arts theory with cultural studies, with their different academic tradition and methodology to study, is not only most suitable case to meet with the age of convergence of academics but also has productive meaning in broadening their intellectual practices. It has rather interactive system of references for the progressive transformation of their own. In fact, Korean arts theory, with its apparent object for studying and wide field of academy, does not have unique identity from historical studies to meta theory. It has obvious object of Korean traditional arts, thoughts, aesthetics, but it needs time to discuss authentically in what methodology we have to study it. Cultural studies will propose a proper clue to overcome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Korean arts theory. The methodology of cultural studies basically has the point to interdisciplinary and ethnography. This article aims to inquire how the cultural studies may intervene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arts theory. The intervention of cultural studies as "methodology" to transform of it conforms the post-colonial practices of cultural studies. It has multiple methodologies such as discourse theory, semiotics, psychoanalysis, post-colonialism, and ethnography. Cultural studies as methodolog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reconstruction, application to new modes of studies, and the future-oriented design of curriculum towards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arts theory.

      • KCI등재
      • KCI등재

        세운상가의 근대적 욕망

        이동연 ( Dong Yeun Lee ) 한국사회사학회 2009 사회와 역사 Vol.0 No.82

        세운상가는 서울 도심의 남북축 1km를 가로지르는 초대형 프로젝트로서 1967년 11월에 완공되었다. 한국의 근대적 개발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세운상가는 2006년에 철거가 결정되어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세운상가는 도시 공간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표상하기도 했지만, 본래의 건축적 이상과는 다르게 많은 한계를 안고 있었다. 세운상가의 유토피아의 좌절은 결국 그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과 조건의 불충분함에 기인한다. 세운상가는 대중들의 자발적 요구가 아닌 근대적 개발의 논리를 정당화하기 위해 탄생했다는 점에서 그 생명을 지속적으로 보장받을 수 없었다. 또한 세운상가의 본래 기능을 충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제도적, 행정적 관리는 기대할 수 없었다. 그런 점에서 세운상가 프로젝트는 애초부터 좌절된 유토피아이다. 세운상가의 유토피아는 현실과의 끊임없는 투쟁과 진화 속에서 계속 추구될 수 있는 것도 아닐뿐더러, 근대적 문명의 진보 속에서 이미 구현된 것도 아니다. 이 글은 세운상가의 탄생과 소멸의 과정에 대한 공간적 의미를 발터 벤야민의 ‘아케이드 프로젝트’와 ‘알레고리’라는 개념을 통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발터 벤야민의 개념들은 공간의 생성에 따른 일상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그것의 역사적 의미들을 미학적 관점으로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학적인 객관성의 원리에 근거하기 보다는 감성적 이데올로기적 분석이 주를 이룬다. 이 글은 발터 벤야민의 이론들을 좀 더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공간 문화연구의 이론적 틀을 보완하고자 한다. 특히 공간에서 주체의 욕망과 도시공간에 대한 담론 비판을 통해 세운상가라는 공간의 의미화과정(signification)을 분석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근대적 아케이드로서 세운상가의 생성과정을 추적하면서 1960년대 도시 공간의 욕망이 어떻게 발생하고 그것이 이후에 어떻게 변형 굴절되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Sewoonsanga, which is mega project running across 1 km``s axis of south to north, had built up in November of 1967. Regarded as a symbol of modern development in Korea, it was decided to be removed in 2006 and at last it disappeared into history. In spite of representing the new lifestyle of urban space, it had also much limitations regardless of its own architectural ideal. The frustration of utopia in Sewoonsanga was finally due to the insufficiency of social condition so as to achieve its ideal. It could not guarantee its life consistently in that it was born not to legitimate the requirement of the popular, but to the logic of modern development. the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to maintain the actual function of it might not look forward to. Therefore, the Sewoonsanga project is primarily the frustrative one. Its utopia is nothing to persue continually in the endless struggle and evolution against the reality, nor to complete in progression of modern civilization.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patial meaning of birth and death of Sewoonsanga through the concept of ‘arcade project’ and ‘allegor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대중문화 통사연구 방법론 서설

        이동연(Lee, Dong Yeun)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4

        대중문화연구는 근대성 연구의 붐으로 2000년대 들어서 상당한 연구성과를 거두었지만, 통합적인 관점에서 문화사 연구는 충분하게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 국문학, 역사학, 사회학 분야에서 대중문화에 대한 역사연구가 있긴 했지만, 대부분 특정한 주제에 한정해서 기술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대중문화의 비평과 담론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것과는 달리 대중문화의 역사연구, 특히 통사연구가 부족한 것은 한국에서 대중문화연구가 학술적인 대상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것을 예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한국에서 대중문화 통사연구는 특정한 주제와 특정한 시기에 한정된 문화사 연구의 방대한 성과를 계승하되,개별 토픽들의 통시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있어 그 적절성과 시급성을 가지고 있다. 대중문화 통사연구는 조동일의『한국문학통사』와 송방송의『한국음악통사』가 국문학계와 한국음악학계에서 커다란 학술적 전환을 몰고 온 것처럼,한국 문화연구의 장이나 근대성 문화사 연구의 장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지적 실천이라 할 수 있다. 대중문화 통사연구의 적절성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연구가 진행되기에는 많은 난관이 따른다. 한국에서 대중문화 통사연구가 갖는 어려움은 대체로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가장 먼저 언급할 것은 대중문화 연구의 정의와 대상에 대해 학문적으로 충분히 논의되지 못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로, 대중문화가 역사적으로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학문적 공감대가 아직 형성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대중문화 통사연구에 필요한 연구토대와 환경이 부족한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대중문화를 학문의 장에서 연구하기 시작한 것도 다른 분과학문 영역과 비교해보면 역사가 짧고, 연구자 풀도 넓지 않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중문화의 통사를 연구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중문화 통사를 연구하기 위한 예비적 단계로 대중문화의 정의, 역사적 시기구분,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패러다임, 토픽설정과 분류체계 등의 문제들을 다루고자 한다. With the outstanding success of popular culture’s study, thanks to the boom of modern studies since the 21 th century, its historical study in term of general approach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There were a few case of the historical study on the popular cultures so far, of course, most of them are restrictively described to its specific fields like pop music, cinema, consumer spaces, etc. While the popular culture’s critics and discourses had great impacts on the understanding of social changes of Korea, the historical study on popular cultures were not relatively enough to discuss. It seems to verify that the popular culture’s study in Korea has not been recognized to the academic level. The popular culture’s study in Korea calls for an immediate solution of the absence of historical approach even though some books dealing with particular genres and specific period has been published. Studying the general history of popular cultures is a new mode of intellectual practices that are able to open the new moment of transforming the Korean cultural studies, just as The general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by Cho Dong Il, and The general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y Song Bang Song.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urgent need to the study methodology of the general history of popular cultures. As the preliminary step to study of it, this paper tries to deal with the issues of the definition of popular cultures, its period division, the paradigm of popular cultures, and the setting of topic and the system of its classifi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소셜 네트워크의 정치와 미학

        이동연(Lee, Dong Yeun) 한국문화연구학회 2012 문화연구 Vol.1 No.2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의 시대를 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는 국경, 인종, 세대를 가로질러 가장 민주적인 의사소통의 공간을 열고 있다. SNS를 통해 이루어지는 다양한 실천들은 ‘소셜’의 이중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에서 소셜은 ‘사교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이란 이중적인 의미를 가진다. 사교적인 것은 개인들 간의 사적인 관계를 말한다. SNS의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은 개인들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동시대 사회적 이슈들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데 있다. SNS의 이러한 이중적인 특성은 모두 정치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SNS의 정치성은 정치적인 내용의 재현이 아니라 정치적 효과의 생산이다. SNS의 정치적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서 이 글은 공지영의 《의자놀이》 논란에서 공지영과 하종강 사이의 트윗 논쟁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SNS의 정치성의 새로운 인식적 지도그리기를 위해 SNS의 세 가지 윤리, 즉 계몽적 윤리, 규제적 윤리, 미학적 윤리를 언급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 SNS의 커뮤니케이션은 계몽적 윤리, 규제적 윤리의 수준에서 머물고 있다. SNS의 정치는 지나치게 근대적 정치의 규칙들을 반복하고 있다. 미학적 윤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 The Social Network Service(SNS) which launched the age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such Twitter, Facebook, Kakoa Talk is now opening the most democratic space of communication across nation, race, and generation. Lots of practice through SNS implicate the dual meaning of ‘the social’. The social in SNS has dual signification of the private and the public relationship. The private tells us the personal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Another significant function of SNS is to express actively the contemporary social issues in the formation of the individuals to social relation. This dual characteristics of SNS have all political meaning. The politics of SNS is not the representation of political contents but the production of its effect. To understand the political effect of SNS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the debates between Gong Ji Young and Ha Jong Kang amid the online scandal of Chair Play. It also remarks the three ethics of SNS, that is, enlightening, regulatory, and aesthetic one so as to have a new cognitive mapping of SNS politics. SNS’s communications is still in the level of the former two definition of SNS. It just excessively repeat the rules of modern politics. This article would highlights the new problematics of the aesthetic ethics of SNS.

      • KCI등재후보

        문화정책의 새로운 철학과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이동연(Lee, Dong Yeun) 한국문화연구학회 2013 문화연구 Vol.2 No.1

        박근혜 정부의 출범으로 대안적 문화정책에 대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 출발점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사에서 언급한 문화융성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개입이 중요하다. 문화융성을 문화민족주의의 관점이 아닌 문화의 사회적 가치 확산이라는 관점으로 재사고할 수 있다면, 문화정책의 패러다임은 새롭게 바뀔 필요가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문화정책의 패러다임이 어떤 관점으로 전환되어야 하는지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 글은 특정한 목적과 결과를 지향하는 문화창의성 대신에 개인들의 다양한 잠재성을 중시하는 문화역능으로,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 여성자들의 동화주의를 강조하는 다문화주의에서 차이와 공존을 인정하는 문화 다양성으로, 창작자들의 표현의 자유의 권리에서 모든 이를 위한 문화적 권리로, 중앙과 주변을 전제하는 지역문화에서 차이와 특이성을 중시하는 문화분권으로, 공공자원에 의존하는 문화복지에서 예술가들의 자발적인 연합을 강조하는 문화자립으로 문화정책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청하고자 한다. With launch of the Park Geun Hae’s Government, it’s time to need the new strategy of the alternative cultural policy. At the starting point, this article consider the critical intervention into the notion of “cultural flourishing” remarked on the Park’s inaugural address. If we regard it as the point of proliferation of social value rather than as that of cultural nationalism, the paradigm of cultural policy has to be changed. The implosion of the notion of cultural policy depends on the deep consideration of what kind of paradigm shift should be required for the critical intervention into the proliferation of social value on culture.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how the paradigm of cultural policy should be shifted with the launch of new government. It suggests five cases for the paradigm shift of cultural policy. It asks for the shift from cultural creativity to cultural potentia, from multiculturalism to cultural diversity, from professional creator’s rights to culture to cultural rights for everyone, from local culture to cultural decentralization, from cultural welfare to cultural independence.

      • KCI등재
      • 고등역사교육자료 활용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도서관의 역사교육자료 평가와 이용방법을 중심으로

        이동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이화교육논총 Vol.17 No.-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7th curriculum, creative, independent learning is emphasized and various -learning models which use discussion learning and research learning is also recommended in history courses. This study intends to introduce and show the way to use history teaching data easily based on the fact that the library has data which can possibly be used in the learning of history course. To accomplish this goal, I did the literature research, questionnaire survey, and evaluation. For literature research, I studied the history teaching data which the library ha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I studied the aspects of teaching materials and opinions about the library with 25 randomly chose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Kyonggi. In presenting the usage model, I showed concrete examples of usage methods for the types of history teaching data. At that time, I made a checklist for the history teachers to evaluate the database, I also made a model of the usage method and used it to evaluate 2 history teachers. Here are the contents about the model of using history teaching data in this study. First, there are 11,793 libraries in Korea according to research based in late 2005. In a public library, we can use books, especially rare books, official gazettes, newspapers, data about Korea, or articles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to teach history. Among the research libraries, there is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Library. We can use the rare books, serial publications, data on modem Korean characters, a chronicle table of Korean history classified into age and theme, and multimedia data found there to teach history. Second, the history teaching data which is available in the university library can be separated into Off-Line data and On-Line data. Above all, there are monographs, serial publications, maps, chronicle tables, dictionaries, and information about people in the Off-Line history teaching data. We can check the location of copies to read directly or request document delivery services after doing a computer search for title, keyword, or author in KORIS-NET, RISS, or a home page of foreign libraries. They have various On-Line history teaching data in the universities. The history teaching data of major university libraries is separated into local data and foreign data, and there are 25 to 30 databases in it. I evaluated valuable databases useful for teaching history among the various databases using an evaluation form made up of 7 criteria (correctness, consistency, authority, content, completeness, currency, and arrangement) with 3 history teachers from the E middle school in Seoul. We can log-in and gain campus access after choosing a library from which to use Qn-Line history teaching data. You can search the appropriate data in full text by entering the book name, keyword or the name of the author in the checklist of the library database. Third, I presented the model to search the concrete data in Off-Line history teaching data and On-Line history teaching data by specifying the history teaching theme, which in my case was "the Holocaust." There are 4 levels (keyword selection, library selection, retrieval, and result evaluation) of using model of Off-Line history teaching data. The model of the using On-Line history teaching data is made of 5 levels which are keyword selection, database selection, Boolean retrieval, conducting research, and result evaluation. Off-Line history teaching data is reliable and easy to use however, the amount of data is limited and the data is not updated very often. Qn-Line history teaching data can be used everywhere, and we can use the curriculum about learning history, hand outs, and proposals about an evaluation, although it is not easy to use. After I presented the two models to history teachers who want various teaching data, I evaluated the models using an evaluation form which has 3 criteria (believability, conformity/ and efficiency) and researched user satisfaction by interview afterw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