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자(管子)』의 관리철학을 통한 승리 리더십

        이돈준 한국체육철학회 201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5 No.1

        In this study, based on Guanzi's (管子) administration philosophy, we searched for the basics of triumph‐oriented sports leadership and proposed a new leadership by converging with sports. The Guanzi idea made the 'government of people (牧民)'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politics, and based on this, it helped to stabilize the politics and economy, which led a happy life of the people. Specific political applications for governing the people are to be good at both law (法) and moral (禮). By being good at both law and moral, the leaders and members uni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nd to achieve the golden mean in harmony at the same time. If this is connected with sports leadership, it can improve the development method of sports organization and meaning of physical activities. Sports can be a competitive activity that aims to win a fair game while maintaining reasonable rules, while at the same time it can be a way of realizing the spirit of love that can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public can enjoy together. If leaders follow the principle of perfection in both moral and law, we can go beyond ruling by force (覇道) and advance (進一步) the class of sports by way of the rule of virtue (王道). If it is possible to raise the class of dignity, it can raise the inner value as well as the real value that the triumph (勝利) can lead.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urtesy and Honor (禮議廉恥) based on 'victory (勝)' and 'advantage (利)' in sports. Courtesy and Honor is an ideological achievement that has been achieved by building confidence and building trust with people through the pursuit of ‘victory,’ a political self‐cultivation virtue, and ‘advantage,’ a real satisfaction. Therefore, associating Guanzi's administration philosophy with sports leadership can lead to changes in the value of triumph as well as a rise in cultural character of dignity. This means that not only can sports be carried out in the realm of art, but virture‐knowledge‐body (德‐知‐體) can be viewed as a whole harmonized activity. 본고에서는 『관자(管子)』의 관리(管理)철학을 근거로 하여 승리(勝利)를 지향하는 스포츠리더십의 기준점을 모색하고, 더불어 스포츠에 융합하는 적용성을 고찰하였다. 『관자』 사상은 ‘목민(牧民)’을 정치의 근본원리로 삼았고, 이를 토대로 정치, 경제를 안정시켜 백성들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목민을 위한 구체적인 정치 적용은 법(法)과 예(禮)를 겸전(兼全)하는 것이다. 법예을 겸전함으로써 지도자와 구성원이 일체감을 이루어 삶의 품격을 높임과 동시에 함께 화합하고 중용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를 스포츠리더십과 연관 지어 볼 경우 스포츠 조직의 발전 방법과 신체활동의 의미를 제고할 수 있다. 왜냐하면 스포츠는 합리적인 규칙을 지키면서도 정정당당하게 승리를 지향하는 경쟁 활동인 동시에 삶의 질을 높이고 대중이 더불어 즐길 수 있는 애민(愛民) 정신의 실현 방법일 수 있기 때문이다. 스포츠 조직에서 리더(Leader)가 법예겸전의 원리를 따른다면 패도(覇道)를 넘어서 왕도(王道)의 방법으로써 스포츠의 품격을 진일보(進一步) 시킬 수 있다. 품격 상승이 가능하면 승리(勝利)가 이끌 수 있는 실리적 가치와 더불어 내면적 가치까지 제고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스포츠에 ‘승(勝)’과 ‘리(利)’를 바탕으로 한 예의염치(禮議廉恥)의 적용을 통해서 이룰 수 있다. 예의염치는 지도자가 정치적 자기 수양 덕목인 ‘승’과 실리적 만족인 ‘리’의 추구를 통해서 백성과 믿음을 쌓고 신뢰를 구축함으로써 이룩한 사상적 성과이다. 따라서 『관자』의 관리철학을 스포츠리더십과 연관 지어 볼 경우 승리의 가치 변화는 물론 문화적 품격의 상승을 도모할 수 있다. 이것은 스포츠가 예술의 경지에서 실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덕‧지‧체(德‧知‧體)가 조화된 완전한 활동으로 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주희 심통성정(心統性情)에 관한 스포츠윤리적 해석

        이돈준,김홍식 한국체육철학회 202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는 주희의 심성론을 바탕으로 스포츠윤리에 적용 가능한 이론적 기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희 철학의 심통성정(心統性情) 개념은 인간의 본성과 감정을 하나로 통합하여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기준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심통성정의 구조적 의미와 기능적 의미를 통해 인간의 심(心), 성(性), 정(情)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스포츠 상황에서의 도덕적 감정과 행동으로 확장하여 설명하였다. 특히 주희의 성발위정(性發爲情) 이론에 따라 감정이 도덕적이거나 비도덕적으로 발현될 수 있음을 논증하고 스포츠맨십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도덕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스포츠윤리에서 발생하는 선과 악의 문제는 성리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보다 명확하게 규명될 수 있으며 선천적 기질 회복과 후천적 수양을 통해 도덕적 실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포츠윤리의 연구 영역 확장에 기여하는 이론적 기틀을 제공하고 스포츠를 통한 인간의 윤리적 삶을 제고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pplying Zhu Xi’s theory of mind (心性論) to sports ethics. Zhu Xi’s concept of ‘Mind Governing Nature and Emotions (心統性情)’ plays a crucial role in integrating human nature and emotions to establish moral judgments and behavioral standards. The research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心), nature (性), and emotions (情) through both structural and functional interpretations of ‘Mind Governing Nature and Emotions’, extending the theory to moral emotions and actions in sports contexts. Based on Zhu Xi’s theory of the manifestation of nature as emotions (性發爲情),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emotions can manifest either morally or immorally and it proposes ethical standards necessary for maintaining sportsmanship.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issues of good and evil in sports ethics can be clarified using the framework of Neo-Confucianism, with solutions rooted in restoring innate temperament and cultivating acquired moral discipline.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scope of sports ethics research and highlights the role of sports as a cultural practice that enhances human ethical life.

      • KCI등재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의 변통(變通) 적용 연구

        이돈준 한국체육철학회 202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는 스포츠가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를 실현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 현대와 미래 세대 간의 조화로운 공존과 상호 이익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탐구하고자 한다. 지속 가능한 발전의 핵심 가치인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 존중을 스포츠 활동에 접목함으로써 스포츠가 단순한 신체 활동을 넘어 사회적 통합과 생태적 지속 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역학적 세계관을 적용하여 스포츠의 철학적 기반을 확립하고 스포츠가 변통과 조화를 통해 인간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논의한다. 또한 본 연구는 스포츠가 사회적 연대와 생명 존중의 가치를 실현하고 현대와 미래 세대가 상호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데 기여하는 중요한 수단임을 제시한다. 이로써 스포츠는 개인적 성취뿐만 아니라 공동체 의식 형성, 공정성과 정의의 구현 그리고 생명 존중을 실천하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며 인류의 더 나은 미래를 이끌어갈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스포츠가 유네스코의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 운용에 공헌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ole of sports as an important medium for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enabling harmonious coexistence and mutual benefit between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By incorporating the core valu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ch as human dignity and respect for life, into sports activities,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potential of sports to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beyond mere physical activity. To achieve this, this study applies the worldview of the I Ching (Yijing)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sports, discussing how sports can bring positive changes to human life through adaptability and harmony.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sports as a crucial means to realize the values of social solidarity and respect for life, enabling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to collabora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us, sports have the potential not only to foster individual achievements but also to strengthen community spirit, promote fairness and justice, and serve as a means to practice respect for life, leading humanity toward a better future. Through these efforts, the authors of this study hope that sports in our country can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UNESCO’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KCI등재

        스포츠인류학의 새로운 도전

        이돈준 한국스포츠인류학회 2025 스포츠인류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스포츠인류학회의 창립 20주년을 기념하며 스포츠 연구의 성과와 미래 방향성을 모색한 연구이다. 현대 스포츠 연구는 단순히 신체 활동을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복잡한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포괄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용의 철학적 원칙을 바탕으로 성(誠), 도(道), 인(仁), 지(知) 의 개념을 스포츠 연구에 적용하여 인간 중심적 다양성과 조화를 강조한다. 성(誠)은 연구자가 진정성 있게 연구 대상의 경험을 반영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인(仁)은 인간 존엄성과 권리를 보호하는 윤리적 책임을 강조한다. 지(知) 는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지혜롭게 탐구하고 정확한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덕목들이 조화를 이룰 때 스포츠 연구는 사회적 정의와형평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장애인 스포츠나 성차별 문제를 다루는연구는 인과 지의 균형을 통해 실질적 변화를 이끌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포츠인류학회는 앞으로 사회적 통합과 협력을 증진하는 포괄적 학술 단체로성장할 수 있음을 논의한다. This study commemorates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Anthropology of Sport (KSAS) by exploring its achievements and future directions in sports research. Modern sports research must transcend the analysis of physical activities to encompass complex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Drawing on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of The Doctrine of the Mean (Zhongyong), this study applies the concepts of sincerity (Cheng), the Way (Dao), benevolence (Ren), and wisdom (Zhi) to emphasize human-centered diversity and harmony. Cheng signifies the researcher’s commitment to authenticity and the accurate reflection of participants’ experiences, while Ren underscores the protection and care for human dignity. Zhi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sightful inquiry into diverse contexts. This study suggests that sports research should evolve to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and equity. By doing so, KSAS can fulfill its social responsibilities and grow as an inclusive academic organization that fosters a better society.

      • KCI등재

        『주역(周易)』을 통한 운동하는 몸의 예술 세계 확장 연구

        이돈준 한국체육철학회 202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주역(周易) 문(文) 개념에 근거하여 운동하는 몸이 갖는 미적 의의(意義)를 고찰한 연구이다. 과거 동양에서는 팔괘(八卦)를 통해 우주 자연이 그리는 무늬[文], 즉 천문과 인문에서 시세의 변화를 살펴 삶의 기준을 찾았다. 천문은 하늘의 운행 질서다. 인간은 천문을 관찰하여 변화해야 한다. 인문은 문명한 삶의 질서다. 인간은 인문을 살펴 천하를 화성(化成)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괘(乾卦) 원형이정(元亨利貞)을 바탕으로 생명 존중의 인격성, 즉 인덕(仁德) 발현을 새로운 몸 꾸미기에 응용하여 아름다움을 고찰한다. 그리고 이를 실용 속에서 응용하는 일은 우주를 하나의 생명체로 파악하게 한다. 주역 은 생명을 이롭게 하는 것을 바탕으로 올바른 예술이 생생(生生)과 이타심에 있음을 알린다. 주역 의 예술적 의의를 운동하는 몸에 접목하는 것은 자신의 숨은 모습을 드러내고 인간을 폭넓게 이해시키는 노력이다. 따라서 새로운 몸 꾸미기는 운동을 통해 삶의 의미를 새롭게 일깨우는 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육과 스포츠 활동이 삶과 존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예술적 인식의 대상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the moving body based on the concept of "mun (文)" in the I Ching (周易). In the past, Eastern philosophy used the Eight Trigrams (八卦) to observe the patterns (文) drawn by the cosmos and nature, and examining changes in celestial and human affairs to find guidelines for life. Celestial patterns refer to the order of the heaven’s movements, which humans should observe and adapt to. Human patterns refer to the order of civilized life, which humans can examine to harmonize the world.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beau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human virtues, specifically the expression of benevolence (仁德),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Qian hexagram (乾卦) of Yuan-Heng-Li-Zhen (元亨利貞), to new forms of body adornment. Applying this understanding in practice allows us to perceive the universe as a living entity. The I Ching emphasizes that true art, which benefits life, lies in vitality and altruism. Integrating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the I Ching into the moving body is an effort to reveal one's hidden nature and foster a broader understanding of humanity. Consequently, new forms of body adornment can be understood as a means of reinvigorat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physical activity. As a result, this study advocates that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activities should be seen as objects of artistic perception, helping to find the meaning of life and existence.

      • KCI등재

        공자의 예악사상(禮樂思想)에 근거한 신체문화 향유 역량 강화 연구

        이돈준,이지설 한국체육철학회 202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공자의 예악사상(禮樂思想)을 바탕으로 체육의 표현과 국어의 시 문학교육[詩敎], 그리고 음악의 감성교육[樂敎]을 연계하여 포용성과 협력적 소통역량의 확장을 모색한 것이다. 공자의 예악사상은 예술과 도덕, 정치와 교육을 아우르는 총체적인 문화개념이다. 공자는 예악사상을 바탕으로 인간의 도덕성을 회복하고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시대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사상 체계 중심에는 인(仁)이 있다. 인은 인간다움을 실천하고 삶을 포용력 있게 하며 협력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하는 근본이다. 현대사회는 새로운 변화와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에 우리 사회는 새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그간의 교육과정 발전 방향을 계승하면서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삶을 이끌어가는 능력이 함양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그 기대를 공자가 제시한 학문의 완성 단계인 흥어시(興於詩), 입어예(立於禮), 성어악(成於樂)에 근거하여 논구한다. 그 결과 체육과가 중심이 된 시, 예, 악의 교과 간 연계는 포용성과 협력적 소통이라는 주도적 가치를 생성하고, 나아가 신체문화의 향유 역량을 진일보(進一步)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ansion of inclusiveness and the capacity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based on Confucius’ philosophy of ritual and music (禮樂思想), by linking the expressions of physical education, the teaching of poetry and literature in the Korean language (詩敎), and the emotional education of music (樂敎). Confucius’ philosophy of ritual and music constitutes a comprehensive cultural concept that encompasses art and morality, politics and education. He aimed to restore human morality and address the various issues of his time by building upon traditional culture through his philosophy of ritual and music. At the core of this philosophical system lies the concept of Ren (仁), which embodies humaneness. Ren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practicing human qualities, fostering inclusivity in life, and enabl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our modern society, which is confronted with new changes and challenges, our society hopes that students who will navigate the future will develop the ability to lead their lives proactively while inherit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previous educational curricula. This study discusses these expectations based on the stages of completion in learning proposed by Confucius: Heungeosi (興於詩), Ipeoye (立於禮), and Seongeoak (成於樂). As a result, the interconnection between subjects such as poetry, ritual, and music, with a focus on physical education, will generate leading values of inclusiveness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Furthermore,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advance the capacity to enjoy physical culture.

      • KCI등재

        하학상달(下學上達)을 위한 체육의 목적 재고(再考)

        이돈준,이지설 한국체육철학회 202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공자의 하학상달(下學上達)을 바탕으로 인간의 움직임과 관련된 세계관을 인식이나 의식 내용으로 포착하여, 이들 간의 유기적 연관을 해명하려는 노력을 통해 체육의 교육적 본질에 대한 이해 확장을 모색하는 것이다. 공자는 하학상달을 통하여 기본적인 삶의 방식을 익히게 하고, 이후 예를 배워 진리를 터득하게 한다. 즉 공자는 평이하고 가까운 곳을 공부하여 전체적인 이치로 나아갈 수 있는 인식을 고양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인식적 변화는 교육을 통해 인간의 목적적 행동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고찰할 수 있게 한다. 체육은 신체활동을 매개로 어떠한 목적을 기를 것을 기대한다. 여기서 신체활동을 매개로 하는 교육이 하학(下學)이다. 그리고 기르고자 기대하는 어떠한 목적이 우리 교과의 본질인 상달(上達)이다. 교과 본질이 명확해진다면, 목표에 따른 내용은 개인이나 사회의 의도를 보다 수월하게 개재(介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는 교과 내용을 구성하는 두 요소인 기능과 지식을 도덕적 인식 속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체육의 교육적 목적을 재인식시킬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essence of physical education by investigating purposeful human behavior through Confucius’ concept of Hahaksangdal (下學上達). Confucius follows a progression from learning the fundamentals of life through Hahaksangdal, and then advances his knowledge through the study of prophecies. Confucius emphasizes the transition from a limited perspective to a more comprehensive one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Hahak. This shift in cognition enables the examination of purposeful human behavior within an educational context. In the context of physical education, there is an expectation to cultivate specific purposes through physical activities, which can be seen as a form of Hahak. The intended purpose to be nurtured is the core of our subject, namely excellence. When the fundamental essence of the subject becomes clear, it becomes easier to align individual or societal intentions with the goals set by the content. In this regard, the study delves into the three mental elements of human beings —intellect, emotion, and will— in relation to the objectives of physical education. Traditionally, knowledge, justice, and righteousness have been confined to the realm of justice. However, this study aims to reevaluate the intrinsic purpose of physical education by examining intelligence, justice, and righteousness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Through this exploration, the study anticipates an improved representation of physical education as a discipline that can investigate human movement at an intellectual level.

      • KCI등재

        스포츠에서의 대동(大同) 문화와 성(誠) 사상 활착(活着) 연구

        이돈준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2 스포츠사이언스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뺷중용(中庸)뺸의 성(誠) 개념을 스포츠에 적용하여 화이부동(和而不同)의 가치를 탐구해 봄으로써 스포츠가‘모두가 잘 사는포용 사회’, 즉 대동사회(大同社會)를 만드는 실천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알아보는 것이다. 뺷중용뺸은 성즉리(性卽理)를 근거로 하여 인간의 도리[人道]를 하늘의 도리[天道]에 대비시킴으로써 지선(至善)의 경지로 나아갈 수 있게 한다. 뺷중용뺸은 그 원리를 천(天), 성(性), 도(道), 교(敎) 개념으로 전개한다. 그 결과 뺷중용뺸의 성(誠) 사상에 기반한 스포츠의 철학적 함의는 신체활동을 도심(道心) 충만의 인간 활동으로 볼 수 있게한다. 따라서 스포츠는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갈등 구조 속에서 화합의 정신이 충만한 화이부동의 문화 활동으로 가치를 지닐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에서는 신체활동 문화인 스포츠를 비근의 대상으로 보고, 뺷중용뺸의 성(誠) 개념을 스포츠에 적용하여 신체활동이 최선(最善)을 택하는 지혜의 표출 방법일 수 있음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스포츠가 천지(天地) 화육(化育)에 참여하는 인간의 대동(大同) 문화로 제고(提高)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