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헐적 팬데믹 시대의 양상과 불교의 대안

        이도흠(Doheum Lee)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0 불교와 사회 Vol.12 No.1

        코로나 바이러스 19로 인한 팬데믹이 세계에 변화를 몰고 오고 있다. 간헐적 팬데믹 시대를 맞아 생태계, 세계체제, 국가체제, 사회와 개인, 종교계로 나누어 양상을 살피고, 불교의 관점에서 대안을 모색하였다. 생태계의 경우, 1만 년 동안 4도 가량 오른 지구의 평균기온이 최근 1백년 만에 1도가 상승하면서 38%의 생물이 멸종위기에 놓이고, 대형 산불, 역대 급의 홍수, 폭설, 가뭄, 폭염, 한파, 태풍이 일상화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은 전 세계가 탄소제로를 목표로 글로벌 그린 뉴딜 정책을 추진하며, 불일불이(不一不二)의 생태론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이다. 세계체제는 지금 각자도생하며 경쟁을 하고 있는데, 화엄의 상즉상입(相卽相入)과 화쟁의 논리를 통하여 전 세계가 같은 가치를 가지고 공존공영하는 세계체제를 수립한다. 한 예로, 아라비아나 사하라 사막 혹은 우주 공간에 부자 국가들이 재정을 지원하여 대규모 태양광발전소를 짓고, 초연결시스템이나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스템을 활용하여 대륙별로 공급한다. 상위 10%가 절반 이상의 부를 점유하고, 한 기업 안에서 소득 차이가 300배에 달한다. 이제 자본주의 체제와 결별하고 대안의 사회를 지향해야 한다. 국가는 상호주관적 자비심의 구현체로서 자유롭고 정의로운 생태복지국가로 거듭 나며, 토지, 물, 지식, 데이터, 로봇은 공유부(common wealth)로 설정한다. 불평등이 심화하면서 대중들은 서로 경쟁과 이기심, 탐욕을 조장하고 있다. 이제 개인은 타자를 위하여 욕망을 자발적으로 절제하면서 행복을 느끼는 소욕지족(少欲知足)의 삶으로 전환하고, 사회 또한 공동체를 회복해야 한다. 간헐적 팬데믹 시대를 맞아 절은 선농일치(禪農一致)의 작은 절 지향, 초연결사회의 노드로서 절의 위상 정립 등 여섯 가지의 혁신을 해야 한다. The pandemic caused by Coronavirus 19 is driving change in the world. In the age of intermittent pandemics, I analyzed the aspects of these realities by dividing them into a ecosystem, world system, state, society and individual, and religious circles. And I looked for alternatives from the viewpoint of Buddhism. As for the ecosystem,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earth has risen by 1 degree in the last 100 years. As a result, 38% of living things are on the verge of extinction, and large forest fires, floods, heatwaves, droughts, and typhoons have become commonplace. Accordingly, the paradigm should be shifted to an ecology of ‘neither-one-nor-two(不一 不二)’, and the state should pursue a global new deal policy aimed at zero carbon within 10 years. The world system is dominated by the isolationism of selfish survival.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Hwayen Buddhist mutual penetration of things without hindrance and Hwajaeng Buddhism, the world must establish a system in which the world co-exists with the same values. For example, in the Arabia and Sahara desert, or in outer space, rich countries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build large-scale solar power plants, and supply them to each continent using a hyperconnected system or a microwave transmission system. The top 10% occupy more than half of wealth, and the difference in income is 300 times within a company. Now, we must break away from the capitalist system and aim for an alternative society. The state is reborn as a free and just ecological welfare state, and land, water, knowledge, data, and robots are set as common wealth. As inequality intensifies, the public promotes competition, selfishness, and greed with each other. Now, the individual must turn to a life of the wisdom of contentment with less gain(少欲知足), and society must restore the community. In the age of intermittent pandemics, the temple must do six innovations, such as the orientation of a small temple with the unity of zen meditation and labor, and establishing the status of the temple as a node of a hyper-connected society.

      • KCI등재

        인간과 자연의 공존의 장애에 대한 불교적 대안

        이도흠(Lee, Doheu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4

        21세기는 스스로 정화할 수 있는 ‘빈틈’이 사라진 시대다. 자연과 인간 사이의 공존을 방해하는 장애요인을 기계론 ‧ 인간중심주의의 세계관, 성장신화/자원고갈, 국가, 자본주의체제, 인공지능으로 나누어 불교적 대안을 모색했다. 서양과 달리 불교는 서로 의지하고 작용하고 생성하는 전일적이고 생성론적인 연기론을 펼친다. 불교는 기계론과 인간중심주의에 맞서서 자연과 인간이 서로 작용하고 의지하며 생성하면서 공존하는 연기론적 생태론을 펼친다. 성장신화와 자원 고갈에 대해 불교는 타자를 위한 욕망의 자발적 절제를 통해 마음의 평정에 이르는 삶, 업과 중도를 결합하여 소욕지족(少欲知足)의 삶을 제시한다. 힘과 법의 강제를 통하여 지속가능발전을 막고 있는 가장 큰 장애인 국가에 맞서서 불교는 ‘다른 생명과 약자들에 대한 자비가 모든 행동과 정책의 추진력이 되는 생태복지국가’를 대안으로 내세운다. 불교는 무소유를 지향하고, 나눔을 장려하고, 탐욕을 없애고, 이타적 삶을 추구하기에 교리상 반자본주의적이다. 불교는 생명을 상품화 하고 관리하는 자본에 맞서서 생명을 보듬고 살리는 담론과 정치를 수행하며 낮춤과 나눔과 섬김과 자비를 실천하는 불교 공동체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앞으로 기계가 생명을 대체하고 창조하는 인공지능 생명체에 맞서서, 생명을 “DNA사슬로 이루어진 정보덩이가 더불어 살려는 의지를 가지고 차이를 생성하는 공(空)”으로 정의하고, 이에 부합하는 생명철학과 윤리를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 The current global village is a world where the “room” that can be used for self-purification has disappeared. The present writer categorizes obstructions to the symbioses between humans and nature into the following: mechanistic paradigm/anthropocentrism; energy problem/the myth of growth; states, capitalist syste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 examine Buddhist countermeasures against them. Buddhism views ecology as based on the doctrine of dependent origination, which contrasts the mechanistic paradigm and anthropocentrism. If the law of dependent origination, which assumes that humans exist and act because of one another is a “factual judgement”, then inevitably the necessity to “get along well”, with others is a “value judgement.” When we realize the meaning of this law, we understand that we should coexist with all lives and substances that are in the relationships of dependent origination with us. Buddhism is against killing based on the doctrine of ahimsa. Buddhism regards all lives as the Buddha and feels compassion for all living beings who are suffering. Buddhists cultivate the mind to attain enlightenment by practicing the noble eightfold path, namely right views, thought, speech, action, means, effort, mindfulness, and meditation. This path leads to extinguish three evil roots: desire, greed, and anger. If we change our lives in oder to reach composure through the “voluntary moderation of desires” thereby benefitting all those in relationships of dependent origination with us, we can live satisfactory lives while using less energy. Buddhism combines common karma and the middle way to deconstruct the myth of growth and live a slow and leisurely life in the present with the wisdom of contentment with less gain. The states of Buddhist teaching is the ecological welfare states with compassion. Buddhism is anti-capitalistic because it pursues non-possession, encourages sharing, seeks to eliminate greed, and pursues altruism. The Buddhist alternative to the capitalist society is the “Buddha-in-eye community.” While confront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machines replace lives, I define life as “Sunyata(emptiness) with information of DNA chains that generates a difference.” We must establish philosophy and ethics of life in accordance with this definition newly.

      • KCI등재

        유불도와 선을 아우른 최치원의 평화 사상

        이도흠 ( Lee Doheum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8 통일과 평화 Vol.10 No.1

        신라 말기의 사상가, 시인, 정치인이었던 최치원은 유불도와 풍류도에 능통한 지식인이었다. 그의 사상을 평화관의 입장에서 생명평화사상, 소극적 평화사상, 적극적 평화사상, 차이의 평화관으로 나누어 조명하였다. 최치원은 풍류도, 도교, 불교를 회통(會通)하는 생명 평화관을 가졌다. 그는 모든 생명과 인간이 다 같이 존엄하고 평등하며 서로 평화롭게 공존하고 그 속에서 인간과 온생명이 하나로 범아일여(梵我一如)를 형성하다가 함께 해탈을 하기를 바랐다. 실제로 그는 함양의 태수로 부임하였을 때 위천의 홍수를 막기 위하여 둑을 쌓는 대신 숲을 조성하고 실개천을 만들어 생명을 살리면서도 홍수를 막는 대안을 택하였다. 최치원은 전쟁터에서든 이를 기억하는 장소든, 전쟁과 평화를 대조하면서 후자를 지향하였으며, 부처님의 가피를 받아 이 땅 신라가 아예 전쟁 자체가 없는 평화로운 나라가 되기를 원하였으며, 무기를 거두는 것이 평화를 가져오는 길일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을 잘 살게 하는 길이라고 피력하였다. 최치원은 생명이 위기를 겪고 사람들의 본성이 어지러운 원인을 개인적인 요인만이 아니라 세상과 시국 때문인 것으로 파악하는 사회 구조적인 인식을 하였다. 이에 먼저 마음속에서 나쁜 마음을 씻어내는 재(齋)에 진력하고 환란이 오지 않게끔 경계하여 폭력과 다툼을 아예 없애는 계(戒)에 힘써야 한다며 전쟁과 폭력을 근본적으로 해소하려는 적극적 평화사상을 피력하였다. 최치원의 평화 사상을 21세기의 맥락에서 조명할 때, 그의 생명평화사상은 심층생태론과 상통하며, 홍수를 막기 위하여 상림을 조성한 대안은 근대성의 위기를 극복하는 탈근대적 대안으로 적용될 수 있다. 곧은 마음에서 비롯된 다름 인정의 사유는 근대적 주체가 동일성에 포획되어 타자를 상정하여 배제하고 혐오와 폭력을 행한 것을 성찰하는 차이와 타자성의 사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Chi-won Choi was a thinker, a poet and a politician in Silla dynasty. He was a savvy intellectual familiar with Confucianism, Buddhism, Taoim, and Pungryu-do. I analyzed his thoughts from the standpoint of the peacemaker by dividing his thoughts into four categories: life -peace ideology, passive peace ideology, active peace ideology, the peace thought of difference. He had a ideology of life and peace that combined Buddhism, Taoism and Pungryu-do. He thought that all life and man were dignified and equal. He hoped that human beings and all life would coexist in a state of oneness of the universe and self and then reach nirvana together. In fact, when he was appointed governor, he had chosen an alternative to prevent floods while saving lives by building the Sang-rim forest of instead of dams. He directed the latter in contrasting war and peace, whether on the battlefield or in a place where he remembers it. He wanted that Silla dynasty would be a peaceful country with no war itself, under the protection of the Buddha. He thought that eliminating weapons is not only a way to make peace, but a way to live all the lives well. He identified people and lives as being in crisis because of the state and the situation. He tried not only to oppose the war passively but actively to prevent it. He insisted that the war would be prevented by getting rid of fundamentally bad feelings and eliminating its causes. I illuminated his thought in the context of the 21st century. His thoughts are in line with the ideology of deep ecology. His choise that build the Sang-rim forest can be applied to post-modern alternatives. Owing to be captured by identity, modern subjects excluded and committed violent against others. So, we reflect on the violence of identity and seek alternatives of the ideas of difference and alterity. His ideas are similar to this a little.

      • KCI등재

        기호학 비평과 마르크스주의 비평의 종합과 그 너머

        이도흠 ( Lee Doheum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4 No.-

        Two roads to genuine criticism in the study of art and literature run parallel. Kantian aesthetician says that art, transcendent from all interests, is beautiful as art itself. Hegellian aesthetician regards art as the way to telos. Semiotic criticism analysed the internal structure and forming principles of text. Marxist criticism synthesized literary works as super-structure and socioeconomic base. Marxist criticism subordinated literature to socioeconomic content and deprived literary text of literariness while evading the problem of poetic construction. Formalism was not able to admit that an external social factor could become an intrinsic factor of literature. Bakhtin's sociological poetics went far beyond the non-social poetics of pure Formalism as well as the non-literary sociology of crude Marxism contributing both a genetic structuralist approach. Bakhtin defined the task of sociological poetics as grasping the concrete and material unity of poetic construction both in relation to its semantic meaning and ideological significance. However, we realize limitation to apply this theory to poetic text and draw meanings and aesthetic value. Social semiotics synthesizes text and ideology, structure and history. It criticizes the ideology in discours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literariness in literary text while applying to this theory. So, I look at the two ways beyond sociological poetics and Social semiotics. The one is the synthesis of semiotics and cultural studies. The other is Hwajaeng semiology is my original theory which synthesizes semiotics and Marxist sociology. This theory synthesizes text and context, text and ideology, code and message, author as a sender and reader as a receiver through Wonhyo(元曉: 617-686)'s Hwajaeng philosophy. It is possible to colligate formalism poetics and Marxist sociology so that we may poetically and scientifically analyze the structure of a text while at the same time interprets and evaluates the value of the text in its socio-cultural context.

      • KCI등재

        폭력 유형별 화쟁의 평화론

        이도흠 ( Lee Doheum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7 통일과 평화 Vol.9 No.1

        본고에서는 갈퉁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보완하여 폭력을 직접적 폭력, 구조적 폭력, 문화적 폭력, 재현의 폭력으로 나누고 각 유형별로 원인과 화쟁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직접적 폭력의 경우,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인욕, 분노와 폭력의 뿌리에 대한 성찰, 욕망을 지멸(止滅)하는 참된 존재의 회복, 대대(待對)의 참구를 통한 아만(我慢)의 제거와 무아의 깨달음, 자비희사(慈悲喜捨)의 사무량심에 바탕을 둔 명상과 수행을 통하여 사랑과 자비의 마음을 내는 것이다. 하지만, 집단학살과 같은 경우 근본적인 원인은 동일성을 형성하여 타자를 배제하는 것이기에 원효의 변동어이(辨同於異)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눈부처의 차이론을 통하여 동일성을 해체하고 타자성(alterity)을 회복해야 하며, 구체적으로 공동 육아와 함께 먹기, 공감·협력 교육, 지혜의 공유, 음악과 예술을 통한 감정의 공유 등이 필요하다. 문화적 폭력에 대한 대안은 기존의 이데올로기가 지닌 허위성을 분석하고 비판할 수 있는 교육과 학습, 명상과 수행, 문화적 폭력을 구성하는 지배 이데올로기를 전복하는 저항 이데올로기 형성, 기존의 담론을 전복하고 새로운 프레임을 창조하는 대항담론으로 다시 쓰기이다. 화쟁의 대안은 진속불이(眞俗不二)론을 통하여 인간이 서로 불성을 드러내게 하는 방편으로서, 사회적 약자 및 고통 받는 중생에 대한 공감과 연대를 증대하는 공감·협력교육을 수행하여 소극적 자유, 적극적 자유, 대자적 자유를 구현하는 눈부처-주체로 길러내는 것이다. 구조적 폭력에 대한 대안은 개시개비(皆是皆非)식의 화쟁을 넘어서서 파사현정(破邪顯正)을 한 후에 권력을 대칭으로 만들고 구조적 폭력과 사회적 고(苦)를 증대하는 세력, 제도, 시스템에 맞서서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하는 방편으로서 자비로운 분노를 발현하여 이를 없애는 실천을 행하는 것이다. 재현의 폭력에 대한 대안은 여실지견(如實知見)으로 현실과 가상, 원본과 복사본을 구분하고 거기에 현실의 구체성을 회복하는 것, 언론의 자유를 구현하고 확실하게 제도화 하는 것, 기억 투쟁, 담론 투쟁, 헤게모니 투쟁을 하는 것, 기표에 물질성을 부여하고 텍스트에 맥락을 부여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화쟁의 대안은 체용론을 재해석하여, 생멸문에서는 이문(二門)의 차원에서 현실과 진리를 바라보고, 용을 통하여 체를 유추하며 그 상으로서 텍스트를 구성하며 그 텍스트에 담긴 현실과 진리를 읽되, 실재 현실인 참의 현실[體1]과 텍스트를 통해 재구성한 몸의 현실[體2]은 동일하지 않음을 인식하고 진정한 텍스트를 방편으로 언어로는 드러낼 수 없는 일심(一心)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I critically accepted and supplemented the theory of violence by Johan Galtung, and divided violence into direct violence, structural violence, cultural violence, and violence of representation, and I sought causes and alternatives to each type. The alternatives to direct violence are, on the individual level, self-reflection, reflection on the roots of anger and violence, restoration of a true being that eliminates desire, elimination of self-love, self-realization, meditation and practice. The cause of genocide is to form identity and exclude others. The alternative is to dissolve the identity through the nun-buddha-difference (difference of Buddha-in-eye) and to restore alterity. The concrete mediums are co-parenting, co-eating, sharing emotions through the arts, etc. The alternatives to cultural violence are ideological criticism education, creating counter-ideology and counter-discourse that overthrows dominant ideology and discourse. The Hwajaeng Buddhist alternative is nurturing all the citizens as a nun-buddha-subject(subject of Buddha-in-eye) with passive, active, fur Sich freedom. An alternative to structural violence is to resist against the power and systems that cause structural violence and social suffering with a merciful anger. An alternative to the violences of representation are to see the thing itself, to restore concrete realities, to embody freedom of speech, and to practice memory struggle, discourse struggle, and hegemony struggle. The Hwajaeng Buddhist alternative is to read the between text and the real. We deduce `che`(the essence) through `yong`(the action or function) and construct the text as `sang`(the phenomenon). We read the real and truth in the text, while recognizing that the real is not the same as the reality constructed through the text, we return to `ilshim`(a world of the real) through the medium of authentic text.

      • KCI등재

        한국 문학에서 호모 사케르와 주권 권력의 역학관계와 재현 양상

        이도흠 ( Lee Doheum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 Vol.61 No.-

        This paper critically accepted Giorgio Agamben`s theory and applied it to Korean literary work: The folk tale of Wukmyeon in the Buddhist era, Boeun-giu-rok in the Confucian era, Namaste in modern times. There are opposition between human order and divine order in King Gyeongdeok era. It is possible to be excluded by sovereign power in human order but is not possible to be homo sacer through sacrificial rite in divine order. Wukmyeon is a homo sacer who is excluded by sovereign power. However, in the temple that the authority of Buddha far surpass King`s, she is practicing asceticism to escape from homo sacer, and to become a Buddha. In the order of the family in which Confucian mythology operates, Yeoncheong Wi, hero in Boeun-giu-rok, is homo sacer who can be assaulted and deported by his father, and can be killed by law and culture based on Confucian ideology at that time. However, outside of the order of the family, he is the ideal pursuing the moral and ethics of Confucianism. So, Yeoncheong Wi escapes from homo sacer and passes the state examination, and makes a lot of money and reconciles with his father. Kamil, hero in Namaste, is homo sacer who is thoroughly excluded by the sovereign power and Korean people who have a strong ethnic myth and exclusiveness. Kamil resists against the sovereign power through various types of action in order to escape from homo sacer. However, no change at all, he eventually suicides himself.

      • KCI등재

        문학과 예술이론에서 재현의 아포리아와 대안

        이도흠 ( Lee Doheum ) 한국언어문화학회 2023 한국언어문화 Vol.- No.82

        본고는 문학과 예술이론에서 재현의 아포리아에 대하여 그리스시대, 근대, 탈근대로 나누어 핵심을 다루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플라톤은 시를 이데아를 왜곡하는 그림자에 비유하며 시인을 공화국에서 추방하라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오히려 시가 보편적 진리를 담고 있다면서 시를 옹호하였다. 자본주의 체제 이후 불평등, 계급갈등, 물화와 소외, 상품 물신주의가 심화하자 타락한 세계를 인식하고 이에 맞서려는 문제적이고 예외적인 개인들이 속속 출현하였다. 이들은 리얼리즘을 통하여 타락한 세계의 모순과 부조리를 객관적으로 묘사하고 진정한 가치를 드러내려 하였다. 하지만 현실은 기호의 한계, 형식의 매개, 이데올로기, 세계관, 권력 등에 의하여 왜곡되기에 실제 현실과 재현된 현실은 늘 차이가 크다. 디지털 시대에서 가상과 실제 현실 사이의 경계가 무너지고 가상이 현실을 구성한다. 인간은 결코 순수하게 객관적인 세계에서 살 수 없다. 그럼에도 우리는 현실과 재현, 가상현실과 실제 현실 사이에 ‘세계의 틈’을 창출하여 이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고 아름다움을 느끼면서 참에 다가갈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key points and seeks solutions for aporias of representation in literature and art theory by dividing it into the Greek period, modern times, and post-modern times. Plato compared poetry to a shadow that distorted the Idea and insisted that poets be expelled from the Republic. On the other hand, Aristotle defends poetry by saying that poetry contains universal truth. As inequality, class conflict, and alienation deepened since the capitalist system, problematic and exceptional individuals emerged one after another, recognizing the corrupted world and trying to confront it. Through realism, they attempted to objectively describe the contradictions and absurdities of the degrading world and reveal its true values. However, because the limitations of linguistic expression, mediation of form, ideology, world-view, and power distort reality, there is always a big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represented reality. In the digital age, the boundary between virtual and physical reality collapses, and virtuality constitutes reality. Humans can never live in a purely objective world. Nevertheless, we can approach the truth by creating a ‘room of world’ between reality and representation, between virtual reality and real reality, and newly interpreting its meanings and feelings of beau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