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정기능 저하의 전정재활치료

        이도준,서명환,이정구 대한평형의학회 2011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10 No.-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is an exercised-based approach to treat individuals with vestibular hypofunction. Vestibular hypofunction may not restore fully, but central compensation in combination with sensory substitution is thought to reduce impairment and vertiginous symptom.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can improve the functional balance, stabilize the ocular reaction and decrease the disequilibrium. The m ajor m echanism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is thought to be compensation, adaptation, and substitution. In this article we aimed to answer several questions related to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The questions are; what is the evidence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what is the indication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otolithic dysfunction and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how to rehabilitate the vesibulospinal reflex, the role of virtual reality in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the role of medication in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difference between self directed home exercise and supervised directed exercise, optimal duration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and the role of vestibular therapeutist in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 KCI등재

        양측 비폐색을 유발한 연구개 기원의 섬유혈관성 용종 1예

        이도준,명나혜,김영훈,정영준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0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53 No.2

        Fibrovascular polyp (FVP) mostly occurs in the upper cervical esophagus, hypopharynx, and occasionally in the oropharynx. However, it occurs very rarely in the nasopharynx. FVP is a slow growing tumor which often fails to produce symptoms until it has achieved massive size. Symptoms are diverse, ranging from asymptomatic to obstructive asphyxia according to the size of mass. We have recently experienced a rare case of a 14-year-old boy who complained of bilateral nasal obstruction due to a mass originating from the nasopharyngeal surface of soft palate,which is pathologically a nonnasal lesion. It was diagnosed as FVP and was successfully managed using cold instruments under endoscop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0;53:112-5

      • KCI등재

        인지부하가 통증 공감에 미치는 영향: 다항과정트리 모델링

        김성윤,이도준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4 No.4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공감은 자신도 모르게 생겨날 수 있지만 하향적 요인에 의해 조절되어야 바람직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증 공감의 통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작업기억 이중과제에 의한 인지부하가 통증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증판단 과제에서 참가자는 차례로 제시되는 점화자극과 표적자극을 보고, 표적자극에 담긴 타인의 신체에 통증이 가해지는지 판단하였다. 점화자극과 표적자극의 내용은 매 시행 같거나 다를 수 있었다. 참가자는 저부하 구획에서 통증판단 과제만 수행하거나, 고부하 구획에서 네 가지 색상을 기억하는 작업기억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였다. 통증판단에 기여하는 프로세스들을 분리하기 위해, Cameron과 동료들(2017)이 제안한 다항트리과정 모형을 통증판단 반응에 적합하였다. 그 결과, 통증공감의 통제 과정을 반영하는 의도적 공감 파라미터가 작업기억 부담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자동 과정을 반영하는 비의도적 공감 및 반응 편향 파라미터는 작업기억 부담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의도적 공감의 추정치는 인지부하 수준에 상관없이 개별 참가자의 작업기억 용량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는 통증공감의 용량제한적인 특성을 입증하고, 동시에 작업기억 용량이 통증 공감의 개인차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시각 자극의 언어화에 의한 전역 선행성의 역전

        민수정,이도준 한국인지과학회 2012 인지과학 Vol.23 No.3

        감각적 경험을 언어로 기술하면 그 경험에 관한 감각적 기억이 저하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일컬어 언어 장막(verbal overshadowing) 효과라고 한다. Schooler(2002)[1]는 언어화로 인해 정보처리 방식이 전역적 처리에서 국지적 처리로 전환되기 때문에 언어 장막이 발생한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보처리의 전환이 실제로 일어나는가를 검증하고자 얼굴 자극에 대한 기억을 요구하고 이를 토대로 언어적 묘사를 한 직후에 전역 처리와 국지 처리를 비교할 수 있는 Navon 과제를 실시하였다. 얼굴 재인 과제에서는 참가자들에게 외워야 하는 얼굴을 제시한 후 그 얼굴에 대한 언어화를 요구하였으며, 얼굴 재인 과제를 수행한 직후에 Navon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얼굴 재인 과제에서는 언어화를 한 묘사 집단에서 언어화를 하지 않은 통제 집단보다 낮은 재인률을 보이는 언어 장막 효과가 나타났다. Navon 과제에서는 통제 집단이 전역 수준의 정보가 국지 수준의 정보보다 우세하게 처리되는 전역 선행성(global precedence)을 보인 반면에, 묘사 집단은 전역 수준의 정보보다 국지 수준의 정보를 더 우세하게 처리하는 국지 선행성을 보였다. 이는 얼굴을 언어화함으로써 정보처리의 방식이 전역적인 방향에서 국지적인 방향으로 전환되고, 그 결과로서 얼굴에 대한 재인이 손상된 것임을 시사한다. ‘Verbal overshadowing’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by the verbal reporting of a visual memory of a face interferes with subsequent visual recognition of that face. Schooler (2002)[1] suggested that verbalization causes a shift from a holistic/global processing orientation towards a more analytic/local processing orientation that is detrimental to face recognition.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whether this processing shift occurs or not by assessing performance of Navon task following face recognition task, interposing verbalization between encoding stage and retrieval stage. The face recognition task showed the verbal overshadowing effect. In the Navon task, while non-verbalization group showed global precedence, verbalization group showed local precedence. This results imply that the cause of verbal overshadowing effect is a processing shift induced by verbalization.

      • KCI등재

        생각회피 훈련을 통한 의도적 망각에서 항목 강도와 연합 강도의 효과

        홍유림,이도준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4 No.3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1) that the forgetting effects would be greater for targets with strong item memory strength because the item to be forgotten is clear and easily accessed by cognitive control process, 2) the forgetting effects would be lesser for the cue-target pairs with strong associative memory strength because the effect of interference from other competitive stimuli associated with the cue is relatively smaller using think/no-think (TNT) paradigm demonstrated the facts that unwanted memory can be forgotten intentionally. In Experiment 1, target stimuli had either emotional or neutral content to adjust item memory strength of the target while cue-target pairs were distinguished based on the associative memory strength between cue and target words during a training phase. Results indicated an enhancing effect on the think condition and suppressing effect on the no-think condition following repeated practice given the target contained negative valence rather than neutral valence. In addition, greater suppression was observed when cue-target pairs contained weak associative memory strength. In Experiment 2, instead of targets, the valence of cues was changed to adjust the item memory strength of cue stimuli while maintaining the level of associative memory strength between cue-target pairs. The associative memory strength effect depending on the training level in the learning phase was almost the same as in Experiment 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alences of cues. The finding indicates that the item memory strength and the associative memory strength have opposite effects on intentional forgetting by the inhibition and interference mechanism respectively. 본 연구는 원하지 않는 기억의 인출을 인지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생각/생각회피 패러다임(think/no-think paradigm)을 사용하여 1) 표적 항목의 기억 강도가 높을수록 인지적 억제가 촉진되어 망각이 잘 발생하고 2) 반면에 단서와 표적의 연합 강도가 높으면 간섭이 약화되어 망각이 덜 발생할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1에서는 표적 항목의 기억 강도를 조작하기 위해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정서가를 가진 단어들을 사용하고, 사전 연합 학습 단계의 훈련 수준에 따라 단서와 표적 간 연합 강도의 세기를 구분하였다. 그 결과, 중성적인 표적에 비해 부정적인 표적에 대한 망각이 회피 조건에서 더 크게 발생하였다. 또한 표적이 사전 학습 단계에서 학습이 잘 되었을수록 망각이 덜 발생하였다. 실험 2에서는 표적 대신 단서의 정서가를 조작함으로써 단어쌍의 연합 강도를 실험 1과 같게 유지한 채 표적 항목의 기억 강도는 조건별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하였다. 그 결과, 사전 학습의 효과는 재현되었지만 단서의 정서가는 표적의 망각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항목 자체가 가지는 기억 강도와 항목들 간의 연합 강도가 각각 억제와 간섭을 통해 독립적으로 의도적 망각에 상반된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 KCI등재

        자기 참조적 출처 기억에서의 자기 긍정 편향

        김경미,이도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1

        본 연구는 출처 점검 과제(source monitoring task)를 사용하여 자기 긍정 편향(self-positivity bias)의 영향으로 인해 출처 기억에서 자기 참조 효과(self-reference effect)의 크기가 기억 내용의 정서가에 따라 달라지는 지 살펴보았다. 참가자들이 자기 참조 및 타인 참조 부호화 조건에서 단어들을 학습한 직후 기억 검사를 받았던 실험 1에서는 긍정 형용사에 비해 부정 형용사에 대한 출처 기억에서 자기 참조 효과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학습과 검사 사이에 24시간의 파지 간격을 둔 실험 2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더욱 극대화되어 부정적 단어에 대한 출처 기억에서 자기 참조 효과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기 긍정 편향으로 인해 동일 정서가의 정보일지라도 자신과의 관련성에 따라 그 출처가 기억되는 양상이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자아를 참조하여 정보를 처리(self-referential processing)하는 것이 늘 더 정확한 기억을 유도하는 것은 아니며, 주로 부정적 측면에서 논의되어 온 기억 편파 및 왜곡이 자기 고양 동기의 실현 및 긍정적 자기 개념의 유지 등을 돕는 순기능적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magnitude of self-reference effects would differ for positive versus negative information as a function of self-positivity bias within a source monitoring paradigm. In Experiment 1 where a memory test immediately followed a learning phase, the size of self-reference effects was significantly larger for the positive words compared to negative words. This decrease in the magnitude of self-reference effects for negative words was found to be more pronounced in Experiment 2 where a 24-hour interval was introduced between learning and memory test phases: no self-reference effect for negative word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due to the self-positivity bias, the association between a memory and its source become systematically biased toward positivity when a memory is self-relevant as well as toward negativity when a memory is about others. Overall, the current findings provide support for the crucial role of memory in maintaining and enhancing positive self-image and further suggest that memory bias, which has mostly been discussed for its negative consequences, may serve a functionally adaptive role by enhancing individuals' positive self percep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재응고를 통한 일화기억 갱신에서 예측오류의 비선형적 효과

        김태훈,이도준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4 No.2

        재활성화된 기억은 일시적으로 불안정해지고 새로 경험된 내용을 반영하여 변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최근 연구들은 이러한 기억갱신이 시작되려면 기억이 불완전하게 인출되어 예측오류가 유발되어야 한다는 증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기억갱신과 예측오류의 관계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3일간의 물체 학습 절차를 통해 예측오류 크기에 따른 기억갱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참가자들은 첫째 날에 물체 목록을 학습하고, 둘째 날에 새로운 목록을 학습하였다. 실험집단은 두 번째 목록을 학습하기 전에 이전 학습에 관한 단서를 제시받았다. 이때, 하위목록마다 서로 다른 크기의 예측오류가 발생하도록 단서의 양을 조작하였다. 그 결과, 셋째 날의 출처기억 검사에서 실험집단은 두 번째 목록을 첫째 날에 학습했다고 오귀인하는 실수를 자주 범했으며, 그 정도는 예측오류 크기가 중간 수준일 때 가장 두드러졌다. 그에 비해, 첫 번째 목록에 관한 기억은 예측오류 크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두 번째 목록 학습 후 리마인더를 제공받은 통제집단에서도 재응고의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측오류가 적정한 수준일 때에만 기억갱신이 일어나고, 예측오류가 클 때는 기억이 수정되기보다 새로운 기억이 형성된다는 것을 뜻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예측오류가 기억갱신의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